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인풀이법 1. 11.2L의 CO2 가 3000K 될때 부피는 샤를의 법칙에 의해 V2=V1*T2/V1=11.2*3000/273=123.08L 2. 3000K에서 co2 60% 가 분해한다 ( 즉 혼합기체는 co2 40%+ 60%는 위의 반응식 생성물의 부피임) 3. 40%co2 부피= 123.08 x 0.4 = 49.23L 4. 60% co2 (분해되는 부피) = 123.08 x 0.6 = 73.85L 5. co2 -> co + 0.5O2 즉 1.5배 부피가 늘어남( co2 1몰 -> co1몰 + o2 0.5몰) 6. 따라서 4번의 73.85L co2는 분해후 부피가 73.85 x 1.5 = 110.77L 7. 혼합기체부피는 110.77+ 49.23=160L [해설작성자 : 열정왕만두]
1냉동톤이란 0℃의 순수한 물 1톤을 24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흡수하는 열량으로서 3,600kcal/h이다.
3.
공기의 액화에 있어서 압력을 크게 하면 액화률은 나쁘게 된다.
4.
냉매로서는 증발잠열이 크고 임계온도가 높고 비체적이 큰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냉매의 구비조건 1. 응고점이 낮고 임계온도가 높고, 응축,액화가 쉬울것 2. 증발잠열이 크고 기체의 비체적이 적을 것 [해설작성자 : 천백사호]
1냉동톤 (1RT) = 3320 kcal/h 압력 증가시 액화율 좋아진다 (액화조건 : 임계온도 이하, 임계압력 이상) 냉매는 증발잠열크고, 임계온도 높고, 비체적 작은것이 좋다 ( 비체적이 작은것이 압축기 크기가 작게 되므로 )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2. 1냉동톤이란 0℃의 순수한 물 1톤을 24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흡수하는 열량으로서 3320kcal/h이다. 3. 공기의 액화에 있어서 압력을 크게 하면 액화률은 좋아지게 된다. 4. 냉매로서는 증발잠열이 크고 임계온도가 높고 비체적이 작은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41.67]
25.
냉동사이클에 의한 압축냉동기의 작동 순서로서 옳은 것은?
1.
증발기 →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2.
팽창밸브 → 응축기 → 압축기 → 증발기
3.
증발기 → 응축기 → 압축기 → 팽창밸브
4.
팽창밸브 → 압축기 → 응축기 → 증발기
정답 : [
1
] 정답률 : 71%
26.
프와송의 비가 0.2일 때 프와송의 수는 얼마인가?
1.
2
2.
5
3.
20
4.
50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1/m = 가로변형률 / 세로변형률 * m = 1/푸아송의 비 = 1/0.2 = 5 [해설작성자 : 화이팅!]
프와송의 비와 프와송의 수는 역수 관계 [해설작성자 : 천백사호]
27.
강의 열처리 중 불균일한 조직을 균일한 표준화된 조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은?
1.
담금질(quenching)
2.
뜨임(tempering)
3.
불림(normalizing)
4.
풀림(annealing)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담금질: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 내마멸성을 향상 2. 뜨임: 내부 잔류응력 제거 3. 풀림: 연하게 하거나 전연성을 향상 시키기위한 조작 4. 불림: 압연,주조,단조 등 작업을 하면 내부 응력 발생 ,고온으로 가열하면 결정 입자가 크고 거칠게 되어 기계적성일 나빠지고,급랭시크면 변형과 균열을 일크기기 쉽다 이 결점을 업애기 위해 작업 균일한 표준조직 얻기위함 [해설작성자 : 천백사호]
물질의 위험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공기 중에서 액체를 가열하는 경우 액체표면에서 증기가 발생 하여 그 증기에 착화원을 접근하면 연소가 되는 최저의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최소점화에너지
2.
발화점
3.
착화점
4.
인화점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화점(인화온도) :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에서 점화원에 의하여 연소할 수 있는 최저의 온도로 위험성의 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강불표불]
53.
액화석유가스 자동차 용기 충전의 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전호스에 부착하는 가스주입기는 투터치형으로 한다.
2.
충전기의 충전호스의 길이는 5m 이내로 한다.
3.
충전호스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충전기와 가스 주입기가 분리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4.
충전기 주위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하여 충전 이외의 필요 없는 장비는 시설을 금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원터치형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열정왕만두]
54.
다음 가스의 공기 중 연소 범위로 틀린 것은?
1.
수소 : 4~75%
2.
아세틸렌 : 2.5~81%
3.
암모니아 : 15~28%
4.
에틸렌 : 2.1~42%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에틸렌: 3.1 ~ 32% [해설작성자 : 화이팅!]
55.
액화석유가스용 강제용기 검사설비 중 내압시험 설비의 가압 능력은?
1.
0.5MPa 이상
2.
1MPa 이상
3.
2MPa 이상
4.
3MPa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내압시험설비:3MPa 이상 가압이 가능한 수조 및 가압설비로서 뷰렛(최소눈금 0.1mL,최고눈금 1mL,내용적 400L 이상) 및 압력계가 부착된 것 [해설작성자 : 인항경]
56.
액화 프로판을 내용적이 4700L인 차량에 고정된 탱크를 이용하여 운행 시의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단, 폭발방지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1.
최대 저장량이 2000kg이므로 운반책임자 동승이 필요 없다.
2.
최대 저장량이 2000kg이므로 운반책임자 동승이 필요 하다.
3.
최대 저장량이 5000kg이므로 200km 이상 운행 시 운반 책임자 동승이 필요 하다.
4.
최대 저장량이 5000kg이므로 운행거리에 관계없이 운반 책임자 동승이 필요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000 kg 이상일때 동승 필요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1)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충전량 계산 G=V/C =4700/2.35 =2000kg 2)운반책임자 동승기준:200km를 초과하는 거리 프로판 가스는 가연성 가스이다. 액화가스-가연성가스-3000kg 이상 최대 저장량이 2000kg이므로 운반책임자 동승이 필요 없다. [해설작성자 : 360분]
57.
일정 기준 이상의 고압가스를 적재 운반 시에는 운반책임자가 동승한다. 다음 중 운반책임자의 동승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가연성 압축가스 : 300m3 이상
2.
조연성 압축가스 : 600m3 이상
3.
가연성 액화가스 : 4000kg 이상
4.
조연성 액화가스 : 6000kg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가연성 액화가스:3000kg 이상일 시 운반책임자의 동승이 필요하다.
58.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은?
1.
음향검사
2.
침투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초음파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침투검사 : 표면의 미세한균열, 작은 구멍, 슬러그 등을 검출하는 방법 / 자기검사를 할수 없는 비자성 재료에 사용 / 내부결함은 검지하지 못하며 검사 결과가 즉시 나오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문제 해설> 검지관법:유리관 중에 발색시약을 흡착시킨 검지제를 충전하여 양끝을 막은 검지관을 양끝을 절단하여 가스 채취기로 시료가스를 넣은 후 착색층의 길이,착색의 정도에서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표준표와 비색 측정을 하는 것으로 국지적인 가스 누출 검지에 사용 [해설작성자 : 저구콘]
67.
가스미터에 다음과 같이 표시되어 있었다. 다음 중 그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준실 10주기 체적이 0.6L, 사용 최대 유량은 시간당 1. 8m3이다.
2.
계량실 1주기 체적이 0.6L, 사용 감도 유량은 시간당 1.8m3이다.
3.
기준실 10주기 체적이 0.6L, 사용 감도 유량은 시간당 1.8m3이다.
4.
계량실 1주기 체적이 0.6L, 사용 최대 유량은 시간당 1.8m3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68.
나프탈렌의 분석에 가장 적당한 분석방법은?
1.
요오드적정법
2.
중화적정법
3.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4.
흡수평량법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프탈렌의 분석에 가장 적당한 분석방법→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해설작성자 : 나가]
69.
길이 3.09mm인 물체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더니 3.01mm이었다. 오차률은 약 몇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