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고압가스의 용량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운반책임자를 동승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아세틸렌 : 400m3
2.
일산화탄소 : 700m3
3.
액화염소 : 6500kg
4.
액화석유가스 : 2000kg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압축가스 -가연성가스 300m^3 이상 -조연성가스 600m^3 이상 -독성가스 100m^3 이상 2. 액화가스 -가연성가스 3000kg 이상 -조연성가스 6000kg 이상 -독성가스 1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차똘]
11.
고압가스 제조시설에 설치되는 피해저감설비로 방호벽을 설치해야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압축기와 충전장소 사이
2.
압축기와 가스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
3.
충전장소와 충전용 주관밸브 조작밸브 사이
4.
압축기와 저장탱크 사이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압축기/충전장소/가스충전용기 보관장소' 상호간 방호벽 설치 +충전장소와 충전용 주관밸브 조작밸브 사이에도 설치 [해설작성자 : 트리님]
12.
고압가스의 제조시설에서 실시하는 가스설비의 점검 중 사용개시 전에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초의 경사 및 침하
2.
인터록, 자동제어장치의 기능
3.
가스설비의 전반적인 누출 유무
4.
배관 계통의 밸브 개폐 상황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기초의 경사 및 침하는 상시정검항목임
13.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탱크로리(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탱크 내 액화가스 액면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폭발방지장치
2.
방파판
3.
압력방출장치
4.
다공성 충진제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방파판 : 액화가스 액면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 [해설작성자 : 정혁]
14.
가스공급 배관 용접 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방법이 아닌 것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주사전자현미경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파괴검사법 시행령 제2조(비파괴검사의 방법) 「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라 함은 다음 각 호를 말한다.<개정 2021. 1. 5.> 1. 방사선 비파괴검사 2. 초음파 비파괴검사 3. 자기(磁氣) 비파괴검사 4. 침투 비파괴검사 5. 와전류(渦電流) 비파괴검사 6. 누설 비파괴검사 7. 그 밖에 비파괴검사관련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검사방법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파괴검사 가. 음향방출 비파괴검사 나. 육안 비파괴검사 다. 열화상(熱畵像) 비파괴검사 라. 중성자 비파괴검사 마. 응력(변형력)측정 비파괴검사 [해설작성자 : comcbt깨스기능사]
15.
산소 저장설비에서 저장능력이 9,000m3 일 경우 1종 보호시설 및 2종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는?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에서 지하매설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몇 m 이상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0.1
2.
0.2
3.
0.3
4.
0.5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는 최소 10m 아닌가요?
[오류신고 반론]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 거리 10m는 지하도로 및 터널과의 거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된다는 기준이 있기에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또 다른 배관의 기준은 1. 배관은 건축물과는 1.5m , 지하도록 및 터널과는 10m 이상의 거리가 유지 2. 독성가스는 배관의 그 가스가 혼입될 우려가 있는 수도시설과는 300m 이상의 거리를 유지 3.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매설깊이는 산이나 들에서는 1m 이상 그 밖의 지역에서는1.2m 이상으로 한다.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방호구조물의 외면까지의 깊이를 0.6m 이상으로 해야된다 [해설작성자 : 열정!열정!열정!~~]
29.
도시가스 사용시설 중 가스계량기와 다음 설비와의 안전거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전기계량기와는 60cm 이상
2.
전기접속기와는 60cm 이상
3.
전기점멸기와는 60cm 이상
4.
절연조치를 하지 않는 전선과는 30cm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량기 : 60cm 접속기, 점멸기 : 30cm 절연조치를 하지 않는 전선 : 15cm [해설작성자 : 트리님]
도시가스 배관의 이음부와 절연전선과의 안전거리는 10cm [해설작성자 : 산양삼]
30.
고압가스 제조설비에서 누출된 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해조치를 하여야 하는 가스가 아닌 것은?
1.
이산화탄소
2.
암모니아.
3.
염소
4.
염화메틸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제해조치는 독성가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산화탄소는 독성가스가 아니므로 정답은 1번이다. [해설작성자 : 호잇!!]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흡수식냉동기에서 냉매로 물을 사용할 경우 흡수제로 사용하는 것은?
1.
암모니아
2.
사염화에탄
3.
리튬브로마이드
4.
파라핀유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리튬브로아이드는 물을 잘 흡수하는 물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냉매가 암모니아일때는 흡수제가 물이고 냉매가 물일때는 흡수제가 리튬브로마이드 물은 두 케이스 다 들어가므로 꼼꼼히 읽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32.
다음 중 이음매 없는 용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독성 가스를 충전하는데 사용한다.
2.
내압에 대한 응력 분포가 균일하다.
3.
고압에 견디기 어려운 구조이다.
4.
용접용기에 비해 값이 비싸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압에 잘 견디는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33.
부유 피스톤형 압력계에서 실린더 지름 5cm, 추와 피스톤의 무게가 130kg 일 때, 이 압력계에 접속된 부르동관의 압력계 눈금이 7kg/cm2를 나타내었다. 그 부르동관 압력계의 오차는 약 몇 % 인가?
1Sm^3의 발열량이 30000 공기를 3배 희석하면 공기 3Sm^3을 혼합한것 1+3=4Sm^3 공기를 혼합해도 전체 발열량은 같으므로 1Sm^3당 발열량 = 30000/4=7500이 나온다
42.
고압가스제조소의 작업원은 얼마의 기간 이내에 1회 이상 보호구의 사용훈련을 받아 사용방법을 숙지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고압가스제조소의 작업원은 3개월에 1회 이상 보호구의 사용훈련을 받아야함 [해설작성자 : jsw0316]
43.
고점도 액체나 부유 현탁액의 유체 압력측정에 가장 적당한 압력계는?
1.
벨로우즈
2.
다이어프램
3.
부르동관
4.
피스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부르돈관식 압력계 : 부르돈관의 한쪽 끝을 막아둔 상태에서 곡관 튜브에 압력이 가해 질때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위가 생겨서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2차 압력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 다이어프램(격막식)식 압력계 : 다이아프램의 변위량에 의해 미소한 압력을 측정한것으로 정확성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다. 벨로우즈 압력계 : 벨로우즈의 신축작용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 [해설작성자 : 차캔두]
<문제 해설> 폭발위험이 큰것 = 폭발범위가 넓은것 아세틸렌은 가장 폭발범위가 큰 가스 (2.5%~81%) [해설작성자 : 트리님]
57.
표준물질에 대한 어떤 물질의 밀도는 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중
2.
비중량
3.
비용
4.
비열
정답 : [
1
] 정답률 : 83%
58.
LP가스가 증발할 때 흡수하는 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현열
2.
비열
3.
잠열
4.
융해열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현열(감열) - 상태는 변화없고 온도변화에만 사용되는 열 잠열- 온도변화는 없고 상태변화에만 사용되는 열 비열 - 온도를 1도 올리기 위해 필요한 열
59.
LP가스를 자동차연료로 사용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배기가스의 독성이 가솔린보다 적다.
2.
완전연소로 발열량이 높고 청결하다.
3.
옥탄가가 높아서 녹킹현상이 없다.
4.
균일하게 연소되므로 엔진수명이 연장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잘못 됬네요 3번 옥탄가가 높아서 녹킹현상이 없다. 가 아니라 옥탄가가 높아서 녹킹현상이 있다. 입니다 고로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합격자]
[추가 오류 신고]
옥탄가가 높으면 노킹현상이 일어날 확률이 적어집니다. 3번 보기는 옥탄가가 높아서 녹킹현상이 있다 가 맞겠네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관리자 입니다. 제가 가진 시험지 원본 사진상으로는 보기 3번은 녹킹현상이 없다로 되어 있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3번 맞습니다.
Lp가스는 옥탄가가 아니라 부탄가 입니다. 옥탄가는 높을수록 녹킹이없구요.
[오류신고 반론] 2025년판 제가 가진 문제집 해설을 써볼께요. lp가스를 자동차 연료로 사용할때 특징중에 보기 1,2,4외 황성분이 적어 엔진의 부식 및 마모가 적다 가 장점으로 기술이 되어 있고 보기3번의 내용은 옥탄가가 높아서 녹킹현상이 없다로 하여 답이 3번으로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