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97809)


1.(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10월)

   

     1.계급이 없는 평등한 생활을 영위하였다.
     2.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3.우경이 시작되어 깊이갈이가 가능해졌다.
     4.정착 생활이 시작되면서 움집이 나타났다.
     5.빗살무늬 토기에 음식을 저장하기 시작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6% 
     <문제 해설>
청동기 시대

1.청동기 이전
3.신라 지증왕
4.신석기
5.신석기
[해설작성자 : 죽창맨]

2.밑줄 그은‘왕’이 시행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2년 10월)

   

     1.거칠부에게 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2.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3.통치 질서 확립을 위하여 율령을 반포하였다.
     4.대군장을 의미하는 마립간 칭호를 사용하였다.
     5.지방관을 감찰하기 위하여 외사정을 설치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1% 
     <문제 해설>
이차돈의 순교(불교 공인) - 신라 법흥왕(527)
1. 진흥왕
2. 진흥왕
3. 법흥왕
4. 내물왕
5. 문무왕(673)

3.(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6년 01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자료에 등장하는 연나라를 공격할 정도로 연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는 고조선 시기임을 알 수 있다. 고조선 시기에 해당하는 보기를 고르면 된다.

ㄱ.고조선이 연나라 장수 진개의 침입을 받은 시기는 기원전 3세기 경으로, 위만 조선이 성립되기 이전이다.    즉 고조선.

ㄴ. 한나라 무제가 군대를 보내 왕검성을 공격한 이유는 위만 조선의 중계 무역에 대한 불만 때문이므로, 위만조선 시기이다.

ㄷ. 부왕 등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한 시기도 역시 기원전 3세기, 고조선시기.

ㄹ.우거왕이 한 무제의 침략을 받기 전에, 역계경은 왕에게 화친을 건의하였으나 왕이 이를 무시하자 진국으로 망명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shygirl1717]

4.다음 상황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1점](2014년 10월)

   

     1.(가)
     2.(나)
     3.(다)
     4.(라)
     5.(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관상성 전투에서 성왕을 죽이고 점차 북상하는 신라군에 맞서 싸우던 온달이, 한강유역의 아차산성에서 전사(590년)
[해설작성자 : 죽창맨]

5.(가), (나) 사건이 일어난 시기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10월)

   

     1.(가)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하였다.
     2.(가) -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3.(나) - 각간 위홍으로 하여금 삼대목을 편찬하게 하였다.
     4.(나) -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여 귀족들을 대거 숙청하였다.
     5.(가), (나) - 진골 출신으로서 왕위를 계승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가 - 선덕여왕
나 - 진성여왕

1.진흥왕
2.법흥왕
4.신문왕
5.선덕여왕은 성골
[해설작성자 : 죽창맨]

6.(가)~(라)의 문화 전파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3년 10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문제 해설>
ㄱ.노리사치계는 백제에서 건너갔다. 
ㄴ.혜자는 고구려에서 건너갔다.
[해설작성자 : 죽창맨]

7.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2016년 05월)

   

     1.(가)
     2.(나)
     3.(다)
     4.(라)
     5.(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문제 해설>
지문에 나오는 사건은 일본군이 백제의 부흥운동을 도우러 왔다가 나당연합군에 패했던 백강전투(663)를 말합니다.
백제의 멸망 과정은 황산벌에서 신라에 패배한 후 당군이 금하류로 침입합니다. 이후 사비성이 함락(660)되고 왜군의 지원이 있지만 백강전투에서 패배하게됩니다.
[해설작성자 : 제니]

8.(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5월)

   

     1.양길의 휘하에서 세력을 키웠다.
     2.후당, 오월 등과 국제적으로 교류하였다.
     3.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였다.
     4.송악의 호족 출신으로 나주를 점령하였다.
     5.신라에 대해 적극적인 우호 정책을 펼쳤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문제 해설>
1.궁예
2.견훤(신라빼고 활발한 국제적 교류)
3.궁예
4.왕건
5.왕건
[해설작성자 : 토토]

9.(가)에 들어갈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2015년 08월)

   

     1.
     2.
     3.
     4.
     5.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지문에서 힌트는 돌을 다듬어서 만들었다.
5번 모전석탑

10.다음 사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0년 05월)

    

     1.단아하면서도 균형 잡힌 쌍사자 석등이 있다.
     2.목조 건물들이 임진왜란 때 불타기도 하였다.
     3.석가탑 안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4.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11.밑줄 그은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5월)

    

     1.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2.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대가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4.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인재를 등용하였다.
     5.나·당 전쟁에서 승리하여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문제 해설>
밑줄그은 왕은 태종 무열왕의 뒤를이어 삼국 통일을 이룩한 문무왕입니다.
[해설작성자 : I.O.I]

문무왕의 대왕암에 대한 설명
1.신라 성덕왕
2.신라 신문왕
3.신라 진흥왕
4.신라 원성왕
5.신라 문무왕
[해설작성자 : 공무워너]

12.밑줄 그은 내용과 유사한 기능을 했던 기구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1년 08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13.조선 초기에 건립된 목조 건축물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0년 05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14.밑줄 그은 ‘이 정책’으로 옳은 것은? [1점](2016년 08월)

    

     1.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2.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3.인사권을 가진 정방을 폐지하였다.
     4.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았다.
     5.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과거제를 도입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1. 광종
2. 성종
3. 공민왕
4. 태조
5. 광종

최승로 건의 라는 말을 통해 왕이 성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미래의 역사선생님]

15.밑줄 그은‘그’의 활동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2년 01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문제 해설>
* 조선 건국과 설계의 주역 정도전

• 보기의 내용은 정도전의 요동 정벌 추진(1397)과 관련된 내용이다

궁궐과 종묘의 위치 및 도성의 기지를 결정하고 궁·문의 모든 칭호를 정했다
정도전은 조선경국전과 경제문감을 편찬하였고, 조준은 경제육전을 편찬하였다.
불씨잡변을 통하여 불교를 비판하였으며,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시켰다.

㉡ 태종과 세조는 왕권을 강화하고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자 6조 직계제를 채택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6.(가) 지역에서 일어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6년 01월)

    

     1.최충헌의 사노 만적 등이 난을 도모하였다.
     2.고려 말 정몽주가 이방원 세력에 의해 피살되었다.
     3.남북한 경제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공단이 건설되었다.
     4.조선 후기 송상이 근거지로 삼아 전국적으로 활동하였다.
     5.일제 강점기에 조만식 등이 물산 장려 운동을 시작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문제 해설>
본문에서 설명하는 (가)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입니다.
물산 장려 운동은 일제강점기 당시에 평양에서 있었던 일이기에 오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사서]

17.다음 기구들이 처음 제작된 시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09년 05월)

    

     1.갑인자를 주조하여 인쇄 기술을 발전시켰다.
     2.향약구급방을 편찬하여 국산 약재를 소개하였다.
     3.서양 문물 수용으로 실생활에 유용한 기구가 제작되었다.
     4.동국문헌비고를 편찬하여 우리나라 역대 문물을 정리하였다.
     5.도덕 윤리를 기준으로 형식 논리를 중시한 예학이 발달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18.다음 대화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2016년 01월)

    

     1.외척 간의 권력 다툼으로 을사사화가 발생하였다.
     2.위훈 삭제 사건을 계기로 조광조 등이 제거되었다.
     3.김종직 등 사림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4.조의제문이 발단이 되어 사림 세력이 피해를 입었다.
     5.폐비 윤씨 사사 사건으로 관련자들이 화를 당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문제 해설>
다음은 대윤(윤임)과 소윤(윤원형)의 싸움
을사사화
[해설작성자 : 만점은영]

19.다음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점](2013년 01월)

    

     1.동인, 서인의 분당이 이루어졌다.
     2.조광조의 건의로 현량과가 실시되었다.
     3.외척 간의 대립으로 사화가 발생하였다.
     4.왕권 강화를 위하여 탕평책이 실시되었다.
     5.세도 가문이 비변사를 통해 권력을 독점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문제 해설>
* 사림의 동.서 분당(1575)
붕당은 인사권을 가진 이조 전랑의 임명 문제(김효원과 심충겸)와 공론을 둘러싸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뉜 것에서 비롯되었다(1575).
[해설작성자 : 부엉이]

20.밑줄 그은‘`대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3년 01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문제 해설>
* 군역의 개혁 균역법(1750)
지주에게 결작이라고 하여 토지 1결당 미곡 2두를 부담시키고, 일부 상류층에게 선무군관이란 칭호를 주고 군포 1필을 납부하게 하였으며, 어장세·선박세 등 잡세 수입으로 보충하게 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21.밑줄 그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5월)

    

     1.고려에 성리학을 처음 소개하였다.
     2.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3.황산 대첩을 승리로 이끌어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다.
     4.경제문감을 저술하여 재상 중심의 정치를 주장하였다.
     5.화약과 화포 제작을 위한 화통도감의 설치를 건의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문제 해설>
정도전-경제문감 저술
1.고려에 성리학 처음 소개-고려 충렬왕 때 안향

정도전 : 조선의 기틀을 마련, 요동정벌 주장, 재상중심의 정치 주장, 정몽주와 동문이지만 다른 정치관을 가짐.
[해설작성자 : 페박]

22.다음은 임진왜란의 주요 전투이다.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점](2012년 10월)

    

     1.(가) - (나) - (다)
     2.(가) - (다) - (나)
     3.(나) - (가) - (다)
     4.(나) - (다) - (가)
     5.(다) - (가) - (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7% 
     <문제 해설>
* 임진왜란의 주요 전투

(가) 왜군이 부산진과 동래성으로 침략해 오자, 정발과 송상현 등이 힘껏 싸웠으나 막지 못하고 성이 함락(1592. 4)
(나) 이순신은 퇴각하는 왜군을 노량에서 격멸하였으나, 적의 유탄에 맞아 장렬하게 전사하였다(1598.11.19.)
(다) 조.명 연합군은 크게 승리.(1593.1.6)
[해설작성자 : 부엉이]

23.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2016년 10월)

    

     1.(가)
     2.(나)
     3.(다)
     4.(라)
     5.(마)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4.다음과 관련된 사회 현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2013년 01월)

    

     1.서양의 이양선이 출몰하였다.
     2.탐관오리의 횡포가 심해졌다.
     3.각처에서 도적이 크게 일어났다.
     4.군역의 요역화로 대립(代立)이 성행하였다.
     5.수해와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 비기.도참 사상이 횡행한 19세기

탐관오리의 탐학과 횡포는 날로 심해 갔고, 재난과 질병이 거듭 되었다.
1820년의 전국적인 수해와 이듬해 콜레라의 만연으로 많은 백성이 목숨을 잃는 비참한 사태가 발생하였다.
서양의 이양선까지 연해에 출몰하자, 민심은 극도로 흉흉해져 갔다.
사회 불안이 점점 더해 감에 따라 각처에서는 도적이 크게 일어났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25.다음 자료와 관련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1년 10월)

    

     1.「자활」,「장산」등의 잡지를 간행하였다.
     2.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3.“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4.조선의 고유한 것을 찾아 학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5.우리 민족의 손으로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려 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26.다음 낱말 퀴즈에서 (가)`~`(마)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1년 05월)

    

     1.(가) - 관품을 기준으로 관리들에게 분배하였다.
     2.(나) - 국가에서 조를 거두어 관리에게 지급하였다.
     3.(다) - 녹봉의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지급하였다.
     4.(라) - 현직 관료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5.(마) - 수신전, 휼양전은 세습되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27.(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08월)

    

     1.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2.왕조 교체를 예언하며 백성의 호응을 얻었다.
     3.인내천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4.청을 다녀온 사신들에 의하여 서학으로 소개되었다.
     5.유·불·선을 바탕으로 민간 신앙의 요소까지 포함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문제 해설>
기독교가 아니라 천주교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대로 공부하세여]

천주교는 청에 갔다온 사신들이 들여왔고 남인들 일부가 신앙으로 삼았다.
[해설작성자 : 방통대생]

28.개항 이후 면포 생산의 변화 양상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2점](2009년 10월)

    

     1.(가)–(나)–(라)–(다)
     2.(나)–(다)–(라)–(가)
     3.(나)–(라)–(다)–(가)
     4.(다)–(나)–(가)–(라)
     5.(다)–(나)–(라)–(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29.지도의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4년 05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문제 해설>
조선 후기 홍경래의 난.

순조.
몰락양반+우군칙(서얼)+광산농민 주도.
서북지열차별로인해 난이 일어났다.
[해설작성자 : 한국사]

30.(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5년 01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문제 해설>
가 - 임진왜란(1592) 선조
나 - 이괄의난(1624) 인조

ㄱ.1610년 (광해군)
ㄴ.1594년 (선조)
ㄷ.1636년 (인조)
ㄹ.1633년 (인조)
[해설작성자 : 죽창맨]

31.다음 명령이 내려진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점](2011년 08월)

    

     1.입역 노비를 납공 노비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았다.
     2.노비 신공(身貢)의 감액 조치가 여러 차례 내려졌다.
     3.신분제의 동요로 역을 부담하는 양민의 수가 감소하였다.
     4.도망과 합법적인 신분 상승으로 공노비안이 유명무실해졌다.
     5.보충군(補充軍) 제도를 통한 노비들의 신분 상승 사례가 많아졌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6% 

32.다음 자료와 관련된 의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2년 01월)

    

     1.단발령 실시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2.평민 출신의 의병장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3.해산된 군인의 참여로 전투력이 향상되었다.
     4.국왕의 권고 조칙에 따라 스스로 해산하였다.
     5.러시아 공사관에 있는 고종의 환궁을 요구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문제 해설>
* 정미의병(1907~1908)과 13도 창의군의 서울진공작전
정미의병은 일제의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 시키고 군대해산 한 것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일회적인 의병운동이 아니라 해산된 군인의 합류로 좀 더 조직력과 화력이 강화되고 각국 공사관에 의병부대를 국제공법상의 전쟁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격문을 보낼 정도로 조직화 된 의병전쟁이었다.

유생 의병장들이 중심(신돌석, 홍범도 등의 평민 출신 의병장 배제)으로 13도 연합의병이 결성되어 서울진공작전을 추진하였으나 지도부(총대장:이인영, 군사장:허위)의 조직력 약화로 실패로 끝났다(1908)

①, ④, ⑤ 최초의 의병은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시작된 을미의병이었다(1895.8~1896.8). 위정척사 사상을 가진 유생들이 주도하고 농민들이 가담한 을미의병은 아관 파천(1896.2) 이후 김홍집의 친일 내각이 무너지자 고종의 환궁을 요구하였으나 고종의 해산 조칙이 내려지자 스스로 해산하였다.

② 을사의병(1905~1906) 때에는 민종식, 최익현 등 양반출신 의병장을 비롯하여, 평민 출신 의병장(최초)인 신돌석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33.자료와 관련된 선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0년 10월)

    

     1.6·25 전쟁 중에 실시되었다.
     2.발췌 개헌이 이루어진 직후 실시되었다.
     3.진보당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4.마산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를 촉발시켰다.
     5.사사오입 개헌이 이루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8% 

34.다음 건축물을 설계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0년 05월)

    

     1.대한 매일 신보를 간행하였다.
     2.육영 공원의 교사로 활동하였다.
     3.최초의 근대식 병원인 광혜원을 운영하였다.
     4.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인 이화 학당을 세웠다.
     5.명성 황후의 시해 현장을 목격하고 그 실상을 증언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1% 

35.다음 사건의 결과 일본과 맺은 조약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2009년 05월)

    

     1.청에 억류된 대원군을 조속히 귀국시키도록 한다.
     2.청은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 등을 일본에 할양한다.
     3.일본 공사관 경비를 담당할 일본군 약간 명을 파견한다.
     4.조선은 새로운 일본 공관 건설에 필요한 부지를 제공하고 공사비를 지불한다.
     5.일본국 정부는 조선국이 지정한 각 항에 일본 상인을 관리하는 관원을 설치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36.(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10월)

    

     1.일본 국왕이 탄 마차 행렬에 폭탄을 던졌다.
     2.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3.대한제국의 외교 고문이었던 스티븐스를 저격하였다.
     4.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을 습격하여 중상을 입혔다.
     5.훙커우 공원에서 일본군 장성과 고관들을 처단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1% 
     <문제 해설>
가)안중근 의사 
[해설작성자 : 크롱]

1. 이봉창
3. 장인환, 전명운
4. 이재명
5. 윤봉길
[해설작성자 : 이번엔합격ㅠㅠ]

37.다음 벽보에 나타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8월)

    

     1.황국 중앙 총상회가 중심이 되었다.
     2.사회주의자들의 지지를 받아 확산되었다.
     3.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4.조선 총독부의 탄압과 방해로 실패하였다.
     5.대한매일신보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전개되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문제 해설>
국채보상운동(1907)

1.상권수호운동
2.1920년대 노동운동
3.대구
4.아직 총독부는 없었다.
[해설작성자 : 죽창맨]

38.다음 활동을 전개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5월)

    

     1.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2.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시켰다.
     3.농촌 계몽을 위해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4.고종의 강제 퇴위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도하였다.
     5.계몽 서적을 출판하기 위해 태극 서관을 설립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문제 해설>
* 독립기지를 개척한 신민회(1907)
통감부의 탄압으로 정치활동이 어려워지자 비밀 결사인 신민회가 결성되었다(1907). 
신민회는 대성학교와 오산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

국권 피탈 직후 회원들 중 독립군 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회영, 이상룡 등이 중심이 되어 삼원보에 민족 운동 단체인 경학사를 조직하고 신흥 강습소(후일 신흥 무관 학교)와 같은 군사 간부 양성소를 설치하였다(1911).

1911년 105인 사건(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사건이 날조되어 신민회 회원과 관련이 있는 안악사건으로 확대되어 105인이 기소된 사건)으로 해산되었다. 

① 한국인을 위한 고등 교육 기관인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조선 민립대학 기성회(1923)를 중심으로 ‘한민족 1천만이 한사람이 1원씩’이라는 구호와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보안회는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하자 반대 운동을 벌여 이를 저지시켰다(1904).

③ 1920년대 후반부터 궁핍한 농촌 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문제들을 우선 해결하자는 취지 아래, 조선일보(문자보급운동), 동아일보(브나로드운동) 등의 언론사를 중심으로 1930년대 초 농촌 계몽 운동이 전개되었다.

④ 입헌 정치 체제의 수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헌정 연구회(1905~1906)를 계승한 대한 자강회(1906~1907)는 교육과 산업의 진흥을 통한 국권 회복을 목표로 삼았다. 그들은 전국 각지에 지회를 설치하고 월보를 간행하면서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39.(가)의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3년 01월)

    

     1.도쿄에서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다.
     2.레닌이 세계의 민족 해방 운동을 지원할 것을 선언하였다.
     3.만주에서 민족 지도자들이 대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4.상하이의 신한 청년당이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5.안창호의 주도로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가 창립되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문제 해설>
* 3.1 운동(1919)의 배경

1910년대 헌병 경찰에 의한 무단 통치가 자행되는 가운데, 국내외에서 민족 교육 운동과 문화 운동이 전개되었다. 사립학교, 서당, 야학을 통해 학생과 청년들의 반일 의식이 고취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성공시킨 레닌은 강대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는 약소국의 해방 운동을 지원하겠다고 선언하였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미국 대통령 윌슨도 ‘민족 자결’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범세계적인 민족자결의 분위기에 고무되어 1919년 상하이에서 조직된 신한 청년당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를 작성하고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였으며, 국내외의 민족 운동가들도 독립을 요구하는 거족적인 시위를 구체화하는 가운데 일본에서 2·8 독립 선언이 선포되었다.

또한 만주에서도 독립 운동가 39명이 서명한 대한 독립 선언서(무오독립선언: 1918.11)가 발표되어 일제에 대한 육탄 혈전을 결의하여 3.1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⑤ 중국의 제1차 국·공 합작(1924)은 중국 관내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가들에게 강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독립운동 진영의 단결을 적극 호소한 안창호 등의 노력으로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가 창립되었다(1926)고 이는 국내의 민족유일당 운동으로 이어져 신간회(1927)가 탄생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0.(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3년 01월)

    

     1.순종의 장례 일을 맞아 가두 시위를 벌였다.
     2.일본어 상용과 신사 참배 강요에 저항하였다.
     3.신간회 중앙 본부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4.일제의 무단 통치를 완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5.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문제 해설>
* 3.1 운동(1919)의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성공시킨 레닌은 강대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는 약소국의 해방 운동을 지원하겠다고 선언하였다.
1919년 상하이에서 조직된 신한 청년당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를 작성하고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 일본에서 2·8 독립 선언이 선포되었다.

또한 만주에서도 독립 운동가 39명이 서명한 대한 독립 선언서(무오독립선언: 1918.11)가 발표되어 일제에 대한 육탄 혈전을 결의하여 3.1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11)
6·10 만세 운동(1926) 이후 학생 운동은 일본인 교원 배척, 한국 역사 및 한국어 교육 허용, 학생회의 자치 허용 등을 내걸고 전개되었다. 특히 각급 학교에 조직된 독서회는 학생들의 항일 의식을 고양시키고 동맹 휴학을 주도하였다.
신간회 등 민족 운동 단체에서는 진상 조사에 나섰고, 서울에서는 학생과 민족의 총궐기를 요구하는 격문이 나돌았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1.다음 글이 발표된 시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09년 05월)

    

     1.임오군란 직후 동도서기론에 입각한 상소가 올려졌다.
     2.홍범 14조를 반포하여 개혁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3.갑신정변으로 신정부를 수립하고 혁신 정강을 공포하였다.
     4.독립 협회 설립 후 서양 교육의 수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5.을사조약 체결 후 국권 회복을 위한 애국 계몽 운동이 고조되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1% 

42.밑줄 그은‘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2년 08월)

    

     1.여운형과 김규식이 주도하였다.
     2.좌익과 우익의 입장을 절충한 7원칙을 내걸었다.
     3.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4.미군정의 지원이 철회되면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5.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의 결렬을 배경으로 조직되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문제 해설>
* 좌우합작 위원회(1946~1947)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1)가 무기한 중단되자 좌우 세력의 대립은 더욱 날카로워졌다. 이승만은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고(정읍 발언: 1946.6) 지지 세력을 모아갔다.

이승만의 정읍발언 이후 단독정부수립 움직임이 있자 남북분단을 우려한 여운형(중도좌), 김규식(중도우) 등이 분열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좌.우익을 절충한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1946.10)하였고 미군정도 이를 후원하기도 하였으나(김규식을 과도입법의원 의장, 안재홍을 민정장관으로 임명), 1947년 미국무부의 ‘트루먼 독트린’ 발표 이후 냉전이 심화되며 미군정의 지원이 철회되고, 여운형의 암살 등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3.다음 취지서를 발표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8월)

    

     1.3·1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2.조선 여자 청년회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3.통감부의 감시와 탄압을 받아 해산되었다.
     4.신간회와 연계하여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5.근대적 여성 교육을 위해 이화 학당을 세웠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문제 해설>
항일여성단체인 근우회(1927~1931)

1.3.1운동(1919)
2.조선 여자 청년회(1921)
3.통감부 - 총독부 전
5.이화학당(1886)
[해설작성자 : 죽창맨]

44.(가)~(마)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사 연구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 가운데 사관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3점](2010년 05월)

    

     1.(가)
     2.(나)
     3.(다)
     4.(라)
     5.(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45.(가), (나)에 담긴 역사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2년 01월)

    

     1.(가) - 우리나라를 소중화로 파악하고 있다.
     2.(가) - 민족적 자주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 문화를 이해하였다.
     3.(나) - 세조의 반정으로 집권한 세력의 역사의식이 나타나 있다.
     4.(나) - 실증적 역사 서술로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5.(가), (나) - 몽골 침략기 우리 민족의 자주성이 반영되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문제 해설>
* 민족.자주적 역사 인식과 존화적 역사 인식

(가) 이규보의 동명왕편: 고려 후기에는 민족적 자주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 하려는 경향이 대두하였다. 이는 무신정변 이후의 사회적 혼란과 몽골 침략의 위기를 겪은 후에 나타난 변화였다. 이규보의 동명왕편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역사서이다.

천제의 자손인 고구려 건국의 영웅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일종의 영웅 서사시로서, 고구려의 계승 의식을 반영하고 고구려의 전통을 노래하여 민족적.자주적 역사 의식이 나타나고 있다.

(나) 이이의 기자실기: 기자는 중국의 규범인 '홍범구주와' 관련 있는 인물이지만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기록이 없고 오히려 일연의 <삼국유사>, 이승휴의 <제왕운기>에 단군 다음의 통치자로 기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자는 16세기 들어 사림이 집권하고 이이의 <기자실기> 등에 저술되는 등 존화주의(중국은 대중화, 조선은 소중화)의 심화에 따라 숭배되기 시작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6.다음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8월)

    

     1.민족 교육을 위해 오산 학교를 설립하였다.
     2.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으로 활동하였다.
     3.서유견문을 집필하여 서양 근대 문물을 소개하였다.
     4.국문 연구소를 세워 한글의 문자 체계를 정리하였다.
     5.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로 파견되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문제 해설>
2. 이승만
3. 유길준
4. 주시경
5. 이준, 이상설, 이위종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47.밑줄 그은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8월)

    

     1.농광 회사가 주도하여 추진하였다.
     2.추진 과정에서 수리 조합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3.태평양 전쟁 이후 군량미 조달을 위해 시작되었다.
     4.하와이 노동 이민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배경이 되었다.
     5.함경도와 황해도에서 방곡령이 선포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문제 해설>
제시된 자료는 산미 증식 계획에 대한 것이다.

산미 증식 계획(1920~1934) 
목적 : 공업화로 인한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 해결 위해 조선의 쌀 저렴하게 수입
방법 : 밭 -> 논, 간척 사업, 수리 조합, 토지 개량, 비료 증식 -->쌀 생산량 증대
결과 -수리 조합비 과다 징수(수리 조합 반대 운동 계기), 1인당 쌀 소비량 감소->만주산 잡곡 수입 증가
         -증식량 < 수탈량 -> 조선 소작농에게 고율의 소작료 징수 <->소작쟁의, 해외 이주
중단 이유 : 대공황으로 인한 일본 농민 보호 목적 -> 조선 내 쌀값 폭락

1. 1904년 일본의 토지침탈기도에 대응하여 개간사업을 목적으로 설립한 근대적 농업회사로 같은해 해체되었다.
3. 태평양 전쟁(1941~1945)
4. 최초 하와이 이민 (1903)
5. 방곡령 사건(1889) 
     방곡령은 1883년에 규정되었으며 1889년 농민의 경제난을 계기로 일본에 대한 쌀 반출을 막기 위해 방곡령을 내렸고 이에 대하여 일본은 조·일 통상장정에 있는 1개월 전 통보 항목을 근거 삼아 배상금 지불을 요구 하였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48.(가) 사건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2012년 01월)

    

     1.한성 조약의 체결 과정을 파악한다.
     2.오페르트 도굴 사건의 결과를 조사한다.
     3.조선책략의 유포가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4.흥선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 사건을 알아본다.
     5.치외법권을 인정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을 찾아본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문제 해설>
* 병인양요와 외규장각 도서

프랑스는 흥선대원군의 병인박해(1866) 때에 자국의 선교사(9명) 처형을 구실로 조선을 무력으로 침략하였다(병인양요).

1866년 9월 프랑스군은 군함 7척에 수병 600여 명을 승선시키고 조선을 침략하여 한강을 봉쇄하였다. 그 중의 한 부대는 갑곶진에 상륙한 뒤 우수한 화력으로 강화읍을 점령하여 외규장각 등을 불태우고 의궤와 금, 은 등을 약탈해 갔다.

한성근이 지휘하는 군대는 서울로 진격하던 프랑스군을 문수산성에서 방어하였고, 양헌수가 거느린 군대는 정족산성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였다. 그 결과 조선을 침략한 프랑스 함대가 모두 퇴각하였다. 이 사건을 병인양요라고 한다(1866).
[해설작성자 : 부엉이]

49.다음과 같은 헌법 개정의 결과로 옳은 것은? [2점](2015년 10월)

    

     1.국회의원의 임기가 6년으로 정해졌다.
     2.정부 형태가 내각 책임제로 바뀌게 되었다.
     3.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이 철폐되었다.
     4.대통령이 국회의원의 3분의 1을 추천하게 되었다.
     5.임기 7년 단임의 대통령 간접 선거를 실시하게 되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문제 해설>
사사오입 개헌으로 제 3대 대통령에 이승만 당선
[해설작성자 : 방통대생]

50.다음 담화문을 발표한 정부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2년 10월)

    

     1.이산가족 상봉, 경의선 연결 등 남북 교류를 활성화하였다.
     2.유상 매수, 유상 분배의 방식으로 농지 개혁을 단행하였다.
     3.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동유럽 공산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4.공직자 윤리법을 제정하고,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를 실시하였다.
     5.행정 수도 이전, 혁신 도시 건설 등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을 발표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8% 
     <문제 해설>
* 김영삼 정권(1993~1998)

지방 자치제를 전면적으로 실시
공직자 윤리법을 제정하여 고위 공직자의 재산을 공개
탈세와 부정부패를 뿌리 뽑기 위해 금융 실명제를 실시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는 등 시장 개방 정책을 실시했으나, 임기 말에 외환위기를 맞아 국제 통화 기금(IMF)에 의존하게 되었다(1997).
[해설작성자 : 부엉이]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9780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0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200035)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889
769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573192)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280
768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48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97809) 좋은아빠되기 2016.10.30 495
766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34328)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28
765 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027889) 좋은아빠되기 2016.10.30 468
764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16.10.30 252
763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058130)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376
762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9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432
761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648
760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588177)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43
759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49921)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88
758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449002) 좋은아빠되기 2016.10.30 263
757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08277) 좋은아빠되기 2016.10.30 431
756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07776)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339
755 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84116) 좋은아빠되기 2016.10.30 696
754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4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83
753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31
752 미용사(피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570243)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52
751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711368) 좋은아빠되기 2016.10.30 464
Board Pagination Prev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