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기법 중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정성적인 안전성평가기 법은?
1.
What-if
2.
HEA
3.
HAZOP
4.
FMECA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정성분석 체크리스트 기법 : 공정 및 설비의 오류 등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 상대위험순위 결정 : 설비에 존재하는 위험을 수치적으로 지표화 작업자실수분석 (human error analysis) 사람에 의해 작업에 영향을 미칠 요소를 평가하여 원인을 파악. 정량적으로 순위를 결정 사고예상질문분석 (what if ) 기법 : 나쁜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하여 예상질문을 통해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위험성을 줄이는 기법 위험과 운전분석 (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 공정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는 정성적 안전성 평가기법 [해설작성자 : 인하공전 화공과탑]
폭발등급별 안전간격 및 가스종류 1등급-0.6mm 이상-메탄,일산화탄소,에탄,프로판,암모니아, 아세톤,에틸에테르,가솔린,벤젠 등 2등급-0.4mm 이상 0.6mm 미만-에틸렌,석탄가스 등 3등급-0.4mm 미만-아세틸렌,이황화탄소,수소,수성 가스 등 [해설작성자 : 메일]
<문제 해설> 확산화염 : 가연물의 표면에서 증발하는 가연성 기체가 공기와의 접촉면 또는 가연성 기체가 1차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공기 중으로 유출하면서 연소하는 불꽃형태로 불꽃의 색은 적황색이고 화염의 온도는 비교적 저온이다. [해설작성자 : 나벤올파]
*증발연소(evaporative combustion)는 액체 연료가 먼저 증발하여 기체가 된 후, 공기(산소)와 접촉하는 경계면에서 연소하는 방식으로 이때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점차적으로 반응하여 형성되는 화염을 *확산화염(diffusion flame)라 한다.
특징으로는 화염의 유형 >>>>>> 확산화염 연료/공기 혼합 >>>>>> 연소구역에서 천천히 자연적으로 확산됨 연소 속도 >>>>>> 느림 화염 형태 >>>>>> 노란색, 길고 불규칙 (검은 연기 발생 가능) 예시 >>>>>> 촛불, 부탄버너, 등유램프 [해설작성자 : 강철의 타우렌]
15.
다음 중 가연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프로판
2.
부탄
3.
암모니아
4.
사염화탄소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사염화탄소 = 할론 소화기도 있죠 [해설작성자 : 롤리폴리 정수]
16.
어떤 용기 중에 들어있는 1kg의 기체를 압축하는데 1281kgf·m 일이 소요되었으며 도중에 3.7kcal의 열이 용기외부로 방출되었다. 이 기체 1kg 당 내부 에너지의 변화 값은 약 몇 kcal인가?
1.
0.7kcal/kg
2.
-0.7kcal/kg
3.
1.4kcal/kg
4.
-1.4kcal/kg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h = U + APV U = h - APV = 1281 * ( 1 / 427 ) - 3.7 = -0.7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1. 인 및 황을 함유하는 화합물에 한해서는 감도가 좋다. 3.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검출기는 불꽃 이온화 검출기(FID)이다. 4. 수소불꽃에 의해 시료 성분을 연소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불꽃의 광도를 분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인 또는 유황화합물을 선택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79.
시료 가스 채취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 성분의 분석 및 발열량·비중을 측정할 때, 시료 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될 염려가 있을 때는 도관 가운데에 적당한 응축액 트랩을 설치한다.
2.
특수 성분을 분석할 때, 시료 가스 중의 수분 또는 기름성분이 응축되어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흡수장치를 보온하든가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가온 한다.
3.
시료 가스에 타르류, 먼지류를 포함하는 경우는 채취관 또는 도관 가운데에 적당한 여과기를 설치한다.
4.
고온의 장소로부터 시료 가스를 채취하는 경우는 도관 가운데에 적당한 냉각기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번과 같은 경우에는 냉각한 후 안전하게 제거합니다. [해설작성자 : 유온압]
80.
자동제어장치의 검출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목표치를 주피드백 신호와 같은 종류의 신호로 교환하는 부분이다.
2.
제어대상에 대한 작용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3.
제어대상으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4.
기준입력과 주피드백 신호와의 차이에 의해서 조작 부에 신호를 송출하는 부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동제어장치의 검출부:제어대상으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나타내는 부분 [해설작성자 : 초주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