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지름과 안지름의 비가 1.2 이상인 산소가스 배관의 두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C 는 무엇을 뜻하는가? (단, t는 관두께, D는 안지름 s는 안전율, P는 상용압력, f는 재료의 인장강도 규격최소치이다.)
1.
부식여유수치
2.
인장강도
3.
이음매의 효율
4.
안전여유수치
정답 : [
1
] 정답률 : 59%
26.
용접결함의 종류 중 언더필(underfill)을 설명한 것은?
1.
용접 시 양 모재의 단면이 불일치되어 굽어진 상태
2.
용착부족으로 용접부 표면이 주위모재의 표면 보다 낮은 현상
3.
용접금속이 루트부분까지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재와 모재사이에 발생한 결함
4.
과잉용접으로 용접금속이 국부적으로 홈의 반대면으로 흘러 떨어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27.
펌프의 전효율 η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ηv는 체적효율, ηm은 기계효율, ηh는 수력효율이다.)
1.
η = (ηm+ηh)/ηv
2.
η = ηv•ηm•ηh
3.
η = ηv+ηh+ηm
4.
η = (ηm•ηh)/ηv
정답 : [
2
] 정답률 : 67%
28.
도시가스의 연소속도(Cp)를 구하는 식은? (단, K는 도시가스 중 산소함유율에 따라 정하는 정수, H2는 가스 중의 수소의 함유율(v%), CO는 가스 중의 CO함유율(v%), CmHn은 가스 중의 CH4를 제외한 탄화수소 함유율(v%), CH4은 가수 중의 CH4함유율 (v%), d는 가스의 비중이다.)
1.
Cp = K•(1.0H2+0.6(CO+CmHn)+0.3CH4)/√d
2.
Cp = K•(1.0CH4+0.6(CO)+CmHn+0.3H2)/√d
3.
Cp = K•(1.0CH4+0.3(CO)+CmHn+0.6H2)/√d
4.
Cp = K•(1.0CO+0.3CH4+(CmHn)+0.6H2)/√d
정답 : [
1
] 정답률 : 56%
29.
다음 [그림]은 압력조정기의 기본 구조이다. 옳은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①다이아프램, ②안전장치용 스프링
2.
②안전장치용 스프링, ③압력조정용 스프링
3.
③압력조정용 스프링, ④레버
4.
④레버, ⑤감압실
정답 : [
4
] 정답률 : 82%
30.
다음 중 왕복동식(용적용 펌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플런저 펌프
2.
다이어프램 펌프
3.
피스톤 펌프
4.
제트 펌프
정답 : [
4
] 정답률 : 82%
31.
용기 내압시험 시 뷰렛은 300㎖의 용적을 가지고 있으며 전증가는 200㎖, 항구증가는 15㎖일 때 이용기의 항구 증가율은?
1.
5%
2.
6%
3.
7.5%
4.
8.5%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항구증가량/전증가량*100 [해설작성자 : 해설]
32.
20층인 아파트에서 1층의 가스 압력이 1.8㎪일 때, 20층에서의 압력은 약 몇 ㎪인가? (단, 20층까지의 고저차는 60m, 가스의 비중은 0.65, 공기의 비중량은 1.3㎏/m3이다.)
25℃, 1atm에서 0.21mol%의 O2와 0.79mol%의 N2로 된 공기혼합물의 밀도는 약 몇 ㎏/m3인가?
1.
0.118
2.
1.18
3.
0.134
4.
1.34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PM 1 x 28.84 밀도 = ---- = ----------------- = 1.18 RT 0.082 x (273+25)
여기서 M= (32 x 0.21) + (28 x 0.79) = 28.84 [해설작성자 : 우치하전지민]
79.
일정 부피인 2개의 통에 기체를 교대로 충만하고 배출한 횟수를 이용하여 유량을 충전하는 가스미터는?
1.
습식가스미터
2.
벤투리미터
3.
루트미터
4.
막식가스미터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습식 : 내부 액체로 밀봉된 회전 드럼을 이용해 가스의 부피를 측정, 가스가 입구를 통해 유입되면 드럼 내부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채워 회전시키며 회전수에 비례하여 통과한 가스량을 측정 2. 벤투리미터 : 관의 단면적 변화를 이용해 유체의 유량을 측정, 관의 좁아진 부분을 통과하며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는 베르누이의 이용한다. 3. 루트미터 : 내부에서 회전하는 한쌍의 임펠러를 이용해 유체의 부피를 측정 >> 이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일정한 부피의 유체를 계량실에서 배출, 이 회전수를 측정해 통과한 유체의 양을 계산함 >> 정확도가 높고 넓은 유량 범위에서 안정적인 측정 가능 [해설작성자 : 김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