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30256)


1과목 : 공인중개사법령 및 중개실무


1.공인중개사법령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8년 10월)
     1.공인중개사자격시험 합격자에 대한 자격증의 교부는 시ㆍ도지사가 한다.
     2.반복ㆍ계속성이나 영업성이 없이 우연한 기회에 타인간의 거래행위를 중개한 경우는 중개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3.중개대상물 중 ‘건축물’에는 장차 건축될 특정의 건물도 포함된다.
     4.영업상의 노하우 등 무형의 재산적 가치는 중개대상물이 아니다.
     5.중개행위인지의 여부는 중개업자가 진정으로 거래당사자를 위하여 거래를 알선ㆍ중개하려는 의사를 갖고 있었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공인중개사 자격취득자 중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을 할 수 없는 자는?(2008년 10월)
     1.한정치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사실상 한정치산상태에 있는 자
     2.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자
     3.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된 자
     4.도로교통법 위반으로 벌금형을 받은 자
     5.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공인중개사법령상 중개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타인의 의뢰에 의하여 수수료를 받고 금전소비대차의 알선에 부수하여 부동산에 대한 저당권의 설정에 관한 행위의 알선을 업으로 한 경우 중개업에 해당한다.
     2.중개업자가 실제 계약당사자가 아닌 자에게 전세계약서를 작성ㆍ교부하여, 그가 이를 담보로 금전을 대여 받음으로써 대부업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주의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이 있다.
     3.변호사가 중개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공인중개사법령상의 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의 기준을 적용받아야 한다.
     4.우연한 기회에 1회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은 사실만으로는 알선ㆍ중개를 업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없다.
     5.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을 하지 않고 부동산 거래를 중개한 자가 거래당사자들에게서 단지 보수를 받을 것을 약속하거나 요구하는 데 그친 경우라도 공인중개사법령상 처벌대상이 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공인중개사법령에서 규정한 과태료 부과처분대상자, 부과금액 기준, 부과권자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10년 10월)
     1.중개사무소등록증을 게시하지 않은 중개업자 - 100만원 이하 - 등록관청
     2.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이 취소되었으나 중개사무소등록증을 반납하지 않은 중개업자 - 500만원 이하 - 등록관청
     3.부동산거래신고 의무가 있음에도 부동산거래신고를 하지 않은 중개업자 - 해당 토지 또는 건축물에 대한 취득세의 3배 이하 상당액 - 국토해양부장관
     4.부동산거래정보망 운영규정을 승인받지 않고 부동산거래정보망을 운영한 거래정보사업자 - 100만원 이하 - 신고관청
     5.부동산거래신고사항 누락에 따른 거래대금지급증명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거래당사자 - 2천만원 이하 - 시ㆍ도지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0% 

5.공인중개사법령상 공제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0년 10월)
     1.협회가 공제사업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공제규정을 제정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협회의 공제사업은 비영리사업으로서 회원간의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한다.
     3.공제규정에는 공제사업의 범위 등 공제사업의 운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해야 한다.
     4.중개업자가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다른 사람의 중개행위의 장소로 제공함으로써 발생한 거래당사자에 대한 재산상의 손해배상책임은 공제사업의 대상이 아니다.
     5.공제규정에서 정해야 할 책임준비금의 적립비율은 공제사고 발생률 및 공제금 지급액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제료 수입액의 100분의 10 이상으로 정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8년 10월)
     1.주택거래신고지역 외의 지역에서 중개업자가 거래계약서를 작성ㆍ교부한 때에는 중개업자가 신고를 하여야 한다.
     2.부동산거래신고를 받은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신고내용을 확인한 후 신고필증을 신고인에게 7일 이내에 교부하여야 한다.
     3.거래당사자는 중개업자로 하여금 거짓된 내용을 신고하도록 요구하여서는 아니된다.
     4.거래대상 부동산의 종류 및 계약대상 면적은 신고사항이다.
     5.세무관서의 장은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으로부터 통보받은 신고사항을 국세 또는 지방세 부과를 위한 과세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공인중개사법령상 손해배상책임의 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8년 10월)
     1.공탁으로 업무보증을 하는 경우 중개업자가 폐업 또는 사망한 날부터 3년 이내에는 공탁금을 회수하지 못한다.
     2.중개업자가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다른 사람의 중개행위의 장소로 제공해 거래당사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3.공제제도는 중개업자가 그의 불법행위 또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거래당사자에게 부담하게 되는 손해배상책임을 보증하는 보증보험적 성격을 가진 제도이다.
     4.지역농업협동조합이 부동산중개업을 하는 때에는 1천만원 이상의 보증을 설정해야 한다.
     5.확인ㆍ설명의무를 위반하여 중개업자가 중개의뢰인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중개의뢰인이 중개업자에게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았다면 중개업자는 그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공인중개사법령상 계약금 등의 반환채무이행의 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10월)
     1.예치대상 ‘계약금 등’에는 계약금, 중도금 또는 잔금이 있다.
     2.계약금 등을 중개업자 명의로 금융기관 등에 예치하는 경우 중개업자는 거래당사자의 동의 없이 이를 인출할 수 있다.
     3.거래당사자는 반환채무이행의 보장을 위해 계약금 등을 반드시 금융기관 등에 예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4.중개업자의 명의로 계약금 등을 예치시 예치되는 계약금 등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을 위반한 경우 업무정지 1월을 명할 수 있다.
     5.거래당사자간 계약이행기간 동안의 거래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공인중개사의 매수신청대리인 등록 등에 관한 규칙상 매수신청대리업무를 수행하는 중개업자의 금지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10월)
     1.명의를 대여하는 행위
     2.매수신청대리인 등록증을 대여하는 행위
     3.다른 중개업자의 명의를 사용하는 행위
     4.이중으로 매수신청대리인 등록신청을 하는 행위
     5.「임대주택법」에 따른 임차인의 임대주택 우선매수신고를 하는 행위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10.인장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법인이 아닌 중개업자가 중개행위에 사용할 인장은 인감증명법에 의하여 신고한 인장이어야 한다.
     2.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을 한 자는 업무개시 전에 인장등록을 하여야 한다.
     3.법인의 분사무소에서 사용할 인장의 경우에는 분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4.소속 공인중개사 및 중개보조원은 인장등록의무가 없다.
     5.중개업자가 인감을 변경한 경우에는 10일 이내에 등록관청에 신고한 후 중개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공인중개사법령상 공인중개사의 위반행위에 대한 자격정지기준이 3월인 경우는?(2013년 10월)
     1.하나의 거래 중개가 완성된 때 서로 다른 두 개의 거래계약서를 작성한 경우
     2.중개대상물의 확인ㆍ설명의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
     3.중개업자가 동시에 다른 중개업자의 소속공인중개사로 된 경우
     4.거래계약서에 거래내용을 거짓으로 기재한 경우
     5.당해 중개대상물의 거래상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된 언행으로 중개의뢰인의 판단을 그르치게 한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12.중개업자의 중개로 거래가 완성되었을 경우 거래계약서 작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필요한 사항을 빠뜨리지 아니하고 확인하여 거래계약서를 작성하고 서명ㆍ날인 하여야 한다.
     2.거래계약서는 원칙적으로 중개보조원이 작성할 수 없다.
     3.중개업자가 거래계약서를 작성한 때에는 이를 거래당사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4.중개업자는 그 사본을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5.중개의뢰인의 요청이 있는 때에는 중개업자는 거래계약서의 검인을 신청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3.공인중개사법령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2015년 10월)
     1.지역농업협동조합이 농지의 임대차에 관한 중개업무를 하려면 공인중개사법에 따라 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을 해야 한다.
     2.휴업기간 중에 있는 개업공인중개사는 다른 개업공인중개사인 법인의 사원이 될 수 있다.
     3.시ㆍ도지사가 공인중개사의 자격정지처분을 한 경우에 다른 시ㆍ도지사에게 통지해야 하는 규정이 없다.
     4.등록의 결격사유 중 ‘이 법을 위반하여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에는 개업공인중개사가 사용주로서 양벌규정으로 처벌받는 경우도 포함된다.
     5.업무의 정지에 관한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과태료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ㆍ징수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14.공인중개사법령상 공인중개사 자격취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공인중개사가 폭행죄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에는 자격취소 사유가 된다.
     2.자격이 취소된 자는 그 자격증을 폐기하고, 그 사실을 시ㆍ도지사에게 고지해야 한다.
     3.자격취소처분을 받은 자는 그 취소처분을 안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자격증을 반납해야 한다.
     4.취소처분을 받은 자가 자격증을 분실한 경우에는 그 사유를 구두로 설명하는 것으로 자격증 반납에 갈음할 수 있다.
     5.공인중개사가 자격정지처분을 받고 그 기간 중에 다른 중개업자의 소속공인중개사가 된 경우, 자격취소 사유가 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15.공인중개사법령상 비주거용 건축물 중개대상물확인ㆍ설명서 작성 시 중개업자의 세부확인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10월)
     1.벽면의 균열 유무
     2.승강기의 유무
     3.주차장의 유무
     4.비상벨의 유무
     5.가스(취사용)의 공급방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16.공인중개사법령상 인장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0월)
     1.등록할 인장은 원칙적으로 가로ㆍ세로 각각 10mm 이상 40mm 이내인 인장이어야 한다.
     2.중개업자 및 소속공인중개사는 중개행위를 함에 있어 등록한 인장을 사용해야 한다.
     3.분사무소에서 사용할 인장의 경우 「상업등기규칙」 제36조제4항에 따라 법인의 대표자가 보증하는 인장을 등록할 수 있다.
     4.소속공인중개사의 인장등록신고는 당해 소속공인중개사의 고용신고와 같이 할 수 있다.
     5.중개업자가 등록한 인장을 변경한 경우 변경일부터 7일 이내에 그 변경된 인장을 등록관청에 등록해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7.공인중개사법령상 벌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0년 10월)
     1.양벌규정은 소속공인중개사가 과태료 부과대상인 행위를 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2.등록관청의 관할 구역안에 2 이상의 중개사무소를 둔 공인중개사인 중개업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벌금과 과태료는 병과할 수 없다.
     4.거래당사자 쌍방을 대리하는 행위를 한 중개업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5.중개업자가 중개보조원의 위반행위로 양벌규정에 의하여 벌금형을 받은 경우는 이 법상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8.등록관청이 반드시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것으로 묶은 것은?(2005년 10월)

    

     1.(ㄱ), (ㄷ), ㉥
     2.(ㄱ), (ㄴ), ㉥
     3.(ㄷ), (ㄹ), ㉥
     4.(ㄱ), (ㄷ), (ㅁ), ㉥
     5.(ㄱ), (ㄴ), (ㄷ), (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9.중개계약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전속중개계약은 법정서식에 따라야 한다.
     2.중개계약시 유상임을 명시하지 않더라도 중개수수료 청구권은 인정된다.
     3.우리나라에서는 일반중개계약보다 전속중개계약이 업무범위나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주로 이용되고 있다.
     4.순가중개계약을 체결했더라도 법정수수료를 초과하여 받지 않은 경우에는 처벌할 수 없다.
     5.건설교통부장관은 일반중개계약의 표준이 되는 서식을 정하여 그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0.토지를 매수하면서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하는 경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11월)
     1.이 신고는 탈세 및 투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관할 세무서에 신고를 해야 한다.
     2.중개업자가 거래계약서를 작성ㆍ교부한 경우 거래당사자가 이 신고를 하면 중개업자는 신고의무가 없다.
     3.외국인은 신고서 작성 시 대한민국 국민과 달리 토지매수용도를 표시해야 한다.
     4.신고서의 신고사항에는 실제 거래가격 및 기준시가가 포함되어야 한다.
     5.2 이상의 부동산을 함께 거래하는 경우 신고서의 물건 거래금액란에는 합산액을 기재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1.중개법인의 분사무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10월)
     1.다른 법률의 규정에 따라 중개업을 할 수 있는 법인의 분사무소인 경우에는 공인중개사를 책임자로 두지 않아도 된다.
     2.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포함한 시·군·구별로 설치하되, 시ㆍ군ㆍ구별로 1개소를 초과할 수 없다.
     3.분사무소를 설치하는 경우 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시ㆍ군ㆍ구에 신고하여야 한다.
     4.분사무소 설치를 신고하는 자는 건설교통부장관이 결정ㆍ공고하는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5.분사무소 책임자는 공인중개사여야 하지만 실무교육을 받아야 할 의무는 없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2.공인중개사법령상 법인인 중개업자가 겸업할 수 있는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3년 10월)
     1.농업용 건축물에 대한 관리대행
     2.토지에 대한 분양대행
     3.중개업자 아닌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한 중개업 경영기법의 제공행위
     4.부동산 개발에 관한 상담
     5.의뢰인에게 경매대상 부동산을 취득시키기 위하여 중개업자가 자신의 이름으로 직접 매수신청을 하는 행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23.공인중개사법령상 공제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10월)
     1.협회가 공제규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공제계약의 내용에서 정한 공제료는 공제사고 발생률, 보증보험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한 금액으로 한다.
     3.협회는 공제사업을 다른 회계와 구분하여 별도의 회계로 관리하여야 한다.
     4.회계기준은 공제사업을 손해배상기금과 복지기금으로 구분하여 각 기금별 목적 및 회계원칙에 부합되는 세부기준을 정한다.
     5.책임준비금의 적립비율은 공제사고 발생률 및 공제금 지급액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되, 공제료 수입액의 100분의 10이상으로 정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4.(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ㄱ : 1천분의 8, ㄴ : 1천분의 7
     2.ㄱ : 1천분의 8, ㄴ : 1천분의 8
     3.ㄱ : 1천분의 8, ㄴ : 1천분의 9
     4.ㄱ : 1천분의 9, ㄴ : 1천분의 8
     5.ㄱ : 1천분의 9, ㄴ : 1천분의 9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25.공인중개사법령상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것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8년 10월)

    

     1.ㄱ, ㄴ
     2.ㄱ, ㅁ
     3.ㄴ, ㄹ
     4.ㄷ, ㄹ
     5.ㄷ, 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6.중개업자가 상가건물 임대차를 중개하면서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임차인이 대항력을 계속 유지하려면 임차상가 건물을 점유하고 사업자 등록도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2.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관할 구청장에게 확정일자를 받은 경우에 임차상가 건물이 경매되면 그 순위에 따라 보증금은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다.
     3.임대차기간이 끝났음에도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임차인이 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다.
     4.상가임대차에서 임차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임차인은 해당 건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으나 차임은 지불하여야 한다.
     5.상가임차인이 3기에 달하도록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7.공인중개사법령과 관련된 판례의 내용 중 옳은 것은?(2007년 10월)
     1.무등록 중개업자의 중개행위가 부동산 컨설팅행위에 부수하여 이루어진 경우는 중개업에 해당되지 않는다.
     2.중개업자가 중개의뢰인으로부터 수수료 명목으로 법정 한도를 초과하는 당좌수표를 교부받았으나 그 후에 부도처리된 경우는 중개업자의 금지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
     3.중간생략등기의 방법으로 단기전매하여 각종 세금을 포탈하려는 것을 알고도 이에 동조하여 그 전매를 중개한 경우, 결과적으로 전매차익을 올리지 못하였더라도 부동산투기를 조장하는 행위에 해당된다.
     4.중개보조원이 고의 또는 과실로 거래당사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는 그 중개보조원을 고용한 중개업자만이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5.공인중개사가 실질적으로 무자격자로 하여금 자기 명의로 공인중개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더라도 스스로 몇 건의 중개업무를 직접 수행한 경우는 자격증 대여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8.공인중개사법령상 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을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유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10월)

    

     1.ㄱ, ㄴ, ㅁ
     2.ㄱ, ㄷ, ㄹ
     3.ㄴ, ㄹ, ㅁ
     4.ㄱ, ㄷ, ㄹ, ㅁ
     5.ㄴ, ㄷ, ㄹ, 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0% 

29.공인중개사법령상 중개계약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전속중개계약서에는 중개업자의 사무소 소재지가 기재되어야 한다.
     2.공동상속부동산의 교환계약을 중개하는 경우, 중개업자는 상속인 전원의 동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3.주거용 건축물의 중개대상물 확인ㆍ설명서에서 권리관계와 승강기 유무는 중개업자의 기본 확인사항이다.
     4.전속중개계약의 유효기간 내에 중개의뢰인이 스스로 발견한 상대방과 거래한 경우, 중개의뢰인은 중개수수료의 50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의 범위 안에서 중개를 위해 소요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5.주택거래계약신고서상 신고대상에는 주택의 소재지, 면적, 실제 거래가격도 포함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5% 

30.공인중개사법령상 중개업자의 거래계약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중개대상물확인ㆍ설명서 교부일자는 거래계약서에 기재해야 할 사항이 아니다.
     2.당해 중개행위를 한 소속공인중개사도 거래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개업자만 서명 및 날인하면 된다.
     3.거래계약서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표준 서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4.법인의 분사무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분사무소에서 작성하는 거래계약서에 분사무소의 책임자가 서명 및 날인해야 한다.
     5.중개업자가 거래계약서에 거래내용을 거짓으로 기재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31.甲은 중개업자 乙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주택을 임차하였다. 甲이 乙에게 지불하여야 할 중개수수료는?(2005년 05월)

    

     1.240,000원
     2.300,000원
     3.336,000원
     4.480,000원
     5.672,000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2.공인중개사법상 중개업자에 대한 벌칙 규정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2006년 10월)

    

     1.(ㄱ), (ㄴ), (ㄷ)
     2.(ㄱ), (ㄴ), (ㅁ)
     3.(ㄱ), (ㄹ), (ㅁ)
     4.(ㄴ), (ㄷ), (ㄹ)
     5.(ㄷ), (ㄹ), (ㅁ)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3.주택임대차 중개에서 중개업자 甲이 임차인 乙에게 받을 수 있는 중개수수료의 최고한도액은?(2007년 10월)

    

     1.120,000원
     2.195,000원
     3.200,000원
     4.240,000원
     5.300,000원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4.중개업자 甲의 중개보조원 乙의 과실로 중개의뢰인 丙이 손해를 입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甲은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이전에 손해배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해 보증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거나 공탁을 해야 한다.
     2.乙의 업무상 행위는 그를 고용한 甲의 행위로 본다.
     3.甲은 乙의 모든 행위에 대하여 丙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4.甲의 丙에 대한 책임이 인정되는 경우, 乙은 직접 丙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지 않는다.
     5.甲의 책임이 인정되어 丙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이행한 공제사업자는 甲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5.중개업자가 대한민국 내의 토지를 취득하고자 하는 외국인에게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대한민국 안의 토지를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 외국인으로 변경된 경우 그 외국인이 해당 토지를 계속 보유하려는 경우에는 외국인으로 변경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한다.
     2.국토해양부장관은 토지의 취득신고를 하지 않은 외국인에게 과태료를 부과ㆍ징수한다.
     3.외국인이 경매로 대한민국 안의 토지를 취득한 때에는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4.공인중개사법령에 따라 부동산거래신고를 한 경우에도「외국인토지법」에 따라 계약에 따른 토지취득의 신고를 해야 한다.
     5.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토지취득신고 등의 내용을 관리대장에 기록하여 관리해야 하고 그 내용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직접 통보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6.공인중개사법령상 주택매매시 작성하는 ‘중개대상물의 확인ㆍ설명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건폐율 상한 및 용적률 상한’은「주택법」에 따라 기재한다.
     2.권리관계의 ‘등기부기재사항’은 등기사항증명서를 확인하여 적는다.
     3.‘도시ㆍ군계획시설’과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중개업자가 확인하여 적는다.
     4.‘환경조건’은 중개업자의 세부 확인사항이다.
     5.주택 취득시 부담할 조세의 종류 및 세율은 중개업자가 확인한 사항을 적는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5% 

37.중개업자의 중개로 매도인 甲의 토지가 乙에게 매각되어 계약서의 검인을 받고자 하는 경우 틀린 것은?(2005년 05월)
     1.매도인 甲은 검인신청을 하기 위해 계약서의 원본과 그 사본 2통을 제출하였다.
     2.매도인 甲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검인신청을 하였다.
     3.계약서를 작성한 중개업자가 검인을 신청할 수 있다.
     4.매수인 乙이 등기신청서에 등기원인을 허위로 기재하여 신청하였다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5.매도인 甲과 매수인 乙이 서로 대가적인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는 반대급부의 이행이 완료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소유권이전등기신청을 하여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8.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것은?(2005년 10월)
     1.농업진흥구역
     2.문화재보호구역
     3.토지거래허가구역
     4.상수원보호구역
     5.소하천구역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9.중개업자가 주택임대차계약을 중개하면서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임차인 본인은 전입신고를 하지 않더라도 처와 자녀만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하고 주택을 인도 받으면 대항력을 취득할 수 있다.
     2.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은 일자와 저당권자의 설정등기일이 같은 경우 임차인이 우선한다.
     3.대항요건을 갖추고 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이라도 경매절차에서 배당요구의 종기까지 배당요구를 하여야만 배당시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
     4.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단위의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 월차임은 그 전환되는 금액에 연 1할4푼을 곱한 범위를 초과할 수 없다.
     5.주택임대차보호법상 차임 등의 증액청구에 대한 제한규정은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을 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0.중개업자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상가건물의 임대차를 중개하면서 의뢰인에게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상가건물의 임대차를 등기한 때에는 그 다음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2.임차인은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경우, 경매에 의해 매각된 임차건물을 양수인에게 인도하지 않더라도 배당에서 보증금을 수령할 수 있다.
     3.임대차 기간을 6월로 정한 경우, 임차인은 그 유효함을 주장할 수 없다.
     4.임대차가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 그 존속기간은 임대인이 그 사실을 안 때로부터 1년으로 본다.
     5.임대인의 동의를 받고 전대차계약을 체결한 전차인은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 이내에 임차인을 대위하여 임대인에게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2과목 : 부동산공시에 관한 법령 및 부동산관련 세법


41.지적법상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2005년 10월)
     1.“신규등록”이라 함은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2.“토지의 표시”라 함은 지적공부에 토지의 소재ㆍ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를 등록한 것을 말한다.
     3.“지번부여지역”이라 함은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ㆍ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을 말한다.
     4.“면적”이라 함은 지적공부에 등록한 필지의 수평면상 넓이를 말한다.
     5.“지적측량기준점”이라 함은 지적삼각점ㆍ지적삼각보조점ㆍ지적도근점 및 지적위성기준점을 말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이 답이며 1번은 등록전환에 관한 설명입니다

42.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에 따라 지적 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가 서로 합의하여 토지의 분할을 위한 측량기간과 측량검사기간을 합쳐 20일로 정하였다. 이 경우 측량검사기간은?(단, 지적기준점의 설치가 필요 없는 지역임)(2015년 10월)
     1.5일
     2.8일
     3.10일
     4.12일
     5.15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43.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지적소관청이 지번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하는 토지의 지번은 숫자 뒤에 “산”자를 붙인다.
     3.지번은 본번(本番)과 부번(副番)으로 구성하며, 북동에서 남서로 순차적으로 부여한다.
     4.분할의 경우에는 분할된 필지마다 새로운 본번을 부여한다.
     5.지적소관청은 축척변경으로 지번에 결번이 생긴 때에는 지체없이 그 사유를 결번대장에 적어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44.지적법령에 규정된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5년 05월)
     1.「지적측량수행자」는 행정자치부장관의 권한을 위임받은 시ㆍ도지사에게 등록된 지적측량업자와 「지적법」에 의해 설립된 대한지적공사를 말한다.
     2.「지목변경」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목을 다른 지목으로 바꾸어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3.「토지의 이동」은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정하거나 변경 또는 말소하는 것을 말한다.
     4.「합병」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2필지 이상을 지적측량을 시행하여 1필지로 합하여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5.「등록전환」은 임야대장과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과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5.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령상 토지의 조사ㆍ등록 등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ㄱ : 지적소관청, ㄴ : 모든 토지, ㄷ : 토지의 이용, ㄹ : 국토해양부장관
     2.ㄱ : 지적측량수행자, ㄴ : 관리 토지, ㄷ : 토지의 이동, ㄹ : 국토해양부장관
     3.ㄱ : 지적측량수행자, ㄴ : 모든 토지, ㄷ : 토지의 이동, ㄹ : 지적소관청
     4.ㄱ : 국토해양부장관, ㄴ : 관리 토지, ㄷ : 토지의 이용, ㄹ : 지적소관청
     5.ㄱ : 국토해양부장관, ㄴ : 모든 토지, ㄷ : 토지의 이동, ㄹ : 지적소관청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6.지방지적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지적측량에 대한 적부심사(適否審査) 청구사항
     2.지적측량기술의 연구ㆍ개발 및 보급에 관한 사항
     3.지적 관련 정책 개발 및 업무 개선 등에 관한 사항
     4.지적기술자의 업무정지 처분 및 징계요구에 관한 사항
     5.지적분야 측량기술자의 양성에 관한 사항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47.지목변경 신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1월)
     1.토지소유자는 지목변경을 할 토지가 있으면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지목변경을 신청하여야 한다.
     2.「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등 관계 법령에 따른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공사가 준공된 경우에는 지목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3.전ㆍ답ㆍ과수원 상호간의 지목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토지의 용도가 변경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첨부를 생략할 수 있다.
     4.지목변경 신청에 따른 첨부서류를 해당 지적소관청이 관리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의 확인으로 그 서류의 제출을 갈음할 수 있다.
     5.「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사업시행자가 공사 준공 전에 토지의 합병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지목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8.축척변경위원회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축척변경위원회는 위원의 3분의 1이상을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
     2.축척변경위원회는 축척변경시행계획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의결한다.
     3.축척변경위원회는 5인 이상 1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축척변경위원회는 청산금의 산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의결한다.
     5.축척변경위원회는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의결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9.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상경계점등록부의 등록사항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10월)

    

     1.ㄱ, ㄹ
     2.ㄴ, ㄷ
     3.ㄷ, ㄹ
     4.ㄱ, ㄴ, ㄹ
     5.ㄱ, ㄴ, ㄷ,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6% 

50.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이 중앙지적위원회의 심의ㆍ의결에서 제척(除斥)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위원이 해당 안건의 당사자와 친족이거나 친족이었던 경우
     2.위원이 해당 안건에 대하여 증언, 진술 또는 감정을 한 경우
     3.위원이 중앙지적위원회에서 해당 안건에 대하여 현지조사 결과를 보고 받거나 관계인의 의견을 들은 경우
     4.위원이 속한 법인ㆍ단체 등이 해당 안건의 당사자의 대리인이거나 대리인이었던 경우
     5.위원의 배우자이었던 사람이 해당 안건의 당사자와 공동권리자 또는 공동의무자인 경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51.부동산종합공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지적소관청은 부동산의 효율적 이용과 부동산과 관련된 정보의 종합적 관리ㆍ운영을 위하여 부동산종합공부를 관리ㆍ운영한다.
     2.지적소관청은 부동산종합공부를 영구히 보존하여야 하며, 멸실 또는 훼손에 대비하여 이를 별도로 복제하여 관리하는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3.지적소관청은 부동산종합공부의 불일치 등록사항에 대하여는 등록사항을 정정하고, 등록사항을 관리하는 기관의 장에게 그 내용을 통지하여야 한다.
     4.지적소관청은 부동산종합공부의 정확한 등록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부동산종합공부의 등록사항을 관리하는 기관의 장에게 관련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5.부동산종합공부의 등록사항을 관리하는 기관의 장은 지적소관청에 상시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52.다음 지적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지적도의 도면번호는 제15호이다.
     2.126-10의 지목은 공장용지이다.
     3.126-7에 제도된 “⊕”은 지적삼각점 위치의 표시이다.
     4.(산)으로 표기된 토지는 임야대장등록지이다.
     5.126-9의 동쪽 경계는 0.2㎜ 폭으로 제도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3.가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ㄱ, ㄴ, ㄹ
     2.ㄱ, ㄷ
     3.ㄱ, ㄷ, ㅁ
     4.ㄴ, ㅁ
     5.ㄴ, ㄹ, 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4.등기절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저당권에 기한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개시결정등기는 갑구에 기재한다.
     2.판결에 의한 등기는 승소한 등기권리자 또는 등기의무자만으로 이를 신청할 수 있다.
     3.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위하여 등기를 신청한 경우에는 등기관은 등기를 완료한 때에 채권자에게 등기필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4.등기관은 등기신청의 흠결을 당일 보정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이유를 기재한 결정으로써 그 신청을 각하하여야 한다.
     5.1980년 12월 31일 이전에 등기된 예고등기는 2006년 6월 1일부터 90일 이내에 이해관계인으로부터 권리가 존속한다는 뜻의 신고가 없을 때에는 말소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5.등기신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4년 10월)
     1.처분금지가처분등기가 된 후, 가처분채무자를 등기의무자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는 가처분채권자는 그 가처분등기 후에 마쳐진 등기 전부의 말소를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다.
     2.가처분채권자가 가처분등기 후의 등기말소를 신청할 때에는 “가처분에 의한 실효”를 등기원인으로 하여야 한다.
     3.가처분채권자의 말소신청에 따라 가처분등기 후의 등기를 말소하는 등기관은 그 가처분등기도 직권말소하여야 한다.
     4.등기원인을 경정하는 등기는 단독신청에 의한 등기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공동신청에 의한 등기의 경우에는 공동으로 신청하여야 한다.
     5.체납처분으로 인한 상속부동산의 압류등기를 촉탁하는 관공서는 상속인의 승낙이 없더라도 권리이전의 등기를 함께 촉탁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56.甲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를 乙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고, 별도의 계약으로 2년 후 그 토지를 재매매하기로 약정하였다. 甲으로부터 乙로의 소유권이전등기신청을 법무사 丙에게 위임한 경우, 그 등기신청서에 기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05년 05월)
     1.대상 토지의 소재와 지번
     2.대상 토지의 지목과 면적
     3.등기원인인 매매계약의 체결일
     4.재매매 약정에 관한 사항
     5.甲, 乙, 丙의 이름과 주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7.매매를 등기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할 경우 거래가액의 등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2006. 1. 1. 이전에 작성된 매매계약서를 등기원인증서로 한 경우에는 거래가액을 등기하지 않는다.
     2.등기원인이 매매라 하더라도 등기원인증서가 판결 등 매매계약서가 아닌 때에는 거래가액을 등기하지 않는다.
     3.신고필증상의 부동산이 1개인 경우에는 매도인과 매수인이 각각 복수이더라도 매매목록을 제출할 필요가 없다.
     4.당초의 신청에 착오가 있는 경우 등기된 매매목록을 경정 할 수 있다.
     5.등기원인증서와 신고필증에 기재된 사항이 서로 달라 동일한 거래라고 인정할 수 없는 등기신청은 각하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8.등기신청절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10월)
     1.등기는 원칙적으로 당사자의 신청에 의하여 행해지지만, 예외적으로 등기관의 직권 또는 법원의 명령에 의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2.등기관은 원칙적으로 등기신청서 접수 후 24시간 이내에 등기필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3.등기권리자가 등기를 신청하지 아니하고 방치한 경우 등기의무자는 등기권리자를 상대로 등기인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4.근저당권이전의 부기등기는 주등기인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말소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말소신청에 의하여 말소하여야 한다.
     5.등기신청인이 다수일 경우 등기신청서의 간인(間印)은 그 중 1인이 하면 되지만, 정정인(訂正印)은 전원이 날인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9.지역권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등기관이 승역지의 등기기록에 지역권설정의 등기를 할 때에는 지역권설정의 목적을 기록하여야 한다.
     2.요역지의 소유권이 이전되면 지역권은 별도의 등기 없이 이전된다.
     3.지역권설정등기는 승역지 소유자를 등기의무자, 요역지 소유자를 등기권리자로 하여 공동으로 신청함이 원칙이다.
     4.지역권설정등기시 요역지지역권의 등기사항은 등기관이 직권으로 기록하여야 한다.
     5.승역지의 지상권자는 그 토지 위에 지역권을 설정할 수 있는 등기의무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 

60.가등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甲의 토지에 소유권이전청구권 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한 乙이 가등기상의 권리를 丙에게 양도하면, 丙은 그 권리보전을 위하여 그 가등기상의 권리의 이전등기를 가등기에 대한 부기등기의 형식으로 경료하면 된다.
     2.가등기는 가등기만으로써 실체법상의 효력은 없고 순위보전의 효력만 있으나 담보가등기는 일정한 경우 저당권과 같은 실체법상의 효력이 인정된다.
     3.소유권보존등기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등기는 할 수 없다.
     4.가등기권리자는 무효인 중복등기에 관하여 말소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없다.
     5.가등기권리자가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를 하면 실체법상의 효력은 가등기한 날로 소급하여 발생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1.등기관의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등기관의 처분이 부당하다고 하는 자는 관할지방법원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함으로써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2.등기관의 처분에 대한 당부의 판단은 이의심사시를 기준으로 한다.
     3.등기관의 처분 후의 새로운 사실을 이의신청의 이유로 삼을 수 있다.
     4.이의는 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다.
     5.이의신청은 서면으로 하여야 하며, 신청기간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2.저당권의 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공동저당설정등기를 신청하는 경우, 각 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표시를 신청정보의 내용으로 등기소에 제공하여야 한다.
     2.저당의 목적이 되는 부동산이 5개 이상인 경우, 등기신청인은 공동담보목록을 작성하여 등기소에 제공하여야한다.
     3.금전채권이 아닌 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저당권설정등기를 할 수 있다.
     4.대지권이 등기된 구분건물의 등기기록에는 건물만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설정등기를 하지 못한다.
     5.저당권부 채권에 대한 질권을 등기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63.등기신청적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의 명의로 그 대표자 또는 관리인이 등기를 신청할 수 없다.
     2.국립대학교는 학교 명의로 등기를 신청할 수 없지만, 사립대학교는 학교 명의로 등기를 신청할 수 있다.
     3.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농업협동조합의 부동산은 조합원의 합유로 등기하여야 한다.
     4.지방자치단체도 등기신청의 당사자능력이 인정되므로 읍ㆍ면도 등기신청적격이 인정된다.
     5.동(洞) 명의로 동민들이 법인 아닌 사단을 설립한 경우에는 그 대표자가 동 명의로 등기신청을 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4.집합건물의 등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규약상 공용부분은 등기부에 공용부분이라는 취지를 기재하여야 한다.
     2.1동 건물을 구분한 건물에 있어서는 1동의 건물에 속하는 전부에 대하여 1용지를 사용한다.
     3.구분건물의 요건을 갖춘 1동의 건물 전체를 일반건물로 등기할 수 없다.
     4.대지권 등기 후 건물 소유권에 대한 등기를 하였다면, 그 등기는 건물만에 한한다는 취지의 부기가 없는 한 대지권에 대하여도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5.건물의 등기용지에 대지권의 등기를 한 때에는 그 권리의 목적인 토지의 등기부에 대지권인 취지를 등기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5.과세표준과 세액을 정부가 결정하는 때 세액이 확정됨이 원칙이나 납세의무자가 법정신고기간내 이를 신고하는 때에는 정부의 결정이 없었던 것으로 보는 세목은?(2010년 10월)
     1.종합부동산세
     2.양도소득세
     3.등록세
     4.취득세
     5.재산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6.등기권리자와 등기의무자가 공동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할 때에 제출해야 할 등기의무자의 인감증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일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이 등기의무자인 때에는 일본국관공서가 발행한 인감증명을 제출할 수 있다.
     2.인감증명은 발행일로부터 6개월 이내의 것이어야 한다.
     3.법인 또는 외국회사가 등기의무자인 때에는 등기소의 증명을 얻은 그 대표자의 인감증명을 제출하여야 한다.
     4.법인 아닌 사단 또는 재단이 등기의무자인 때에는 그 대표자 또는 관리인의 인감증명을 제출하여야 한다.
     5.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할 경우, 부동산매도용 인감증명을 제출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7.부동산을 양도할 경우 양도자의 입장에서 납부하는 조세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2005년 05월)
     1.양도소득세
     2.종합소득세
     3.부가가치세
     4.취득세
     5.소득할 주민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8.지방세법상 재산세의 과세표준과 세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1월)
     1.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세율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표준세율의 100분의 50의 범위에서 가감할 수 있으며, 가감한 세율은 5년간 적용한다.
     2.「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다가구주택은 1가구가 독립하여 구분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된 부분을 1구의 주택으로 보며, 이 경우 그 부속토지는 건물면적의 비율에 따라 각각 나눈 면적을 1구의 부속토지로 본다.
     3.법령에 따른 별장과 고급주택은 1천분의 40, 그 밖의 주택은 누진세율을 적용한다.
     4.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다른 주택에 대해 세율을 적용할 때 해당 주택의 토지와 건물의 가액을 소유자별로 구분계산한 과세표준에 해당 세율을 적용한다.
     5.법령에 따른 고급주택의 재산세 과세표준은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 100분의 70을 곱하여 산정한 가액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9.과세표준과 세액을 과세관청에 신고하는 때 납세의무가 확정되는 세목만으로 묶인 것은?(2005년 10월)
     1.종합부동산세ㆍ상속세ㆍ재산세
     2.상속세ㆍ증여세ㆍ재산세
     3.양도소득세ㆍ종합부동산세ㆍ부가가치세
     4.등록세ㆍ증여세ㆍ양도소득세
     5.상속세ㆍ종합부동산세ㆍ부가가치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0.국내소재 부동산을 임대하는 경우 부가가치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10월)
     1.사업자가 대가를 받지 아니하고 타인에게 건물을 임대하는 경우 용역의 공급으로 보지 아니한다.
     2.사업을 위한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건물과 토지의 임대용역은 면세이다.
     3.임대료 외에 임대보증금을 받는 경우 법령규정의 산식에 의하여 계산한 간주임대료도 과세표준에 포함된다.
     4.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가 다른 사업장에서 부동산임대업을 새로이 개시하는 경우 간이과세의 적용이 배제된다.
     5.부동산임대업의 사업장은 그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이나 예외적으로 그 사업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장소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1.지방세법상 취득세 표준세율의 100분의 500인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취득세 과세대상은 다음 중 모두 몇 개인가?(다만, 지방세법상 중과세율의 적용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가정함)(2010년 10월)

    

     1.1개
     2.2개
     3.3개
     4.4개
     5.5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2.소득세법상 양도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7년 10월)
     1.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2.전세권 및 등기된 부동산임차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3.지상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4.행정관청으로부터 인가ㆍ허가ㆍ면허 등을 받음으로써 발생한 영업권의 단독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5.시설물을 배타적으로 이용하거나 일반이용자에 비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주식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3.다음은 소득세 법령상 1세대 1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적용요건 중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는 경우를 나열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임대주택법」에 의한 건설임대주택을 취득하여 양도하는 경우로서 당해 건설임대주택의 임차일부터 양도일까지의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2.「해외이주법」에 의한 해외이주로 세대전원이 출국함으로써 양도하는 경우
     3.주택 및 그 부수토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의한 협의매수ㆍ수용되는 경우
     4.「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건축사업의 정비사업조합의 조합원으로 참여한 자가 그 사업시행기간 중 다른 주택을 취득하여 1년 이상 거주하다가 사업계획에 따라 취득하는 주택으로 세대전원이 이사하면서 그 다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5.취득 후 1년간 보유한 주택을 사업상의 형편으로 세대전원이 다른 시(도농복합형태의 시의 읍ㆍ면지역 포함)ㆍ군으로 주거를 이전함으로써 양도하는 경우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4.지방세법상 다음의 재산세 과세대상 중 가장 낮은 표준세율이 적용되는 것은?(2010년 10월)
     1.별장
     2.군(郡)지역에 소재하는 공장용 건축물
     3.분리과세대상 고급오락장용 토지
     4.고급오락장용 건축물
     5.분리과세대상 골프장용 토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75.양도소득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10월)
     1.토지의 양도가액은 원칙적으로 양도당시의 양도자와 양수자간에 실제로 거래한 가액으로 한다.
     2.소득세법상 甲이 특수관계가 없는 乙에게 무상으로 고가주택을 이전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다.
     3.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이 아닌 자간의 부담부증여에 있어서 수증자가 증여자의 채무를 인수하는 경우 그 채무액 상당부분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다.
     4.파산선고에 의한 처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이다.
     5.미등기 자산(법령이 정하는 자산은 제외)의 양도에 대해서는 양도소득기본공제가 적용되지 아니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6.지방세법상 재산세 납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1.건축물에 대한 재산세 납기는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이다.
     2.주택에 대한 재산세(해당 연도에 부과할 세액이 10만원을 초과함)의 납기는 해당 연도에 부과ㆍ징수할 세액의 2분의 1은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나머지 2분의 1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다.
     3.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재산세 납부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납세의무자의 신청을 받아 관할구역에 관계없이 해당 납세자의 부동산에 대하여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물납을 허가할 수 있다.
     4.재산세 납부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여 재산세를 물납하려는 자는 법령으로 정하는 서류를 갖추어 그 납부기한 10일 전까지 납세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5.재산세 납부세액이 500만원을 초과하여 재산세를 분할납부하려는 자는 재산세 납부기한까지 법령으로 정하는 신청서를 시장ㆍ군수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77.지방세법상 재산세 과세대상 토지(비과세 또는 면제대상이 아님) 중 과세표준이 증가함에 따라 재산세 부담이 누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것은?(2007년 10월)
     1.과세기준일 현재 군지역에서 실제 영농에 사용되고 있는 개인이 소유하는 과수원
     2.건축법 등 관계 법령의 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할 건축물로서 허가를 받지 아니한 건축물의 부속토지
     3.1980. 5. 1.부터 종중이 소유하고 있는 임야
     4.회원제 골프장용 토지로서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등록대상이 되는 토지
     5.고급오락장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부속토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8.지방세법상 재산세 부과ㆍ징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해당 연도에 주택에 부과할 세액이 100만원인 경우 납기를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로 하여 한꺼번에 부과ㆍ징수한다.
     2.재산세를 징수하려면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및 항공기로 각각 구분된 납세고지서에 과세표준과 세액을 적어 늦어도 납기개시 5일 전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3.토지에 대한 재산세는 납세의무자별로 한 장의 납세고지서로 발급하여야 한다.
     4.재산세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세액을 산정하여 보통징수의 방법으로 부과ㆍ징수한다.
     5.고지서 1장당 징수할 세액이 2천원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재산세를 징수하지 아니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79.개인 甲이 개인 乙로부터 A주택(고급주택 및 서민주택이 아님)을 매입하여 법정기한내에 관련세액을 신고납부하였다. 다음의 자료를 기초로 한 경우 개인 甲이 부담한 취득세, 등록세 및 관련 부가세(附加稅)의 세액으로 옳은 것은?(순서대로 취득세, 등록세,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2005년 05월)

    

     1.200만원, 150만원, 30만원, 30만원
     2.200만원, 150만원, 20만원, 30만원
     3.200만원, 200만원, 35만원, 40만원
     4.200만원, 200만원, 30만원, 20만원
     5.200만원, 150만원, 20만원, 40만원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0.종합부동산세법상 납세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단, 아래의 개인과 법인은 모두 과세기준일 현재 주택분 또는 토지분의 재산세 납세의무자임)(2007년 10월)
     1.세대원이 소유한 국내에 있는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한 금액이 7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된 주택소유자
     2.세대원이 소유한 지방세법상 종합합산과세대상인 국내에 소재하는 당해 과세대상토지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4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된 토지소유자
     3.지방세법상 별도합산과세대상인 국내에 소재하는 당해 과세대상토지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250억원을 초과하는 법인
     4.모회사인 A법인과 자회사인 B법인이 소유한 국내에 있는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10억원(모회사 6억원, 자회사 4억원)인 경우에는 모회사인 A법인
     5.지방세법상 종합합산과세대상인 국내에 소재하는 당해 과세대상토지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법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과목 : 부동산공법


81.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기반시설 중 방재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하천
     2.유수지
     3.하수도
     4.사방설비
     5.저수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82.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큰 용도지역부터 나열한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2014년 10월)

    

     1.ㄱ-ㄴ-ㄹ-ㄷ
     2.ㄴ-ㄱ-ㄷ-ㄹ
     3.ㄴ-ㄷ-ㄹ-ㄱ
     4.ㄷ-ㄱ-ㄹ-ㄴ
     5.ㄷ-ㄴ-ㄱ-ㄹ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83.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제1종지구단위계획의 내용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10월)
     1.건축선에 관한 계획
     2.건축물의 건폐율 또는 용적률
     3.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 또는 최저한도
     4.건축물의 용도제한
     5.교통처리계획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4.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10월)
     1.도시지역ㆍ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용도가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에 대하여는 건폐율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연환경보전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2.관리지역이 세부용도지역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경우 용적률에 대하여는 계획관리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3.관리지역 안에서「농지법」에 의한 농업진흥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림지역으로 결정ㆍ고시된 것으로 본다.
     4.공유수면의 매립목적이 당해 매립구역과 이웃하고 있는 용도지역의 내용과 다른 경우 그 매립구역이 속할 용도지역은 도시관리계획결정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5.「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ㆍ고시된 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지역으로 결정ㆍ고시된 것으로 본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5.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05년 10월)
     1.용도지역의 지정 또는 변경은 도시기본계획으로 결정ㆍ고시한다.
     2.용도지역은 크게 도시지역, 준도시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구분된다.
     3.자연환경보전지역은 자연환경ㆍ수자원ㆍ해안ㆍ생태계ㆍ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ㆍ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이다.
     4.도시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및 보전지역으로 구분된다.
     5.주거지역 중 준주거지역은 주택의 층수에 따라 제1종, 제2종 및 제3종으로 세분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6.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지구단위계획 및 지구단위계획구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지구단위계획은 제1종과 제2종으로 구분된다.
     2.지구단위계획은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다.
     3.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특구에 대하여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4.계획관리지역에 위치한 산업개발진흥지구에 대하여 제2종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5.택지개발예정지구의 경우 그 일부에 대하여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는 없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7.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자연환경보전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은?(단, 도시계획조례로 규정한 사항은 제외)(2008년 10월)
     1.교정 및 군사시설
     2.의료시설
     3.종교시설
     4.묘지관련시설
     5.교육연구시설 중 초등학교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8.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각 용도지역에 따른 건폐율과 용적률의 최대한도를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단, 도시계획조례로 규정한 사항은 제외)(2008년 10월)
     1.주거지역 : 60% - 500%
     2.상업지역 : 90% - 1,200%
     3.녹지지역 : 20% - 80%
     4.계획관리지역 : 40% - 100%
     5.자연환경보전지역 : 20% - 6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9.K시에 소재하고 있는 甲의 대지는 제2종일반주거지역과 생산녹지지역에 걸쳐 있으면서, 그 총면적은 1,000㎡이다. 이 경우 제2종일반주거지역의 건축 가능한 최대연면적이 1,200㎡일 때, 甲의 대지 위에 건축할 수 있는 건물의 최대연면적은?(단, K시의 도시계획조례상 생산녹지지역의 용적률은 50%, 제2종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은 200%, 기타 건축제한은 고려하지 아니함)(2008년 10월)
     1.1,200㎡
     2.1,400㎡
     3.1,500㎡
     4.1,600㎡
     5.1,8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0.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밀도관리구역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10월)
     1.개발밀도관리구역안에서는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의 최대한도의 50% 범위안에서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2.개발밀도관리구역에 대하여는 기반시설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즉시 검토하여 그 구역의 해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개발밀도관리구역의 명칭 변경에 대하여는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요하지 아니한다.
     4.공업지역에서의 개발행위로 인하여 기반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은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될 수 없다.
     5.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권자는 건설교통부장관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1.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허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1월)
     1.「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에 의해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허가권자가 개발행위허가에 조건을 붙이려는 때에는 미리 개발행위허가를 신청한 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3.토석의 채취에 대하여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개발행위를 마치면 준공검사를 받아야 한다.
     4.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으로서 도시관리계획상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최장 5년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5.환경오염 방지, 위해 방지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개발행위에 대해서 이행보증금을 예치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2.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과태료부과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10월)
     1.공동구에 수용하여야 하는 시설을 공동구에 수용하지 아니한 경우
     2.정당한 사유 없이 광역도시계획에 관한 기초조사를 방해한 경우
     3.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가 감독상 필요한 보고를 허위로 한 경우
     4.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소속공무원의 그 개발행위에 관한 업무상황의 검사를 거부한 경우
     5.공동구의 설치비용을 부담하지 아니한 자가 허가를 받지 않고 공동구를 사용하는 경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3.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계획수립시 기초조사를 위하여 행하는 타인 토지에의 출입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측량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소유자 등의 동의없이 나무, 흙 등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다.
     2.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가 행정청인 경우에는 그 출입을 위하여 시장ㆍ군수 등 허가권자의 허가를 요하지 아니한다.
     3.일출 전이라도 소유자 등의 승낙없이 담장으로 둘러싸인 타인의 토지에 출입할 수 있다.
     4.타인의 토지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출입하고자 하는 날의 하루 전까지 토지의 소유자 등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5.적법한 절차에 의한 출입으로 손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보상책임은 타인의 토지에 출입한 자가 진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4.도시개발법령상 토지등의 수용 또는 사용의 방식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시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지방자치단체가 시행자인 경우 토지상환채권을 발행할 수 없다.
     2.지방자치단체인 시행자가 토지를 수용하려면 사업대상 토지면적의 3분의 2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여야 한다.
     3.시행자는 조성토지를 공급받는 자로부터 해당 대금의 전부를 미리 받을 수 없다.
     4.시행자는 학교를 설치하기 위한 조성토지를 공급하는 경우 해당 토지의 가격을「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정평가업자가 감정평가한 가격 이하로 정할 수 있다.
     5.시행자는 지방자치단체에게 도시개발구역 전체 토지면적의 2분의 1 이내에서 원형지를 공급하여 개발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95.도시개발법령상 도시개발구역의 지정을 제안할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2012년 10월)
     1.도시개발조합
     2.한국수자원공사
     3.「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설립된 지방공사
     4.한국관광공사
     5.한국농어촌공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96.도시개발법령상 도시개발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0월)
     1.조합을 설립하려면 도시개발구역의 토지소유자 7명 이상이 정관을 작성하여 지정권자에게 조합설립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2.조합설립인가를 받은 후 정관기재사항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지정권자의 변경인가를 받아야 한다.
     3.조합의 임원은 그 조합의 다른 임원을 겸할 수 없다.
     4.조합에 대해 「도시개발법」에서 규정한 것 이외에는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5.조합인 시행자가 행한 처분에 대하여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7.도시개발구역 안에서 허가를 받아야 하는 행위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재난수습을 위한 응급용 가설건축물의 설치
     2.토지의 굴착을 수반하는 형질변경
     3.건축법상 신고대상인 공작물의 설치
     4.토지거래허가구역 이외의 지역에서의 토지의 분할
     5.공예품 소재확보를 위한 죽목의 벌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8.도시개발법령상 토지상환채권 및 도시개발채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도시개발조합은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도시개발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2.토지상환채권은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없다.
     3.도시개발채권은 무기명으로 발행할 수 없다.
     4.시ㆍ도지사가 도시개발채권을 발행하는 경우 상환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안전행정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5.도시개발채권의 소멸시효는 상환일부터 기산하여 원금은 3년, 이자는 2년으로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99.도시개발법령상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환지계획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10월)
     1.행정청이 아닌 시행자가 환지계획을 작성하는 때에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의 사전검토를 받아야 한다.
     2.시행자는 토지면적의 규모를 조정할 특별한 필요가 있는 때에는 과소토지가 되지 아니하도록 면적을 증가하여 환지를 정하거나 환지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3.토지소유자의 신청 또는 동의가 있는 때에는 당해 토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환지를 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당해 토지에 관하여 임차권자등이 있는 때에는 그 동의를 얻어야 한다.
     4.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특히 필요한 때에는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얻어 입체환지를 할 수 있다.
     5.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에 필요한 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일정한 토지를 체비지 또는 보류지로 정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0.도시개발법령상 수용 또는 사용방식에 의한 사업시행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을 모두 열거한 것은?(2006년 10월)

    

     1.(ㄱ), (ㄴ)
     2.(ㄱ), (ㄷ)
     3.(ㄱ), (ㄹ)
     4.(ㄴ), (ㄷ)
     5.(ㄴ),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1.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정비구역 안에서의 행위중 시장ㆍ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을 모두 고른것은?(단, 재해복구 또는 재난수습과 관련 없는 행위 임)(2014년 10월)

    

     1.ㄱ, ㄴ
     2.ㄷ, ㄹ
     3.ㄱ, ㄴ, ㄷ
     4.ㄴ, ㄷ, ㄹ
     5.ㄱ, ㄴ, ㄷ, ㄹ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102.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 및 정비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1월)
     1.정비계획에 대한 주민공람의 대상에서 세입자는 제외된다.
     2.건축물의 건축선에 관한 계획은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3.시ㆍ군은 기본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한다.
     4.건폐율ㆍ용적률 등에 관한 건축물의 밀도계획은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5.기본계획의 내용 중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설치계획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3.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정비사업의 준공인가 및 이전고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10월)
     1.정비사업의 시행자가 시장ㆍ군수인 경우에는 정비사업에 관한 공사를 완료한 때에 준공인가를 받아야 한다.
     2.시장ㆍ군수는 준공인가 이전에는 입주예정자에게 완공된 건축물을 사용할 것을 사업시행자에게 허가할 수 없다.
     3.건축물을 분양받을 자는 사업시행자가 소유권 이전에 관한 내용을 공보에 고시한 날에 건축물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한다.
     4.정비사업에 의하여 건축물을 분양받을 자에게 소유권을 이전한 경우 종전의 건축물에 설정된 저당권 등 등기된 권리는 소유권을 이전받은 건축물에 설정된 것으로 본다.
     5.한국토지주택공사인 사업시행자가 다른 법률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준공인가를 처리한 경우에도 시장ㆍ군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준공검사를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104.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군수가 직접 주택재개발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1.당해 정비구역 안의 토지면적 2분의 1 이상의 토지소유자와 토지등소유자의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자가 군수의 직접시행을 요청하는 때
     2.당해 정비구역 안의 국ㆍ공유지 면적이 전체 토지 면적의 3분의 1 이상으로서 토지등소유자의 과반수가 군수의 직접시행에 동의하는 때
     3.순환정비방식에 의하여 정비사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
     4.천재ㆍ지변으로 인하여 긴급히 정비사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
     5.고시된 정비계획에서 정한 정비사업 시행 예정일부터 2년 이내에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지 아니한 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105.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의 주택재건축사업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6.주택법령상 국민주택채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국민주택채권은 수도권에서 주거전용면적이 1세대당 100제곱미터 이하인 주택의 건설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것이다.
     2.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등기ㆍ등록을 신청하는 자가 매입하는 국민주택채권은 제2종국민주택채권이다.
     3.제1종국민주택채권의 원리금은 발행일부터 10년이 되는 날에 상환한다.
     4.「사립학교법」의 규정에 의한 사립학교경영자가 교육용 토지를 취득하여 소유권의 이전등기를 하는 때에는 제1종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하여야 한다.
     5.「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른 부동산투자회사는 제1종 국민주택채권의 매입의무가 면제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4% 

107.주택법령상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국토해양부장관은 국민이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주거기준을 설정ㆍ공고하여야 한다.
     2.최저주거기준에는 용도별 방의 개수가 포함되어야 한다.
     3.최저주거기준에는 주택의 분양가격이 포함되어야 한다.
     4.최저주거기준에는 가구구성별 최소 주거면적이 포함되어야 한다.
     5.사업주체가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최저주거기준에 미달되는 가구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8.주택법령상 사업주체는 사업의 대상이 된 주택 및 대지에 대하여는 ‘일정 기간’ 동안 입주예정자의 동의없이 저당권 설정 등을 할 수 없는바,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일정 기간’이란, 입주자모집공고승인 신청일 이후부터 입주예정자가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날 이후 90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2.위 ①에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날’이란 사업주체가 입주예정자에게 통보한 잔금지급일을 말한다.
     3.사업주체가 저당권 설정제한의 부기등기를 하는 경우, 주택건설대지에 대하여는 입주자모집공고승인 신청과 동시에, 건설된 주택에 대하여는 소유권보존등기와 동시에 하여야 한다.
     4.대한주택보증주식회사의 신탁의 인수에 관하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5.대한주택보증주식회사가 분양보증을 하면서 주택건설대지를 자신에게 신탁하게 할 경우 사업주체는 이를 신탁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09.주택법령상 주택공급과 관련하여 금지되는 공급질서 교란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10월)
     1.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조합원 지위의 증여
     2.주택상환사채의 저당
     3.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조합원 지위의 매매를 위한 인터넷 광고
     4.주택상환사채의 매입을 목적으로 하는 전화 광고
     5.입주자저축 증서의 증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110.주택법령상 주택의 공급 및 분양가격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의 분양가격은 택지비와 건축비로 구성된다.
     2.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주체로서 입주자를 모집하려는 경우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사업주체가 복리시설의 입주자를 모집하려는 경우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사업주체는 공공택지에서 공급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에 대하여 입주자모집승인을 받았을 때에는 분양가격을 공시할 필요가 없다.
     5.「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특구에서 건설ㆍ공급하는 높이 150미터 이상의 공동주택은 분양가상한제의 적용을 받는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111.주택법령상 주택거래신고지역 내의 주택거래계약의 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지정되기 전에 체결한 계약은 제외함)(2012년 10월)
     1.주택거래계약을 신고하여야 하는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이다.
     2.신규로 건설ㆍ공급하는 주택을 입주자로부터 매수하는 경우 주택거래계약은 신고의 대상이 아니다.
     3.주택거래신고지역 내의 아파트를 대가없이 증여받은 경우에도 주택거래계약을 신고하여야 한다.
     4.주택거래가액이 9억원인 경우 주택거래계약의 신고에는 거래대상 주택의 취득에 필요한 자금의 조달계획을 포함하여야 한다.
     5.주택거래가액이 9억원인 경우 주택거래계약의 신고에는 거래대상 주택에의 입주여부에 관한 계획을 포함하지 아니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112.건축법령상 건축허가 제한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국토해양부장관은 국토관리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허가받은 건축물의 착공을 제한할 수 있다.
     2.국토해양부장관은 환경부장관이 환경보전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요청하는 경우 허가권자의 건축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3.건축허가의 제한을 연장하는 경우 1회에 한하여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한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4.시ㆍ도지사는 지역계획에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건축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5.국토해양부장관은 보고받은 시ㆍ도지사의 건축허가 제한 내용이 지나치다고 인정하면 해제를 명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113.건축법령상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물을 용도변경하기 위해 허가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2011년 11월)
     1.업무시설을 판매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2.숙박시설을 제1종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3.장례식장을 종교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4.수련시설을 공동주택으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5.공장을 관광휴게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4.건축법령상 건축분쟁조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5년 10월)
     1.건축물의 건축등과 관련한 분쟁의 조정을 원하는 자는 허가권자가 시ㆍ도지사인 경우 건설교통부에 설치된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의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2.건축법은 건축분쟁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해 그 소요된 비용을 부담하는 것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3.건축분쟁조정위원회는 조정신청을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이를 심사하여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한다.
     4.건축분쟁조정위원회는 건축분쟁조정에 필요한 경우 법원의 영장을 받아 그 위원 등으로 하여금 관계 사업장에 출입하여 조사하게 할 수 있다.
     5.관계전문기술자 상호간의 분쟁은 건축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대상이 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5.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은 조건의 건축물의 용적률은 얼마인가?(2005년 10월)

    

     1.240%
     2.280%
     3.290%
     4.330%
     5.4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6.건축법령상 건축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바닥면적의 합계가 85제곱미터 이내인 단층의 건축물의 신축은 신고의 대상이다.
     2.신고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3.건축허가를 받은 건축의 건축주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신고를 하여야 한다.
     4.건축신고를 하였더라도 공사에 필요한 규모로 공사용 가설건축물의 축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로 가설건축물 축조신고를 하여야 한다.
     5.건축신고를 한 건축물을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같은 대지의 다른 위치로 옮기는 경우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117.건축법령상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구조기준 및 구조계산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바, 이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은?(2008년 10월)
     1.층수가 5층인 건축물
     2.처마높이가 12m인 건축물
     3.높이가 15m인 건축물
     4.연면적이 1,500㎡인 건축물
     5.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8m인 건축물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8.면적이 1,000㎡인 대지에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건축법령상 대지의 조경 등의 조치가 면제될 수 있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단, 제2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이 아니며,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2011년 11월)
     1.자연녹지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800㎡인 수련시설
     2.상업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1,000㎡인 물류시설
     3.연면적이 1,000㎡인 공장
     4.연면적이 500㎡인 축사
     5.자연환경보전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330㎡인 단독주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19.산지관리법상 보전산지 중 공익용 산지(산지전용 제한지역을 제외)안에서 산지전용을 할 수 없는 것은? (다만, 개별법률에 의한 행위제한을 적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2005년 10월)
     1.연면적 기준으로 종전규모의 100분의 130 이하의 종교시설의 증축
     2.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묘지ㆍ화장장ㆍ납골시설의 설치
     3.수목원ㆍ자연휴양림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산림공익시설의 설치
     4.광업법에 의한 광물의 탐사ㆍ시추시설의 설치
     5.사방시설ㆍ하천ㆍ제방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국토보전시설의 설치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20.농지법령상 농업경영에 이용하지 아니하는 농지의 처분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농지 소유자가 선거에 따른 공직취임으로 휴경하는 경우에는 소유농지를 자기의 농업경영에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농지처분의무가 면제된다.
     2.농지 소유 상한을 초과하여 농지를 소유한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 소유농지 전부를 처분하여야 한다.
     3.농지처분의무 기간은 처분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개월이다.
     4.농지전용신고를 하고 그 농지를 취득한 자가 질병으로 인하여 취득한 날부터 2년이 초과하도록 그 목적사업에 착수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농지처분의무가 면제된다.
     5.농지 소유자가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으로부터 농지처분명령을 받은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에 그 농지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3025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0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82206) 좋은아빠되기 2017.01.03 712
929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0036) 좋은아빠되기 2016.11.12 566
»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30256) 좋은아빠되기 2017.02.10 592
927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350541) 좋은아빠되기 2017.03.21 583
926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883978) 좋은아빠되기 2016.07.16 562
925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745516) 좋은아빠되기 2017.06.24 770
924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942372) 좋은아빠되기 2017.03.20 719
923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01
922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884
921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17.03.15 573
920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10
919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08.30 288
918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11.16 268
917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17.03.05 494
916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47
915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16.10.08 659
914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모의고사(2568118) 좋은아빠되기 2016.07.02 552
913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16.06.13 267
912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10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16.07.02 526
911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06.25 303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