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6월07일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1.지도를 분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A 지점에서는 육안으로 B 지점을 볼 수 없다.
     2.매포천을 따라 인공 제방이 길게 축조되어 있다.
     3.C 지점에 떨어진 빗물은 북서쪽으로 흐를 것이다.
     4.대부분의 취락은 해발 고도 200m 이상에 분포한다.
     5.여천리와 하괴리는 행정구역상 다른 군(郡)에 속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지도 읽기
제시된 지도는 실제 1km가 2cm로 표시된 1:50,000 지도이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은 20m이며, A의 해발고도는 대략 350m로 B의 해발고도와 비슷하다. 그러나 A와 B 사이에는 360m보다 높은 능선과 380m가 조금 넘는 봉우리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A 지점에서 육안으로 B 지점을 볼 수는 없다.

오답피하기
② 지도에서 매포천 주변의 ‘+++++++ ’는 인공 제방이 아니라 철로 표시이다.
③ C 지점에는 남동쪽을 바라보는 사면에 골짜기가 발달해 있으므로 빗물이 C 지점에 떨어지게 되면 남동쪽으로 흐를 것이다.
④ 매포천 주변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취락은 해발고도 160m 내외의 고도를 나타내고 있다.
⑤ 여천리와 하괴리 사이의 행정 구역 경계 표시는 읍․면․동 경계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두 마을은 행정구역상 같은 군(郡)에 속한다.

2.지도에 나타난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1번 공통지문 문제)
     1.기반암의 주요 성분은 탄산칼슘이다.
     2.기반암은 고생대 후기에 형성된 퇴적암이다.
     3.‘못밭’이라 불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와지를 볼 수 있다.
     4.지하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지반 침하가 일어나기도 한다.
     5.불용성 물질인 철이 산화되어 적색을 띠는 토양을 볼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카르스트 지형이 분포하는 지역의 특색 이해
정답 해설: 제시된 지도의 지역에는 완만한 경사면 상에 저하등고선이 표시되어 있
는 곳이 많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지역은 석회암이 기반암을 이루고 있는 지역
이며, 돌리네와 우발라 등의 와지와 석회동굴 등의 지형이 발달해 있다. 석회암은
고생대의 조선누층군에 분포하며, 이 지층은 고생대 전기에 형성되었다.
오답피하기
① 석회암은 산호, 조개껍데기 등이 바다 밑에 가라앉아 형성된 퇴적암으로 탄산칼
슘이 주성분이다.
③ ‘못밭’이라 불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와지를 돌리네라고 한다. 석회암의 용식 작용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지하수에 의해 석회암이 용식되면 ④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경우 동굴이 형성 되기도 하지만, 어떤 곳은 지반 침하가 일어나기도 한다.
⑤ 석회암이 용식 작용을 받으면 탄산칼슘 성분이 제거되고 규산과 철, 알루미늄의 산화물이나 점토 광물 같은 불용성 불순물은 제자리에 남게 되는데, 특히 철과 알루미늄의 산화물이 적색을 띠기 때문에 토양의 색깔은 적색이다.

3.다음은 학생이 정리한 수업 노트의 일부이다. (가)~(라)에 들어갈 옳은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기후 요인과 기후 요소의 관계 파악
ㄱ. 위도는 기온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기후 요인이다. 저위도 지방은 고위도 지방에 비해 기온이 높다. 대구는 원주보다 저위도에 위치하여 기온이 높다. 최난월이든, 최한월이든, 연평균 기온이든 모두 높다.
ㄴ. 초여름에 영서 지방에 부는 북동풍은 태백 산맥을 넘어 푄 현상으로 인해 기온이 높고 건조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요인은 태백 산맥의 존재, 즉 지형적 요인이다.

오답피하기
ㄷ. 한라산 정상이 제주도 해안에 비해 기온이 낮은 것은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이다.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진다.
ㄹ. 인천이 강릉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큰 것은 해양의 영향을 강릉보다 덜 받기때문이다. 즉, 수륙 분포라는 기후 요인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4.다음은 한국 지리 수업 장면이다. (가)~(다) 지역의 상대적 특성을 그림에서 고른 것은? (순서대로 가, 나, 다)

   

     1.A, F, H
     2.B, D, I
     3.E, C, G
     4.H, F, A
     5.I, E, A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마라도, 독도, 백두산의 특징 이해
제시된 내용으로 보아 (가)는 마라도, (나)는 독도, (다)는 백두산이다. 백두산의 최고봉은 해발고도가 2,744m이며, 독도의 최고봉은 약 168m, 마라도는 가장 높은 곳이라도 40m를 넘지 못한다. 따라서 최고봉의 해발고도는 (다)>(나)>(가) 순이다. 한편, 백두산은 중국과 국경을 이루고 있는 곳이므로 인접국 영토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다. 독도와 마라도 모두 중국보다는 일본이 더 가까운데, 독도는 일본 영토와의 거리가 157km 정도, 마라도는 일본 영토와의 거리가 약 220km 정도로 독도가 더 가깝다. 따라서 인접국 영토와의 최단 거리는 (다)가 가장 가깝고, 마라도가 가장 멀다. 따라서, 최고봉의 해발고도와 인접국 영토와의 최단 거리를 모두 옳게 표현한 것은 (가)는 I, (나)는 E, (다)는 A이다.

5.(가), (나)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후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기온 역전 현상과 열섬 현상의 이해
ㄱ. (가)는 기온 역전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기온 역전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곳은 지표면 부근의 기온이 낮은 때가 잦기 때문에 안개나 서리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대기를 강제로 순환시켜야 한다. 녹차밭에 설치된 바람개비는 공기가 잘 순환되도록 돕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기온 역전 현상이 주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ㄷ. (나)는 도심의 열섬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 바람길을 조성하여 바람이 잘 통하면 기온이 낮아져 열섬 현상이 완화된다.

오답피하기
ㄴ. 밭이랑을 지표면 경사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만들어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등고선 경작이라 한다. 이는 강수시 사면에서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경작 방법이다.
ㄹ. 하천을 복개하여 도로나 주차장을 건설하여 지표면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피복 비율을 높이면 열섬 현상이 더 심화된다.

6.다음은 (가), (나) 지역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 전통 가옥에 대한 수업 장면이다. (가)와 비교한 (나)의 상대적 기후 특성으로 옳은 것을 그래프의 A~E에서 고른 것은?

   

     1.A
     2.B
     3.C
     4.D
     5.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관북 지방과 제주도의 기후 특징 비교
(가)는 겹집 구조를 지니고 있고 정주간이 발달한 관북형 가옥, (나)는 아궁이가 방쪽으로 되어 있지 않고 상방이 발달한 제주형 가옥을 나타낸 것이다. 관북 지방에 비해 제주도는 최난월 평균 기온이 높으며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을 나타내는 무상일수가 많다. 제주도의 기온의 연교차는 관북 지방에 비해 작은 편이다. 제시된 그래프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잘 나타낸 것은 B이다.

7.그래프는 A~C 각 지점의 연강수량에 대한 월강수량의 비율을 누적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각 지점을 지도에서 고른 것은? (순서대로 A, B, C) [3점]

   

     1.ㄱ, ㄷ, ㄴ
     2.ㄴ, ㄱ, ㄷ
     3.ㄴ, ㄷ, ㄱ
     4.ㄷ, ㄱ, ㄴ
     5.ㄷ, ㄴ, ㄱ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지역별 강수량 분포 특징 이해
그래프는 연강수량에 대한 월강수량의 비율을 누적하여 나타낸 것이므로 B는 월별 강수량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지역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보이는 곳은 지도에서 해양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ㄷ이다. 한편, A와 C를 비교해 보면, A보다는 C가 월별 강수량 편차가 크다. 이는 A가 C보다 해양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C는 대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는 동해안에 위치한 ㄴ, C는 내륙에 위치한 ㄱ에 해당한다.

8.다음 자료는 산지를 상대적 특성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A, B 산지의 사례로 옳은 것은?

   

     1.
     2.
     3.
     4.
     5.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흙산과 돌산의 특징 비교
주로 변성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토양층이 두꺼운 산을 나타내고 있는 A는 흙산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흙산으로는 지리산, 덕유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B는 화강암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암괴석이 많은 산을 나타내고 있는 B는 돌산이다. 돌산은 설악산을 비롯하여 관악산, 월악산 등 ‘악’자가 붙은 산과 북한산, 금강산 등의 산이 해당된다. 따라서, A는 지리산, B는 금강산으로 연결한 것이 옳다.

9.지도의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A는 파랑에 의한 침식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2.B는 조류의 퇴적 작용으로 인해 형성되었다.
     3.C는 주로 파랑 에너지가 분산되는 곳에 입지한다.
     4.D는 주로 하천에서 공급된 퇴적 물질로 이루어졌다.
     5.퇴적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B가 D보다 작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해안 지형의 특징 파악
지도의 A는 암석 해안, B는 갯벌, C는 염전, D는 사빈을 나타낸 것이다. D의 주변 지역은 사빈이 발달할 정도로 모래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하천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다. 이 지역에 발달한 사빈은 주로 인근의 암석이 풍화된 후 파랑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오답피하기
①는 암석 해안으로 해식애 파식대 등의 침식 지형이 발달해 있는 곳이다. 이러한 지형은 파랑에 의한 침식의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② B는 갯벌이다. 조류에 의해 미립물질이 퇴적된 지형이다.
③ C는 염전으로 파랑 에너지가 작아 파랑에 의한 염전의 피해로부터 벗어난 지역에 주로 입지한다.
⑤ 갯벌은 주로 미립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로 이루어진 사빈보다 퇴적 물질의 입자 크기가 작다.

10.(가), (나) 지점의 유람선 출항 시각 중 운항 시간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단, 주어진 조건만 고려함.) [3점]

    

     1.
     2.
     3.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감조하천과 수운의 관계 파악
지도의 (가), (나) 두 지점은 모두 감조권 내에 있다. 따라서 두 지역을 연결하는 항로는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만조 시각 이후 간조 시각까지는 썰물, 반대로 간조 시각 이후 만조 시각까지는 밀물이 나타난다. 제시된 조석표를 보면, 썰물 때는 01:00~07:00, 13:00~19:00 이며, 밀물 때는 07:00~13:00, 19:00~01:00이다. (가)에서 출항하여 (나)로 향할 때는 하천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밀물 때가 운항 시간이 짧다. 따라서, (가)에서 출항하여 (나)로 가는 운항 시간이 짧은 시간대는 ②와 ③에 옳게 제시되었다. 한편, (나)에서 출항하여 (가)로 향할 때에는 상류 쪽에서 하류 쪽으로 가는 것이므로 썰물 때에 운항 시간이 훨씬 더 짧다. 그러므로 (나)에서 (가)로의 운항 시간이 짧은 시간대는 ③에 바르게 제시되었다.

11.다음 글은 하천의 구간별 퇴적 지형에 대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ㄱ)은 주로 굵은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졌다.
     2.(ㄴ)에서는 하천이 복류하는 경우가 많다.
     3.(ㄷ)은 낙동강 하구에서 볼 수 있다.
     4.(ㄹ)에는 주로 점토를 비롯한 미립 물질이 퇴적되어 있다.
     5.우리나라에서는 범람원에 비해 (ㄱ)과 (ㄷ)을 쉽게 볼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선상지와 삼각주의 지형적 특징 이해
선상지는 유속의 급변점이 잘 나타나는 곳에서 주로 발달하기 때문에 산지 사면의 경사가 완만한 우리나라에서는 유속 급변점이 적어 선상지 발달이 미약하다. 삼각주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큰 곳에서는 잘 발달하지 않는다. 썰물 때 하구에 퇴적된 물질들이 바다로 쓸려나가 퇴적층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집중 호우시 범람으로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범람원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충적 평야 유형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과 ㉢을 범람원보다 더 쉽게 볼 수 있다는 진술은 옳지 않다.

오답피하기
① ㉠은 상류 쪽에 발달한 부채꼴 모양의 지형인 선상지이다. 선상지는 상류 쪽의 유속이 급변하는 곳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퇴적 물질의 입자 크기가 커 주로 자갈과 굵은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② 이러한 선상지의 특징으로 인해 물이 지하로 잘 스며들어서 ㉡ 즉, 선상지의 중앙부에서는 하천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복류하는 경우가 많다.
③ ㉢은 하구에 발달한 퇴적 지형인 삼각주이다. 삼각주는 낙동강 하구, 압록강 하구 등에서 발달해 있다.
④ 삼각주의 저지대인 ㉣은 배후습지의 성격을 띠는 곳이기 때문에 점토를 비롯한 미립물질이 퇴적되어 있다.

12.그래프는 1차 에너지원별 소비량과 발전량의 비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A~C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단, 석유, 원자력, 천연 가스만 고려함.) [3점]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에너지원별 소비량과 발전량 비중의 변화 경향 파악
ㄱ. A는 소비량 비중이 B, C에 비해 크고 최근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며, 발전량 비중은 점점 작아져 2010년 현재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에너지원은 석유, 원자력, 천연 가스 중 석유이다. 석유는 가정용 보다는 산업용이나 운송용으로 사용되는 비중이 높다. 가정용 연료로는 천연 가스가 많이 쓰인다.
ㄷ. C는 소비량 비중은 석유, 석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가 최근 B에 의해 추월당해 소비량 비중 4위에 해당하며, 발전량 비중은 2000년대 중반까지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가 최근 그 비중이 감소한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대량의 냉각수가 필요하고 이를 배수시켜야 하기 때문에 해안에 주로 입지하는 경향이다.

오답피하기
ㄴ. 천연 가스는 울산 부근의 동해 가스전에서 채굴된 것을 미량이나마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량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은 아니다.
ㄹ. A는 석유이므로 화석 연료이다. 화석 연료는 동ㆍ식물이 오랫동안의 탄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연료로서 석탄, 석유, 천연 가스가 대표적이다. 원자력은 화석 연료로 볼 수 없다.

13.A~C 교통 수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교통 수단별 특징 이해
A는 국내 화물 수송 분담률이 2위인 해운이며, B는 국내 화물 수송과 여객 수송 분담률이 모두 1위인 도로, C는 국내 화물 수송 분담률이 3위인 철도이다.
ㄱ. 기종점 비용은 터미널 유지비 등 기점과 종점에서 드는 비용으로 해운>철도>도로, 즉 A>C>B 순이다.
ㄴ. 주행 비용은 연료비와 관련되므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비용이다. 주행 비용 증가율은 도로>철도>해운, 즉 B>C<A 순으
로 나타난다.

오답피하기
ㄷ. 문전 연결성이 좋은 교통 수단은 기동성이 좋은 도로 교통이다. 해운, 즉 A는 문전 연결성이 도로, 철도, 해운 중 가장 미흡하다.
ㄹ. 기상에 따른 운행의 제약은 해운, 즉 A가 가장 크다. 철도, 즉 C는 기상에 따른 운행의 제약이 가장 작아 안정성이 가장 뛰어나다.

14.그래프는 주요 신·재생 에너지의 시도별 발전량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가)~(다)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단, 수력, 조력, 태양광, 풍력만 고려함.)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신ㆍ재생 에너지의 지역 분포 특징 이해
강원도와 충북은 한강의 중ㆍ상류 유역에 위치한 지역으로 수력 발전의 비중이 높다. 따라서, (가)는 수력이다. 전남은 우리나라에서 일조량이 가장 큰 지역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전남에서는 태양광 발전소가 많이 건설되어 있다. 이를 고려하면 (나)는 태양광이다. 강원도의 대관령 일대, 영덕 등의 경북 지역, 제주도 등에서 볼 수 있는 신ㆍ재생 에너지는 풍력이다. 따라서, (다)는 풍력이다. ㄴ.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일조 시수가 긴 곳이 유리하다.
ㄹ.수력, 태양광, 풍력 중 현재 발전량이 가장 많은 것은 단연 수력이다.

오답피하기
ㄱ. 수력 발전소의 입지 선정 과정에서는 물의 낙차를 크게 얻을 수 있는가, 댐 건설이 가능할 만큼 골짜기의 폭이 좁은가, 물을 담아둘 수 있는 면적이 충분한가 등이 주로 고려되며 풍속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ㄷ. 물을 가두어 낙차를 이용하는 방식은 수력 발전이다.

15.그래프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시ㆍ군별 인구 증감의 이해
ㄴ. C의 경우 자연적 증감은 5천 명 미만인데 비해 사회적 증감은 1만명 이상이므로 인구의 사회적 증가가 자연적 증가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ㄷ. D와 E는 사회적 증감의 경우 모두 약 7천 명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자연적 증감의 경우 E는 +값 즉 자연적으로 인구가 증가한 반면, D는 -값을 갖고 있으므로 자연적으로도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D는 E보다 인구가 더 많이 감소한 것이다.

오답피하기
ㄱ. A는 자연적으로 2만 2천 명 정도 증가, 사회적으로 1만 3천 명 정도 증가한것으로 보면 A의 총 인구 증가는 3만 5천 명 정도이다. B는 자연적으로는 약 6천명, 사회적으로는 4만 5천 명 정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B의 총 인구 증가는 5만 명을 넘는다. 그러므로 A보다 B가 더 많이 인구가 증가하였다.
ㄹ. 자연적 증감은 ‘출생자수-사망자수’, 사회적 증감은 ‘전입자수-전출자수’이다. 자연적 증감이 +값인 지역 중 E는 사회적 증감에서는 -값을 갖고 있어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더 많다.

16.지도는 A~C 공업의 출하액 기준 상위 5개 시도의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각 공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석유화학, 섬유, 자동차, 제철, 조선만 고려함.)[ 3점]

    

     1.A는 B보다 최종 완제품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다.
     2.A는 C보다 생산 과정에서 전후방 연계가 활발하다.
     3.B는 A보다 전체 생산에서 주문 생산 비중이 높다.
     4.B는 C보다 최종 완제품의 국내 소비 비중이 낮다.
     5.C는 B보다 사업체당 종사자 수와 출하액이 많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주요 공업의 특징 이해
A는 울산, 경기, 충남, 인천, 전북의 비중이 높은 공업으로 자동차 공업이다. B는 경남, 울산, 전남, 부산, 전북의 비중이 높은 조선 공업이다. C는 경기, 경북, 대구, 서울 등의 비중이 높은 섬유 공업이다. 섬유 공업은 소규모 사업체가 많고 부가 가치가 작은 반면, 조선 공업은 대규모 사업체가 많아 사업체당 종사자 수가 많으며, 부가 가치가 크고 출하액이 많다.

오답피하기
① 자동차와 조선을 비교해 보면, 최종 완제품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것은 자동차 즉, A이다.
② 자동차는 생산 과정에서 전방 연계와 후방 연계가 다 좋은 산업이다.
③ 조선 공업은 주문 생산 비율이 매우 높다.
④ 조선 공업은 해외 주문 비율이 높아 최종 완제품의 국내 소비 비중이 낮다.

17.그래프는 시도별 대형 종합 소매업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시도별 대형 종합 소매업 현황의 이해
ㄱ. 그래프에서 서울의 대형 마트 비율은 20%보다 조금 낮으므로 서울의 대형 마트 수는 442개×0.2 즉, 84개보다 조금 적을 것이다. 반면, 백화점 비율은 30% 이므로 83개×0.3 즉, 약 25개 이다. 그러므로 서울은 대형 마트 수가 백화점 수보다 훨씬 더 많다. ㄷ. 대형 마트의 시도별 비중의 최대 격차는 경기의 25%에서 제주의 약 2%를 뺀 23% 정도이며, 백화점의 시도별 비중의 최대 격차는 서울의 30%에서 제주의 0%를 뺀 30% 정도이므로 백화점의 시도별 비중의 최대 격차가 대형 마트보다 더 크다.

오답피하기
ㄴ. 수도권 비중은 서울, 경기, 인천의 비중을 합해야 하는데, 백화점과 대형 마트 각각의 수도권 비중은 모두두 60% 미만이다.
ㄹ. 백화점의 비중이 높은 시도에서 대체로 대형 마트의 비중도 높은 편이다.

18.(가)~(다)는 특별·광역시의 기업 규모별 제조업체 현황을 표현한 주제도이다. 이에 해당하는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3점]

    

     1.
     2.
     3.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특별ㆍ광역시의 기업 규모별 제조업 현황 파악
(가)는 서울, 인천, 울산, 부산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요소는 제조업의 종사자 수이다. (나)의 경우에는 울산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울산에는 정유, 석유화학, 조선, 자동차 공업 등 부가가치가 큰 중화학 공업이 발달해있기 때문에 출하액이 매우 크다. (다)는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등의 비중이 큰 요소로 제조업의 사업체 수를 나타낸 것이다.

19.(가), (나)의 공업 변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공업의 입지 변화 이해
ㄴ. (가)는 본사와 연구소, 공장의 입지 분화가 일어난 사례이다. 즉, 기업 규모가 커짐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ㄹ. (나)는 한 때 사양 산업이었던 신발 제조업이 기능성 제품 개발로 다시 활성화되고 있는 사례를 나타낸 것으로 투자와 연구 개발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답피하기
ㄱ. 집적 불이익은 과도한 집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손실을 의미하며 (가), (나) 모두 집적 불이익과 관련 없는 사례이다.
ㄷ. (가), (나)는 기업의 인수 합병 과정과 관련된 사례가 아니다.

20.다음 자료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총부양비와 노령화 지수의 분석
총부양비는 ((유소년층인구+노년층인구)/청장년층인구)×100로 나타낼 수 있으며, 노령화 지수는 (노년층인구/유소년층인구)×100로 나타낸다.
ㄷ. 청장년층 인구비가 60%인 경우 유소년층과 노년층 인구비의 합은 40%이다. 총부양비를 구하면 약 67%에 해당한다. 청장년층 인구비가 낮아지면 총부양비는 높아지고, 반대로 청장년층 인구비가 높아지면 총부양비는 낮아진다 따라서 총부양비가 67% 미만이라면 청장년층 인구비는 60% 보다 더 높다. 그래프에서 총부양비가 가장 높은 곳이라 하더라도 60%를 넘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든 도의 청장년층 인구비는 60%보다 더 높다.
ㄹ. 노령화 지수가 100인 경우에는 노년층 인구와 유소년층 인구가 똑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령화 지수가 100보다 작다는 것은 노령화 지수 계산식의 분모인 유소년층 인구가 분자인 노년층 인구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100보다 크면, 노년층 인구가 유소년층 인구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에서 모든 특별ㆍ광역시의 경우 노령화 지수가 100보다 작기 때문에 유소년층 인구가 노년층 인구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답피하기
ㄱ. 노년 부양인구비는 (노년층인구/청장년층인구)×100로 나타낸다. 울산과 서울의 청장년층 인구비는 미세하게 차이나는 반면, 울산과 서울의 노령화 지수 차이는 매우 크다. 서울이 울산보다 30% 포인트 이상 노령화 지수가 크다. 따라서, 노년 부양인구비는 울산보다 서울이 더 높다.
ㄷ. 총부양비가 낮을수록 청장년층 인구비는 높다. 특별ㆍ광역시가 도 지역보다 총 부양비가 낮으므로 특별ㆍ광역시가 도 지역보다 청장년층 인구비가 높다.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6월0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한국지리, 모의평가,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0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6.10.08 666
»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6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792
3708 피부미용기능사 필기 시험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867
3707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11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476
3706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237
3705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224
3704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32830) 좋은아빠되기 2016.10.08 225
3703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142261) 좋은아빠되기 2016.10.08 628
3702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336732) 좋은아빠되기 2016.10.08 198
3701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4월29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6.10.08 480
3700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822453) 좋은아빠되기 2016.10.08 468
3699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6.10.08 1043
3698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300
3697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07396) 좋은아빠되기 2016.10.08 208
3696 수능(국사)(2013년이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170
3695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638312) 좋은아빠되기 2016.10.08 409
3694 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750424) 좋은아빠되기 2016.10.08 609
3693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099128) 좋은아빠되기 2016.10.08 363
3692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322915) 좋은아빠되기 2016.10.08 321
3691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6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1242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