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25317)


1과목 :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스타일 : 자주 사용하는 글자 모양, 문단 모양 등의 서식을 미리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 한꺼번에 적용하는 기능
     2.상용구 : 자주 쓰이는 문자열을 따로 등록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등록한 준말을 입력하면 본말 전체가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
     3.입력모음 : 신문이나 회보, 찾아보기 등을 만들 때 읽기 쉽도록 한 쪽을 여러 개의 단으로 나누는 기능
     4.매크로 : 사용자가 입력하는 일련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동작을 보관했다가 그대로 재생해 내는 기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다음 중 전자출판에서 자간의 미세 조정으로 특정문자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은?(2008년 05월)
     1.디더링(Dithering)
     2.커닝(Kerning)
     3.리터칭(Retouching)
     4.리딩(Leadin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5% 
     <문제 해설>
"자간의 미세 조정" 이 문제 자주 나옵니다. 문제 답 암기 해두세요

3.문서의 균형을 위해 비워두는 페이지의 상,하,좌,우 공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9월)
     1.각주(Footnote)
     2.마진(Margin)
     3.옵션(Option)
     4.색인(Index)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4% 
     <문제 해설>
각주 : 본문내용의 보충설명을 페이지 하단에 기록하는 기능.
옵션 : 임의로 변경이 가능한 값.
색인 : 문서의 낱말들을 빠르게 찾기 위해 낱말들에 색인 표시를 한 후 페이지 번호와 함께 자동으로 추출하여 색인목록을 만들어 주는 기능.
[해설작성자 : 땡이누나]

4.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출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문서 편집 시 설정한 용지 크기는 인쇄 시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없다.
     2.특정 페이지를 지정하여 인쇄할 수 있다.
     3.작성한 문서를 팩스로 보낼 수 있다.
     4.작성한 문서를 전자 메일로 보낼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다음 중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하이퍼텍스트 구조를 멀티미디어까지 이용 범위를 확장시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2.문서 내의 특정한 부분을 보다가 그에 관련된 다른 부분에 관한 내용은 문서 사이의 연결을 따라 가면서 참조하는 방식이다.
     3.주로 인터넷이나 문서 도움말등 에 사용된다.
     4.화면에 표시된 자료, 즉 문자, 그림, 동영상 등을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므로 문서 관리가 용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 구조의 이용 범위를 확장시켜 문서내 특정부분을 클릭하면 연결한 곳으로 이동하여 참조하는 방식으로 주로 인터넷 이나 문서 도움말등에
사용 합니다~

하이퍼미디어로 연결된 문서에 표시되는 문자,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은 각각의 해당 파일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ms2755]

6.다음 중 매크로(Macro)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매크로는 동일한 내용의 반복 입력이나 도형, 서식 등을 여러 곳에 반복 적용할 때 효과적이다.
     2.매크로는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도록 이름을 붙일 수 있다.
     3.매크로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해 두거나 정의된 매크로를 다시 편집할 수 있다.
     4.매크로는 키보드 입력을 기억할 수 있지만 마우스 동작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동작을 기억할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문제 해설>
매크로는 키보드 입력 마우스 동작 모두 포함하여 기록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7.다음 중 아래의 보기 예문에서 사용된 글자 속성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취소선
     2.윗주
     3.외곽선
     4.기울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문제 해설>
광역시에 살짝 기울어 진거 보이시죠?    그게 바로 기울임입니다 
[해설작성자 : 초딩]

행정구역은 밑줄, 특별자치시의 1)은 윗첨자(주석) 입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위의 줄은 줄긋기를 사용한 듯합니다.

8.다음 중 아래의 보기 내용이 기재된 거래문서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반박서/해명서
     2.통지서
     3.의뢰서
     4.교섭/협의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로 BIOS나 글자 폰트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2.가상메모리(Virtual Memory)는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3.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보통 SRAM과 DRAM이 있으며,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 것은 SRAM이다.
     4.버퍼 메모리(Buffer Memory)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문제 해설>
2.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마치 주기억장치인것 처럼 사용.
3.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것은 DRAM
4. 버퍼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이며, MP3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메모리는 플레쉬 메모리입니다.

10.다음 중 비즈니스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문장을 짧게 표현하며 개조식으로 작성한다.
     2.의미가 분명한 용어나 표현을 선택하여 내용을 정확하게 작성한다.
     3.동일한 수신인일 경우 여러 사안을 한 문서에 적어 다루기 쉽게 한다.
     4.개인의 감정을 개입하지 않은 객관적 입장에서 문장을 쓰도록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문제 해설>
동일한 수신인일 경우 한가지를 한 문서에 적어 다루기 쉽게 한다.
[해설작성자 : 꿀백조]

11.다음 중 문서 저장시 파일의 확장자(Extension)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문서 파일의 확장자는 길게 지정할 수 있으므로 문서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도록 자세히 지정하는게 좋다.
     2.일반적으로 *.bak 파일은 문서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경우 그 이전의 문서 내용을 저장하는 백업 파일이다.
     3.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확장자는 정해지지만, 사용자가 다른 형식으로 확장자를 바꾸어 저장할 수 있다.
     4.특정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다르게 바꾸더라도 다음에 그 워드프로세서에서 파일을 읽을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확장자는 보통 영어 3글자로 표현하고, 문서의 종류를 알수 있도록 지정한다.

12.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2.스프레드(Spread) : 사진이나 그래픽 이미지를 문서의 바탕에 투명하게 인쇄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3.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4.필터링(Filtering) : 3차원 그래픽 작업의 한 과정으로 2차원직인 이미지에 음영과 채색을 적절히 주어 3차원적인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문제 해설>
1번의 오버프린트는 문자나 위에 겹쳐서 문자를 중복 인쇄하거나 배경색을 인쇄한 후 그 위에 대상체를 다시 인쇄하는 방법.
2번의 스프레드는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어서 대상체가 보이지 않는 현상.
3번의 리터칭은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
4번의 필터링은 작성된 그림을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꿔주는 작업.
[해설작성자 : 부평중 정연우]

13.다음 중 프린터에서 다음 페이지의 맨 처음 위치까지 페이지 단위로 종이를 밀어 올리는 기능은?(2014년 10월)
     1.라인 피드(Line Feed)
     2.포매터(Formatter)
     3.폼 피드(Form Feed)
     4.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문제 해설>
폼피드 : 인쇄용지를 페이지 단위로 밀어 올리는 기능
라인 피드(LF) : 구식 수동 타자기에서 사용하던 원리를 초기 프린터에서 사용함. 커서의 위치를 아래줄로 이동시키는 것. 종이를 수직으로 한 글자 분량 올려서 새로운 선을 제공하는 행위.
캐리지 리턴(CR) : 구식 수동 타자기에서 사용하던 원리를 초기 프린터에서 사용함. 커서를 왼쪽 맨 앞으로 이동시켜 인쇄 준비를 하는 수평 이동.
형식자[formatter]:입력된 문장의 좌우 여백을 조정하고, 오른쪽 끝을 가지런히 정렬하며, 행간이나 자간, 글씨체와 글씨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공부중 부족한것 보충]

14.다음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전자문서’란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를 말한다.
     2.‘처리과’란 업무 처리를 주관하는 과·담당관 등을 말한다.
     3.‘전자이미지서명’이란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 또는 발신명의인이 전자문서상에 전자 적인 이미지 형태로 된 자기의 성명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4.‘업무관리시스템’이란 행정기관이 행정정보를 생산·수집·가공·저장·검색·제공·송신·수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합한 시스템을 말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업무관리시스템은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거죠.
하드웨어적인 문서들은 별개로 보관/보존 하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길박사]

15.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오버 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2.필터링(Filtering) : 그림의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이다.
     3.워터마크(Watermark) : 그림을 명암 대비가 작은 그림으로 바꾸는 것으로 기관의 로고 등을 작성하여 배경을 희미하게 나타낼 때 사용한다.
     4.초크(Choke)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필터링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다.
디더링 : 그림의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이다.

16.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후에 어떻게 조처하여야 하는가?(2011년 06월)
     1.사후에 보고한다.
     2.사후에 반드시 결재를 받는다.
     3.정규 결재과정을 다시 거친다.
     4.내부 결재과정을 거친 후 시행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문제 해설>
결재권자가 휴가, 출장 기타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대결할 수 있되, 그 내용이 중요한 문서에 대하여는 결재권자에게 사후에 보고를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사악소녀★]

선결 : 먼저 결재
전결 : 위임받은자
대결 : 대신결재
후결 : 나중에 결재

17.다음 중 마우스로 영역(블록)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한 단어영역 지정 : 해당 단어 앞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세 번 클릭한다.
     2.한 줄 영역 지정 : 해당 줄의 왼쪽 끝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클릭한다.
     3.문단 전체 영역 지정 : 해당 문단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가 바뀌면 두 번 클릭한다.
     4.문서 전체 영역 지정 : 문단의 왼쪽 끝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여 포인터가 화살표로 바뀌면 세 번 클릭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문제 해설>
한 단어영역 지정은 더블클릭이고 한 문단전체 블럭지정은 세번 클릭입니다.

18.다음 중 전자출판(Electronic Publishing)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디더링(Dithering) : 제한된 색상을 조합 또는 비율을 변화하여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2.리딩(Leading) : 자간의 미세 조정으로 특정 문자들의 간격을 조정
     3.스프레드(Spread)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어서 대상체가 보이지 않은 현상
     4.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시키는 작업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문제 해설>
자간의 미세 조정으로 특정 문자들의 간격을 조정은 커닝. 리딩은 현재줄의 시작과 바로 아래줄의 첫부분까지의 간격, 즉 줄간격을 말함.

19.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6월)
     1.오픈 타입(Open Type)
     2.트루 타입(True Type)
     3.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문제 해설>
오픈 타입은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입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의 블로거 ]

20.다음 중 교정부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 단어나 문자를 삽입하라는 부호이다.
     2. : 단어나 문자의 위치를 변경하라는 부호이다.
     3. : 지정된 부분을 위로 끌어 올리라는 부호이다.
     4. :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는 부호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0% 
     <문제 해설>
2.단어나 문자를 수정하라는 교정부호이다.
[해설작성자 : ㄱㅁㅈ]


2과목 : PC 운영 체제


21.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확인 목록이 아닌 것은?(2008년 07월)
     1.로그온을 위한 사용자 계정의 생성 및 확인
     2.네트워크 카드, 모뎀 및 케이블의 설치
     3.모든 컴퓨터, 프린터 및 외장 모뎀 켜기
     4.인터넷에 연결하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문제 해설>
1.로그온을 위한 사용자 계정의 생성 및 확인 은 사용자 계정에서 작성 및 확인 한다.

22.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 또는 이동하려고 할 경우에 옳은 것은?(2009년 02월)
     1.동일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복사할 경우에는 [Tab]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2.동일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다른 폴더로 파일을 이동할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3.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로 파일을 복사할 경우에는 [Al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4.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로 파일을 이동할 경우에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같은 드라이브에서 드래그앤 드롭은 이동
다른 드라이브에서 드래그앤 드롭은 복사
어떤 드라이브든간에 CTRL 누른상태에서 드래그앤드롭은 복사
어떤 드라이브든간에 SHIFT 누른상태에서 드래그앤드롭은 이동

23.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문서나 그림 같은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결정된다.
     2.특정한 데이터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프로그램 선택]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Windows] 창이 표시되는데, 이는 현재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4.[연결 프로그램] 대화 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삭제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문제 해설>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한다고 해서 데이터 파일까지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연결되어있던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끊기기만 하는거죠.
[해설작성자 : 카스타드~]

24.한글 Windows XP의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명령 프롬프트 모드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서 복원 메뉴로 복원할 수 없다.
     2.각각의 드라이브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3.플로피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서 복원 메뉴로 복원 할 수 있다.
     4.휴지통의 등록정보에서 휴지통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문제 해설>
플로피 드라이브에서 파일 삭제시 휴지통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삭제 되므로 복원할수 없습니다.
파일 삭제시 복원할수 없는경우
1. 플로피 드라이브에서 삭제
2.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
3. Shift + Del 키를 눌러서 삭제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25.한글 Windows XP에서 임의의 폴더 창에 있는 파일이나 하위 폴더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2월)
     1.연속적인 파일을 선택할 때는 [Ctrl] 키를 비연속적인 파일을 선택할 때는 [Shift] 키를 이용한다.
     2.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사각형 모양의 상자를 만들면 그 사각형 상자 안의 파일이 선택된다.
     3.파일 전체를 선택할 때는 [편집] 메뉴의 [모두 선택] 또는 [Ctrl] + [A] 키를 누른다.
     4.하나의 파일을 선택할 때는 마우스 왼쪽 단추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을 한번 클릭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문제 해설>
연속적(연결된) 파일 선택 : Shift (쉬프트)
비연속적인(군데 군데 떨어져있는) 파일선택 : Ctrl (컨트롤)

26.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파일은?(2006년 08월)
     1.notepad.exe
     2.regedit.exe
     3.wordpad.exe
     4.editor.ex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문제 해설>
레지스트리는 메모장에서 편집이 불가능하고 regedit.exe에서 편집 가능.

27.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 있는 [도구]-[폴더 옵션]을 선택하여 표시되는 [폴더 옵션] 창의 [일반] 탭에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은?(2008년 02월)
     1.폴더에 일반 작업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2.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3.숨겨진 파일을 보이게 설정할 수 있다.
     4.마우스 한 번 클릭으로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문제 해설>
3번은 보기 탭에서 가능한 형식입니다.

28.한글 Windows 98에 설치된 기본 프린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5월)
     1.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IP주소를 지정하여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프린터는 사용자가 기본 프린터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없다.
     2.프린터 추가에 의해 설치된 여러 프린터 중에서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를 의미한다.
     3.인쇄 명령 수행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인쇄작업이 전달되는 프린터를 의미한다.
     4.기본 프린터로 지정된 프린터는 제거될 수 없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프린터도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고 기본 프린터로 지정된 프린터도 제거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출입문]

29.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기본 프린터의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기본 프린터로 사용할 프린터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기본 프린터로 설정]을 클릭한다.
     2.현재 기본 프린터를 해제하려면 다른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면 된다.
     3.인쇄 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기본 프린터로 전달된다.
     4.기본 프린터는 2개 이상 지정이 가능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문제 해설>
기본값은 1개이듯 기본 프린터 역시 1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30.다음 중 한글 Windows 98의 네트위크 설정에서 DNS서버 주소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제어판]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2.[TCP/IP 등록정보] 창의 DNS 구성 탭에서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3.추가되는 DNS 서버 주소는 하나만 존재해야 한다.
     4.DNS 서버란 사람이 사용하기 쉬운 도메인명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바꿔주는 컴퓨터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1% 
     <문제 해설>
DNS 서버 주소는 사용자가 임의로 여러개 추가할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 존재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여쌤]

31.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검색을 위한 [검색 결과]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찾으려는 파일이나 폴더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검색할 수 있다.
     2.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드라이버를 검색할 수 있다.
     3.검색된 파일은 삭제할 수 있다.
     4.[휴지통]을 검색하여 표시된 파일은 복원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문제 해설>
문제에 키워드가 있다. 파일이나 폴더의 검색이라고 했기때문에 파일이나 폴더에 관련된 검색이다. 그러나 하드웨어는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기계장치이기때문에 [시스템]-[하드웨어]-[장치관리자]에서 확인 가능하다.

32.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디스크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디스크 검사는 폴더와 파일의 오류를 검사하여 발견된 오류를 복구한다.
     2.디스크 검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구할 때 교차 연결된 파일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백업한다.
     3.‘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 수정’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 수정 여부를 물어 본 후 수정한다.
     4.‘불량 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을 검사하여 디스크에 생긴 물리적인 오류도 찾아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 수정'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 수정 여부를 묻지 않고 곧바로 수정한다.
[해설작성자 : 8818962]

33.한글 Windows XP의 바탕화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바탕화면의 하단 부분의 [작업 표시줄]은 크기와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2.바탕화면의 배경 그림을 바꾸려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있다.
     3.바탕화면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을 삭제하면 실제 프로그램도 같이 삭제된다.
     4.[탐색] 창에서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려면 해당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보내기]의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8% 
     <문제 해설>
바로가기 아이콘은 원본의 주소만 기억하고 있는 단축아이콘이므로 지워도 원본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34.다음 중 한글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암호]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한 대의 PC를 여러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마다 다른 암호를 지정하고 다른 작업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2.입력된 암호는 C:\Windows\System 폴더에 사용자 이름의 파일명과 .ini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저장된다.
     3.[암호 등록정보] 창의 [사용자 초기화 파일] 탭에서 사용자마다 다른 기본 설정 및 바탕화면 사용 옵션을 이용하면 사용자마다 바탕화면의 모양과 기본 설정 사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4.부팅할 때 나타나는 [네트워크 암호] 대화상자에 입력할 암호를 잊은 경우에 [Esc] 키를 누르면 Windows로 바로 부팅이 된다. 이 때 암호 파일(*.pwl)을 찾아 삭제하면 다음 Windows를 부팅할 때 새롭게 암호를 등록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문제 해설>
2. 암호는 파일과 함께 저장된다. 
[해설작성자 :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35.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컴퓨터에 연결된 하드웨어 중에서 [장치 및 프린터] 창에 표시되지 않는 장치는?(2015년 10월)
     1.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
     2.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메모리 등과 같이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장치
     3.외장 USB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웹캠 등과 같이 USB 포트에 연결하는 모든 장치
     4.컴퓨터에 연결된 모든 프린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문제 해설>
2번에 있는 장치들은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장치들로 따로 창을 표시해주지 않습니다.
1,3,4번처럼 외부에서 설치된 장치들만 창을 표시해주죠.

36.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접근성 센터] 창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내레이터 시작을 하면 내레이터가 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어준다.
     2.아이콘 및 알림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 있다.
     3.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돋보기를 사용하면 화면에서 원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크게 표시 할 수 있다.
     4.마우스 포인터의 색과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문제 해설>
아이콘 및 알림을 숨기도록 설정하는 것은
작업표시줄 및 시작메뉴 속성 창에서
작업표시줄탭의 알림영역-[사용자지정] 단추를 누르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7.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의 [보기]-[자세히]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의 세부 항목이 아닌 것은?(2011년 09월)
     1.네트워크의 장치 이름
     2.네트워크의 종류
     3.네트워크의 상태
     4.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문제 해설>
[네트워크 연결]창의 [보기]-[자세히]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할 경우
네트워크 장치 이름, 종류, 상태가 표시된다.
[해설작성자 : 그림자]

38.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활성 네트워크 보기에서는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액세스 형식, 연결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무선, 광대역, 전화접속 연결 등을 설정하거나 라우터 또는 액세스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3.다른 네트워크 컴퓨터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에 액세스하거나 공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4.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지정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및 끊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문제 해설>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설정하고, 
[네크워크 드라이브 연결 끊기]를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끊을 수 있습니다. 
즉, 1,2,3번은 [네트워크] 아이콘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4번은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9.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현재 연결 설정을 PDR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한 파일을 실행하면 원격 컴퓨터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2.먼 곳에 있는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복사하고 문서 파일을 현재 연결된 컴퓨터로 인쇄할 수 있다.
     3.연결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는 연결 속도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4.연결 시에 원격 데스크 톱의 화면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연결이 끊어지면 자동으로 다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문제 해설>
PDR 아니고 RDP 파일로 저장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 Remote Desktop Protocol)
[해설작성자 : 에듀컴퓨터아트학원]

40.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 화면에 있는 바로 가기 아이콘의 등록정보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해당 아이콘의 등록정보 창은 바로 가기 아이콘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면 나타난다.
     2.해당 아이콘의 등록정보 창에서 아이콘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3.해당 아이콘의 등록정보 창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에 연결된 대상 파일의 이름을 바꾸면 실제 원본 파일의 이름이 변경된다.
     4.해당 아이콘의 등록정보 창에서 연결 대상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문제 해설>
바로가기 아이콘에 연결된 대상 파일의 이름을 바꾼다하여도 실제 원본 파일의 이름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재웅]



3과목 : PC 기본 상식


41.다음 중 컴퓨터의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ENIAC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사용한 계산기이다.
     2.UNIVAC-I은 최초의 상업용 전자계산기이다.
     3.인공지능 및 퍼지이론과 관련 있는 주요 소자는 VLSI이다.
     4.시분할 처리와 다중처리가 개발된 시기는 3세대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ENIAC : 최초의 전자 계산기
EDSAC : 최초로 프로그램 내장 방식 도입
EDVAC : 프로그램 내장 방식과 2진법 채택
[해설작성자 : 미니미니]

ENIAC은 프로그램 외장 방식을 사용한 계산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부산시현이]

42.다음 중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에 따라 컴퓨터를 분류하고자 할 때, 아래의 설명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컴퓨터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하이브리드 컴퓨터
     2.디지털 컴퓨터
     3.아날로그 컴퓨터
     4.범용 컴퓨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컴퓨터이고 디지털 컴퓨터는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컴퓨터이고 아날로그 컴퓨터는 병원에서 보는 심장박동 표시하는 기계(저도 몰랐지만 아날로그 컴퓨터의 일종이라네요..;;)로 생각하시면 되고 범용 컴퓨터는 컴퓨터의 사용 목적이 지정되지 않고, 운영체제(OS)와 여러가지 응용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어서, 무엇이든 필요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설계된 대형 컴퓨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43.다음은 운영체제의 목적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일정한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을 CPU 사용율이라 한다.
     2.사용자가 컴퓨터에 일을 지시하고 나서 그 결과를 얻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응답 시간이라 한다.
     3.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사용 가능도라 한다.
     4.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고 작동하는 정도를 신뢰도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문제 해설>
일정한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처리율(량)이라고 합니다.
사용율이란 일정 시간동안 CPU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4.다음 중 RISC 프로세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200 내지 300 개의 명령어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2.실행 속도를 높이려는 시도에서 개발되었다.
     3.애플사의 PowerPC, Power Mac G3, Power Mac G4 등의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다.
     4.일반적으로 같은 공정으로 생산된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전력소모가 작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문제 해설>
많은 수의 명령어로 이루어진 것은 CISC 입니다.
RISC 프로세서는 레지스터의 수가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
[해설작성자 : 경남컴퓨터학원]

45.다음 중 PC의 각 부품을 선정할 때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4년 10월)
     1.CPU의 소켓과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CPU의 소켓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RAM과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RAM의 종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3.그래픽 카드의 내장 그래픽 칩셋과 메인보드의 그래픽 칩셋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4.메인보드가 PC 케이스에 장착이 가능한 크기인지 폼 팩터(Form Factor)를 확인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문제 해설>
그래픽 카드의 내장 그래픽 칩셋과 메인보드의 그래픽 칩셋이 일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6.다음 중 운영체제의 목적과 관련된 용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일정한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을 CPU 사용률이라 한다.
     2.사용자가 컴퓨터에 일을 지시하고 나서 그 결과를 얻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응답 시간이라 한다.
     3.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사용 가능도라 한다.
     4.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고 작동하는 정도를 신뢰도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일정한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처리능력 이라한다.

47.다음 중 초고속 디지털 전송기술의 하나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양방향 서비스 속도가 이론적으로 비슷한 인터넷 통신기술은?(2007년 03월)
     1.ADSL
     2.VDSL
     3.ISDN
     4.MODE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ADSL : 업로드 속도는 느리고 다운로드 속도는 빠릅니다.
VDSL : 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가 거의 동일 합니다.

48.다음 중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2006년 05월)
     1.RAM은 보조기억장치의 대표적인 매체로서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보가 유지된다.
     2.보조기억장치로부터 RAM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는 주기억장치로부터 RAM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매우 빠르다.
     3.보조기억장치는 비소멸성이다. 즉, 저장된 정보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소멸되지 않는다.
     4.주기억장치는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는데 비해 보조기억 장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 명령 둘다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1. 램은 주기억장치의 대표적 매체, 휘발성(전원을 꺼면 사라짐)이다.
2. 느리다
4. 반대
[해설작성자 :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49.다음 중 버스(Bus) 방식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네트워크 구성에 드는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2.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컴퓨터간 접속은 백본을 통해 이루어 진다.
     3.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허브와 고장난 컴퓨터 사이의 선로만 점검하면 된다.
     4.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동시에 많은 신호를 전송하면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버스 구조는 전송회선 한라인에 컴퓨터가 연결되어있는 모습이라 생각할수있습니다.
전송회선을 한라인만 깔면 되니 네트워크 구성에 드는 비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컴퓨터간 접속은 백본을 통해 이루어지고, 한라인을 사용하기때문에 여러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많은 신호를 전송하면 당연히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될수있습니다.
이때,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면    한라인이므로 그선로를 모두 점검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50.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과 컴퓨터들의 역할에 따라 통신망의 연결 형태가 결정된다. 다음 중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컴퓨터와 컴퓨터가 동등하게 연결되는 방식이다.
     2.각각의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가 될 수 있다.
     3.워크스테이션이나 PC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된다.
     4.유지보수가 쉬우며, 데이터의 보안이 우수하고 주로 데이터의 양이 많을 때 사용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문제 해설>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는 쉽게 설명해 메신져를 말하는것이므로 보안이 우수하지않다.
[해설작성자: 김세희짱]

51.인터넷 상의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인터넷 기능이 있는 모든 IT 기기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컴퓨팅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사용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컴퓨팅 개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5년 10월)
     1.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2.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3.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4.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문제 해설>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이다.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50825&cid=40942&categoryId=32828
[해설작성자 : 11월 21일 합격 기원 부탁드려요.]

컴퓨터의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쓰고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은 클라우드 컴퓨터에 관한 내용이므로 저 문장이 나오면 무조건 클라우드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뚜빈키득]

52.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2014년 03월)

    

     1.샘플링(sampling)
     2.스트리밍(streaming)
     3.로딩(loading)
     4.시퀀싱(sequencin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문제 해설>
음성이나 동영상 등을(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은 스트리밍입니다.
[해설작성자 : you]

53.다음 중 관용 암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같다.
     2.비밀키의 전송이 불필요하다.
     3.복호화키는 비밀이다.
     4.디지털 서명이 비교적 복잡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문제 해설>
관용 암호방식은 비밀키 암호화(대칭키)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동일하다.

54.다음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을 시스템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통합함으로써 실행 가능한 모듈로 만들어 주는 시스템소프트웨어는?(2009년 10월)
     1.인터프리터(Interpreter)
     2.링커(Linker)
     3.어셈블러(Assembler)
     4.컴파일러(Compile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1. 인터프리터 : 목적프로그램을 만들지 않고 바로 한줄씩 실행
2. 링커 : 목적 프로그램을 시스템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통합함으로써 실행 가능한 모듈로 만들어 주는 시스템소프트웨어
3. 어셈블러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
4. 컴파일러 : 원시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
링커는 연결하다라는 뜻으로 여러 목적프로그램을 연결해서 실행 가능한 모듈로 만들어 준다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55.다음 중 컴퓨터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7년 07월)
     1.범용 컴퓨터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다.
     2.워크스테이션은 고성능 컴퓨터로 CISC 프로세서를 주로 사용한다.
     3.미니컴퓨터는 마이크로컴퓨터보다 처리 용량과 속도가 뛰어나다.
     4.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한 형태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문제 해설>
아래는 55번에 대한 시행기관(대한상공희외소)의 발표 내용입니다.
본 문제의 경우, 과거 워크스테이션은 RISC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므로 이에 대한 지식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워크스테이션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텔 Xeon 프로세서의 경우에는 구현적인 측면에서는 RISC 형태이나 CISC 명령어 집합을 지원하므로 엄밀하게 RISC, CISC 프로세서로 구분하는 것이 힘들어 진 것 최근의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문제의 경우 최근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정답없는 문제(모두 정답)로 처리합니다.

56.다음 중 오늘날 컴퓨터의 기본 원리인 프로그램 내장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기억장치에 계산의 순서를 미리 저장한다.
     2.프로그램은 실행 전 주기억장치에 저장된다.
     3.명령처리는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4.1671년 라이프니츠에 의해 이론이 정립되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문제 해설>
프로그램 내장방식은 라이프니츠에 이론이 정립된 것이 아니라 1949년 폰노이만에 의해 정립되었다.
[해설작성자: 행주, 유강컴퓨터학원]

57.다음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11년 03월)
     1.Oracle, MySQ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2.PhotoShop, CoreDraw는 그래픽 소프트웨어다.
     3.Dreamweaver, FrontPage는 압축 프로그램이다.
     4.WinAMP, RealPlayer는 음악 파일 재생 프로그램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문제 해설>
Dreamweaver, FrontPage는 압축프로그램이아닌 웹페이지저작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겸댕이jk]

58.다음 중 웹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된 웹 표준 문서 포맷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태그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웹 문서 표준 형식은?(2009년 10월)
     1.XML
     2.SGML
     3.HTML
     4.HyTim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문제 해설>
XML : HTML이 개선된 형태로 구조적 문서화 기능을 지원합니다.
구조화된 문서 전송이라는 단어를 통하여 답을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9.다음 중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다.
     2.파티션을 나눈 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맷을 해야 한다.
     3.하나의 하드디스크 내의 모든 파티션에는 동일한 운영체제만 설치해야 한다.
     4.하나의 파티션에 한 가지 파일 시스템만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문제 해설>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하여 각 파티션마다 운영체제를 따로 설치할수 있다.

60.다음 중 URL의 형식이 바르게 표시된 것은?(2010년 03월)
     1.접근프로토콜://문서이름/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
     2.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문서이름
     3.접근프로토콜://문서경로/문서이름/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
     4.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이름/문서경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문제 해설>
URL 형식 : 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문서이름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2531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0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모의고사(8043217) 좋은아빠되기 2016.07.02 700
1789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95
1788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16.10.10 386
1787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84140) 좋은아빠되기 2016.08.30 560
1786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185491) 좋은아빠되기 2016.08.31 203
1785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333588) 좋은아빠되기 2017.03.28 353
1784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005728) 좋은아빠되기 2016.11.16 1059
1783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85616) 좋은아빠되기 2016.10.10 750
»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25317) 좋은아빠되기 2017.03.05 199
1781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789574)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30
1780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034489)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81
1779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701271) 좋은아빠되기 2017.02.10 1050
1778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5월 26일(3225405) 좋은아빠되기 2022.05.24 10
1777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03월 04일(8598462) 좋은아빠되기 2022.04.06 43
1776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2월 17일(4785325) 좋은아빠되기 2022.04.22 22
1775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88
1774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19.05.08 177
1773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8 15
1772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3월 06일(1807767) 좋은아빠되기 2022.05.24 21
1771 워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6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18.06.28 170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