컴퓨터 케이스에 있는 각종 커넥터들 중에서 메인보드에 연결할 때 ‘+’, ‘-' 구분 없이 연결하여도 되는 것은?
1.
HDD LED
2.
PWR LED
3.
Reset S/W
4.
모두 극성의 구분이 필요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리셋 스위치는 + - 상관없이 신호만 전달이 되면 된다.
2.
PC 내부의 발열과 전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Geforce 계열의 3D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는 예전 2D만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보다 발열량이 매우 적다.
2.
컴퓨터 케이스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파워 또는 케이스의 절연 장치가 불량한 경우이다.
3.
가능하면 PC 본체 내부의 연결선들을 묶어서 각 부품의 발열이 원활하도록 한다.
4.
CPU위에 장착된 쿨러에 이상이 있을 경우 PC의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d는 2d보다 그래픽카드가 고성능이므로 발열량이 2d보다 높아진다.
3.
컴퓨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연결하였으나 Windows에서 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확인해야 할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슬롯에 정확히 꽂혀있는지 살펴본다.
2.
슬롯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슬롯의 위치를 바꿔본다.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Windows의 장치 관리자에서 인식이 되므로, 인터넷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4.
카드의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면 함께 제공된 CD안의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4.
메인보드의 BIOS Setup에서 사용여부 또는 종류를 설정하여야만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은?
1.
CD-ROM
2.
RAM
3.
FDD
4.
CPU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바이오스 세팅에 보시면 FDD 규격을 정하는 곳이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이 사용할 FDD 규격을 정해 주지 않으면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요즘은 없음 으로 세팅을 하죠~ ^^
5.
BIOS를 업그레이드할 때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BIOS 업그레이드 중간에 전원이 꺼지면 부팅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Windows 환경에서 BIOS를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다.
3.
BIOS 업그레이드 후에는 반드시 Format하여 Windows를 재설치 해야 한다.
4.
최신 버전의 BIOS는 ROM이나 BIN 파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6.
PC용 메인보드의 Award BIOS Setup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용량
2.
시스템 메모리의 용량
3.
하드디스크 용량
4.
시스템 시간
정답 : [
1
] 정답률 : 40%
7.
PnP의 발전된 형태로서 운영 중인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해도 시스템에서 바로 인식하는 기술은?
1.
Hot Swap
2.
IDE
3.
PCI
4.
ACI
정답 : [
1
] 정답률 : 76%
8.
프린터 포트의 전송 모드 중 인텔에서 제안한 것으로 32bit 전송 및 양방향 전송을 수행하며, Zip 드라이버,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에 사용하는 것은?
1.
SPP
2.
EPP
3.
ECP
4.
BMP
정답 : [
2
] 정답률 : 40%
9.
FDISK를 실행하면 첫 화면에 “대형 디스크 지원 기능을 사용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이 나온다. 이때 ‘N’으로 하였을 때의 파일 시스템은?
1.
FAT16
2.
FAT32
3.
EXT2
4.
EXT3
정답 : [
1
] 정답률 : 45%
10.
Windows의 시스템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면 제거한다.
2.
시스템 트레이에 등록되는 프로그램은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므로 최소화 한다.
3.
바탕화면의 테마는 가능하면 많은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4.
시작 프로그램은 최대한 단순하게 유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11.
시스템 파일들의 확장자 중 실행파일이 실행될 때 도움을 주는 파일로, 간혹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중 이 파일의 일부가 손상되어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파일은?
1.
COM
2.
CHK
3.
DDE
4.
DLL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라. DLL은 Dynamic Linking Library의 약자로 OS/2, 윈도우즈 등의 운영체제(OS) 기능으로 소프트웨어의 루틴을 몇개의 파일로 나누어 디스크에 두고 필요한 것만을 실행 메모리에 실어서 사용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드럼치는 PC수리기사 심현구]
12.
하드디스크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가 손실될 경우를 대비하는 기능으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해 주는 시스템 도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