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영자, 숫자, 특수기호 등 256종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상구]
64개의 문자 및 숫자를 표현하는것은 6비트를 사용하는 BCD 코드 입니다. 128개의 문자 및 숫자를 표현하는 것은 7비트 ASCII 코드 이구요.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터학원 남쌤]
BCD 코드 : 6비트로 구성되어 64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음. 영문 소문자를 표현하지 못함. ASCII 코드 : 7비트로 구성되어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음. EBCDIC 코드 : 표준 2진화 10진 코드를 확장한 코드로 8비트로 구성되어 256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컴활 화이또이또이]
<문제 해설> P2P 를 person to person 으로 외우면 개인 이 개인에게 로 해석 하는것으로 암기 [해설작성자 : 공부대충했다가 1번 떨어짐 ㅠㅠ]
① P2P(동배간처리, Peer-To-Peer) : 개개인의 컴퓨터와 컴퓨터가 동등하게 연결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가 될 수 있지만, 개인간의 자료 교환 방식으로 유지 보수 및 분산 처리 기술이 어려우며 데이터 보안이 우수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다음 중 소스 코드까지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1.
주문형 소프트웨어(Customized software)
2.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3.
쉐어웨어(Shareware)
4.
프리웨어(Freeware)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주문형 소프트웨어 :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4. 무료로 복제하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상구]
셰어웨어 : 기능 혹은 사용 기간에 제한을 두어 배포하는 것으로, 정식 프로그램의 구입을 유도하기위해 배포하는 버전 [해설작성자 : 1번에 붙고파]
1.주문형 소프트웨어: 설치없이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 접속해서 사용 3.쉐어웨어: 정식프로그램 구입 유도 4.프리웨어:기간,기능제한 없이 누구나 사용가능 [해설작성자 : 당일치기7번째]
주문형 소프트웨어는 2가지로 구분되며 영문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① 주문형 소프트웨어(Customized software) : 특정 조직이나 개인에 의해 사용될 목적으로 설계된 소프트웨어 ※ 주문형 소프트웨어(Software on Demand) : 컴퓨터 등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하여 FTP(File Transfer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파일을 주거나 받을 수 있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2.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TP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파일의 삭제 및 이름 바꾸기 등을 할 수 있다.
3.
Anonymous FTP는 FTP 서버에 계정이 없는 익명의 사용자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4.
그림, 동영상, 실행 파일, 압축 파일 등은 ASCII 모드로 전송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FTP를 이용하여 파일의 전송(업로드)과 수신(다운로드), 삭제, 이름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Anonymous FTP(익명 FTP):Anonymous란 '이름이 없다'는 뜻으로서,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FTP서비스이다. -Binary모드: 그림파일, 동영상파일, 압축된 형태의 파일 전송(텍스트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전송) ASCII모드: 텍스트파일 전송 -FTP의 기본적인 포트번호는 21번이나 다른 번호로 변경 가능 [해설작성자 : 컴활이제그만하자]
정답 4번 기본적으로 그림파일은 Binary모드로 텍스트 파일은 ASCII모드로 전송함 [해설작성자 : 하기시러그래도해야대]
다음 중 컴퓨터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장치는?
1.
레지스터(register)
2.
인터럽트(interrupt)
3.
콘솔(console)
4.
채널(channel)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레지스터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값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 중인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 채널 : CPU 대신 입 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CPU와 입 출력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 콘솔 : 표준 입력, 출력장치 [해설작성자 : ㅇㅇ]
채널 :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 속도 차이 해결 캐시메모리 : CPU와 주기억장치 속도 차이 해결 [해설작성자 : 랴미]
다음 중 스마트폰을 모뎀처럼 활용하는 방법으로,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IT 기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1.
와이파이(WiFi)
2.
블루투스(Bluetooth)
3.
테더링(Tethering)
4.
와이브로(WiBro)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위피 : 이동 통신 업체들 간에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하여 국가적 낭비를 줄이자는 목적으로 추진된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램폼 블루투스 : 근거리 무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신 기술 테더링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술로, 노트북과 같은 IT기기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음. 와이브로 : 무선광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폰, 노트북,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 [해설작성자 : 컴활 화이또이또이]
다음 중 Windows에서 [방화벽]이 수행하는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한다.
2.
특정 연결 요청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의 허가를 요청한다.
3.
사용자가 원할 경우 기록을 만들어 컴퓨터에 대해 성공한 연결 시도와 실패한 연결 시도를 기록한다.
4.
위험한 첨부 파일이 있는 전자 메일을 사용자가 열지 못하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방화벽이라고해서 위험한 첨부 파일인지 아닌지는 알수 없습니다. 방화벽이란 외부로부터의 불법 침입을 탐지, 차단 하는것입니다. 위험한, 즉 바이러스가 포함된 파일인지는 백신의 실시간 감시 기능 또는 검사 기능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터학원 남쌤]
아래 워크시트에서 일자[A2:A7], 제품명[B2:B7], 수량[C2:C7], [A9:C13] 영역을 이용하여 금액[D2:D7]을 배열수식으로 계산하고자 한다. 다음 중 [D2] 셀에 입력된 수식으로 옳은 것은? (단, 금액은 단가*수량으로 계산하며, 단가는 [A9:C13] 영역을 참조하여 구함)
3차원 차트에 추세선을 표시하기 위해 2차원 차트를 작성하여 추세선을 추가한 뒤에 3차원으로 변환한다.
3.
지수, 선형, 로그 등 3가지 추세선 유형이 있다.
4.
모든 종류의 차트에 추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지수,선형,로그,다항식,거듭제곱,이동평균 총6개의 추세선 유형이 있다. 4.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는 차트- 3차원,방사형, 원형, 표면형, 도넛형 [해설작성자 : 두부엄마]
1.추세선은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 2.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된다. ->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됩니다. 3.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로그,다항식,거듭제곱,지수,이동 평균 총 6가지가 있다. 4.3차원,방사형,원형,도넛형,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컴활어렵데이]
추세선의 6가지 종류 지(지수)선(선형) 아 로(로그)다(다항식) 랑 이(이동평균)거(거듭제곱)했어? 로 외우면 쉬움 [해설작성자 : 낼모래시험인26또닌]
윤곽 기호를 설정하면 그룹의 요약 정보만 또는 필요한 그룹의 데이터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그룹별로 요약된 데이터에서 [윤곽 지우기]를 실행하면 설정된 윤곽 기호와 함께 윤곽 설정에 사용된 요약 정보도 함께 제거된다.
3.
[부분합]을 실행하면 각 정보 행 그룹의 바로 아래나 위에 요약 행이 삽입되고, 윤곽이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4.
그룹화하여 요약하려는 데이터 목록이 있는 경우 데이터에 최대 8개 수준의 윤곽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한 수준은 각 그룹에 해당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번 보기가 틀린 이유 : 윤곽 지우기를 실행하면 설정된 윤곽 기호만 지워집니다. 윤곽 설정에 사용된 요약 정보가 같이 지워지는건 아니구요, 윤곽은 부분합을 만들면 자동으로 만들어지는건데, 부분합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그룹해제 - 윤곽 지우기 를 클릭하면 윤곽만 지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에서 [B1:B3] 영역의 문자열을 [B4] 셀에 목록으로 표시하여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으로 옳은 것은?
1.
<Tab> + <↓>
2.
<Shift> + <↓>
3.
<Ctrl> + <↓>
4.
<Alt> + <↓>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 셀의 영역 넓히기 [해설작성자 : 어려워 죽겠네]
<Ctrl> + <↓> : 표 또는 표 형태로 글자들이 연속된 곳에서는 표 또는 글자의 맨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아래쪽에 표 또는 연속한 글자들이 없을 경우 시트의 맨 마지막으로 이동합니다. 두가지 기능이 있으니 주의 하셔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문제 해설> 4. search는 서치(간단히 둘러본다-> 대소문자 구분 X) find는 찾아라!(반드시 찾아라 -> 대소문자 구분 O) [해설작성자 : 하예린맘]
[추가 해설] ※ 1번 보기 =FIXED(3456.789,1,FALSE) → 3,456.8)
- FIXED 함수의 인수가 다음과 같습니다.
※ 함수 형태 =FIXED(Number, Decimals, No_commas) =FIXED(인수, 소수 이하 자릿수, 논리값)
위에 수식에서 소수 이하 자릿수 자리에 1을 넣었는데 1을 넣으면 소수 첫째자리까지 나타내라는 의미가 됩니다. 소수 첫째자리로 나타날때 소수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이 되는거죠.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하고서 첫째 자리로 나타내게 되니까 결과가 3,456.8 로 나오게 되는겁니다. 또한 논리값에 false를 넣었는데
false를 넣으면 콤마를 표시를 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3456 부분에서 콤마가 붙은거구요, true로 적게 되면 콤마가 붙지 않습니다.
※ 2번 보기 =EOMONTH(DATE(2015,2,25),1) → 2015-03-31
EOMONTH 함수 형식이 다음과 같습니다.
※ 함수 형태 =EOMONTH(Start_date (날짜), Months(개월수))
DATE 함수는 년, 월, 일로 해서 날짜 형태로 반환을 해주는 함수입니다.
※ DATE 함수 형태 =DATE(년, 월, 일)
DATE(2015,2,25) 이렇게 적으면은 2015년 2월 25일이 나오구요, 그리고 EOMONTH 함수에서 DATE 함수 적은 수식이 날짜에 들어가고 개월수 자리에는 1로 했는데요. 1개월 후 마지막 날짜를 반환합니다. 1개월 후면 3월 25일이 되는데 3월달의 마지막 날짜를 반환을 하게 되므로 결과값은 42094가 됩니다.
42094는 날짜의 일련번호 이며, 표시형식을 간단한 날짜로 바꾸게 되면 2015-03-31로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결과가 2015-03-31로 나오는 것입니다.
※ 3번 보기 =CHOOSE(ROW(A3:A6), “동”, “서”, “남”,2015) →남
ROW(A3:A6) <-- 여기에서 볼때 첫행만 보시면 되는데요. 첫행이 3행입니다. A3 값의 ROW(행) 값이 3 입니다.
CHOOSE 함수는 형식이 다음과 같습니다.
※ 함수 형태 =CHOOSE(인덱스 번호, 값1, 값2, 값3, ...)
수식을 간추려서 쓰면은 =CHOOSE(3, “동”, “서”, “남”, "북") 이렇게 되는겁니다. 따라서 CHOOSE 함수의 인덱스 번호가 3이기 때문에 값3 (3번째) 에 해당하는 것을 불러오니까 남 을 불러오게 됩니다.
※ 4번 보기 =REPLACE("February", SEARCH("U", "Seoul-Unesco"), 5, "") → 결과 : Feb
SEARCH 함수는 찾으려고 하는 대상의 텍스트가 몇 번째 글자에 위치에 있는지 그 글자 위치를 반환을 해주는 함수이며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고 찾아줍니다.
※ SEARCH 함수 형태 =SEARCH(Find_text(찾을값), Within_text(텍스트), Start_num(검색 시작위치))
SEARCH("U","Seoul-Unesco") 이 수식을 해석해보면 U 라는 글자를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고 찾아주는데 Seoul-Unesco 여기에서 몇번째 글자에 위치해 있는지 찾으라는 의미입니다.
u라는 글자가 대소문자 가리지 않고서 찾아보면 4번째 자리에 u가 입력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EARCH 함수를 이용해서 적은 수식의 결과는 4가 됩니다.
Replace 함수는 셀주소로부터 시작위치번호부터 글자수만큼 변경한 후에 문자로 변경해서 표시해주는 함수입니다.
※ 함수 형태 = Replace(Old_text, Start_num, Num_chars, New_text) = Replace(셀값, 시작위치번호, 글자수, 변경후문자)
SEARCH 함수의 결과가 4였으니까 수식을 간추려서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EPLACE("February", 4, 5, "")
February 라는 텍스트에서 4번째 위치부터 5글자를 공백 (" ")으로 바꾸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여기서 공백 (" ") 은 글자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4번째 글자인 r부터 시작해서 5글자를 모두 공백(" ") 으로 바꾸면 남는건 Feb만 남습니다.
그래서 이 문제의 정답은 4번이 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보기 1번>> =FIXED(3456.789,1,FALSE) → 3,456.8 (1) FIXED(인수, 자릿수, 논리값) •인수를 반올림하여 지정된 자릿 수까지 텍스트로 표시 •논리값이 TRUE이면 쉼표(천단위 구분하는 쉼표)를 포함하지 않고, FALSE이거나 생략되면 텍스트에 쉼표가 포함됨 •자릿수가 지정되지 않으면 2로 인식됨
<<보기 2번>> =EOMONTH(DATE(2015,2,25),1) → 2015-03-31 (1) DATE(연, 월, 일) 연, 월, 일에 대한 일련번호를 구함(기준 1900년 1월 1일) (2) EOMONTH(날짜, 월수) •지정한 날짜를 기준으로 몇 개월 이전 또는 이후 달의 마지막 날짜의 일련번호를 구함 •월수가 양수이면 이후 날짜를, 음수이면이전날짜를대상으로구함
<<보기 3번>> =CHOOSE(ROW(A3:A6), "동","서","남","북") → 남 (1)ROW(셀) : 주어진 셀의 행 번호를 구함 (2)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 인수가 1이면 첫 번 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입력함
<<보기 4번>> =REPLACE("February", SEARCH("U", "Seoul-Unesco"), 5,"") → Febru (1) SEARCH(텍스트1, 텍스트2, 시작 위치) / SEARCHB(텍스트1, 텍스트2, 시작 위치) •텍스트2에서 시작 위치부터 텍스트1을 찾아 위치를 표시함 •SEARCH는 각각의 문자를 항상 한 글자로 계산하고, SEARCHB 는 숫자와 영어는 한 글자, 한글과 특수문자 등은 두 글자로 계 산함 •대/소문자를 구분할 수 없고, 와일드카드(*,?) 문자를 사용할 수 있음 (2) REPLACE(텍스트1, 시작 위치, 개수, 텍스트2) : 텍스트1의 시작 위치에서 개수로 지정된 문자를 텍스트2로 변경 [해설작성자 : 김찰떡]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는 '간격너비' 옵션을 현재 값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한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3.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 하였다.
4.
레이블의 위치를 '바깥쪽 끝에'로 설정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쳐 보이도록 '계열 겹치기' 옵션을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값은 -100~ 100까지 가능하며옵션을 음수(-) 로 할수록 간격이 넓어지고 양수(+)로 할수록 겹쳐진다 [해설작성자 : 언더커버]
[추가 해설] - 차트 제목은 사원별 호봉 입니다. - 세로 축 서식의 값은 최대값이 40, 최소값은 0, 주 단위는 10 입니다. - 호봉 계열과 근속년수 계열의 데이터 레이블 이 바깥쪽 끝에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차트의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였습니다.
- 차트 계열 겹치기 (데이터 표식 항목) 의 경우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값 즉, 음수값으로 설정하면은 차트 계열 간격이 벌어지며, 계열 겹치기 값을 양수로 설정을 하면 차트 계열의 간격이 겹쳐집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 C3:C9 범위에서 G3 하고 같은 것을 찾아서 조건에 맞으면 1을 수행을 해서 개수를 세어주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일반 함수인 COUNTIF 함수를 이용을 해서 구한다면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습니다.
※ COUNTIF 함수 형태 =COUNTIF(조건범위, 조건)
=COUNTIF($C$3:$C$9, G3)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DSUM(데이터 범위, 필드명 or 열 번호, 조건범위) : 해당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에서 합계를 계산함 [참고] 데이터베이스 함수(dsum, dcount, dcounta, daverage, dmax, dmin 등)는 전부 다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 데이터범위와 조건범위가 반드시 설정되어 있어야 함. [해설작성자 : 김찰떡]
다음 중 셀에 입력된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 표시형식을 설정한 후의 표시 결과로 옳은 것은?
1.
0.25 → 0#.#% → 0.25%
2.
0.57 → #.# → 0.6
3.
90.86 → #,##0.0 → 90.9
4.
100 → #,###;@"점" → 100점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1번 보기 0.25를 0#.#%로 적용을 하면 25.%로 나옵니다. 백분율(%) 표시는 숫자에 100을 곱한 후에 %를 표시를 하거든요.
우선 0.25 에 다가 100을 곱하면 25가 되구요. 25는 정수부에 들어갑니다.(0# 여기에 해당) 그리고 소수점 부분을 보시면 .# 이 부분인데 출력이 되는게 25. 로 출력이 됩니다.
#은 의미없는 자리는 0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25. 으로 나오는 것이고 여기에 다가 % 기호가 붙으니까 25.%로 나오게 되는겁니다.
※ 2번 보기 0.57 를 #.#로 적용을 하면 .6 으로 나옵니다. 이 경우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시를 하는것인데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합니다.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해서 첫째 자리까지 표현해주니까 소수 첫째 자리는 6이 되구요. 정수부에는 #이 들어가서 0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6 으로 나오는거에요.
만약에 0.6 형태로 결과가 나오게 할려면 0.# 으로 써야합니다. 0.# 이렇게 쓰면은 0.6 으로 나옵니다. 이 때 0은 0을 표시를 합니다.
※ 3번 보기 (정답) 90.86 을 #,##0.0 이렇게 사용을 해서 표현을 하면 결과는 90.9 가 나옵니다. 소수점을 기준으로 앞에 있는 #,##0 요건 천단위 구분 기호인데요. 정수부는 숫자가 세글자를 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90이 나옵니다.그리고 소수점 뒤에는 0을 표시를 했어요. 0은 유효하지 않은 자리도 0을 표시를 해줍니다.
또한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하여 첫째 자리까지 나타내주기 때문에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서 첫째 자리까지 나타내주고 없어지니까 소수 첫째 자리는 9가 됩니다. 따라서 최종결과가 90.9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4번 보기 -> 100 을 #,###;@"점" 으로 표현을 하게 되면 결과는 100 이 나옵니다. #,###;@"점" 이 서식은 셀값이 숫자이면 천단위 구분 기호로 표현을 하구요, 셀값이 문자인 경우는 문자 뒤에 점을 붙이라는 겁니다.
<문제 해설> 시나리오: 다양한 상황과 변수에 따른 여러가지 결과값의 변화를 가상의 상황을 통해 예측하여 분석하는 도구 -변경 셀에는 데이터를 변경할 셀의 범위를 지정하고, 결과 셀은 반드시 변경 셀을 참조하는 수식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시나리오의 결과는 요약보고서나 피벗테이블보고서로 작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를 작성하면 현재 작성하는 시트 앞에 새 워크시트를 삽입하고 그 시트에 시나리오 보고서를 표시. -시나리오 병합을 통해 다른 통합 문서나 다른 워크시트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가져올수 있다.(통합X 병합O) -'시나리오 관리자' 대화상자에서 시나리오를 삭제해도 이미 작성된 시나리오 요약보고서는 삭제되지 않고, 시나리오 요약보고서를 삭제해도 시나리오는 삭제되지 않는다. -'변경 셀'과 '결과 셀'에 이름을 지정한 후 시나리오 요약보고서를 작성하면 셀 주소 대신 지정한 이름이 표시.
시나리오 관리자-요약:시나리오를 보고서로 작성 -보고서의 종류와 결과셀을 지정 -보고서의 종류에는 시나리오 요약과 시나리오 피벗테이블보고서가 있음. -결과 셀에는 변경 셀을 참조하는 수식으로 입력되어 있는 셀을 지정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경기대체대생]
※ 시나리오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워크시트에 저장되며, 변경할 값을 자동으로 입력한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입력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얕은물]
다음 중 폼이나 보고서의 특정 컨트롤에서 '=[단가]*[수량]*(1-[할인률])'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하고, 계산 결과를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 해야 할 함수는?
1.
Str( )
2.
Val( )
3.
Format( )
4.
DLookUp( )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Str: 입력한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 2.Val: 입력한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 4.DLookUp: 조건에 만족하는 필드값을 구한다 [해설작성자 : 두부엄마]
[추가 해설] 엑셀에서는 TEXT 함수가 있다면 엑세스에서는 Format 함수가 있습니다. Format 함수로 이용하여 계산식 사용을 한 뒤에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시를 한다고 하면 컨트롤 속성 시트 에서 컨트롤 원본에 다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조 무결성은 참조하고 참조되는 테이블 간의 참조 관계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2.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 즉, 외래 키 값이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 삭제 시에는 참조 무결성이 위배될 수 있다.
3.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레코드 추가 시 외래 키 값이 널(Null)인 경우에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된다.
4.
다른 테이블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다른 테이블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기본키 값이 있는테이블) 레코드 삭제시에 참조무결성 위배되지만 외래키값이 있는 테이블은 레코드삭제해도 상관없음, 참조무결성 유지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코 앞]
[추가 해설] - 참조무결성은 외래키하고 관련이 있습니다. - 참조무결성은 참조하고 참조되는 (부모테이블과 자식테이블 간) 테이블 간 관계가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경우 기본키 값이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 삭제 시에는 참조 무결성이 위배될 수 있습니다.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는 삭제하면 안됩니다. 외래키 값이 있는 것들은 상관없습니다.
-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의 레코드 추가 시 외래 키 값이 널(Null)인 경우에는 유지됩니다. 참조무결성은 널(Null) 이 와도 상관없습니다.
- 다른 테이블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는 참조 무결성이 유지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문제 해설> 기본키는 주 키, 또는 ,프라이머리키라고 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조(레코드)의 식별자로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을 관계(테이블)마다 한 설계자에 의해 선택, 정의된 후보 키를 말한다. 위 보기 중 옳은 것은 3번 데이터가 이미 입력된 필드도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이다 [해설작성자 : 축복월드]
3번에 추가하자면, 데이터가 이미 입력된 필드도 기본키로 지정할 수 있지만 중복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4번에, OLE개체나 첨부파일 형식의 필드에는 기본키를 설정할 수 없고 메모 형식 또한 기본키를 설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싱어송라이돌 정세운]
[추가 해설] - 기본키는 개체무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 기본키는 주키, 주식별자, Primary Key 라고도 불립니다. - 기본키는 후보키 들 중에서 특별하게 선정이 된 키를 의미하구요, 꼭 모든 테이블에 기본키를 반드시 설정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데이터가 이미 입력된 필드도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의 레코드 값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본키를 2개 이상 지정을 하여 복합키(Composit Key) 로 구성하여 지정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 OLE 개체나 첨부 파일 형식의 필드, 메모 형식에는 기본키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직원(사원번호, 부서명, 이름, 나이, 근무년수, 급여) 테이블에서 '근무년수'가 3 이상인 직원들을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조회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 차순으로 모든 필드를 표시하는 SQL문은?
1.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급여
2.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급여 where 근무 년수 >= 3
3.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where 근무년수 >= 3
4.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 기본적으로 형식은 select - where - order by 형식이고 이 형식은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그럼 2,3번은 제외이고 오름차순,내림차순을 설정 안하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설정된다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면 위에서부터 많은 순서대로니 내림차순이 적용되는데 1번은 오름차순,내림차순 적용이 안돼있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 적용이다 그래서 1번도 제외이고 4번이 나이는 내림차순(desc), 급여는 오름차순이랬으니 오름차순(asc)으로 설정해주거나 생략할 수 있겠다. [해설작성자 : 언더커버]
select*: 모든 필드 검색 from 직원: 직원 테이블에서 검색 Where 근무년수 >= 3: 3년 이상 Order by 나이 desc(내림차순), 급여 asc(오름차순) [해설작성자 : 한번더 도전]
추가, 갱신, 삭제 등 작업 시의 이상(Anomaly)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규화 -테이블 조작 시 에트리뷰트들 간의 종속성 및 중복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상(Anomaly)라고 한다. 정규화는 이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하는 원칙을 공식화한 이론이다. -속성 수가 적은 릴레이션(테이블)로 분할하는 과정 -정규화를 수행해도 데이터의 중복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이해하기 쉽고 확장하기 쉽도록 테이블을 구성하며 무결성 제약 조건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문제 해설> Access에서 매크로란 테이블,쿼리,폼,보고서 등 엑세스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매크로:반복적인 작업 수행 시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능) [해설작성자 : 해설자]
액세스 4가지 개체 :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테이블 : 자료 저장소 / 쿼리 : 테이블을 기반으로 가공한 것 폼 : (쿼리와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 화면출력 보고서 : (폼이나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인쇄설계
2.-> 폼은 입출력 모두 가능하지만, 보고서는 출력만 가능하다. 3.-> 모듈 : 비주얼베이직 코드 //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닌 툴을 이용해서 제작한다. 단순한 작업은 매크로라는 툴을 이용해서 쉽게 작성 가능 / 복잡한 작업은 모듈(=비주얼베이직)을 사용해서 작성한다. 4.-> 레코드 : 행 / 필드 : 열 [해설작성자 : 이틀남음 ]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엑셀과 같은 외부 데이터, 매크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4.
컨트롤을 이용하지 않고도 보고서에 테이블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보고서 머리글 : 첫 페이지 상단에 한번 표시 , 보고서 바닥글 : 마지막 페이지 하단에 한번 표시 3.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4. 보고서는 폼과 동일하게 여러 유형의 컨트롤로 데이터를 표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낼셤합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