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의 온수를 100kg/h 발생시키는 온수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에서 저위발열량이 45MJ/Nm3인 LNG를 1m3/h 소비 할 때 열효율은 얼마인가? (단, 급수의 온도는 25℃이고, 물의 비열은 4.l84kJ/kg·K이다.)
1.
60.07%
2.
65.08%
3.
70.09%
4.
75.10%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열효율 n = G * C * 델타t / W * Q 에서 n = 열효율, G = 질량, C = 비열, 델타t = 온도차, W = 연료소비량, Q=연료발열량 분자 부분이 발생되는 일이고 분모 부분이 에너지를 공급하는 일로 보시면 됩니다. 얼마의 일을 가했는데 얼마의 일이 나오더라 이런식으로 생각하세요. 그래서 n = 100 kg/h * 4.184 kJ/kgK * (368-298) K / 1 m^3/h * 45 MJ/m^3 을 계산하면 65.08% 가 됩니다. 효율이니 알아서 100은 곱해 주셨죠? 45MJ는 45000kJ 로 바꾸어서 계산하셔야 되구요 (단위환산이니 생략 할께요) 간혹 Nm^3 에서 N을 뉴턴으로 착각하셔서 단위가 안맞다고 하시는 분이 계신데, 저기서는 N은 Normal을 뜻하며 0도씨 1기압의 조건에서 를 뜻합니다. 그냥 무시하시고 m^3 으로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드라키]
프로판 1몰당 산소 5몰 필요, 문제에 프로판 5L, 그럼 산소는 25L 이론공기량 -> 25/0.21 = 119 [해설작성자 : 양배추]
6.
이상기체를 일정한 부피에서 냉각하면 온도와 압력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온도저하, 압력강하
2.
온도상승, 압력강하
3.
온도상승, 압력일정
4.
온도저하, 압력상승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PV = nRT 에서 이런 식에서 P 는 T와 비례하고 P 는 V와 반비례 한다는 것을 이해하실 줄 아신다면, V 는 일정하고 T 는 냉각이므로 온도가 내려간 것을 의미하고, T와 P는 비례 하므로 P도 같이 내려 간다라고 해석 하실 줄 아실면 됩니다. 그래서 온도 저하, 압력 강하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드라키]
7.
가연성 물질을 공기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게 하면 연소속도와 발화온도는 어떻게 되는가?
1.
연소속도는 느리게 되고, 발화온도는 높아진다.
2.
연소속도는 빠르게 되고, 발화온도도 높아진다.
3.
연소속도는 빠르게 되고,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4.
연소속도는 느리게 되고, 발화온도도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발화온도 : 가연성물질을 공기 또는 산소 중에서 가열했을 때, 다른데서 화염이나 불꽃 등의 열원(熱源)을 주지 않아도 스스로 발화하는 온도를 말한다. 에서 가열 했을 때 스스로 타는 온도인데, 산소가 많으면 조금 덜 가열해도 탄다는 말로 이해하시고 덜 가열한다는 말은 온도가 조금 낮아도 된다고 이해하시면 편할 듯. [해설작성자 : 드라키]
8.
프로판과 부탄이 각각 50% 부피로 혼합되어 있을 때 최소산소농도(MOC)의 부피 %는? (단, 프로판과 부탄의 연소하한계는 각각 2.2v%, 1.8v%이다.)
*따라서 각각 산소x부피x연소하한계 프로판(5x0.5x2.2)과 부탄(6.5x0.5x1.8)을 더해줌 =11.35 [해설작성자 : 우기]
9.
방폭구조 및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폭대책에는 예방, 국한, 소화, 피난 대책이 있다.
2.
가연성가스의 용기 및 탱크 내부는 제2종 위험 장소이다.
3.
분진폭발은 1차 폭발과 2차 폭발로 구분되어 발생한다.
4.
내압방폭구조는 내부폭발에 의한 내용물 손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기에는 부적당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가연성가스의 용기 및 탱크는 제 0종 위험장소. [해설작성자 : ..]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책에는 1종이라는데요 가연성가스 [해설작성자 : 인정 어 나만인정]
[오류신고 반론] 1종 아니고 0종 맞습니다 2번 보기 다시 한번 읽어보세요(가연성 가스의 용기 및 탱크 내부는 제 0종 위험장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wg]
[오류신고 반론] 가연성 가스의 용기 및 탱크 내부는 0종 위험 장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가영]
10.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하여 변화 한다.” 라는 법칙은?
1.
보일(Boyle)의 법칙
2.
샤를(Charles)의 법칙
3.
보일-샤를의 법칙
4.
아보가드로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보일 : 일정 온도 하에서 일정량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압력에 비례 샤를 : 일정 압력하에서 일정량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온도에 비례 [해설작성자 : 욱이]
보일 온도가 일정할때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오케이~]
11.
다음 가스 중 공기와 혼합될 때 폭발성 혼합가스를 형성 하지 않는 것은?
1.
아르곤
2.
도시가스
3.
암모니아
4.
일산화탄소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아르곤은 불활성기체. [해설작성자 : 치치]
아르곤(Ar)은 불연성 가스이고, 비독성 가스이다. 참고로 불연성 가스는 연소되지 않는 가스를 말하며,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수증기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바꾸설]
12.
액체 연료를 수 μm에서 수백 μm으로 만들어 증발 표면적을 크게 하여 연소시키는 것으로서 공업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연소방법은?
1.
액면연소
2.
등심연소
3.
확산연소
4.
분무연소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분무연소: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효율적인 액체연료의 연소방식 *액체연료를 수 um에서 수백um로 만들어 증발 표면적을 크게 하여 연소 *1차공기:액체연료의 무화에 필요한 공기
13.
폭굉이 발생하는 경우 파면의 압력은 정상연소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 얼마나 큰가?
1.
2배
2.
5배
3.
8배
4.
10배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그냥압력은 10배 파면은 2배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
폭굉속도:1000~3500m/s 정상연소속도:0.1~10m/s 폭굉은 화염전파 속도가 음속 이상이다. 폭발범위는 폭굉범위보다 넓다. 폭굉범위가 폭발범위보다 좁으므로 폭굉의 상한계값은 폭발의 상한계값보다 적다. [해설작성자 : 압십파이]
14.
메탄 80vol%와 아세틸렌 20vol%로 혼합된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약 얼마인가? (단, 메탄과 아세틸렌의 폭발하한계는 5.0%와 2.5%이다.)
1.
6.2%
2.
5.6%
3.
4.2%
4.
3.4%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00 80 20 --- = --- + ---- = 4.166% L 5 2.5 [해설작성자 : 전투 기계 김진혁]
15.
연소부하율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연소실의 염공면적당 입열량
2.
연소실의 단위체적당 열발생률
3.
연소실의 염공면적과 입열량의 비율
4.
연소혼합기의 분출속도와 연소속도와의 비율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연소부하율:연소실의 단위 체적당 열발생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소부하율 : kcal/m^3 [해설작성자 : 부하단위]
16.
열분해를 일으키기 쉬운 불안전한 물질에서 발생하기 쉬운 연소로 열분해로 발생한 휘발분이 자기점화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표면연소가 계속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연소는?
1.
분해연소
2.
그을음연소
3.
분무연소
4.
증발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그을음 연소란 열분해를 일으키기 쉬운 불안정한 물질에서 발생하기 쉬운 연소로 열분해로 발생한 휘발분이 점화되지 않을 경우에 다량의 발연을 수반한 표면 연소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불그음]
17.
다음 보기는 가연성가스의 연소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옳은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 ㉡
2.
㉡,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85%
18.
자연발화온도(Autoignition temperature :AIT)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증기의 농도에 관한 사항이다.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가연성 혼합기체의 AIT는 가연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가 1:1 일 때 가장 낮다.
2.
가연성 증기에 비하여 산소의 농도가 클수록 AIT는 낮아진다.
3.
AIT는 가연성 증기의 농도가 양론 농도보다 약간 높을 때가 가장 낮다.
4.
가연성 가스와 산소의 혼합비가 1:1 일 때 AIT는 가장 낮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가연성 혼합기체의 자연발화온도(AIT)는 가연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가 1:1일 때 가장 높다. 가연성 증기에 비해 산소의 농도가 클수록 자연발화온도는 높아진다. 가연성가스와 산소의 혼합비가 1:1일 때 자연발화온도가 가장 높다. [해설작성자 : 신우빈]
19.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소의 조절이 신속, 정확하며 자동제어에 적합하다.
2.
온도가 낮은 연소실에서도 안정된 불꽃으로 높은 연소 효율이 가능하다.
3.
연소속도가 커서 연료로서 안전성이 높다.
4.
소형 버너를 병용 사용하여 로내 온도분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연소속도 크면 안전성 낮다 [해설작성자 : kms]
20.
액체 프로판(C3H8) l0kg이 들어 있는 용기에 가스미터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판 가스가 전부 소비되었다고 하면 가스미터에서의 계량 값은 약 몇 m3로 나타나 있겠는가? (단, 가스미터에서의 온도와 압력은 각각 T=15℃ 와 Pg=200mmHg이고, 대기압은 0.101MPa이다.)
지름 0.15 (D) 행정 0.1 (L) 기통수 4 (n) 회전수 800 (N) 체적효율 0.85 (니타v)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무작정 60곱하는게 아닌 식자체가 m관한 식이기에 정답이 m면 60을 곱할 필요 없고 이문제는 /h여서 x60을 해주는겁니다! [해설작성자 : ㅇ]
"ㅇ" 님이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해설에 나온 공식은 단위가 m^3/min 이고 이 문제는 m^3/hr 를 구하는 문제기 때문에 1시간은 60분, 즉 60min/hr를 곱해서 단위변환을 시켜준다~ 이 뜻입니다. [해설작성자 : ㄴ]
28.
가정용 LP가스 용기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는?
1.
납땜용기
2.
용접용기
3.
구리용기
4.
이음새 없는 용기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액화 가스 : 용접 용기 압축 가스 : 이음새 없는 용기 [해설작성자 : 수영장 파티 김진혁]
29.
도시가스 제조 설비에서 수소화분해(수첨분해)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탄화수소의 원료를 수소기류 중에서 열분해 혹은 접촉 분해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열량의 가스를 제조 하는 방법이다.
2.
탄화수소의 원료를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열분해 혹은 접촉분해로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3.
코크스를 원료로 하여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열분해 혹은 접촉분해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열량의 가스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4.
메탄을 원료로 하여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부분연소로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저열량의 가스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수소화 분해 프로세스(수첨분해 프로세스) 방법1:c/h비가 큰 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고온(700~800도),고압(20~60기압)의 수소기류 중에서 열분해 또는 접촉분해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열량의 가스제조 방법2:c/h비가 작은 탄화수소인 나프타등을 원료로하여 수소화 촉매(ni등을)사용하여 메탄제조
30.
냉동장치에서 냉매의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발열이 커야 한다.
2.
증기의 비체적이 작아야 한다.
3.
임계온도가 낮고 응고점이 높아야 한다.
4.
중기의 비열은 크고 액체의 비열은 작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냉매의 구비조건 1) 온도가 낮아도 대기압 압력 이상으로 증발, 기화할 것 2) 상온에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응축, 액화할 것 3) 부식성, 폭발성, 인화성, 악취 등이 없을 것 4) 인체에 무해할 것 5) 증발잠열이 크고 냉동작용에 저해가 되지 않을 것 6) 임계온도(기체로 존재하는 한계온도)가 높을 것 7) 누설의 발견이 용이할 것 [해설작성자 : 772]
<문제 해설> 방지법 1. 펌프의 위치를 낮춘다(흡입 양정을 짧게한다.) 2. 펌프를 잠기게한다 3.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5. 두 대 이상의 펌프를 사용한다. 6. 유효흡입수두를 크게한다.**************,이거만 주의 7. 손실 수두를 적게 한다. [해설작성자 : 대충적지마]
33.
표면은 견고하게 하여 내마멸성을 높이고, 내부는 강인 하게 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이중조직을 가지게 하는 열처리는?
1.
불림
2.
담금질
3.
표면경화
4.
풀림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표면 경화법: 금속의 표면을 경화 시키는 열처리 방법으로 강의 표면에만 경화 시키는 물리적 표면 경화법과 강 표면의 화학 조성을 바꾸어 경화 시키는 화학적 표면 경화법으로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조데몽]
흡수식은 여름철에도 열원을 가동해서 재생기를 통해 다시 냉매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ㅇ]
40.
특정고압가스이면서 그 성분이 독성가스인 것으로 나열된 것은?
1.
산소, 수소
2.
액화염소, 액화질소
3.
액화암모니아, 액화염소
4.
액화암모니아, 액화석유가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특정고압가스이면서 그 성분이 독성가스 - 액화암모니아 - 액화염소 - 압축모노실란 - 압축디보란 - 액화알진 [해설작성자 : 고삼암]
3과목 : 가스안전관리
41.
다음 중 독성가스의 제독조치로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흡수제에 의한 흡수
2.
중화제에 의한 중화
3.
국소배기장치에 의한 포집
4.
제독제 살포에 의한 제독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국소배기장치란? 근로자가 작업하고 있는 옥내 직장영역 안에 유해한 분진, 가스, 증기 등의 발생원이 존재하고 있을 때, 이것을 실내에 확산되지 않도록 후드(hood) 기타에 의해서 둘러싸고, 그 유해오염물질을 그 발생원의 국부(局部)에서 포착하여, 이것을 덕트(duct)에 의해 송풍기(fan)로 이끌어 옥외로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포집이란? 어떤 특정한 화학종과 특히 반응성이 높은 물질을 소량 가하여 다른 것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반응에 의하여 이 화학종을 계에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즉, 국소배기장치로 포집한다는 말은 독성물질을 옥외로 배출한다는거죠 아무조치없이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독성가스의 제독조치 -물 또는 흡수제로 흡수 또는 중화하는 조치 -흡착제로 흡착 제거하는 조치 -제독제 살포에 의한 제독 -연소 설비(플레어 스택,보일러 등)에서 안전하게 연소시키는 조치 -저장 탱크 주위에 설치된 유도구에 의하여 집액구, 피트 등에 고인 액화 가스를 펌프 등의 이송 설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제조설비로 반송하는 조치 [해설작성자 : 흡중제]
42.
사람이 사망한 도시가스 사고 발생 시 사업자가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상보(서면으로 제출하는 상세한 통보)를 할 때 그 기한은 며칠 이내 인가?
1.
사고발생 후 5일
2.
사고발생 후 7일
3.
사고발생 후 14일
4.
사고발생 후 20일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사망시에는 20일이내 사고, 부상시 10일 이내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속보 - 즉시 상보(상세 통보) - 20일 이내
사고,부상시 속보 - 즉시 상보(상세 통보) 10일 이내 즉, 사고시 속보는 바로 제출해야 하며 속보는 사망시 20일 사고,부상시 10일 이내에 제출할 것. [해설작성자 : ㅇ]
43.
20kg의 LPG가 누출하여 폭발할 경우 TNT폭발 위력으로 환산하면 TNT 약 몇 kg에 해당하는가? (단, LPG의 폭발효율은 3%이고 발열량은 12000kcal/kg, TNT의 연소열은 1100kcal/kg이다.)
[오류신고 반론] -염소와 아세틸렌, 암모니아, 수소는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아니한다. -가연성 가스와 산소를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때에는 그 충전 용기의 밸브가 서로 마주보지 아니하도록 적재한다. -충전 용기와 위험물 안전 관리법에서 정하는 위험물과는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아니한다. -독성 가스 중 가연성 가스와 조연성 가스는 동일 차량 적재함에 운반하지 아니한다. (일진사) [해설작성자 : 호성이나도이거남긴다]
48.
물분무장치 등은 저장탱크의 외면에서 몇 m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물분무장치 15m 살수 장치 5m [해설작성자 : ㅇㅇ]
49.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에서 고압가스 배관을 시가지 외의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하고자 할 때 노면으로부터 배관 외면까지의 매설깊이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계 고체 지지체 물질 활성탄,활성알루미나,실리카겔,Molecular sieves 13X,Porapak Q [해설작성자 : 가고규]
71.
자동제어계의 일반적인 동작순서로 맞는 것은?
1.
비교 → 판단 → 조작 → 검출
2.
조작 → 비교 → 검출 → 판단
3.
검출 → 비교 → 판단 → 조작
4.
판단 → 비교 → 검출 → 조작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먼저 검출을 해야 .. 뭘 하겠죠? [해설작성자 : 울과대참두부]
검출 : 제어 대상을 계측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부분 비교 : 목표값(기준 입력)과 주피드백량과의 차를 구하는 부분 판단 : 제어량의 현재값이 목표치와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가를 판단하는 부분 조작 : 판단된 조작량을 제어하여 제어량을 목표값과 같도록 유지하는 부분 [해설작성자 : 검비판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