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지의 도로 밑에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보호판을 배관의 정상부로부터 30㎝ 이상 떨어진 그 배관의 직상부에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배관은 외면으로부터 도로 밑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
매설배관설치 1.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매설깊이 1)산이나 들 : 1m 이상 2)그 밖의 지역 : 1.2m 이상 2.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도로의 경계까지 수평거리 : 1m 이상 3.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 : 0.3m 이상 4. 배관을 시가지 외의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1.2m 이상으로 할 것 1) 폭 8m 이상의 도로 : 1.2m 이상 2) 폭 4m 이상 8m 미만인 도로 : 1m 이상 5. 배관의 외면과 하천 바닥면의 경암 상부와 1.2m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차똘]
12.
가연성가스 제조 공장에서 착화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전기
2.
베릴륨 합금제 공구에 의한 충격
3.
사용 촉매의 접촉 작용
4.
밸브의 급격한 조작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베릴륨합금공구는 정전기를 방지하기위해 사용하는 안전한 공구이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13.
일산화탄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보다 가볍고 무색, 무취이다.
2.
산화성이 매우 강한 기체이다.
3.
독성이 강하고 공기 중에서 잘 연소한다.
4.
철족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카르보닐을 생성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일산화탄소는 강한 환원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금속을 단체로 생성한다. [해설작성자 : 오리]
14.
이상기체 1mol 이 100℃, 100기압에서 0.1기압으로 등온가역적으로 팽창할 때 흡수되는 최대 열량은 약 몇 cal인가? (단, 기체상수는 1.987cal/mol·K 이다.)
프로판 가스의 위험도(H)는 약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2
2.
3.3
3.
9.5
4.
17.7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폭발상한-폭발하한/폭발하한
(9.5-2.1)/2.1 = 3.3 [해설작성자 : ㅇ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523나오는데요. 어떻게 된걸까요? [해설작성자 : J.J]
[추가 오류 신고] 3.523 나옵니다.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이나 인강에서는 프로페인(프로판) 폭발 범위에 대해서 2.1 ~ 9.5 라고 알려주는데, <네이버>에서 <프로페인>을 검색해서 위키백과에서 보게되면 폭발범위가 2.37 ~ 9.5 라고 되어있습니다. 해당 범위로 위험도를 계산하면 3.00843````으로 나오며. <액화석유가스>를 검색해보면 ```LPG의 주성분은 프로페인(C3H8, 비중 1.52. 폭발 범위 2.2~9.5%)과 뷰테인(C4H10)이며 ``` 이렇게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위에 폭발범위로 계산을 하게되면 3.3 (해당문제의 정답)이 나오게 됩니다. 출제하시는 분이 어디에서 정보를 가져오느냐에 따라서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있는 폭발범위인 <2.1~9.5> 풀면 제일 논란이 적을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위키백과 검색꾼]
25.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에서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한 경우 다음 중 방류둑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고압가스 저장탱크 2개를 지하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호 간에 유지하여야 할 최소거리의 기준은?
1.
0.6m 이상
2.
1m 이상
3.
1.2m 이상
4.
1.5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지하저장탱크간의 이격거리는 최소 1미터 이상 떨어져야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28.
용기에 표시된 각인 기호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FP – 최고 충전압력
2.
TP – 검사일
3.
V – 내용적
4.
W – 질량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TP = 내압시험 [해설작성자 : ㅇㅇ]
29.
고압가스 운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밸브가 돌출한 충전용기는 고정식 프로텍터나 캡을 부착하여 밸브의 손상을 방지한다.
2.
충전용기를 차에 실을 때에는 넘어지거나 부딪침 등으로 충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 취급한다.
3.
소방기본법이 정하는 위험물과 충전용기를 동일 차량에 적재 시에는 1m 정도 이격시킨 후 운반한다.
4.
염소와 아세틸렌∙암모니아 또는 수소는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 동일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면 안된다
30.
일정 압력 20℃에서 체적 1L 의 가스는 40℃에서는 약 몇 L가 되는가?
1.
1.07
2.
1.21
3.
1.30
4.
2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20 + 273k = 293k
40 + 273k = 313k
V = 1 X 313/293 = 1.07 L [해설작성자 : ㅇㅇ]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액화가스의 비중이 0.8, 배관 직경이 50mm 이고 유량이 15ton/h일 때 배관내의 평균 유속은 약 몇 m/s 인가?
1.
1.80
2.
2.66
3.
7.56
4.
8.52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직경이 5cm이면 1m의 부피는 1963.5m3이다.비중이 0.8이면 질량은 1571g이므로 1초에 1571g이 이동하면 1m/s가 된다. 1시간에 15톤이 이동한다면 1초에 이동하는 량으로 환산하면 4166g/s이다. 1초에 1571g이 이동하는 속도가 1m/s이므로 4166을 1571로 나누면 초당 속도가 약 2.65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질량유량 m[t/h]= 밀도*단면적*속도 입니다. 비중이 0.8 이므로 액화가스의 밀도는 800kg/m^3 유속[m/s]=질량유량*1000/3600[kg/s]/밀도[kg/m^3]/단면적[m^2] 단위만 맞춰 주신다면 바로 나올겁니다. - 1000/3600을 해준이유는 1톤을 kg으로 1h를 s로 단위환산 해준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지역난방공사]
보일•샤를의 법칙에 의거하여 P1V1/T1 = P2V2/T2 압력은 일정하다 했으므로 배제. 식을 정리하면 T2/T1 = V2/V1 부피가 2배가 되었다 했으므로 V2 = 2V1 따라서 V2/V1 = 2 보일 샤를의 법칙은 절대온도를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T1 = 293K 2 * 293K = 586K = 313℃ [해설작성자 : 열역학고수]
56.
다음 중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는?
1.
O2
2.
SO2
3.
CO
4.
CO2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통 분자량이 낮으면 더 가벼움. 공기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29. O2(산소) = 32 So2(아황산) = 64 CO(일산화탄소) = 28 CO2(이산화탄소) = 44 따라서 공기의 분자량 29보다 낮은 일산화탄소(28)이 더 가볍다. [해설작성자 : 새벼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