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출관은 지상으로부터 20m 이상의 높이 또는 저장탱크 및 완충탱크의 정상부로부터 10m의 높이 중 높은 위치로 한다.
2.
방출관은 지상으로부터 15m 이상의 높이 또는 저장탱크 및 완충탱크의 정상부로부터 5m의 높이 중 높은 위치로 한다.
3.
방출관은 지상으로부터 10m 이상의 높이 또는 저장탱크 및 완충탱크의 정상부로부터 3m의 높이 중 높은 위치로 한다.
4.
방출관은 지상으로부터 5m 이상의 높이 또는 저장탱크 및 완충탱크의 정상부로부터 2m의 높이 중 높은 위치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방출관은 지상에서 5m이상, 정상부에서 2m높이 중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뀹]
23.
염소의 재해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제독제가 될 수 없는 것은?
1.
소석회
2.
탄산소다 수용액
3.
가성소다 수용액
4.
물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염소는 물과 만나면 부식성을 띈다 [해설작성자 : 믹키정]
24.
가연성가스의 검지경보장치 중 반드시 방폭성능을 갖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수소
2.
일산화탄소
3.
암모니아
4.
아세틸렌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암모니아, 브롬화메탄은 가연성이지만 방폭구조, 나사방향 등 다른 가연성가스들이 당연히 해야하는것들 몇몇에서 예외가 된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25.
액화석유가스 자동차용기 충전소에 설치하는 충전기의 충전호스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전호스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충전기와 가스주입기가 분리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2.
충전호스에 부착하는 가스주입기는 원터치형으로 한다.
3.
자동차 제조공정 중에 설치된 충전호스에 부착하는 가스주입기는 원터치형으로 하지 않을 수 있다.
4.
자동차 제조공정 중에 설치된 충전호스이 길이는 5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26.
가스보일러 설치기준에 따라 반밀폐식 가스보일러의 공동 배기방식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공동배기구의 정상부에서 최상층 보일러의 역풍방지장치 개구부 하단까지의 거리가 5m일 경우 공동배기구에 연결시킬 수 있다.
2.
공동배기구 유효단면적 계산식(A=Q×0.6×K×F+P)에서 P는 배기통의 수평투영면적(mm2)을 의미한다.
3.
공동배기구는 굴곡 없이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공동배기구는 화재에 의한 피해확산 방지를 위하여 방화댐퍼(Damper)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공동배기구 및 배기통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뀹]
27.
염소(Cl2)가스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독성가스이다.
2.
무색이고,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
3.
수분 존재 시 금속에 강한 부식성을 갖는다.
4.
유기화합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합물을 형성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염소는 황록색의 독성, 조연성 액화가스이다. [해설작성자 : 해태]
28.
플레어스택의 높이는 지표면에 미치는 복사열이 얼마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00kcal/m2·hr
2.
2,000kcal/m2·hr
3.
3,000kcal/m2·hr
4.
4,000kcal/m2·hr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플레어스택의 높이는 지표면에 미치는 복사열이 4000kal/m*hr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뀹]
플레어스택 : 가연성가스의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긴급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대기로 안전하게 방출하는 장치 - 플레어스택의 설치위치 및 높이는 플레어스택 바로 밑의 지표면에 미치는 복사열이 4,000kcal/m^2h 이하가 되도록 할 것 - 파이롯트버너 또는 항상 작동할 수 있는 자동점화장치를 설치할 것 - 역화 및 공기 등과의 혼합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미스터차]
29.
저장탱크의 지하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천정, 벽 및 바닥의 두께가 각각 30cm 이상인 방수 조치를 한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곳에 설치한다.
2.
지면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정상부까지의 깊이는 1m 이상으로 한다.
3.
저장탱크에 설치한 안전밸브에는 지면에서 5m 이상의 높이에 방출구가 있는 가스방출관을 설치한다.
4.
저장탱크를 매설한 곳의 주위에는 지상에 경계표지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하저장탱크는 매설 시 지면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정상부까지 깊이를 60cm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뀹]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응축기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1일 냉동능력이 20톤 미만인 공조용 패키지 에어콘
4.
사용 장소에 분할·반입하는 경우에 냉매설비에 용접 또는 절단을 수반하는 공사를 하지 아니하고 재조립하여 냉동제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일체형 냉동기 응축기 유닛 및 증발 유닛이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것으로 하루 냉동능력이 20톤 미만인 공조용 패키지에어콘 냉매설비 및 압축기용 원동기가 하나의 프레임위에 일체로 조립된 것 냉동설비를 사용할 때 스톱밸브 조작이 필요 없는 것 사용장소에 분할ᆞ반입하는 경우에는 냉매설비에 용접 또는 절단을 수반하는 공사를 하지 않고 재조립하여 냉동제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냉동설비의 수리 등을 하는 경우에 냉매설비 부품의 종류, 설치개수, 부착위치 및 외형치수와 압축기용 원동기의 정격출력 등이 제조 시 상태와 같도록 설계ᆞ수리될 수 있는 것 [해설작성자 : 해설좀많이써줘]
42.
고온, 고압의 가스 배관에 주로 쓰이며 분해, 보수 등이 용 이하나 매설배관에는 부적당한 접합방법은?
1.
플랜지 접합
2.
나사 접합
3.
차입 접합
4.
용접 접합
정답 : [
1
] 정답률 : 67%
43.
공기액화 분리장치에 들어가는 공기 중에 아세틸렌가스가 혼입되면 안 되는 주된 이유는?
1.
질소와 산소의 분리에 방해가 되므로
2.
산소의 순도가 나빠지기 때문에
3.
분리기내의 액체산소의 탱크 내에 들어가 폭발하기 때문에
4.
배관 내에서 동결되어 막히므로
정답 : [
3
] 정답률 : 83%
44.
기어펌프로 10kg용기에 LP가스를 충전하던 중 베이퍼록이 발생되었다면 그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저장탱크의 긴급차단 밸브가 충분히 열려 있지 않았다.
2.
스트레이너에 녹, 먼지가 끼었다.
3.
펌프의 회전수가 적었다.
4.
흡입측 배관의 지름이 가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45.
수소취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Mo
2.
W
3.
Ti
4.
Mn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수소 취성 방지 원소 : 텅스텐W 바나듐V 몰리브덴Mo 티타늄Ti 크롬Cr [해설작성자 : 잘생긴애]
3과목 : 가스일반
46.
다음 온도의 환산식 중 틀린 것은?
1.
℉ = 1.8℃+32
2.
℃ = 5/9(℉-32)
3.
°R = 460+℉
4.
°R = (5/9)K
정답 : [
4
] 정답률 : 64%
47.
다음 중 NH3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요소 제조
2.
질산 제조
3.
유안 제조
4.
포스겐 제조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포스겐은 CO와 Cl2의 결합니다 (COCL2) [해설작성자 : 오리]
48.
기체상태의 가스를 액화시킬 수 있는 최고의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화씨온도
2.
절대온도
3.
임계온도
4.
액화온도
정답 : [
3
] 정답률 : 71%
49.
NG(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LNG(액화천연가스)등 기체연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해가 거의 없다.
2.
적은 공기비로 완전 연소한다.
3.
연소효율이 높다.
4.
저장이나 수송이 용이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액화천연가스는 부피가 크고 가벼워 수송이 어려운 관계로 초저온 상태로 저장한다. [해설작성자 : 오리]
50.
다음 중 부취제의 토양투과성의 크기가 순서대로 된 것은?
1.
DMS > TBM > THT
2.
DMS > THT > TBM
3.
TBM > DMS > THT
4.
THT > TBM > DMS
정답 : [
1
] 정답률 : 55%
51.
도시가스의 유해성분·열량·압력 및 연소성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일 2회 도시가스 제조소의 출구에서 자동열량측정기로 열량을 측정한다.
2.
정압기 출구 및 가스공급시설 끝부분의 배관(일반가정의 취사용)에서 측정한 가스압력은 0.5KPa 이상 1.5KPa이내로 유지한다.
3.
도시가스 원료가 LNG 및 LPG+Air가 아닌 경우 황전량,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등 유해성분 측정은 매주 1회 검사한다.
4.
도시가스 성분 중 유해성분의 양은 0℃, 101,325Pa에서 건조한 도시가스 1m3당 황전량은 0.5g, 황화수소는 0.02g, 암모니아는 0.2g을 초과하지 못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정압기 출구압력은 0.1~2.5MPa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오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