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재생기(발생기):libr-h2o계(흡수제인 리튬브로마이드와 냉매인물) 흡수식 냉동기에서 가열원으로서 가스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용액을 가열하여 흡수제인 리튬브로마이드와 냉매인 물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냉매증기를 발생시킨후 저농도 용액으로 만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재생기는 흡수제와 냉매를 분리하는 곳으로 압축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새옹지마]
23.
용기내장형 LP가스 난방기용 압력조정기에 사용되는 다이어프램의 물성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강도는 12MPa 이상인 것으로 한다.
2.
인장응력은 3.0MPa 이상인 것으로 한다.
3.
신장영구 늘음율은 20% 이하인 것으로 한다.
4.
압축영구 줄음율은 30% 이하인 것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기내장형 lp가스 난방기용 압력조정기에 사용되는 다이어프램의 물성시험 인장강도는 12mpa이상인것으로 한다 인장응력은 2mpa이상인 것으로 한다 신장영구 늘음율은 20%이하인것으로한다 압축영구 줄음율은 30%이하인것으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이어프램의 물성시험은 다음과 같이한다. (1) 인장강도는 12MPa 이상이고 신장율은 300% 이상인 것으로 한다 (2) 인장응력은 2.0㎫ 이상이고 경도는 50° 이상 90°이하인 것으로 한다. (3) 신장영구늘음율은 20% 이하인 것으로 한다 (4) 압축영구줄음율은 30% 이하인 것으로 한다 (5) -25℃의공기중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을때 인장강도 변화율은 ±15% 이내 , 신장 변화율은 ±30 이내 % , +15°이하인 것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인응이]
24.
배관의 부식과 그 방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매설되어 있는 배관에 있어서 일반적인 강관이 주철관보다 내식성이 좋다.
2.
구상흑연 주철관의 인장강도는 강관과 거의 같지만 내식성은 강관보다 나쁘다.
3.
전식이란 땅속으로 흐르는 전류가 배관으로 흘러 들어간 부분에 일어나는 전기적인 부식을 한다.
4.
전식은 일반적으로 천공성 부식이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매설되어 있는 배관에 있어서 일반적인 주철관이 강관보다 내식성이 좋다 구성흑연 주철관의 인장강도는 강관과 거의같지만 내식성은 강관보다 좋다 전식이란 땅속으로 흐르는 전류가 배관으로 흘러 들어간후 유출되는 부분에 일어나는 전기적인 부식이다
25.
안지름 10㎝의 파이프를 플랜지에 접속하였다. 이 파이프 내에 40kgf/cm2의 압력으로 볼트 1개에 걸리는 힘을 300kgf/cm2이하로 하고자 할 때 볼트의 수는 최소 몇 개 필요한가?
1.
7개
2.
11개
3.
15개
4.
19개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볼트수=전체에 걸리는 힘(P*A)/볼트에 걸리는 힘 [해설작성자 : 조데몽]
<문제 해설> 모양이 아름답다 동일용량,동일압력의 경우 원통형 탱크보다 두께가 얇다 표면적이 다른탱크보다 작으며 강도가 우수하다 기초구조를 간단하게 할수있다 부지면적과 기초공사가 경제적이다 드레인이 쉽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28.
다음 보기의 특징을 가진 오토클레이브는?
1.
교반형
2.
진탕형
3.
회전형
4.
가스교반형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진탕형 오토클레이브:횡형 오토클레이브 전체가 수평,전후 운동을 하여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 형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스윗한]
29.
도시가스 정압기의 일반적인 설치 위치는?
1.
입구밸브와 필터사이
2.
필터와 출구밸브사이
3.
차단용 바이패스 밸브 앞
4.
유량조절용 바이패스 밸브 앞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도시가스 정압기의 일반적인 설치 위치 필터와 출구밸브사이
30.
도시가스 공급방식에 의한 분류방법 중 저압공급 방식이란 어떤 압력을 뜻하는가?
1.
0.1MPa 미만
2.
0.5MPa 미만
3.
1MPa 미만
4.
0.1MPa 이상 1MPa미만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압력에 따른 도시가스 공급방식의 분류 저압:0.1mpa미만 중압:0.1mpa이상 1mpa미만 고압:1mpa이상
31.
도시가스 제조공정 중 가열방식에 의한 분류로 원료에 소량의 공기와 산소를 혼합하여 가스발생의 반응기에 넣어 원료의 일부를 연소시켜 그 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방식은?
1.
지열식
2.
부분연소식
3.
축열식
4.
외열식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부분연소식: "부분(部分)"은 일부를 의미 [해설작성자 : 엉덩이실룩실룩]
32.
정압기의 유량특성에서 메인밸브의 열림(스트로그 리프트)과 유량의 관계를 말하는 유량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선형
2.
2차형
3.
3차형
4.
평방근형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유량의 특성 : 메인 밸브의 열림과 유량과의 관계 1. 직선형 : 메인 밸브의 개구부 모양이 장뱡형의 슬릿으로 되어 있으며 열림으로 보터 유량을 파익하는데 편리하다. 2. 2차형: 개구부의 모양이 삼각형(v자형)의 메인 밸브로 되어있으며 천천히 유량을 증가하는 형식으로 안정적이다. 3. 평방근형 : 접시형의 메인 밸브로 신속하게 열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며 다른 것에 비하여 안정성이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조데몽]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암모니아는 가연성입니다 [해설작성자 : 가스산기 7년치]
40.
금속재료에 대한 충격시험의 주된 목적은?
1.
피로도 측정
2.
인성 측정
3.
인장강도 측정
4.
압축강도 측정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금속재료에 대한 충격시험은 재료의 인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성과 취성을 측정 [해설작성자 : 몰?루]
충격 시험이란 충격 하중을 주어 파괴했을 때의 에너지로부터 충격값을 구하여 재료의 인성이나 취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해설작성자 : 정필출]
3과목 : 가스안전관리
41.
다음 보기 중 용기 제조자의 수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옳게 나열된 것은?
1.
Ⓐ, Ⓑ
2.
Ⓒ, Ⓓ
3.
Ⓐ, Ⓑ, Ⓒ
4.
Ⓐ, Ⓑ, Ⓒ, Ⓓ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용기 제조자의 수리범위 용기몸체의 용접 용기부속품의 부품교체 초저온용기의 단열재 교체 아세틸렌 용기내의 다공질물 교체 용기의 스커트 프로텍터 네크링의 교체 및 가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가연성가스와 공기혼합물의 점화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정전기
2.
단열압축
3.
융해열
4.
마찰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점화원:가연물이 연소를 시작할 때 가해지는 활성화 에너지이며 생성물질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열적,기계적,전기적,화학적,원자력 에너지 등으로 분류되며 점화원의 강도는 온도로 표시한다(전기불꽃,충격마찰,단열압축, 나화및고온표면,정전기 불꽃,자연발화,복사열)
43.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에서 안전구역안의 고압가스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가스설비의 외면까지 몇 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0 m
2.
20 m
3.
30 m
4.
50 m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설비사이의 거리 기준 안전구역안의 고압가스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가스설비의 외면까지 30m이상의 거리유지 제조설비의 외면으로부터 그제조소의 경계까지 20m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하나의 안전관리 체계로 운영되는 2개 이상의 제조소가 한 사업장에 공존하는 경우에는 20m이상의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처리능력이 20만세제곱미터이상인 압축기까지 30m 이상을 유지한다.
44.
공기액화분리에 의한 산소와 질소 제조시설에 아세틸렌가스가 소량 혼입되었다. 이때 발생 가능한 현상으로 가장 유의하여야 할 사항은?
내압시험압력 = 최고충전압력 x 5/3 이기때문에 정답 15 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권재영]
TP= FP x 5/3 >> FP= TP x 3/5 [해설작성자 : d]
51.
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1.
압력조정기 제조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2.
LPG자동차 용기 충전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3.
가스난방기용 용기 제조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4.
도시가스용 보일러 제조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허가를 받아야하는 사업 압력조정기제조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lpg 자동차 용기충전사업을 하고자 하는자 도시가스용 보일러제조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 가스도매사업을 하려는 자 액화석유가스판매사업을 하려는 자
[추가 해설] 용기를 제조할때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52.
고압가스용 용접용기제조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동판의 최대 두께와 최소두께의 차이는 평균두께의 20% 이하로 한다.
2.
용기의 재료는 탄소, 인 및 황의 함유량이 각각 0.33%, 0.04%, 0.05% 이하인 강으로 한다.
3.
액화석유가스용 강제용기와 스커트 접속부의 안쪽 각도는 30도 이상으로 한다.
4.
용기에는 그 용기의 부속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프로텍트 또는 캡을 부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용기동판의 최대 두께와 최소두께의 차이는 평균두께의 10% 이하로 한다. 이음매 없는 용기는 20%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보관백]
53.
고압가스 사업소에 설치하는 경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계표지는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한다.
2.
사업소 내 시설 중 일부만이 같은 법의 적용을 받더라도 사업소 전체에 경계표지를 한다.
3.
충전용기 및 잔가스 용기 보관장소는 각각 구획 또는 경계선에 따라 안전확보에 필요한 용기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4.
경계표지는 법의 적용을 받는 시설이란 것을 외부사람이 명확히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적용 받는 부분만 경계 표지를 한다. [해설작성자 : 사랑 받는 남편]
54.
냉장고 수리를 위하여 아세틸렌 용접작업 중 산소가 떨어지자 산소에 연결된 호스를 뽑아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 LPG용기에 연결하여 용접 토치에 불을 붙이자 LPG 용기가 폭발하였다. 그 원인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1.
용접열에 의한 폭발
2.
호스 속의 산소 또는 아세틸렌이 역류되어 역화에 의한 폭발
3.
아세틸렌과 LPG가 혼합된 후 반응에 의한 폭발
4.
아세틸렌 불법 제조에 의한 아세틸렌 누출에 의한 폭발
정답 : [
2
] 정답률 : 78%
55.
다음 그림은 LPG저장탱크의 최저부이다. 이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1.
대량의 LPG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2.
일정압력 이상 시 압력을 낮춘다.
3.
LPG내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4.
화재 증에 의해 온도가 상승 시 긴급 차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최저부에 lpg내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름은 드레인밸브입니다 [해설작성자 : 몰?루]
56.
자동차 용기 충전시설에서 충전용 호스의 끝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긴급차단장치
2.
가스누출경보기
3.
정전기 제거장치
4.
인터록 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77%
57.
액화석유가스 저장탱크에 가스를 충전할 때 액체 부피가 내용적의 90%를 넘지 않도록 규제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액체팽창으로 인한 탱크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온도상승으로 인한 탱크의 취약방지를 위하여
3.
등적팽창으로 인한 온도상승 방지를 위하여
4.
탱크내부의 부압(negative pressure)발생방지를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82%
58.
액화석유가스가스집단공급시설의 점검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충전용주관의 압력계는 매분기 1회 이상 국가표준 기본법에 따른 교정을 받은 압력계로 그 기능을 검사한다.
2.
안전밸브는 매월 1회 이상 설정되는 압력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도록 조정한다.
3.
물분무장치, 살수장치와 소화전은 매월 1회 이상 작동상황을 점검한다.
4.
집단공급시설 중 충전설비의 경우에는 매월 1회 이상 작동상황을 점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매월 1회 이상 2. 최종단 설치 1년 1회 그 밖 안전밸브 2년 1회 이상 4. 1일 1회 [해설작성자 : 오뎅]
1. 충전용 주관의 압력계 매월 1회 이상,그 밖의 압력계는 1년에 1회 이상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른 교정을 받은 압력계로 그 기능을 검사한다. 2. 안전밸브 중 압축기의 최종단에 설치한 것은 1년에 1회 이상, 그 밖의 안전밸브는 2년에 1회 이상 설치 시 설정되는 압력 이하에서 작동하도록 조정한다. 4. 집단공급시설 중 충전설비의 경우에는 1일 1회 이상 작동상황을 점검한다. [해설작성자 : 에어퍼스트]
59.
용기의 각인 기호에 대해 잘못 나타낸 것은?
1.
V : 내용적
2.
W : 용기의 질량
3.
TP : 기밀시험압력
4.
FP : 최고충전압력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W 용기의질량 FP 최고충전압력 TP 내압시험압력 V 내용적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