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을 산과 들에 매설할 때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매설깊이를 1m 이상으로 할 것.
4.
굴착 및 되메우기는 안전확보를 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실시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까지 1.2m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가스후려패기]
2.
다음 중 역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염공이 적게 되었을 때
2.
버너위에 큰 용기를 올려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3.
가스의 압력이 너무 낮을 때
4.
콕이 충분히 열리지 않았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67%
3.
일반 도시가스사업의 가스 공급시설 중 수봉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설비는?
1.
최고사용압력이 고압인 차단장치
2.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가스발생설비
3.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가스 정제설비
4.
최고사용압력이 고압인 경보설비
정답 : [
3
] 정답률 : 43%
4.
일반도시가스사업의 가스공급시설 중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유수식 가스홀더에 갖추어야 할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관의 입·출구에는 신축을 흡수하는 조치를 반드시 할 것
2.
가스방출장치를 설치한 것일 것
3.
수조에 물공급관과 물넘쳐 빠지는 구멍을 설치한 것일 것
4.
봉수의 동결방지 조치를 한 것일 것
정답 : [
1
] 정답률 : 45%
5.
독성가스 저장탱크에 과충전 방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과충전 방지장치는 가스충전량이 저장탱크 내용적 몇 %를 초과하는 경우에 가스충전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3
] 정답률 : 87%
6.
도시가스 사용시설 중 호스의 길이는 몇 m 이내로 하여야하는가 ?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68%
7.
압축기의 윤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소압축기의 윤활에는 양질의 광유(鑛油)가 사용된다.
2.
아세틸렌 압축기의 윤활에는 물이 사용된다.
3.
산소압축기의 윤활에는 진한 황산이 사용된다.
4.
염소압축기의 윤활에는 식물성유가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세틸렌 : 양질의 광유 산소 : 물 or 10% 이하의 묽은 글리세린수 염소 : 진한 황산 [해설작성자 : 공마고 삼성특채]
8.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배관시설에 검지 경보장치의 검출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가 아닌 것은?
1.
긴급 차단장치의 부분
2.
방호구조물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설치된 배관의 부분
3.
누출된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구조인 배관의 부분
4.
슬리이브관·이중관 등에 의하여 밀폐되어 설치된 배관의 부분
정답 : [
2
] 정답률 : 55%
9.
일정압력, 20℃에서 체적 1ℓ의 가스는 40℃에서는 몇 ℓ가 되는가?
1.
1.07ℓ
2.
1.21ℓ
3.
1.30ℓ
4.
1.41ℓ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일정압력이므로 PV=mRT에 따라 단 온도는 절대온도 즉 온도가 올라가면 체적이 증가한다 (273+40)/(273+20) [해설작성자 : 깡군]
샤를의 법칙: 기체의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체적은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V1/T1=V2/T2 1/273.15+20 = x/273.15+40 = 1.06822… [해설작성자 : 공마가스]
10.
가연성가스가 폭발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전기설비를 할 경우 위험장소의 등급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0종 장소
2.
1종 장소
3.
2종 장소
4.
3종 장소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0종 장소 : 정상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연속적으로 또는 장시간 생성되는 장소 - 1종 장소 : 정상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생성될 우려가 있는 장소 - 2종 장소 : 이상 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 생성 우려가 있는 장소 3종 장소는 구분에 있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돌사탕]
고압가스 일반제조 시설의 처리설비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처리설비실의 천정, 벽 및 바닥의 두께가 몇 ㎝ 이상인 철근콘크리트로 하여야 하는가?
1.
20
2.
30
3.
4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68%
24.
아세틸렌 제조시설 중 가스발생기에서 최적 가스발생 온도는?
1.
20~30℃
2.
50~60℃
3.
80~100℃
4.
200~500℃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습식 아세틸렌 발생기의 표면온도는 70℃ 이하 이며 적정온도는 50~60℃ 이다. [해설작성자 : 해설좀많이써줘]
25.
유독성 가스를 검지하고자 할 때 하리슨 시험지를 주로 사용하는 가스는?
1.
염소
2.
아세틸렌
3.
황화수소
4.
포스겐
정답 : [
4
] 정답률 : 57%
26.
도시가스의 유해성분 측정대상이 아닌 것은?
1.
황
2.
황화수소
3.
이산화탄소
4.
암모니아
정답 : [
3
] 정답률 : 63%
27.
다음 금속 중 암모니아와 착이온을 생성하는 금속류가 아닌 것은?
1.
Cu
2.
Zn
3.
Ag
4.
Fe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u, Zn, Ag와 착이온을 형성, 부식 특히 Cu 62%이상 합금은 사용금지 [해설작성자 : 트리님]
28.
고압가스 제조시설에서 긴급사태 발생 시 필요한 연락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할 통신설비 중 현장사무소 상호간에 설치하여야 할 통신설비가 아닌 것은?
1.
페이징 설비
2.
구내전화
3.
인터폰
4.
메가폰
정답 : [
4
] 정답률 : 71%
29.
저장능력 23,000kg인 액화석유가스의 저장탱크와 제2종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 기준은 몇 m이어야 하는가?
1.
16
2.
18
3.
20
4.
21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독성가스 또는 가연성 가스의 처리설비 및 저장설비 1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17m 제2종 보호시설:12m 1만 초과 2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1m 제2종 보호시설:14m 2만 초과 3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4m 제2종 보호시설:16m 3만 초과 4만 이하 - 제1종 보호시설:27m 제2종 보호시설:18m [해설작성자 : 절차탁마]
30.
다음 중 허용농도 1ppb에 해당하는 것은?
1.
1/1,000
2.
1/1,000,000
3.
1/1,000,000,000
4.
1/10,000,000,000
정답 : [
3
] 정답률 : 42%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주로 탄광 내에서 CH4의 발생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청염(푸른 불꽃)의 길이로써 그 농도를 알 수 있는 가스검지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