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가스 특정제조 시설에서 긴급이송설비에 의하여 이송되는 가스를 안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장치는?
1.
플레어스택
2.
벤트스택
3.
인터록기구
4.
긴급차단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벤트스택:방출된 가스를 소각하지 않고 대기 중에 안전하게 방출 인터록기구:고압가스설비 내에서 이상사태 발생 시 자동으로 원재료의 공급을 차단 긴급차단장지:사고발생 시 재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원재료 공급을 차단 [해설작성자 : gt22222222222]
2.
어떤 도시가스의 웨버지수를 측정하였더니 36.52MJ/m3이었다. 품질검사기준에 의한 합격 여부는?
구조에 따라 외치식, 내치식, 편심로터리식 등이 있으며 베이퍼록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펌프는?
1.
제트펌프
2.
기포펌프
3.
왕복펌프
4.
기어펌프
정답 : [
4
] 정답률 : 61%
37.
탄소강 중에서 저온취성을 일으키는 원소로 옳은 것은?
1.
P
2.
S
3.
Mo
4.
Cu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저온 취성 --> P(인) 저온 부식 --> S(황)
취성을 물어 봤으므로 P(인) [해설작성자 : ㄹㅇㅋㅋ]
38.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측기기가 아닌 것은?
1.
피토관
2.
오리피스
3.
벨로우즈
4.
벤투리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벨로우즈는 주름관 형상의 압력계용 부품 [해설작성자 : hs100]
39.
가스의 연소방식이 아닌 것은?
1.
적화식
2.
세미분젠식
3.
분젠식
4.
원지식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스연소 방식 : 1.2.3항 외에 "전 1차 공기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40.
다음 중 터보(Turbo)형 펌프가 아닌 것은?
1.
원심 펌프
2.
사류 펌프
3.
축류 펌프
4.
플런저 펌프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플런저는 왕복 [해설작성자 : 해운대 공고]
41.
LP가스 공급 방식 중 강제기화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화량 가감이 용이하다.
2.
공급가스의 조성이 일정하다.
3.
계량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한랭시에도 충분히 기화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LP가스 공급 방식 중 강제기화방식의 특징! • 기화량 가감이 용이하다. • 공급가스의 조성이 일정하다. • 계량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 한랭 시에도 충분히 기화시킬 수 있다. 계량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틀린 것은 3번이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42.
LPG나 액화가스와 같이 비점이 낮고 내압이 0.4~0.5MPa 이상인 액체에 주로 사용되는 펌프의 메카니컬 시일의 형식은?
1.
더블 시일형
2.
인사이드 시일형
3.
아웃사이드 시일형
4.
밸런스 시일형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더블 시일형 - 내부가 고진공일 때, 인화성 및 독성이 강한 액일 때, 누설되면 응고되는 액일 때 인사이드 시일형 - 일반적으로 사용 아웃사이드 시일형 - 스타핑박스 내가 고진공일 때, 점성계수가 100Cp(센티포이즈)를 초과하는 액일 때, 저응고점의 액일 때 밸런스 시일형 - LPG와 같이 저비점의 액체일 때, 하이드로카본일 때, 내압이 0.4~0.5MPa 이상일 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기화기의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수가열방식은 그 온수의 온도가 90℃ 이하일 것
2.
증기가열방식은 그 증기의 온도가 120℃ 이하일 것
3.
압력계는 그 최고눈금이 상용압력의 1.5~2배일 것
4.
기화통 안의 가스액이 토출배관으로 흐르지 않도록 적합한 자동제어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온수가열방식은 그 온수의 온도가 80℃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jsw0316]
공기보다 무거워서 누출 시 낮은 곳에 체류하며, 기화 및 액화가 용이하고, 발열량이 크며, 증발점열이 크기 때문에 냉매로도 이용되는 성질을 갖는 것은?
1.
O2
2.
CO
3.
LPG
4.
C2H4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LPG 성질 - 공기보다 무거워서 누출 시 낮은 곳에 체류한다. - 기화 및 액화가 용이하고 발열량이 크다. - 증발점열이 크기 때문에 냉매로도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54.
“열은 스스로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와 같은 관계있는 법칙은?
1.
에너지 보존의 법칙
2.
열역학 제2법칙
3.
평형 이동의 법칙
4.
보일-샤를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열역학 제2법칙 : "성능계수(e)가 무한정한 냉동기의 제작은 불가능하다." 라고 표현되는 법칙으로 일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쉽게 바뀔 수 있지만 열에너지를 일에너지로 바꾸려면 열기관을 통해야 하는데 열기관을 통해도 열의 전부가 일로 바뀌지 않고 일부가 손실된다. 이렇게 일은 쉽게 열로 바뀔 수 없는 것이다. 즉,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한다는 에너지 변환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법칙을 말한다. 가역인지 비가역인지 구분 하는 법칙(엔트로피를 설명하는 법칙)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