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772664)


1.다음 글의 농부의 행위에 나타난 인간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6월)

   

     1.다른 생명체들의 고통을 헤아릴 수 있는 존재이다.
     2.자연법칙에 따라 결정된 운명에 순응하는 존재이다.
     3.유희적 활동을 통해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이다.
     4.타인과의 상호 협력을 통해 정치 질서를 만드는 존재이다.
     5.세속으로 벗어나 정신적 자유를 추구할 수 있는 존재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인간의 특성 파악
제시문의 농부에 따르면 짐을 짊어지고 가는 것은 사람뿐만 아니라 소에게도 힘든 일이다. 그래서 그는 볏단을 소와 나눠서 진다. 이러한 농부의 행위에는 다른 생명체들의 고통을 헤아릴 수 있는 인간의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

[오답피하기]
② 제시문에는 농부가 ‘자연 법칙을 따른다.’거나 ‘결정된 운명에 순응한다.’고 볼 수 있는 단서가 드러나 있지 않다.
③ 제시문에는 ‘유희적 활동을 통한 문화 창조’를 추론할 수 있는 단서가 전혀 없다.
④ 제시문에는 ‘타인’이 없으며, ‘정치 질서를 만드는’ 것과 관련된 내용도 없다.
⑤ 제시문의 농부의 행위에 ‘세속에서 벗어나’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려는 특성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없다.

2.그림은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2013년 11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에 대한 이해
① 갑은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이며, 을은 소크라테스이다.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이 척도이다.’라는 말을 통해 도덕 판단의 절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상대주의적 윤리설을 제시하였다.(ㄱ) 이에 비해 소크라테스는 절대 주의적 윤리설을 제시하였으며, 모든 악은 무지에서 비롯되므로 자발적으로 악을 행하는 사람은 없다고 주장하였다.(ㄴ)

오답피하기
ㄷ. 참된 앎의 기반으로 경험을 강조한 사상가는 프로타고라스이며, 이성을 강조한 사상가는 소크라테스이다.
ㄹ. 소크라테스는 지덕복합일설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참된 앎과 덕과 행복은 분리될수 있는 개별의 것이 아니다.

3.다음 동양 사상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6년 07월)

   

     1.ㄱ, ㄷ
     2.ㄱ, ㄹ
     3.ㄴ, ㄷ
     4.ㄱ, ㄴ, ㄹ
     5.ㄴ, ㄷ, 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불교 사상 이해하기
제시문은 불교 경전인 ‘반야심경’의 한 부분이다. 불교는 모든 존재가 무상(無常)하다는 관점에서 고정된 실체에 집착하는 아집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연기설에 입각하여 나와 남을 하나로 여기는 지혜를 지닐 것을 주장하였다. 불교에서는 무명(無明)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를 것을 강조하였고,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자아가 독립적이지 않다고 보았다.

4.다음 중세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9월)

   

     1.신은 실제적 존재가 아니라 관념적 존재이다.
     2.신의 피조물인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없다.
     3.종교적 덕은 지성적 덕과 품성적 덕으로 구성된다.
     4.덕을 쌓아도 현세에서는 완전한 행복을 얻을 수 없다.
     5.인간의 권리와 의무의 근거인 영원법은 자연법으로부터 나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퀴나스의 기본 입장 파악
제시문은 스콜라철학의 대표자인 아퀴나스의 주장이다. 아퀴나스는 신앙과 이성이 서로 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보았으며, 신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궁극적 목적을 행복이라고 보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한 지성적 덕과 품성적 덕을 통해 얻는 행복은 불완전한 행복이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완전한 행복은 종교적 덕의 실천과 신의 은총을 통해 내세에 신과 하나가 됨으로써 얻게 되는 것이다.

[오답피하기]
① 아퀴나스는 신의 실재성을 인정하였다.
② 아퀴나스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부여되어 있다.
③ 아퀴나스가 말하는 종교적 덕은 믿음, 소망, 사랑이다.
⑤ 아퀴나스에 따르면 영원법은 자연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자연법의 근거이다.

5.서양 사상가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도덕적 가치는 사회 구성원 다수의 승인에 의해 결정되는가?
     2.도덕은 타인의 행복과 불행에 대한 공감 능력에 근거하는가?
     3.공동체 전체를 행복하게 하는 데 도덕적인 행위가 요구되는가?
     4.도덕적 선악을 구별하는 이성적 지식이 도덕적 행위를 유발하는가?
     5.도덕적 덕과 악덕의 구별이 감각 경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소크라테스와 흄 사상의 비교 이해
갑은 소크라테스이고, 을은 흄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에 대한 이성적 지식이 도덕적 행동을 보장한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흄은 도덕적 지식은 이성의 산물이 아니며, 이성 자체는 도덕적 행동의 원인일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도덕 문제에 있어서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노예이어야만 한다.

[오답피하기]
①, ② 소크라테스는 부정, 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들이다.
③ 소크라테스와 흄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소크라테스와 흄 모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소크라테스는 감각 경험을 신뢰하지 않으며, 흄은 감각 경험과 그것에 의한 정념을 구별하기 때문이다. 다만 감각 경험을 감정이나 정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파악할 경우에는 흄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6.갑, 을은 조선 시대 유학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4년 09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비교 이해
갑은 이이이고, 을은 이황이다. 이이는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을 겸하듯이 칠정(七情)은 사단(四端)을 겸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氣)가 발하여 이(理)가 탄 것이다. 이에 비해 이황은 성(性)을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듯이 정(情)은 사단과 칠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단의 연원은 이이고 칠정의 연원은 기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사단과 칠정은 모두 동일한 근원에서 나오는 것인가?(ㄷ)”라는 질문과, “사단과 칠정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있는 감정인가?(ㄹ)”라는 질문에 대해 이이는 긍정, 이황은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오답피하기]
ㄱ. 이이와 이황 모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사단의 확충을 통해 사덕이 이루어진다고 본 사상가는 정약용이다.
ㄴ. 이이와 이황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사단을 사덕의 존재를 알게 해주는 실마리로 보는 것은 성리학의 기본 입장이다.

7.그림은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공통된 입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6년 06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벤담과 밀의 공통된 입장 파악
갑은 벤담이고, 을은 밀이다. 벤담은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같다고 보고 쾌락의 양적인 차이를 중시하였다. 이에 비해 밀은 쾌락에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쾌락의 양만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양자는 모두 인간이 본성적으로 자신의 행복을 증진하려고 한다고 보고(ㄱ), 공리의 원리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여긴(ㄷ) 공리주의 사상가들이다.

[오답피하기]
ㄴ. 벤담과 밀에 따르면 어떤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행위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가 가져오는 결과에 달려있다.
ㄹ. 밀의 입장으로 볼 수 없다.

8.(ㄱ)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6년 04월)

   

     1.쾌락만을 추구하다 보면 절망에 빠질 수 있다
     2.개인의 행복이 모여 사회 전체의 행복이 된다
     3.윤리 규범의 준수를 통해서도 쾌락을 얻을 수 있다
     4.육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을 동등하게 추구해야 한다
     5.보편적 도덕 원리는 쾌락이 아닌 이성에 근거해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벤담과 키르케고르의 사상 비교하기
갑은 벤담, 을은 키르케고르이다. 벤담은 쾌락을 선으로 고통을 악으로 보는 쾌락주의를 주장하였다. 반면 키르케고르는 쾌락을 추구하는 심미적 단계나 윤리 규범을 준수하는 윤리적 단계에서는 절망에 빠질수밖에 없다고 보고,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주체적 결단을 내리는 종교적 단계에서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9.조선 시대 사상가 갑, 을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3년 07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이황과 이이 사상 비교하기
갑은 이황(李滉), 을은 이이(李珥)이다. 이황은 이기호발설(理氣互發設), 이이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承一途設)을 주장하였다. 이황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다고 보지만, 이이는 이와 기의 구분은 관념으로만 가능하다고 하면서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ㄴ은 이황, ㄹ은 이이의 주장이다.

10.(가)를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관점에서 퍼즐 (나)의 세로 낱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3년 09월)

    

     1.객관적 실재로서의 선과 악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다.
     2.감정의 명령을 따르고 그것의 실현을 도와주는 능력이다.
     3.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에 대해 함께 느낄 수 있는 능력이다.
     4.어떤 상황에서도 동요하지 않는 정신 상태로 이끄는 능력이다.
     5.행위의 동기를 유발하여 인간을 선한 행위로 이끄는 능력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흄의 윤리 사상에 대한 이해
②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흄이다. (나)의 [가로 열쇠] A는 ‘이통(理通)’, B는 ‘불성(佛性)’이다. 그러므로 [세로 열쇠] A는 ‘이성(理性)’이다. 흄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 행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도덕과 관련하여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노예이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이성은 감정의 명령을 따르고 그것의 실현을 도와주어야 한다.

오답피하기
①, ④ 흄에 따르면 선과 악은 객관적 실재라고 하기 어렵다. 선악이라는 것은 우리가 어떤 행위를 바라볼 때 느끼는 쾌감이나 불쾌감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성은 선과 악의 인식이나 부동심의 상태로 이끌어주는 능력이 아니라 어떤 사물의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다.
③ 이성이 아니라 ‘공감’에 대한 설명이다.
⑤ 흄에 따르면 감정은 행위의 동기가 될 수 있지만 이성은 그렇지 못하다.

11.(ㄱ)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07월)

    

     1.복지 정책이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함을 간과한다
     2.시장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간과한다
     3.생산의 효율성보다 분배의 형평성이 중요함을 간과한다
     4.국가가 공공선을 위해 시장 규제를 확대해야 함을 간과한다
     5.국가가 재정지출을 늘려 유효 수요를 창출해야 함을 간과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신자유주의와 수정 자본주의 이해하기
제시문의 ‘나’는 신자유주의 사상가인 하이에크이고, ‘어떤 사상가’는 수정 자본주의자인 케인스이다. 하이에크는 시장을 자생적인 질서로 보아 국가가 시장에 개입하면 비효율적인 상황에 빠진다고 보았다. 반면 케인스는 국가가 재정지출을 늘려 인위적으로 유효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불황을 극복하고 실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12.(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6월)

    

     1.A: 개인의 자율성보다 사회적 책임을 우선시해야 하는가?
     2.B: 독립적 자아보다 관계적 자아를 강조하는가?
     3.B: 공동체의 전통이 개인적 도덕성의 주된 기초인가?
     4.C: 공동체의 이익보다 개인의 선택권이 더 중요한가?
     5.C: 개인의 좋은 삶은 공동체의 가치에 의해 안내되는가?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기본 입장 파악
(가)의 갑은 개인주의 사상가이고, 을은 공동체주의 사상가이다. 개인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고의 가치로 보고 그것들을 최대한 잘 보호해 주는 사회체제를 추구한다. 이에 비해 공동체주의는 공동체의 선이 개인의 선보다 우선하며, 개인의 좋은 삶은 공동체의 가치에 의해 안내된다고 주장한다.

[오답피하기]
①, ②, ③ 모두 공동체주의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④ 개인주의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3.(가), (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7월)

    

     1.(가)는 세상이 공허하다는 허무주의를 추구했다.
     2.(가)는 무아를 자각하여 무명(無明)에 도달할 것을 강조했다.
     3.(나)는 합리적 인식을 통해 삶을 통찰할 것을 주장했다.
     4.(나)는 이성을 통해 맹목적 의지를 극복할 것을 강조했다.
     5.(가), (나)는 인간의 삶 자체가 고통의 연속이라고 주장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불교와 쇼펜하우어의 사상 이해하기
불교의 공(空)사상은 세상이 공허하다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자아나 사물에 집착하는 오류를 바로잡으려는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세계의 본질은 생에 대한 맹목적 의지이며, 이 의지는 끊임없이 활동하고 영원히 충족시킬 수 없는 욕망이므로, 삶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욕망 때문에 삶이 고통의 연속이라고 보았다.

14.갑, 을은 조선 시대의 유학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4년 10월)

    

     1.사단을 확충해야 인의예지가 형성되는가?
     2.사단은 도덕적 감정이고 칠정은 일반적 감정인가?
     3.사단은 인의예지가 마음에서 발현된 순선한 감정인가?
     4.사단은 선을 좋아하는 마음을 실천해야 획득되는 것인가?
     5.사단은 인의예지가 마음에 내재함을 알게 해 주는 실마리인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정약용과 이이의 사상적 입장을 비교한다.
갑은 정약용이고, 을은 이이이다. 이이는 사덕(四德)을 타고나는 것으로 보지만, 정약용은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단을 확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오답풀이]
⑤ 이이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5.갑, 을, 병은 조선 시대 사상가들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4년 04월)

    

     1.갑은 선한 정을 기가 발하여 나타난 것으로 본다.
     2.을은 이와 기 모두 스스로 발동할 수 있다고 본다.
     3.병은 마음에 내재한 인의예지를 도덕적 본성으로 본다.
     4.갑, 을은 덕을 생득적인 것으로, 병은 후천적인 것으로 본다.
     5.갑, 을, 병은 사단을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본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이이,이황,정약용의 사상 비교하기
갑은 이이, 을은 이황, 병은 정약용이다. 이이는 사단과 칠정 모두 기가 발한 것으로 보며 기발이승(氣發理乘)을 주장하였다. 이황은 사단은 이가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가 발한 것으로 보며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 하였다. 정약용은 인간의 성(性)을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기호(嗜好)로 파악하고, 덕(德)은 인간의 마음에 선천적으로 내재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단의 실천을 통해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갑, 을, 병 모두 사단을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16.(가)의 입장에서 (나)의 입장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10월)

    

     1.인간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삶을 구성하는 존재로 보아야 한다.
     2.공동체를 개인들이 단순하게 결합한 집합체로 여기면 안 된다.
     3.개인의 정체성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됨을 알아야 한다.
     4.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공동선보다 우선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5.올바른 삶의 방식을 개인에게 장려하는 것이 사회의 역할임을 알아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입장을 비교한다.
(가)는 자유주의이고, (나)는 공동체주의이다. 공동체주의는 공동선을 강조하는 데 비해,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우선시한다.

17.고대 동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갑 : 인간의 본성이란 선악을 선택하는 자유 의지이다.
     2.갑 : 인간의 본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규범이 필요하다.
     3.을 : 인간의 본성을 교정해야 도덕 사회가 이루어진다.
     4.을 : 타고난 본성을 따른다면 덕을 좋아하기 마련이다.
     5.갑, 을: 인간의 본성을 선과 악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맹자와 순자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갑은 맹자, 을은 순자이다. 맹자가 선한 본성의 실천을 통한 도덕적 삶을 강조한 반면, 순자는 악한 본성의 교정을 통한 도덕적 삶을 강조하였다.

18.다음 글에 나타난 세계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4월)

    

     1.자연을 인간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도구로 본다.
     2.자연을 만물이 상호 작용하는 유기적인 체계로 본다.
     3.세계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입자들의 집합으로 본다.
     4.세계를 불변의 인과 법칙에 의해 움직이는 기계로 본다.
     5.자연을 단순히 물리적 개념으로 환원 가능한 체계로 본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유기체적 세계관 파악하기
제시문은 우주 전체가 생명의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한 유기체적 세계관에 관한 내용이다. 유기체적 세계관에서는 자연을 만물이 상호 작용하는 체계로 간주한다.

19.(가)의 갑, 을, 병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빗금 친 A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3년 06월)

    

     1.쾌락의 질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는가?
     2.행복해지기 위해 공적인 삶을 회피하는가?
     3.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도덕의 원리인가?
     4.쾌락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삶의 목적인가?
     5.더 많은 쾌락이 보장되면 고통을 수용하는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에피쿠로스 사상의 특징 파악
② 갑은 에피쿠로스, 을은 벤담, 병은 밀이다. 에피쿠로스가 개인주의적 쾌락주의 사상가라면 공리주의자들인 벤담과 밀은 사회적 쾌락주의 사상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에피쿠로스에 따르면 공적인 삶은 집착, 좌절, 다툼, 분노 등으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불러온다. 그러므로 참된 쾌락을 얻으려면 번잡한 세상일에서 벗어나 은둔자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오답피하기
① 에피쿠로스뿐만 아니라 밀도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③ 벤담과 밀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④ 세 사상가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에피쿠로스는 고통의 부재 또는 쾌락을 추구하였다.

20.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ㄱ)~(ㅁ)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ㄱ)
     2.(ㄴ)
     3.(ㄷ)
     4.(ㄹ)
     5.(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스토아학파의 사상과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비교하여 이해한다.
(가)는 스토아학파의 사상, (나)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이다. 쇼펜하우어는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지를 부정할 것을 강조하였다.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7726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1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1247
101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582
100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6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302
99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837
98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78231) 좋은아빠되기 2016.08.30 659
97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868186) 좋은아빠되기 2016.08.30 840
96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612
95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654
94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729
93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267433) 좋은아빠되기 2016.08.31 1316
92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123918) 좋은아빠되기 2016.08.31 629
91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1 407
90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1 318
89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412576) 좋은아빠되기 2016.08.31 391
88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464978)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74
87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001742) 좋은아빠되기 2016.10.10 348
86 수능(국사)(2013년이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14271)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84
85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311085) 좋은아빠되기 2016.10.10 562
»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772664) 좋은아빠되기 2016.10.10 725
83 수능(국사)(2013년이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01063)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