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와 질소의 몰(mol) 수 계산:분자량이 산소는 32g,질소는 28g이므로 산소와 질소의 몰수는 각각 1kmol이다.
산소의 분압 계산 PO2=전압*성분 몰수/전 몰수 1 20*ㅡㅡ 1+1 =10atm [해설작성자 : 중국어 전공자가 가스 자격증으로 취업하기]
2.
정전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전하의 생성을 방지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접속과 접지(Bonding and Grounding)
2.
도전성 재료 사용
3.
침액파이프(Dip Pipes)설치
4.
첨가물에 의한 전도도 억제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정전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전하의 생성을 방지 하는 방법 - 접속과 접지(Bonding and Grounding) - 도전성 재료 사용 - 침액파이프(Dip Pipes)설치 [해설작성자 : 접도침]
1.접속과 접지는 전기를 땅으로 보내는 것이다. 왜냐하면 땅은 전기가 거의 흐르지 않아 저항이 낮기 때문이다. 2.도전성 재료란 전류를 양호하게 흐르는 재료 3.침액파이프란 유체를 주입할 경우 충돌과 분출대전 등이 발생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산분십]
3.
폭발범위(폭발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발범위 내에서만 폭발한다.
2.
폭발상한계에서만 폭발한다.
3.
폭발상한계 이상에서만 폭발한다.
4.
폭발하한계 이하에서만 폭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2%
4.
다음 중 공기비를 옳게 표시한 것은?
1.
실제공기량/이론공기량
2.
이론공기량/실제공기량
3.
사용공기량/(1-이론공기량)
4.
이론공기량/(1-사용공기량)
정답 : [
1
] 정답률 : 89%
5.
LP 가스의 연소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발열량이 작다.
2.
공기 중에서 쉽게 연소 폭발하지 않는다.
3.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바닥에 체류한다.
4.
금수성 물질이므로 흡수하여 발화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6.
가스용기의 물리적 폭발 원인이 아닌 것은?
1.
압력 조정 및 압력 방출 장치의 고장
2.
부식으로 인한 용기 두께 축소
3.
과열로 인한 용기 강도의 감소
4.
누출된 가스의 점화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누출된 가스의 점화는 화학적 폭발 원인에 해당 [해설작성자 : 코로나엿머거]
7.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위험장소라 한다. 다음 중 제1종 위험장소에 해당하는 것은?
1.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
2.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3.
가연성 가스가 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
4.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가연성 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장소(제0종장소) 3.가연성가스가 밀폐된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장소(제2종장소) 4.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가연성 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제2종장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1종-가스가 연속해서 폭발 제2종-가스가 체류해서 위험 제3종-밀폐된 용기나 설비 사고 혹은 장치 이상 [해설작성자 : 접도침]
폭발 하한계 이상 - 0종 가스가 체류 - 1종 무언가 파손혹은 사고 발생 - 2종 3종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양배추]
8.
배관 내 혼합가스의 한 점에서 착화되었을 때 연소파가 일정거리를 진행한 후 급격히 화염전파속도가 증가되어 1000~3500m/s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문제 해설> 가연성 가스 탱크내부 및 용기는 0종 장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종 위험장소 - 밀폐 된 용기 또는 설비 내에 밀봉된 가연성 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 - 확실한 기계적 환기조치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연성 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 1종 장소의 주변 또는 인접한 실내에서 위험한 농도의 가연성 가스가 종종 침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 [해설작성자 : 접도침]
19.
다음 중 가연물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율이 작을 것
2.
활성화에너지가 클 것
3.
산소화의 친화력이 클 것
4.
발열량이 클 것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활성화 에너지 = 활성화를 시키는 에너지 = 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에너지(시간, 양) 활성화 에너지가 크면 물질이 쉽게 활성화가 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 산소와 친화력이 좋으며, 발열량이 크고, 표면적이 넓고, 건조도가 높아야 합니다. 근데, 여기서 왜 열전도율이 낮아야 하는지 의문일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열전도율이 낮아야 내부 열의 축적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접지도침]
20.
차가운 물체에 뜨거운 물체를 접촉시키면 뜨거운 물체에서 차가운 물체로 열이 전달되지만, 반대의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비가역성을 설명하는 법칙은?
1.
열역학 제0법칙
2.
열역학 제1법칙
3.
열역학 제2법칙
4.
열역학 제3법칙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열역학제2법칙(비가역성을 설명하는 법칙) -차가운물체에서 뜨거운 물체를 접촉시키면 뜨거운 물체에서 차가운 물체로 열이 이동되지만,반대의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열은 스스로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할수없다 -자연계에 아무런 변화도 남기지 않고 어느 열원의 열을 계속해서 일로 바꿀수없다
2과목 : 가스설비
21.
최고충전압력이 15MPa인 질소용기에 12MPa로 충전되어 있다. 이 용기의 안전밸브 작동압력은 얼마인가?
- 정특성 : 정상상태에서 유량과 2차 압력의 관계 - 동특성 : 부하변동에 대한 응답의 신속성과 안정성이 요구됨 - 유량특성 : 메인밸브의 열림과 유량의 관계 - 사용 최대차압 : 메인밸브에 1차와 2차 압력이 작용하여 최대로 되었을 때의 차압 - 사용 최소차압 : 정압기가 작동할 수 있는 최소 차압 [해설작성자 : 터토크]
28.
설치위치, 사용목적에 따른 정압기의 분류에서 가스도매 사업자에서 도시가스사 소유 배관과 연결되기 직전에 설치되는 정압기는?
1.
저압정압기
2.
지구정압기
3.
지역정압기
4.
단독정압기
정답 : [
2
] 정답률 : 76%
29.
강의 열처리 방법 중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마텐자이트조직으로 바꿀 목적으로 0℃ 이하로 처리하는 방법은?
1.
담금질
2.
불림
3.
심냉 처리
4.
염욕 처리
정답 : [
3
] 정답률 : 84%
30.
고압가스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이프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한 것.
2.
펌프 및 압축기의 진동에 의한 것.
3.
안전밸브 분출에 의한 영향.
4.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영향.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압가스 배관에서 발생 가능한 진동의 원인 -펌프 및 압축기의 진동 -안전밸브의 분출작동 -유체의 압력 변화 -바람이나 지진 -외부 충격 -관의 굴곡에 의해 생기는 힘
31.
원심펌프로 물을 지하 10m에서 지상 20m 높이의 탱크에 유량 3m3/min로 양수하려고 한다. 이론적으로 필요한 동력은?
1.
10PS
2.
15PS
3.
20PS
4.
25PS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000 x 3 x (10+20) ) / (75 x 60min ) [해설작성자 : ㅇㅇ]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고압가스 관련 설비로는 안전밸브,기화장치,압력용기,긴급차단장치,역화방지장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전력화]
44.
독성가스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몇 톤 이상일 때 방류둑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2.
10
3.
50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독성가스 방류둑 나오면 5M [해설작성자 : 나무컬쳐]
독성- 5톤 가연성/산소- 1000톤 [해설작성자 : 다부ENG]
45.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설치된 긴급차단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탱크 또는 이에 접속하는 배관 외면의 온도가 몇 ℃일 때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40
2.
65
3.
80
4.
110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타) 차량에 고정된 탱크 및 용기에는 안전밸브 등 필요한 부속품이 장치되어 있어야 하며 그 부속품은 다음 기준에 적합할 것 ① 가연성가스 또는 독성가스를 충전하는 차량에 고정된 탱크 및 용기(시안화수소의 용기 또는 24.5㎫ 이상의 압력으로 행한 내압시험에 합격한 소방설비 또는 항공기에 갖춰두는 탄산가스용기는 제외한다)에는 안전밸브가 부착되어 있고 그 성능이 그 탱크 또는 용기의 내압시험압력의 10분의 8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긴급차단장치는 그 성능이 원격조작에 의하여 작동되고 차량에 고정된 탱크 또는 이에 접속하는 배관 외면의 온도가 110℃일 때에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일 것 ③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부착되는 밸브·안전밸브·부속배관 및 긴급차단장치는 그 내압성능 및 기밀성능이 그 탱크의 내압시험압력 및 기밀시험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행하는 내압시험 및 기밀시험에 합격될 수 있는 것일 것 [해설작성자 : 2번항 봐주세요 검사기준 퍼옴]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설치된 긴급차단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탱크 또는 이에 접속하는 배관 외면의 온도가 110℃일 때 자동적으로 작동 [해설작성자 : 안압기]
46.
고압가스설비에 설치하는 안전장치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력계는 상용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의 최고 눈금이 있는 것일 것
2.
가연성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오토크레이브와의 사이의 배관에는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3.
가연성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충전용 주관과의 사이에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할 것.
4.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가벼운 가연성가스의 제조 시설에는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가벼운 가연성가스의 제조시설에는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할것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무거운"가연성가스의 제조 시설에는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할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답은 4번인데, 왜 그런지 알아야겠죠? 가벼운 가연성가스인 경우 위로 올라가서 창문이나 환기 시설로 배출이 되지만 무거운 가연성가스인 경우 바닥에 안개처럼 체류하기 때문에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터토크]
47.
가스 배관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관경이 13mm 이상 33mm 미만의 것에는 얼마의 길이마다 고정 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1.
1m 마다
2.
2m 마다
3.
3m 마다
4.
4m 마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름 13mm 미만 : 1m 지름 13mm~33mm미만: 2m 지름 33mm이상 : 3m [해설작성자 : dd]
48.
C2H2 가스 충전 시 희석제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N2
2.
CH4
3.
CS2
4.
CO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세텔렌가스의 분해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희석제:질소,에틸렌,메탄,일산화탄소
<문제 해설> 1,2,3 이외에 내용적(V), 용기 질량 (W), 내압시험 압력 (TP), 최고충전압력 (FP), 동판두께 등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53.
LP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관용 호스는 플레어 또는 유니온의 접속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2.
연소기용 호스의 길이는 한쪽 이음쇠의 끝에서 다른 쪽 이음쇠까지로 하며 길이허용오차는+4%, -3%이내로 한다.
3.
스테인리스강은 튜브의 재료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호스의 내열성시험은 100 ± 2℃에서 10분간 유지 후 균열 등의 이상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길이 허용오차 +3%, -2%이내. 3. 튜브의 재료는 동합금, 스테인리스강 또는 사용상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가지는것. 4. 호스의 내열성시험은 120+-2도에서 30분 후 기밀시험에서 파손, 균열 및 누출 등 이상이 없을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서 가스배관 이음부(용 접이음매제외)와 전기개폐기와는 몇 ㎝ 이상의 이격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1.
15cm
2.
30cm
3.
40cm
4.
60cm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배관 이음부와의 안전거리 1. 전기계량기, 전기개폐기 : 60cm 이상 2. 굴뚝, 전기점멸기, 전기접속기 : 30cm 이상 3. 미절연전선 : 15cm 이상 4. 절연전선 : 10cm 이상 [해설작성자 : 신우빈]
2. 굴뚝, 전기점멸기, 전기접속기 : 30cm 이상
는 15.10.2에 개정되어 15cm이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55.
지상에 설치된 액화석유가스 저장탱크와 가스 충전장소와의 사이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역화방지기
2.
방호벽
3.
드레인 세퍼레이터
4.
정제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압력조정기 토치 사이는 역화방지기 저장탱크 와 충전장소 사이는 방호벽 [해설작성자 : 석유화학소재공학과]
한 쪽에서 발생한느 위험 사유로부터 다른 쪽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호벽을 설치 [해설작성자 : 터토크]
56.
고압가스제조자 또는 고압가스판매자가 실시하는 용기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용기의 도색상태
2.
용기관리 기록대장의 관리상태
3.
재검사기간 도래여부
4.
용기밸브의 이탈방지 조치여부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고압가스제조자 또는 고압가스판매자가 실시하는 용기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사항 - 용기의 도색상태 - 재검사기간 도래여부 - 용기밸브의 이탈방지 조치여부 [해설작성자 : 도도이]
57.
고압가스의 제조설비에서 사용개시 전에 점검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불활성가스 등에 의한 치환 상황
2.
자동제어장치의 기능
3.
가스설비의 전반적인 누출 유무
4.
배관계통의 밸브개폐 상황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불활성가스 등에 의한 치환 상황은 사용종료 시 점검 사항이다. [해설작성자 : 종빈]
보기 외에도 사용 개시 전 점검해야할 항목 - 제조설비 등에 있는 내용물 상황 - 계기류 및 인터록의 기능,긴급용 시퀀스,경보 및 자동제어장치의 기능 - 긴급차단 및 긴급방출장치,통신설비,제어설비,정전기방지 및 제거설비 그 밖에 안전설비 기능 - 회전기계의 윤활유 보급상황 및 회전구동 상황 - 가연성가스 및 독성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곳의 당해 가스농도 - 안전용 불활성가스 등의 준비상황 [해설작성자 : 터토크]
58.
고압가스 냉동제조의 기술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모니아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제조시설에는 제독제로 물을 다량 보유한다.
2.
냉동기의 재료는 냉매가스 또는 윤활유 등으로 인한 화학작용에 의하여 약화되어도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3.
독성가스를 사용하는 내용적이 1만 L 이상인 수액기 주위에는 방류둑을 설치한다.
4.
냉동기의 냉매설비는 설계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기밀시험 및 설계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하는 내압시험에 각각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냉동기의 재료는 냉매가스 또는 윤활유 등으로 인한 화학작용에 의하여 약화되어도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냉동기의 재료는 냉매가스 또는 윤활유 등으로 인한 화학작용에 의하여 "약화되지"않는것으로 한다
59.
가스누출자동차단기의 제품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압부는 5MPa 이상, 저압부는 0.5MPa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내압시험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한다.
2.
고압부는 1.8MPa 이상, 저압부는 8.4kPa이상 10kPa이하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기밀시험에서 누출이 없는 것으로 한다.
3.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자동차단기는 5000회의 개폐조작을 반복한 후 성능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한다.
4.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자동차단기는 전기충전부와 비충전금속부와의 절연저항은 1kΩ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내압성능: 고압부는 3mpa 이상, 저압부는 0.5mpa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 기밀성능: 고압부는 1.8mpa 이상, 저압부는 8.4mpa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 내구성능: 6000회의 개폐조작 반복 절연저항성능: 1m옴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엡엘벵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밀성능 저압부 8.4kPa입니다
60.
-162℃의 LNG(액비중 : 0.46, CH4 : 90%, C2H6 : 10%) 1m3을 20℃까지 기화시켰을 때의 부피는 약 몇 m3인가?
계측기의 본질을 생각합시다. 기본이 되어있어야 제어하든말든하니까요 검출하고 전달하고 수신을 해야 계측기라고 할 수 있겠죠 셋 중 하나라도 빠지면 계측기라고 하기 무색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계측기기의 구성 검출부:검출된 정보를 전달부나 수신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 전달부:검출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하는 신호로 변환하거나 크기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 부분 수신부:검출부나 전달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지시, 기록, 경보를 하는 부분 [해설작성자 : 검전수]
68.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가스를 검출할 때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것은?
화합물이 가지는 고유의 흡수정도의 원리를 이용 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은?
1.
저온분류법
2.
적외선분광분석법
3.
질량분석법
4.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적외선법또는 적외선 분광분석법또는 적외선 흡수법 -화합물이가지는 고유의 "흡수정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정성및 정량분석에 이용 단원자분자(헬륨,네온,아르곤),이원자분자(산소,수소,염소)는 분석불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저온분류법:시료 가스를 액체 질소(또는 액체 공기)로 냉각하여 액화한 후, 이것을 정밀 증류하여 각 성분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주로 저급 탄화수소 혼합물의 전체 분석에 사용된다. 적외선분광분석:적외선흡수스펙트럼을 이용한 분광분석법으로 주로 유기물질을 분석하는데 쓰인다. 조사하려는 시료에 적외선의 파장을 바꾸면서 비춰주면 아미노기나 카보닐기와 같은 작용기에 따라 특수한 영역의 적외선이 흡수되는데, 이 흡수스펙트럼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질량분석법:원자 또는 분자를 이온화한 후, 이온을 질량과 전하의 비에 따라 분리, 검출하는 분석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이동상의 기체를 사용하여, 혼합기체시료를 그 성분기체의 열전도율의 차를 이용하여 검출, 정량하는 기기분석법. [해설작성자 : 적외흡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