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 관경 20㎜인 가스배관을 노출하여 설치할 경우 배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몇 m마다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2
] 정답률 : 80%
42.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이 동일한 몰(㏖)비로 구성된 LP가스의 폭발하한이 공기 중에서 1.8v%라면 높이 2m, 넓이 9m2, 압력 1atm, 온도 20℃인 주방에 최소 몇 g의 가스가 유출되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 가? (단,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405
2.
593
3.
688
4.
782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동일한 몰비 혼합가스 44*0.5 + 58*0.5 = 51 2.폭발 하한에 도달하는 가스의 양 2*9*0.018*1000 =324L 3. 1atm 20도 질량 688g
43.
도시가스 사업자는 가스공급시설을 효율적으로 안전 관리하기 위하여 도시가스 배관망을 전산화하여야 한다. 전산화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배관의 설치도면
2.
정압기의 시방서
3.
배관의 시공자, 시공연월일
4.
배관의 가스흐름방향
정답 : [
4
] 정답률 : 78%
44.
사고를 일으키는 장치의 고장이나 운전자 실수의 상관관계를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은?
1.
체크리스트(Check list)법
2.
위험과 운전분석기법(HAZOP)
3.
결함수분석기법(FTA)
4.
사건수분석기법(ETA)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결함수 해석(FTA)은 고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그러한 사건을 발생 시킨 가능한 모든 원인을 결정하는 체계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다. 고장은 결함수 해석 다이어그램의 최상위 사건을 구성하며, 일반적으로 완전하거나 매우 중대한 고장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유기피드]
45.
물분무장치 등은 저장탱크의 외면에서 몇 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3
] 정답률 : 75%
46.
. 포스핀(PH3)의 저장과 취급 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기가 양호한 곳에서 취급하고 용기는 40℃ 이하를 유지한다.
2.
수분과의 접촉을 금지하고 정전기발생 방지시설을 갖춘다.
3.
가연성이 매우 강하여 모든 발화원으로부터 격리 한다.
4.
방독면을 비치하여 누출 시 착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47.
압력이 몇 ㎫ 이상인 압축가스를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 압축기와 가스 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의 벽을 방호벽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
1.
8.7
2.
9.8
3.
10.8
4.
11.7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압력이 9.8MPa 이상인 압축가스를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 방호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메레카]
48.
고압가스의 운반기준에서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없는 것은?
1.
염소와 아세틸렌
2.
질소와 산소
3.
아세틸렌과 산소
4.
프로판과 부탄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1번과 3번모두 가연성가스와 조연성 가스로서 동일차량에 같이적재할수없습니다 1.3번 모두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오류신고 반론]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는 밸브를 서로 마주보지 않게 적재하면 혼합적재가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2) 독성가스 외 용기 운반차량
가) 적재 및 하역 작업 ㉰ 적재하는 충전용기의 충전량이 20㎏ 이하이고, 적재하는 충전용기의 수가 2개 이하인 경우 염소와 아세틸렌ㆍ암모니아 또는 수소는 한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않을 것 가연성가스와 산소를 동일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그 충전용기의 밸브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적재할 것 충전용기와 「위험물 안전관리법」 제2조제1항제1호에서 정하는 위험물과는 동일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아니할 것 그 밖에 적재 및 하역작업에 필요한 기준은 가목1)가)의 기준을 적용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고압가스제조시설로서 정밀안전검진을 받아야 하는 노후시설은 최초의 완성검사를 받는 날부터 얼마를 경과한 시설을 말하는가?
1.
7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정밀안전검진의 대상 고압가스 특정제조, 냉동제조 등 완성검사증명서를 받은 시설로서 15년이 경과한 시설이 이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연역적결함수]
50.
주택은 제 몇 종 보호실로 분류되는가?
1.
제0종
2.
제1종
3.
제2종
4.
제4종
정답 : [
3
] 정답률 : 85%
51.
아세틸렌 용기는 다공성물질 검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진동시험
2.
부분가열시험
3.
역화시험
4.
파괴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세틸렌 파괴시험하면 폭발할 수 있다. 참고로 폭발범위는 2.5~81%이다. [해설작성자 : 메레카]
52.
부탄가스의 완전연소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때 화학양론 농도(Cst)는 몇 %인가? (단, 공기 중 산소는 2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