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에 충전한 시안화수소는 충전 후 ( )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다만 순도 ( )이상으로서 착색되지 아니한 것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안에 알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30일, 90%
2.
30일, 95%
3.
60일, 98%
4.
60일, 90%
정답 : [
3
] 정답률 : 78%
3.
충전용기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도중에 주차 하고자 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전용기를 싣거나 내릴 때를 제외하고는 제1종 보호시설의 부근 및 제2종 보호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피한다.
2.
주차시는 엔진을 정지시킨후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 놓는다.
3.
주차를 하고자 하는 주위의 교통상황, 주위의 지형조건, 주위의 화기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장소를 택하여 주차한다.
4.
주차시에는 긴급한 사태를 대비하여 바퀴 고정 목을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4.
가연성, 독성가스 처리 및 저장능력 10,000m3 초과 20,000m3 이하의 저장설비에 있어서 제1종 및 제2종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는?
1.
1종 : 12m , 2종 : 8m
2.
1종 : 14m , 2종 : 9m
3.
1종 : 21m , 2종 : 14m
4.
1종 : 18m , 2종 : 13m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17m / 제2종 보호시설:12m 1만 초과 2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1m / 제2종 보호시설:14m 2만 초과 3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4m / 제2종 보호시설:16m 3만 초과 4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7m / 제2종 보호시설:18m 4만 초과 5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30m / 제2종 보호시설:20m [해설작성자 : 차쌤]
5.
C2H2 제조설비에서 제조된 C2H2를 충전용기에 충전시 위험한 경우는?
1.
아세틸렌이 접촉되는 설비부분은 62% 이상의 동합금을 사용한다.
2.
충전후 하루동안 정치하여 둔다.
3.
8시간에 걸쳐 2∼3회로 나누어 충전한다.
4.
충전용 지관은 탄소함유량 0.1% 이하의 강을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6.
착화점이 낮아질 수 있는 다음의 조건 중 맞지 않는 것은?
1.
탄화수소에서 탄소 수가 많은 분자일 수록 착화 온도는 낮아진다.
2.
산소 농도가 클 수록, 압력이 클 수록 착화 온도는 낮아진다.
3.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높을 수록 착화 온도는 낮아진다.
4.
반응 활성도가 작을 수록 착화 온도는 낮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7.
시안화수소(HCN)의 위험성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1.
허용농도는 10ppm 이다.
2.
오래된 시안화수소는 자체 폭발할 수 있다.
3.
저장은 용기에 충전한 후 60일을 초과하지 못한다.
4.
호흡시 흡입하면 위험하나 피부에 묻으면 아무 이상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8.
가스렌지를 사용하는 주방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폭발 사고가 발생하였다.누출 원인이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모두 찾는 다면 어느 것인가?
1.
②④
2.
①③④
3.
②③④
4.
①②③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환기팬이 고장났다고 가스가 누출되진 않죠. 다만 그 가스의 환기가 원활히 안될 뿐 [해설작성자 : ㅎㅇㅌ]
9.
LP가스의 용기 보관실 바닥 면적이 3m2라면 통풍구의 크기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100 cm2
2.
900 cm2
3.
700 cm2
4.
500 cm2
정답 : [
2
] 정답률 : 86%
10.
가연성 가스의 내화구조 저장 탱크가 상호 인접하여 규정거리를 유지하지 못했을 경우 물분무장치의 방사능력은?
1.
8ℓ /min· m2
2.
6ℓ /min· m2
3.
4ℓ /min· m2
4.
2ℓ /min· m2
정답 : [
3
] 정답률 : 42%
11.
폭발 등의 사고발생 원인을 기술한 것중 틀린 것은?
1.
산소의 고압배관 밸브를 급격히 열면 배관내의 철, 녹 등이 급격히 움직여 발화의 원인이 된다.
2.
염소와 암모니아를 접촉할 때, 염소과잉의 경우는 대단히 강한 폭발성 물질인 NCl3를 생성하여 사고발생 원인이 된다.
3.
아르곤은 수은과 접촉하면 위험한 성질인 아르곤 수은을 생성하여 사고발생 원인이 된다.
4.
아세틸렌은 동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아세틸드를 생성하여 사고발생 원인이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12.
도시가스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공동주택 등의 부지내에서는 지면으로부터 몇 m이상인 곳에 매설하는가?
1.
지면으로부터 0.6m 이상인 곳에 매설
2.
지면으로부터 1.0m 이상인 곳에 매설
3.
지면으로부터 1.2m 이상인 곳에 매설
4.
지면으로부터 1.5m 이상인 곳에 매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도시가스 지하매설배관의 심도 규정은 KGS Code FS551 2.5.8.2.1 (1)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1) 매설 깊이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배관의 외면과 지면·노면 또는 측면사이에는 다음 기준에 따른 거리를 유지한다. 이 경우 그 배관이 특별고압지중전선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는 「전기사업법」에 따른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되, 배관과 특별고압지중전선과의 사이에 내화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내화성 격벽의 재료는 벽돌·콘크리트·시멘트몰탈 등 화기에 견디는 것으로 한다. (1-1) 공동주택등의 부지 안에서는 0.6m 이상 (1-2) 폭 8m 이상의 도로에서는 1.2m 이상. 다만, 도로에 매설된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배관에서 횡으로 분기하여 수요가에게 직접 연결되는 배관의 경우에는 1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1-3) 폭 4m 이상 8m 미만인 도로에서는 1m 이상. 다만,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0.8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1-3-1) 호칭지름이 300mm (KS M 3514에 따른 가스용폴리에틸렌관의 경우에는 공칭외경 315mm 를 말한다)이하로서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배관 <개정 09.12.2> (1-3-2) 도로에 매설된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배관에서 횡으로 분기하여 수요가에게 직접 연결되는 배관 (1-4) (1-1)부터 (1-3)까지에 해당되지 아니한 곳에서는 0.8m 이상. 다만,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0.6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1-4-1) 폭 4m 미만인 도로에 매설하는 배관 (1-4-2) 암반·지하매설물 등에 의하여 매설 깊이의 유지가 곤란하다고 시장·군수·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참고] 저장탱크를 지하에 설치 시 - 저장탱크는 천정, 벽 및 바닥의 두께가 각각 30cm 이상인 방수조치를 한 콘크리트를 만든 곳에 설치할 것 - 저장탱크 주위에는 마른모래로 채울 것 - 지면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정상부까지의 깊이는 60cm 이상으로 할 것 - 저장탱크를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간에 1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 저장탱크에 설치한 안전밸브에는 지면에서 5m 이상의 높이에 가스방출관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차똘]
13.
고압가스 충전용기를 운반할 때 운반 책임자를 동승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가연성 압축가스 - 300m3 이상
2.
독성 압축가스(허용농도가 100만분의 1이상) - 100m3 이상
3.
독성 액화가스(허용농도가 100만분의 1이상) - 1톤 이상
4.
조연성 액화가스 - 5000㎏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연성 액화가스는 6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가연성 물질의 착화점이 낮아질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높을 수 록
2.
반응 활성도가 클 수 록
3.
분자구조가 복잡할 수 록
4.
산소농도가 클 수 록
정답 : [
3
] 정답률 : 60%
15.
가연성가스 제조시설의 고압가스 설비는 그 외면과 산소 제조 시설의 고압가스 설비와 얼마이상 이격시켜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