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틸렌가스 또는 압력이 9.8MPa 이상인 압축가스를 충전하는 경우 방호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압축기와 충전장소 사이
2.
압축기와 그 가스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
3.
압축가스를 운반하는 차량과 충전용기 사이
4.
압축가스 충전장소와 그 가스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압축기와 그 충전장소사이 압축기와 그 가스충전용기보관장소 사이 충전장소와 그 가스충전용기보관장소 사이 충전장소와 그 충전용주관밸브 조작밸브 사이 [해설작성자 : 차똘]
6.
액화천연가스 저장설비의 안전거리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유지거리, C : 상수, W : 저장능력 제곱근 또는 질량)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4%
7.
저장탱크를 지하에 설치하는 기준이 틀린 것은?
1.
저장탱크의 주위에 마른 모래를 채울 것
2.
저장탱크의 정상부와 지면과의 거리는 40cm 이상으로 할 것
3.
저장탱크를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간에 1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4.
저장탱크를 묻은 곳의 주위에는 지상에 경계를 표시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8) 저장탱크의 주위에는 마른모래를 채운다. (9) 지면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정상부까지의 깊이는 60㎝ 이상으로 한다. (10) 저장탱크를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간에 1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11) 저장탱크를 매설한 곳의 주위에는 지상에 경계표지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쿠쿠]
8.
도시가스 사업자는 가스공급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배관 정압기에 대하여 도시가스 배관망을 전산화 하여야 한다. 이 때 전산관리 대상이 아닌 것은?
1.
설치도면
2.
시방서
3.
시공자
4.
배관제조자
정답 : [
4
] 정답률 : 78%
9.
독성가스의 가스설비에 관한 배관 중 2중관으로 하여야 하는 가스는?
1.
아황산가스
2.
이황화탄소가스
3.
수소가스
4.
불소가스
정답 : [
1
] 정답률 : 64%
10.
고압가스 운반기준에 대한 안전기준 중 틀린 것은?
1.
밸브돌출 용기는 고정식 프로텍터나 캡 등을 부착하여 손상을 방지한다.
2.
운반 시 넘어짐 등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로프 등으로 결속한다.
3.
위험물 안전관리법이 정하는 위험물과 충전용기를 동일차량에 적재 시는 1m정도 이격 시킨 후 운반한다.
용기보관 장소의 주위 5m이내에는 화기 또는 인화성 물질이나 발화성 물질을 두지 아니할 것.
3.
충전 용기는 항상 4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조치할 것.
4.
가연성가스 용기보관 장소에는 휴대용 손전등 외의 등화를 휴대하고 들어가지 아니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5m가 아니라 2m임 [해설작성자 : 마춘석]
13.
액화석유가스를 저장하는 시설의 강제통풍구조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
1.
통풍능력이 바닥면적 1m2마다 0.5m3/분 이상으로 한다.
2.
흡입구는 바닥면 가까이에 설치한다.
3.
배기가스 방출구를 지면에서 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
4.
배기구는 천장면에서 30cm 이내에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액화석유가스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는다 즉, 배기구는 천장면에 설치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다음 가스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암모니아
2.
디메틸아민
3.
브롬화메틸
4.
아크릴로니트릴
정답 : [
4
] 정답률 : 56%
15.
가스 중의 음속보다 화염전파속도가 큰 경우로서 충격파라고 하는 솟구치는 압력파가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폭발
2.
폭굉
3.
폭연
4.
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89%
16.
다음 가스 중 발화온도와 폭발등급에 의한 위험성을 비교 하였을 때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
1.
부탄
2.
암모니아
3.
아세트알데히드
4.
메탄
정답 : [
3
] 정답률 : 61%
17.
LPG 충전 집단 공급저장시설의 공기 내압시험 시 상용압력의 일정 압력 이상 승압 후 단계적으로 승압시킬 때 몇 %씩 증가시키는가?
1.
상용압력의 5%씩
2.
상용압력의 10%씩
3.
상용압력의 15%씩
4.
상용압력의 20%씩
정답 : [
2
] 정답률 : 77%
18.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기밀시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연소기는 제외한다.)
1.
최고 사용압력의 1.1배 또는 8.40KPa 중 높은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여 이상이 없을 것.
2.
최고 사용압력의 1.2배 또는 1,000KPa 중 높은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여 이상이 없을 것.
3.
최고 사용압력의 1.1배 또는 1,000KPa 중 높은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여 이상이 없을 것.
4.
최고 사용압력의 1.2배 또는 8.40KPa 중 높은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여 이상이 없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밀시험은 상용압력의 1.1배 또는 8.4KPa압력으로 실시 [해설작성자 : jsw0316]
19.
독성가스를 용기에 의하여 운반 시 구비하여야할 보호장비 중 반드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방독면
2.
제독제
3.
고무장갑 및 고무장화
4.
산소마스크
정답 : [
4
] 정답률 : 64%
20.
LPG연소기의 명판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연소기명
2.
가스소비량
3.
연소기 재질명
4.
제조(롯드)번호
정답 : [
3
] 정답률 : 68%
21.
고압가스 설비에 장치하는 압력계의 최고 눈금의 기준은?
1.
내압시험 압력의 1배 이상 2배 이하
2.
상용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
3.
상용압력의 2배 이상 3배 이하
4.
내압시험 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9%
22.
가연성 액화가스를 충전하여 200km를 초과하여 운반할 때 운반책임자를 동승시켜야 하는 기준은? (단, 납붙임 및 접합용기는 제외한다.)
1.
1,000kg 이상
2.
2,000kg 이상
3.
3,000kg 이상
4.
6,000kg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운반책임자 동승기준] 1. 압축가스일 경우 1) 가연성가스 : 300m^3 이상 2) 조연성가스 : 600m^3 이상 2. 액화가스일 경우 1) 가연성가스 : 3000kg 이상 2) 조연성가스 : 6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저온저장 탱크에는 그 저장탱크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저하함에 따라 그 저장탱크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옳지 아니한 것은?
1.
진공 안전밸브
2.
다른 저장탱크 또는 시설로부터의 가스도입 배관(균압관)
3.
압력과 연동하는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한 송액 설비
4.
물분무설비
정답 : [
4
] 정답률 : 71%
24.
수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연성기체이다.
2.
폭발범위가 넓다.
3.
가스의 비중이 커서 확산이 느리다.
4.
저온에서 탄소와 수소취성을 일으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25.
가스 공급시설의 임시사용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1.
도시가스의 공급이 가능한지의 여부
2.
당해 지역의 도시가스의 수급상 도시가스의 공급이 필요한지의 여부
3.
공급의 이익 여부
4.
가스공급시설을 사용함에 따르는 안전저해의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
정답 : [
3
] 정답률 : 89%
26.
가연성가스를 취급하는 장소에는 누출된 가스의 폭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설비를 방폭구조로 한다. 다음 중 방폭구조가 아닌 것은?
1.
안전증 방폭구조
2.
내열 방폭구조
3.
압력 방폭구조
4.
내압 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74%
27.
일반도시가스 사업자 정압기의 가스방출관 방출구는 지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전기시설물과의 접촉 등으로 사고의 우려가 없는 장소임)
1.
1
2.
2
3.
3
4.
5
정답 : [
4
] 정답률 : 51%
28.
수소와 염소에 일광을 비추었을 때 일어나는 폭발의 형태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분해폭발
2.
중합폭발
3.
촉매폭발
4.
산화폭발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압력폭발:보일러 압력의 폭발, LP가스탱크 폭발, 고압용기 폭발 산화폭발:가연성가스의 연소에 의한 폭발 분해폭발:아세틸렌, 산화에틸렌, 히드라진 등의 분해에 의한 폭발 중합폭발:시안화수소 등의 중합에 의한 폭발 분진폭발:Mg분말, Al분말, 아연, 플라스틱 등의 분진에 의한 폭발 촉매폭발:수소, 염소 등이 직사광선에 의해 폭발 마찰 및 타격에 의한 폭발:아질화은, 질화수은, 은아세틸라이드, 구리아세틸라이드, 황화질소, 염화질소 [해설작성자 : 절차탁마]
29.
가스 사용시설의 지하매설배관이 저압인 경우 배관 색상은?
1.
황색
2.
적색
3.
백색
4.
청색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저압인 경우 황색, 고압인 경우 적색 [해설작성자 : 새벼긔]
30.
LPG충전시설의 충전소에 기재한 “화기엄금”이라고 표시한 게시판의 색깔로 옳은 것은?
1.
황색바탕에 적색 글씨
2.
황색바탕에 흑색 글씨
3.
백색바탕에 적색 글씨
4.
백색바탕에 흑색 글씨
정답 : [
3
] 정답률 : 71%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LNG, 액화산소 등을 저장하는 탱크에 사용되는 단열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밀도가 크고 경량일 것.
2.
저온에 있어서 강도는 적을 것.
3.
열전도율이 클 것.
4.
안전 사용온도 범위가 넓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55%
32.
연소의 이상 현상 중 불꽃의 주위, 특히 불꽃의 기저부에 대한 공기의 움직임이 세어지면 불꽃이 노즐에 정착하지 않고 떨어지게 되어 꺼져버리는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