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특정고압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게르만
2.
삼불화질소
3.
사불화규소
4.
오불화붕소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 46조 참조.[시행 2015. 7. 29.] 압축모노실란·압축디보레인·액화알진·포스핀·셀렌화수소·게르만·디실란·오불화비소·오불화인·삼불화인·삼불화질소·삼불화붕소·사불화유황·사불화규소·액화염소 또는 액화암모니아를 사용하려는 자는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를 하여야 한다. 다만, 시험용으로 사용하려 하거나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하는 지역에서 사료용으로 볏짚 등을 발효하기 위하여 액화암모니아를 사용하려는 경우는 제외한다. 따라서 정답은 4번. 오불화붕소가 아니라 오불화비소 혹은 오불화인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친절한용자씨]
제46조(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등) ① 법 제20조제1항에 따라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7. 8. 24.>
1. 저장능력 250킬로그램 이상인 액화가스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려는 자 2. 저장능력 50세제곱미터 이상인 압축가스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려는 자 3. 배관으로 특정고압가스(천연가스는 제외한다)를 공급받아 사용하려는 자 4. 압축모노실란ㆍ압축디보레인ㆍ액화알진ㆍ포스핀ㆍ셀렌화수소ㆍ게르만ㆍ디실란ㆍ오불화비소ㆍ오불화인ㆍ삼불화인ㆍ삼불화질소ㆍ삼불화붕소ㆍ사불화유황ㆍ사불화규소ㆍ액화염소 또는 액화암모니아를 사용하려는 자. 다만, 시험용(해당 고압가스를 직접 시험하는 경우만 해당한다)으로 사용하려 하거나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하는 지역에서 사료용으로 볏짚 등을 발효하기 위하여 액화암모니아를 사용하려는 경우는 제외한다. 5. 자동차 연료용으로 특정고압가스를 공급받아 사용하려는 자 6. 삭제 <2010. 10. 13.> [해설작성자 : 오류수정]
LPG 자동차에 고정된 용기충전시설에서 저장탱크의 물분무장치는 최대수량을 몇 분 이상 연속해서 방사할 수 있는 수원에 접속되어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
1.
20분
2.
30분
3.
40분
4.
60분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물분무장치는 최대수량 30분 이상 연속해서 방사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석화고 운전과 가스짱]
16.
산화에틸렌 충전용기에는 질소 또는 탄산가스를 충전하는데 그 내부가스 압력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상온에서 0.2MPa 이상
2.
35℃에서 0.2MPa 이상
3.
40℃에서 0.4MPa 이상
4.
45℃에서 0.4MPa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산화에틸렌의 저장탱크 및 충전용기에는 45도 에서 그 내부가스 압략이 0.4MPa 이상이 되도록 질소가스 또는 탄산가스를 충전한다. [해설작성자 : 설표범]
17.
다음 중 보일러 중독사고의 주원인이 되는 가스는?
1.
이산화탄소
2.
일산화탄소
3.
질소
4.
염소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보일러 중독사고의 주원인이 되는 가스는 일산화탄소 (CO) 이다. [해설작성자 : Meister 13th]
18.
플레어스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이 다른 제조 시설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안전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한다.
2.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최대열량에 장시간 견딜 수 있는 재료 및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3.
파이롯트버너를 항상 점화하여 두는 등 플레어스텍에 관련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4.
특수반응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고압가스설비에는 그 특수반응설비 또는 고압가스설비마다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플레어스택:가연성가스의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긴급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대기로 안전하게 방출하는 장치 -플레어스택의 설치위치 및 높이는 플레어스택 바로 밑의 지표면에 미치는 복사열이 4,000kcal/m^2h 이하가 되도록 할 것 -파이롯트버너 또는 항상 작동할 수 있는 자동점화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절차탁마]
릴리프 시스템에서 방출되는 폐가스로 인한 폭발, 복사열, 독성가스 확산을 막기 위하여 플레어스택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하]
19.
도시가스사용시설에서 도시가스 배관의 표시등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에 매설하는 배관은 그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 가스의 흐름방향을 표시한다.
2.
지상배관은 부식방지 도장 후 황색으로 도색한다.
3.
지하매설배관은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배관은 황색으로 한다.
4.
지하매설배관은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이상인 배관은 적색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하매설은 방향 표시 안해도됨 [해설작성자 : 지나가둔]
지하에 매설하는 배관은 그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을 표시한다(흐름방향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하이]
20.
특정고압가스 사용시설에서 용기의 안전조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고압가스의 충전용기는 항상 4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한다.
2.
고압가스의 충전용기 밸브는 서서히 개폐한다.
3.
고압가스의 충전용기 밸브 또는 배관을 가열할 때에는 열습포는 40℃이하의 더운 물을 사용한다.
4.
고압가스의 충전용기를 사용한 후에는 밸브를 열어 둔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고압가스의 충전용기를 사용한 후에는 밸브를 닫아둔다. [해설작성자 : LYC인재]
21.
일반도시가스의 배관을 철도부지 밑에 매설할 경우 배관의 외면과 지표면과의 거리는 몇 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0m
2.
1.2m
3.
1.3m
4.
1.5m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철도 부지 매설 기준 1.배관의 외면으로부터 궤도 중심까지 4m이상 2.철도부지 경계까지는 1m 이상 3.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를 1.2m 이상으로 한다.
[추가 해설] 배관의 매설깊이 가. 산과 들 : 1M 이상 나. 산과 들 이외(철도 포함) :1.2M 다. 시가지 외 도로 : 1.5M 이상(방호구조물 외면 : 1.2M) 이상 라. 인도,보도 : 1.2M이상(방호 구조물의 외면 : 0.6M 이상
[해설작성자 : 고테츠미남]
22.
가스도매사업시설에서 배관 지하매설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산과 들 이외의 지역에서 배관의 매설 깊이는 1.5m 이상
2.
산과 들에서의 배관의 매설깊이는 1m 이상
3.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까지 1.2m 이상 거리 유지
4.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1.2m 이상 거리 유지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친절한용자씨]
배관과의 수평거리 독성가스 배관과 시설물 : 0.3M 이상 독성가스 배관과 건축물 : 1.5M 이상 독성가스 배관과 수도시설 : 300M이상 그외 가스 배관과 시설물 : 0.3M 이상 그외 가스 배관과 건출물 : 1.5M 이상 [해설작성자 : 고테츠미남]
외우는게 편합니다. 산이나 들에서는 1m이상 산이나 들 이외에서는 1.2m이상 배관은 외면으로부터 다른 건축물까지 수평거리로 1.5m이상 배관은 외면으로부터 지하 다른시설물과 0.3m이상 [해설작성자 : 우최동]
23.
인화온도가 약 -30℃이고 발화온도가 매우 낮아 전구표면이나 증기파이프 등의 열에 의해 발화할 수 있는 가스는?
<문제 해설> 헨리법칙이 잘 적용되는 가스 = 물에 약간 녹는 가스 암모니아는 너무 잘 녹아서 적용이 잘 안됨 [해설작성자 : 트리님]
52.
착화원이 있을 때 가연성액체나 고체의 표면에 연소하한계 농도의 가연성 혼합기가 형성되는 최저온도는?
1.
인화온도
2.
임계온도
3.
발화온도
4.
포화온도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화온도: 불이 옮겨붙을 수 있는 온도 발화온도: 스스로 불이 붙는 온도 아래 두 가지는 가스의 액화와 관계있는 온도 임계온도: 가스를 액화시킬 수 있는 최고 온도 (그 이상은 액화 불가능) 포화온도: 임계압 이하의 특정 압력에서 액체가 가스로 바뀌는 온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부양기구의 수소 대체용으로 사용되는 가스는?
1.
아르곤
2.
헬륨
3.
질소
4.
공기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공기 29 수소 2 헬륨 4 아르곤 40 질소 28
54.
시안화수소를 충전한 용기는 충전 후 얼마를 정치해야 하는가?
1.
4시간
2.
8시간
3.
16시간
4.
24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82%
55.
아세틸렌(C2H2)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체류한다.
2.
카바이트(CaC2)에 물을 넣어 제조한다.
3.
공기 중 폭발범위는 약 2.5 ~81% 이다.
4.
흡열화합물이므로 압축하면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공기보다 가볍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C2H2 12*2+1*2=26g 공기의 무게 : 29g
56.
황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색이다.
2.
유독하다.
3.
냄새가 없다.
4.
인화성이 아주 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달걀 썩는 냄새를 가진 기체 [해설작성자 : 강상호]
57.
표준상태에서 산소의 밀도(g/L)는?
1.
0.7
2.
1.43
3.
2.72
4.
2.88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산소(O2) 1몰의 질량=32g 표준상태에서 1몰의 부피=22.4L
32g/22.4L=약 1.43g/L [해설작성자 : 트리님]
58.
다음 가스 중 비중이 가장 적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CO
2.
C3H8
3.
Cl2
4.
NH3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비중 = 질량/부피 아보가드로법칙에 따라 기체는 같은몰수일때 부피도 같으므로 질량만 비교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