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누출 검지 경보장치 종류 중 격막 갈바니 전지방식이 있는 건 맞으나 이 때문에 4번이 답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가스누출 검지 경보장치의 종류에는 접촉연소방식, 격막 갈바니 전지방식, 반도체 방식이 있습니다. 그 중 격막 갈바니 전지방식은 가연성 가스의 제조설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산소와 관련된 설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에 4번이 답이 됩니다. 가연성 가싀의 제조설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치는 접촉연소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은 어떤 안전에 대한 설명인가?
1.
긴급이송설비
2.
인터록기구
3.
안전밸브
4.
벤트스택
정답 : [
2
] 정답률 : 86%
12.
일반도시가스사업자의 가스공급시설 중 정압기의 분해 점검 주기의 기준은?
1.
1년에 1회 이상
2.
2년에 1회 이상
3.
3년에 1회 이상
4.
5년에 1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년에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jsw0316]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압기는 설치 후 2년에 1회 이상 분해점검을 실시한다. 다만, 예비 용도로만 사용되는 정압기로서 월 1회 작동점검을 실시하는 정기는 설치 후 3년에 1회 이상 실시한다. 2년에 1회 이상이 정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지유]
[오류신고 반론] 공급시설 정압기 와 사용시설 정압기가 있습니다! 공급시설 정압기는 2년에 1회이상 분해점검을합니다! 사용시설 정압기는 최초 3년에 1회 분해점검 후 4년에 1회 분해점검합니다. 문제는 공급시설 정압기를 물었으므로 2년에 1회 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성에너지6]
[오류신고 반론] 2024 최신개정판 Win-Q 가스기능사 필기 교재에 "가스공급시설 중 정압기의 분해 점검 주기 : 2년에 1회 이상" 이라고 해설이 되어 있고 정답 또한 "2년에 1회 이상" 입니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문제 해설> 시안화수소(HCN)는 호흡 시 흡입하면 위험하고 피부에 묻으면 유해하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23.
도시가스 배관의 지하매설 시 사용하는 침상재료(Bedding)는 배관 하단에서 배관 상단 몇 ㎝까지 포설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배관 하단에 기초재료로 다짐을 하고, 배관주변과 상단의 침상재료는 기초제료에 준하여 다짐을 한다. 침상재료 윗쪽의 되메움재는 암편이나 굵은 돌이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흙을 사용하며, 매 30cm마다 다짐을 한다. [해설작성자 : 가스따자]
24.
다음은 이동식 압축도시가스 자동차충전시설을 점검한 내용이다. 이 중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는?
1.
이동충전차량과 가스배관구를 연결하는 호스의 길이가 6m이었다.
2.
가스배관구 주위에는 가스배관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높이 40㎝, 두께 13㎝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3.
이동충전차량과 충전설비 사이 거리는 8m이었고, 이동충전차량과 충전설비 사이에 강판제 방호벽이 설치되어 있었다.
4.
충전설비 근처 및 충전설비에서 6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수동 긴급차단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었으며 눈에 잘 띄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4.4.6.3이동충위차량과 가스배관구를 연결하는 호스의 길이는 5m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이케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4년도 최신개정판 Win-Q 가스기능사 필기 교재에는 "이동충전차량과 가스배관구를 연결하는 호스의 길이가 3m 이내이어야 한다." 라고 해설이 되어 있습니다. (문제 해설 오류 : 5m 아니고 3m 입니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25.
고정식 압축도시가스자동차 충전의 저장설비, 처리설비, 압축가스설비, 외부에 설치하는 경계책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할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방호벽(철근콘크리트로 만든 것)을 설치할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처리설비 및 압축가스설비가 밀폐형 구조물 안에 설치된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저장설비 및 처리설비가 액확산방지시설 내에 설치된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긴급차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sw0316]
[오류신고 반론] 배기톱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 수직거리로 0.9m 이상으로 하고, 배기톱 상단부로부터 수평거리 1m이내에 잇는 건묵물의 경우에는 타건물의 처마로부터 0.9m 이상 높게 설치한다. 2022년 6월 14일 개정(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22-484호) 이후에 또 개정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개정 너무 많아,,]
[추가 오류 신고] KGS Code) : KGS FU551 코드명 :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 반밀폐식 보일러 설치 기준 중 단독배기통방식(1-11)의 내용을 보면 "배기톱의 옥상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수직거리를1m 이상으로하고, 배기톱상단으로부터 수평거리 1m 이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처마보다 1m 이상 높게 설치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25년도 일진사 해설편으로 말씀드릴께요 배기톱의 옥상돌출부는 지붕면으로 부터 수직거리를 1m이상으로 하고 배기톱 상단으로 부터 수평거리 1m이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처마보다 1m이상 높게한다. 라고 해설이 되어 있습니다. 고로 정답은 4번 100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문제 해설> LPG를 탱크로리에서 저장탱크로 이송 시 작업을 중단해야 되는 경우. 1. 과충전이 된 경우 2. 작업 중 주위에 화재 발생 시 3. 누출이 생길 경우 충전기에서 자동차에 충전하고 있을 때 작업을 중단할 필요는 없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34.
저온액화가스 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침입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결된 배관을 통한 열전도
2.
단열재를 충전한 공간에 남은 가스분자의 열전도
3.
내면으로 부터의 열전도
4.
외면의 열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외면으로 부터의 열전도임 [해설작성자 : 석화고엘리트]
35.
내압이 0.4~0.5MPa 이상이고, LPG나 액화가스와 같이 낮은 비점의 액체일 때 사용되는 터보식 펌프의 메카니컬 시일 형식은?
<문제 해설> [기계적 성질] -피로:정적인 하중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응력보다 훨씬 작은 응력이라도 오랜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되풀이하여 작응시키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 -크리프:금속재료를 고온에서 오랜 시간 외력을 걸어 놓으면 시간이 경과에 따라서 서서히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소성:금속재료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되었을 때 외력을 제거하여도 재료가 원상으로 복구되지 않는 것 -탄성:금속재료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되었을 때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으로 복구되는 것 [해설작성자 : 차쌤]
반복되니 피로하다로 암기 [해설작성자 : ㅁㅇㄹㄴ]
41.
펌프의 실제 송출유량을 Q, 펌프 내부에서의 누설유량을 0.6Q, 임펠러 속을 지나는 유량을 1.6Q라 할 때 펌프의 체적효율(ηV)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