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12093)


1과목 : 데이터 베이스


1.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3단계로 구분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3월)
     가.내부스키마
     나.외부스키마
     다.개념스키마
     라.내용스키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0% 
     <문제 해설>
*스키마의 3 계층*
1.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2.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3.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2.2단계 로킹(Two Phase Lock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가.직렬성을 보장한다.
     나.확장 단계와 축소 단계의 두 단계(Phase)가 있다.
     다.교착 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라.각 트랜잭션의 로크 요청과 해제 요청을 2단계로 실시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문제 해설>
2단계 로킹은 확장 단계와 축소 단계 2단계 밖에 없기 때문에, 트랜잭션 A와 B 가 있을 경우, A,B 둘 중에 어느 한 곳의 트랜잭션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한 쪽이 로킹을 풀게 되면,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된다.
로킹을 푸는 단계가 축소 단계이다.

3.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의 임무로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9월)
     가.개념 스키마 및 내부 스키마를 정의한다.
     나.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다.장애에 대비한 예비조치와 회복에 대한 전략을 수립한다.
     라.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문제 해설>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주체는 end user라고 봐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원자력펭귄]

4.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가.요구조건분석→개념적설계→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나.요구조건분석→논리적설계→개념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다.요구조건분석→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개념적설계→구현
     라.요구조건분석→개념적설계→물리적설계→논리적설계→구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7% 
     <문제 해설>
요구조건분석→개념적설계→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편하게 외우시면됩니다.
분석->개념->논리->물리->구현
(어떤것인지 확인해보고(분석)->분석한걸 생각해보고(개념)->문서로정리해보고(논리)-> 실제로 만들어보고(물리)-> 실행해보고(구현) 뭐 이런식으로.^^
[해설작성자 : 제로티]

5.Which is not in the three-schema architecture?(2013년 03월)
     가.internal schema
     나.conceptual schema
     다.external schema
     라.procedural schema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문제 해설>
스키마의 종류
개념스키마(conceptual schema),
내부스키마(internal schema), 
외부스키마(external schema) 3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6.모든 릴레이션이 갖는 특성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가.중복된 튜플을 포함할 수 있다.
     나.튜플들 간에는 위에서 아래로의 순서가 없다.
     다.속성들 간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가 없다.
     라.모든 속성값은 원자값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2% 

7.스택 알고리즘에서 T가 스택 포인터이고, m이 스택의 길이일 때, 서브루틴 AA가 처리해야 하는 것은?(2005년 03월)

   

     가.오버플로 처리
     나.언더플로 처리
     다.입력 처리
     라.출력 처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5% 
     <문제 해설>
첫번째줄과 두번째줄을 보면 T값을 1씩 계속 증가시키다가
어떻한 값(m)보다 커지면 AA로 돌아간다.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오버플로우.

8.스키마(sche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가.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를 기술한 것이다.
     나.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서브스키마(subschema)라고도 한다.
     다.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할 수 있는 정의를 기술한다.
     라.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데이터베이스 접근권한, 보안 정책, 무결성 규칙을 명세화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문제 해설>
내부스키마-물리적인 저장장치,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설계자가 보는 관점의 스키마입니다. 
정의를 기술하는것은 개념 스키마입니다
[해설작성자 : 파란101]

9.SQL은 사용 용도에 따라 DDL, DML, DCL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2011년 03월)
     가.UPDATE
     나.ALTER
     다.DROP
     라.CREAT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8% 
     <문제 해설>
ALTER, DROP, CREATE 는 DDL 이며
UPDATE는 DML 입니다.

10.분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가.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려는 데이터나 사이트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나.중앙의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구현하는데 복잡하고 처리 비용이 증가한다.
     라.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문제 해설>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장점
1. 장점
    - 공용성과 가용성이 뛰어남
    - 자치성이 높다
    - 추가와 폐쇄 용이, 적응성과 확장성이 뛰어남
    - 신뢰성, 융통성이 뛰어남
2. 단점
    - 필요 장비 많음, 구축 비용이 많음
    - 소프트웨어 개발이 복잡, 개발 비용 비쌈
    - 통신망에 제약 있음.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11.릴레이션 R(A,B,C,D)에서 기본키가 (A,B)이고 D -> B 의 종속성이 존재한다. 릴레이션 R은 몇 정규형인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5년 03월)
     가.BCNF
     나.3NF
     다.2NF
     라.1NF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5% 

12.개체-관계 모델(E-R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가.E-R 모델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E-R 다이어그램이다.
     나.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 타입은 다이아몬드, 관계 타입은 사각형, 속성은 타원으로 표시한다.
     다.개체, 속성, 그들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개념 세계의 정보 구조를 표현 한다.
     라.1976년 P. Chen이 제안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0% 
     <문제 해설>
개체는 사각형! 
관계는 다이아몬드!
속성은 타원!
[해설작성자 : 서경대 정보통신공학과]

13.한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2013년 06월)
     가.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
     나.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
     다.도메인 무결성 제약 조건
     라.키 무결성 제약 조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문제 해설>
참조무결성 : 왜래키값은null 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키값가 동일해야함
개체무결성 : 어떤 속성도 널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음

14.SQL 구문과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2004년 05월)
     가.CREATE - 테이블 생성
     나.DROP - 레코드 삭제
     다.UPDATE - 자료 갱신
     라.DESC - 내림차순 정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문제 해설>
데이터 정의어(DDL,Data Define Language)-스키마, 테이블, 도메인, 인덱스, 뷰를 정의, 변경, 삭제할 때 사용

CREATE-스키마, 테이블, 도메인, 인덱스, 뷰를 정의할 때 사용
ALTER-테이블 정의를 변경할 때 사용
DROP-스키마, 테이블, 도메인, 인덱스, 뷰를 삭제할 때 사용
CASECADE-삭제할 요소를 참조하는 모든 개체를 함께 삭제
RESTRICTED-삭제할 요소를 참조하는 개체가 있으면 삭제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15.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제약조건은?(2005년 05월)
     가.개체 무결성
     나.참조 무결성
     다.보안 무결성
     라.정보 무결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1% 
     <문제 해설>
- 엔터티 무결성(entity integrity) : 엔터티 무결성은 행을 특정 테이블의 고유 엔터티로 정의하는 것으로 해당 열에 중복된 값을 허가하지 않는 UNIQUE 제약 조건 또는 PRIMARY KEY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테이블의 기본 키나 식별자로 사용되는 열의 무결성을 강제하도록 한다. 

- 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grity) : 열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컬럼의 값이 널 값을 허용하지 않거나, 데이터 타입이 적절한지, 올바른 형식의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체크(CHECK), 디폴트(DEFAULT) , NOT NULL 등의 제약(constraints)들로 이러한 도메인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일 날짜 컬럼에 알파벳이 입력되는 경우 도메인 무결성을 위반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개체 간 참조 관계가 존재할 때, 두 개체 간 데이터가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보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외부키(Foreign Key)로 제약을 주어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고 데이터 변경이 있을 때(데이터 행 입력 혹은 삭제 시) 데이터 입력 및 수정 시 묵시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시저(procedure)인 트리거(trigger)를 통해 관련 값들을 재조정할 수 있다. 

- 사용자 정의 무결성(user-defined integrity) : 위의 세 가지 무결성에 해당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에 의한 무결성으로 다양한 응용의 필요에 따라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16.다음 설명이 뜻하는 것은?(2012년 08월)

    

     가.E-R Diagram
     나.Flow Chart
     다.View
     라.Normalization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4% 
     <문제 해설>
영어문장에서 entities 와 relationships 가 나올경우 E-R 다이어그램이 정답일 확률이 높아요

17.데이터베이스의 설계단계 순서가 옳은 것은?(2006년 09월)
     가.요구조건 분석단계→개념적 설계단계→논리적 설계단계→물리적 설계단계→구현 단계
     나.요구조건 분석단계→논리적 설계단계→개념적 설계단계→물리적 설계단계→구현 단계
     다.요구조건 분석단계→개념적 설계단계→물리적 설계단계→논리적 설계단계→구현 단계
     라.요구조건 분석단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구현 단계→개념적 설계단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8% 

18.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가.데이터 무결성 유지
     나.데이터 일관성 유지
     다.데이터 보안성 유지
     라.데이터 종속성 유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문제 해설>
데이터의 종속성을 제거 하기 위해서 정규화를 사용합니다. 종속성을 유지하는것은 좋지 않은 현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19.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9월)

    

     가.Time Accessibility
     나.Continuos Evolution
     다.Concurrent Sharing
     라.Content Referenc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문제 해설>
*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Redun Dancy Minimize) : 동일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
2.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수정, 수정을 통해 최신 데이터을 유지
3. 실시간 접근(Real Time Accessibility) : 질의에 대해 실시간 처리 및 응답
4.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 다른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동시에 공유
5. 내용에 의한 접근(Content Reference) : 값에 따라 참조
6. 뛰어난 자료 간 연계성(Superb Data Combination) : 자료와 자료 사이의 연계성이 뛰어난 자료의 집합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20.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8월)
     가.데이터베이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감소
     나.신뢰성(Reliability)과 가용성(Availability) 향상
     다.질의처리(query processing) 시간의 단축
     라.데이터의 공유성 향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0% 
     <문제 해설>
분산 데이터 베이스의 장단점
* 장점
- 지역 자치성이 높음
- 자료의 공유성이 향상됨
- 분산제어가 가능함
- 시스템 성능이 향상됨
- 효용성과 융통성이 높음
- 신뢰성 및 가용성이 높음
- 점증적 시스템 용량 확장이 용이함
* 단점
- DBMS가 수행할 기능이 복잡함
-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어려움
-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증가
- 처리비용 증가
- 잠재적 오류 증가
[해설작성자 : 주스오빠]


2과목 : 전자 계산기 구조


21.인터럽트 처리 과정 중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장치는?(2004년 09월)
     가.폴링 방법
     나.스택에 의한 방법
     다.데이지 체인을 이용한 방법
     라.장치번호 디코더에 의한 방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22.JK 플립플롭을 그림과 같이 연결하면 어떤 플립플롭과 같은 동작을 하는가?(2006년 03월)

    

     가.D
     나.RS
     다.T
     라.Master-slav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23.인스트럭션의 수행시 유효 주소를 구하기 위한 메이저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8월)
     가.Fetch 메이저 상태
     나.Execute 메이저 상태
     다.Indirect 메이저 상태
     라.Interrupt 메이저 상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문제 해설>
Fetch(인출) :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가져와서 해독, 판단
Execute(실행) : Fetch 상태에서 인출하여 해석한 명령을 실행
Indirect(간접) : Fetch 상태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인 경우 유효주소를 계산
Interrupt : 인터럽트 발생시 복귀주소(PC)를 저장시키고, 제어순서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첫번째 명령으로 옮기는 상태
[해설작성자 : 3Mz]

24.indirect cycle 동안에 컴퓨터는 무엇을 하는가?(2005년 03월)
     가.명령을 읽는다.
     나.오퍼랜드(operand)를 읽는다.
     다.인터럽트(interrupt)를 처리한다.
     라.오퍼랜드(operand)의 어드레스(address)를 읽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문제 해설>
indirect cycle은 간접단계로 Fetch단계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인 경우 수행된다.
따라서, indirect cycle에서 컴퓨터는 4.오퍼랜드의 어드레스를 읽는다.
[해설작성자 : MAJUN05]

25.4×2 RAM을 이용하여 16×4 메모리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4×2 RAM의 수는?(2013년 03월)
     가.4개
     나.8개
     다.16개
     라.32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문제 해설>
16x4 RAM = 64
4x2 RAM = 8

64 / 8 = 8
따라서, 정답은 나
[해설작성자 : 송양]

26.다음 중 채널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software channel
     나.character multiplexer channel
     다.selector channel
     라.block multiplexer channel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27.간접사이클(Indirect cycle)을 옳게 나타낸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은?(단, MAR : memory address register, MBR : memory buffer register, IEN : interrupt enable)(2009년 03월)
     가.MAR←MBR(AD),MBR←M(MAR)
     나.MAR←PC, MBR←M(MAR), MBR←M(MAR), PC←PC+1, OPR←MBR(OP), I←MBR(I)
     다.MAR←MBR(AD),MBR←AC,M←MBR
     라.MAR(AD)←PC, PC←0, MBR←AC, MAR←PC, PC←PC+1, M←MBR, M←MBR, IEN←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문제 해설>
1. Indirect cycle
2. Fetch cycle
3. STA(Store to AC)
4. Interrupt cycle
[해설작성자 : 효로롱]

28.플린(Flynn)이 분류한 병렬 컴퓨터 중에서 실제 사용되기 어려운 것은?(2005년 03월)
     가.SISD (Single Instruction stream Single Data stream)
     나.SIMD (Single Instruction stream Multiple Data stream)
     다.MISD (Multiple Instruction stream Single Data stream)
     라.MIMD(Multiple Instruction stream Multiple Data strea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29.컴퓨터의 메이저 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가.EXECUTE 상태가 끝나면 항상 FETCH 상태로만 간다.
     나.memory reference 인 간접 주소 인스트럭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fetch-indirect-execute 순서로 진행 되어야 한다.
     다.특정한 인스트럭션에 대해서는INDIRECT 상태가 필요 없다.
     라.FETCH 상태에서는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읽어 중앙연산처리 장치로 가져온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문제 해설>
FETCH말고도 인터럽트상태로 갈 수 있습니다
major state 변천 순서를 참고하세요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30.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핑 프로세스 방법이 아닌 것은?(2015년 08월)
     가.associative mapping
     나.direct mapping
     다.set-associative mapping
     라.virtual mapp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문제 해설>
4번은 보조 기억 장치의 일부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캐시 메모리로 전송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나현]

[캐시 메모리 매핑 방법 3종류]
1) 직접 매핑 (Direct Mapping)
- 주기억장치의 블록들이 지정된 어느 한 캐시 라인으로만 사상될 수 있는 매핑 방법
- 간단하고 구현 비용이 적은 장점과 적중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단점 내포

2) 어소시에이티브 메핑 ( Associative Mapping)
-동일한 라인 번호의 주소를 매핑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캐시의 태그 필드를 확장하여 캐시의 어떤 라인과도 무관하게 매

-캐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캐시의 히트율을 높일 수 있으나 CPU가 캐시의 데이터를 참조할 때마다 어느 위치에 해당 데이터의 블록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하여 전체 태그 값을모두병렬적으로비교해야하므로구성과과정이매우복잡하다는 단점 내포

3) 세트-어소시에이티브 매핑 (set-associative)
-위 두 종류의 매핑 방식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절충
-대부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이 채택
-캐시를 우선 N개의 세트들로 나누고 각 세트들은 L개의 라인들로 이루어짐
[해설작성자 : 관회팝]

associative (연상매핑,기억장치)
set-associative (특정기억장치)
Direct Mapping (직접 매핑 )
[해설작성자 : ㅎㅎㅎ]

31.OP-Code가 4비트면 연산자의 종류는 몇 개가 생성될 수 있는가?(2006년 03월)
     가.24-1
     나.24
     다.23
     라.23-1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1% 

32.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 가장 큰 장점은?(2008년 03월)
     가.우선순위 변경이 쉽다.
     나.속도가 빠르다.
     다.비용이 비싸다.
     라.데이지 체인 방식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문제 해설>
하드웨어 인터럽트의 특징 : 가격이 비싸고 고속이다. 대표적으로 데이지 체인 방식이 있다.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의 특징 : 가격이 싸고 저속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처하고 변경될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방식의 경우 우선순위 변경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33.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6년 03월)
     가.인터럽트 처리 기능
     나.인터럽트 요청 신호
     다.인터럽트 스테이트
     라.인터럽트 취급 루틴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34.다음과 같은 조건값에서 각 명령어를 모두 수행한 후의 R1값과 두 번째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는?(단, #은 직접모드, @는 간접모드를 의미하며 레지스터값은 R1=10, R2=20)(2009년 05월)

    

     가.R1=100, 유효주소=70
     나.R1=200, 유효주소=70
     다.R1=100, 유효주소=60
     라.R1=200, 유효주소=6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문제 해설>
R1=10, R2=20
(1) MOV R1, #50 : 50을 R1에 저장함 → R1=50, R2=20
(2) MOV R1, R2 : R2값을 R1에 저장함 → R1=20, R2=20
(3) MOV R1, 100 (직접주소모드) : 100번지 값 200을 R1에 저장함 → R1=200, R2=20
(4) MOV R1, @100 : 100번지에 저장된 200은 유효주소이므로 200번지의 값 300을 R1에 저장함 → R1=300, R2=20
(5) MOV R1, --(R2) : R2의 값 20을 1 감소(선감소)시켜 19가 되고, 19가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함 → R1=60, R2=19
(6) MOV R1, (R2)++ : R2의 값 19는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한 후에 R2의 값을 1 증가(후증가)시켜 20이 됨 → R1=60, R2=20
(7) MOV R1, 50(R2) : R2의 값 20에 50을 더한 70이 유효주소이므로, 70번지의 값 100을 R1에 저장함 → R1=100, R2=20

35.출력 측의 일부가 입력 측에 피드백 되어 유발되는 레이스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안된 플립플롭은?(2016년 08월)
     가.JK 플립플롭
     나.M/S 플립플롭
     다.RS 플립플롭
     라.D 플립플롭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문제 해설>
RS 플립플롭 : 기본 플립플롭, S와 R선의 입력을 조절하여 임의의 Bit값을 그대로 유지시키거나 무조건 0 또는 1의 값을 기억시키기 위해 사용
JK 플립플롭 : RS에서 S=R=1일 때의 결점(미동작) 보완 (모든 FF의 기능 포함)
D 플립플롭 : 입력하는 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기능 수행, RS의 R선에 인버터를 추가형 S선과 하나로 묶어서 입력선 구성
T 플립플롭 : T=0인 경우 변화가 없고 T=1인 경우 현재의 상태를 토글 시킴, JK FF의 두 입력선을 묶어서 한 개의 입력선으로 구성한 FF
M/S 플립플롭 : 출력측의 일부가 입력측에 궤환(FeedBack)되어 유발되는 레이스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안된 플립플롭
[해설작성자 : silkmarine]

36.DRA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가.SRAM에 비해 기억 용량이 크다.
     나.쌍안정 논리 회로의 성질을 응용한다.
     다.주기억 장치 구성에 사용된다.
     라.SRAM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문제 해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의 주기억 장치로 사용되는 RAM으로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하는 형태의 원리를 이용하는 메모리이며, 재충전이 필요한 메모리이다
-소비 전력이 낮고 집적도가 높다.
-속도가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다.

한눈에 보기
                            DRAM                 SRAM 
재충전             필요                    불필요
집적도             높다                    낮다
소비전력         낮다                    높다
속도                 느리다                빠르다
가격                 저가                    고가
[해설작성자 : 합격을위해서]

37.다음 중 D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가.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이다.
     나.DMA는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다.DMA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라.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문제 해설>
DMA는 CPU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CPU의 부하를 증가 시키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신난영수]

38.프로그램 실행 중에 트랩(trap)이 발생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가.overflow 또는 underflow
     나.O에 의한 나눗셈
     다.불법적인 명령
     라.패리티 오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39.op-code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가.주소지정
     나.함수연산
     다.전달
     라.제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40.로더(Loader)의 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가.할당(Allocation)
     나.재배치(Relocation)
     다.링킹(Linking)
     라.실행(Executi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3과목 : 운영체제


41.운영체제의 운영 기법 중 “Quantum"과 관계되는 것은?(2012년 08월)
     가.Real-time processing system
     나.Batch Processing system
     다.Time-sharing system
     라.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시분할 시스템에서 하나의 CPU는 같은 시점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CPU의 전체 사용 시간을 작은 작업 시간량(Time Slice, Quantum)으로 나누어서 그 시간량 동안만 번갈아가면서 CPU를 할당하여 각 작업을 처리한다.

42.컴퓨터시스템에서 전송 정보가 오직 인가된 당사자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도록 통제하는 것을 정보 보안에서는 무엇이라고 하는가?(2005년 05월)
     가.기밀성
     나.인증
     다.가용성
     라.무결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43.운영체제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8월)
     가.시스템의 오류 검사 및 복구
     나.자원의 스케줄링 기능 제공
     다.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 생성
     라.자원 보호 기능 제공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44.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능
     나.시스템에서의 에러 처리 기능
     다.시스템의 바이러스 자동 퇴치 기능
     라.병렬 수행을 위한 편의성 제공 기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45.UNIX 의 셀(sh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가.명령어 해석기이다.
     나.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다.Bourne shell, C shell등이 있다.
     라.프로세스, 기억장치, 입/출력 관리를 수행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문제 해설>
프로세스관리,기억장치관리,입출력관리 수행은 커널(Kernel)
[해설작성자 : ssoon]

46.로드(Loader)의 종류 중 별도의 로더 없이 언어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하며, 연결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할당, 재배치, 적재 작업을 모두 언어번역 프로그램이 담당하는 것은?(2015년 05월)
     가.Relocating Loader
     나.Dynamic Loading Loader
     다.Absolute Loader
     라.Compile And Go Loade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Dynamic Loading Loader : 실행 시 필요한 일부분만을 적재하는 로더. Load-on-call이라고 한다.
*Absolute Loader : 로더의 역할이 축소되어 기억장소 할당이나 연결을 프로그래머가 직접 지정
[해설작성자 : 도나니]

컴파일 즉시로더(Compile and Go) : 번역기가 로더의 역할까지 담당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크기가 크고 한 가지 언어 로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실행을 원할 때마다 번역을 해야 한다.
절대로더(absolute loader) : 단순히 번역된 목적프로그램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주기억장치의 프로그래머가 지정한 주소에 적재하는 기능을 가지는 간단한 로더.
재배치 로더 (relocating loader) : 주기억 장치의 상태에 따라 목적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의 임의의 공간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로더
링킹로더 (linking loader) : 하나의 부프로그램이 변경되어도 다른 모듈 프로그램을 다시 번역할 필요가 없도 록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장소할당과 부 프로그램의 연결이 로더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직접연결로더(DLL : Direct Linking Loader)가 대표적
[해설작성자 : 관회팝]

47.NUR(Not-Used-Recently) 페이지 교체방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교체 대상이 되는 것은?(2005년 03월)
     가.참조되고 변형된 페이지
     나.참조는 안되고 변형된 페이지
     다.참조는 됐으나 변형 안된 페이지
     라.참조도 안되고 변형도 안된 페이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48.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2011년 03월)

    

     가.A
     나.B
     다.C
     라.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문제 해설>
우선순위 = (대기시간+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49.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CPU가 할당되는 프로세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현재 CPU를 사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앞으로 실행될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설정한 후 CPU를 할당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9월)
     가.Working set
     나.Context switching
     다.Locality
     라.Threa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50.UNIX의 파일 시스템 구조와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8월)
     가.사용자 블록
     나.I-node 블록
     다.데이터 블록
     라.슈퍼 블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문제 해설>
UNIX의 파일 시스템 구조 : 부트블록, 수퍼블록, 실린더그룹블록, i-node블록, 데이터블록
[해설작성자 : 초록색외계인]

51.128개의 CPU로 구성된 하이퍼큐브에서 각 CPU는 몇 개의 연결점을 갖는가?(2011년 08월)
     가.6
     나.7
     다.8
     라.1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문제 해설>
다들 맞추시겠지만 혹 틀리는 분들을 위해 128개의 CPU 의 연결점은 
2의 몇승이 128이 되냐 하는것
2의 7승이 128 되겠습니다.

52.UNIX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문은?(2008년 09월)
     가.getpid
     나.fork
     다.pipe
     라.signa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문제 해설>
fork : 프로세스 생성 명령어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53.프로세서의 상태정보를 갖고 있는 PCB (Process Control Block)의 내용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가.프로세스 식별정보
     나.프로세스 제어정보
     다.프로세스(CPU) 상태정보
     라.프로세스 생성정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프로세스 생성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PCB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으로 각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마다 고유의 PCB가 생성되고,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PCB가 제거된다.

* PC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포인터
    - 부모 /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 프로세스가 위치한 메모리에 대한 포인터
    - 할당된 자원에 대한 포인터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 우선순위
CPU 레지스터 정보
    - 누산기, 인덱스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등
주기억장치 관리 정보
입/출력 상태 정보
계정 정보
[해설작성자 : HAKASE K]

54.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원들(파일, 프로세스, 메모리 등)에 대하여 불법적인 접근방지와 손상 발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자원보호 방법의 일반적인 기법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가.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
     나.접근 제어 행렬(Access control matrix)
     다.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
     라.권한 제어 행렬(Capability control matrix)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문제 해설>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기법으로는 접근제어행렬, 전역테이블, 접근제어리스트, 권한리스트가있다.
[해설작성자 : 김루비]

55.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2011년 03월)

    

     가.7번
     나.8번
     다.9번
     라.10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3개의 페이지
    2 3 2 1 5 2 4 5 3 2 5
1:2 2 2 2 5 5 5 5 3 3 3
2:x 3 3 3 3 2 2 2 2 2 5
3:x x x 1 1 1 4 4 4 4 4
    x x o x x x x o x o x
[해설작성자 : x가 부재]

56.UNIX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디렉토리별 디렉토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은?(2012년 03월)
     가.I-node 블록
     나.슈퍼 블록
     다.부트 블록
     라.데이터 블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문제 해설>
I-node 블록 :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슈퍼 블록 :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부트 블록 : 부팅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데이터 블록 : 디렉터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블록

57.보안 유지 방식 중 운영체제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시스템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2014년 05월)
     가.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나.내부 보안
     다.시설 보안
     라.운용 보안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문제 해설>
◎ 보안 유지 기법
1. 외부 보안 : *시설보안 - 천재지변이나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보안
                            *운용보안 - 전산소 관리 및 경영자들의 정책과 통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보안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 운영체제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시스템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보안 기법
3. 내부 보안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의 내장된 보안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RUAMAM]

58.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완전 연결(Fully Conn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가.모든 사이트는 시스템 안의 다른 모든 사이트와 직접 연결된다.
     나.사이트들 간의 메시지 전달이 매우 빠르다.
     다.기본비용이 적게 든다.
     라.사이트 간의 연결은 여러 회선이 존재하므로 신뢰성이 높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8% 

59.페이지(page)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가.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동일한 크기의 프로그램에 더 많은 수의 페이지가 필요하게 되어 주소 변환에 필요한 페이지 사상표의 공간은 더 작게 요구된다.
     나.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페이지 단편화를 감소시키고 특정한 참조 지역성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억 장치 효율은 좋을수 있다.
     다.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페이지 단편화로 인해 많은 기억 공간을 낭비하고 페이지 사상표의 크기도 늘어난다.
     라.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디스크와 기억 장치 간에 대량의 바이트 단위로 페이지가 이동하기 때문에 디스크 접근 시간 부담이 증가되어 페이지 이동 효율이 나빠진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문제 해설>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 
- 페이지 단편화 감소 -> 공간낭비가 줄어듦, 한개의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듦
- Locality에 더 일치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장치 효율이 좋아짐
-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짐 -> 매핑속도가 늦어짐
- 입출력시간은 늘어남
- 우수한 워킹셋 보유


페이지 크기가 클경우
-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 감소 -> 매핑 속도 증가
- 입출력의 효율성 증가
- 페이지 단편화 증가 -> 공간낭비 발생
[해설작성자 : 신태]

60.UNIX에서 파일 모드가 다음과 같을 때, 옳은 설명은?(2004년 03월)

    

     가.디렉토리 파일이다.
     나.입출력장치 화일이다.
     다.어떤 사용자라도 실행시킬 수 있다.
     라.어떤 사용자라도 파일의 읽기가 가능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4과목 : 소프트웨어 공학


61.소프트웨어 재사용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2016년 03월)
     가.Hipo-chart
     나.Test Case
     다.Source Code
     라.Project Pla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소스코드는 프로그래머가 작업한 내용 자체이다. 소스코드를 갖고있으면 프로그램의 단순 재사용 뿐 아니라 수정도 가능하고 세부 알고리즘까지 모두 보거나 바꿀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숭]

hipo-chart : 기본 모델로 입력, 처리, 출력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분석 및 설계와 시스템 문서화용 기법
종류(가시적도표, 총체적 도표, 세부적 도표)

62.자료흐름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가.소단위명세서
     나.단말
     다.프로세스
     라.자료저장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63.소프트웨어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소프트웨어공학이란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용, 유지보수 및 파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다.
     나.소프트웨어공학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프트웨어 생산성과 작업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다.소프트웨어공학의 궁극적 목표는 최대의 비용으로 계획된 일정보다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다.
     라.소프트웨어공학은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경제적인 비용으로 획득하기 위해 공학적 원리를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는 학문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64.나씨-슈나이더만(Nassi-Schneiderman) 도표는 구조적 프로그램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방법에서 알고리즘의 제어구조는 3가지로 충분히 표현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가.선택, 다중선택(if ∼ then ∼ else, case)
     나.반복(repeat ∼ until, while, for)
     다.분기(goto, return)
     라.순차(sequential)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65.소프트웨어 재공학 활동 중 원시 코드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관계를 파악하고 기존 시스템의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고 다시 제작하는 작업은?(2010년 05월)
     가.Analysis
     나.Reverse Engineering
     다.Restructuring
     라.Migration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문제 해설>
역공학 (Reverse Engineering)
현재의 프로그램으로부터 데이터, 아키텍처, 절차에 관한 분석 및 설계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66.브룩스(Brooks)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9월)
     가.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초기에 많이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한다.
     나.소프트웨어 개발 노력은 40-20-40으로 해야 한다.
     다.소프트웨어 개발은 소수의 정예요원으로 시작한 후 점차 증원해야 한다.
     라.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67.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위원회의 기본적인 목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2004년 09월)
     가.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나.표준화 준수여부 검증
     다.도큐먼트(document)의 품질 검사
     라.사용자와의 관계 향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68.DFD 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가.Bubble Chart라고도 부른다.
     나.구성 요소 중 종착지는 원으로 표시한다.
     다.DFD 작성시 정확한 이름을 사용하고 자료 보존 법칙을 준수한다.
     라.처리공정과 이들 간의 자료흐름을 그래프 형태로 도형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69.블랙 박스 테스트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5월)

    

     가.Boundary Value Analysis
     나.Cause Effect Graphing Testing
     다.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라.Comparison Testin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영어 그대로 해석하자면 동일한 부분인가를 검사하는... 보기와 같은 의미네요.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블랙박스테스트에는 보기 4가지 종류 이외에 오류예측검사(Fault vased testing)가 있는데 여기서 
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은 입력자료에 초점을 맞춰 검사사례를 만들고 검사하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입력조건에 따라 타당한 입력 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하여 검사사례를 정한다.
[해설작성자 : 다잘될꺼야]

70.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부작용 중 자료코드에 대한 변경이 설계문서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얼에 적용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2004년 09월)
     가.코딩 부작용
     나.자료 부작용
     다.문서화 부작용
     라.유지보수 부작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71.유지보수의 종류 중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밝혀지지 않는 모든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활동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9월)
     가.Corrective Maintenance
     나.Adaptive Maintenance
     다.Perfective Maintenance
     라.Preventive Maintenanc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문제 해설>
유지보수의 유형
ㆍ수정 보수(Corrective Maintenance) :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밝혀지지 않는 모든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한다.
ㆍ적응 보수(Adaptive Maintenance) : 환경의 변화를 기존의 소프트웨어 산물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한다.
ㆍ완전화 보수(Perfective Maintenance) : 성능 개선 및 새로운 기능 추가를 위해 수행한다.
ㆍ예방 보수(Preventive Maintenance) : 오류 방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수행한다.
[해설작성자 : 기사패스 학생]

72.프로젝트 일정 관리시 사용하는 칸트(Gantt)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가.막대로 표시하며 수평 막대의 길이는 각 태스크의 기간을 나타낸다.
     나.이정표, 기간, 작업, 프로젝트 일정을 나타낸다.
     다.시간선(Time-Line) 차트라고도 한다.
     라.작업들 간의 상호 관련성, 결정경로를 표시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73.다음은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각 특성의 정의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2007년 03월)

    

     가.(1) 효율성, (2) 유지보수성, (3) 사용용이성
     나.(1) 사용용이성, (2) 유지보수성, (3) 효율성
     다.(1) 유지보수성, (2) 효율성, (3) 사용용이성
     라.(1) 효율성, (2) 사용용이성, (3) 유지보수성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74.프로젝트의 개발 비용 산정시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5월)
     가.비용 산정 기법
     나.시스템의 크기
     다.시스템의 신뢰도
     라.제품의 복잡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75.다음 설명의 ( )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가.Validation
     나.Coupling
     다.Interface
     라.Cohesi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문제 해설>
결합도의 정의와 응고결저 기억하셔야 될 뜻해요 
응집도는 높은게 좋은거고 결합도는 낮은게 좋은거 [응고결저]
결합도 (Coupling)
• 두 모듈 간의 상호 의존도를 나타낸 것
• 한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상호 의존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
• 독립적인 모듈이 되기 위해서는 각 모듈간의 결합도가 약해야 하며, 의존
하는 모듈이 적어야 함
[해설작성자 : 묵사랑]

76.사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작업이 어려운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가.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지식이나 표현의 차이가 커서 상호 이해가 쉽지 않다.
     나.사용자의 요구는 예외가 거의 없어 열거와 구조화가 어렵지 않다.
     다.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호하고 부정확하며, 불완전하다.
     라.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 자체가 복잡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문제 해설>
2. 사용자의 요구는 예외가 많아 열거와 구조화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고 싶뜨앙]

77.COCOMO 모델에 의한 비용(cost) 산정 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가.KDSI (or KLOC)를 측정한다.
     나.UFP(Unadhusted function point)를 계산한다.
     다.개발 노력 승수(Development effort multifliers)를 결정한다.
     라.비용 산정 유형으로 단순형, 중간형, 임베디드형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2% 

78.객체 지향 설계 단계의 순서가 옳은 것은?(2014년 05월)
     가.문제 정의 → 요구 명세화 → 객체 연산자 정의 → 객체 인터페이스 결정 → 객체 구현
     나.요구 명세화 → 문제 정의 → 객체 인터페이스 결정 → 객체 연산자 정의 → 객체 구현
     다.문제 정의 → 요구 명세화 → 객체 구현 → 객체 인터페이스 결정 → 객체 연산자 정의
     라.요구 명세화 → 문제 정의 → 객체 구현 → 객체 인터페이스 결정 → 객체 연산자 정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79.다음의 자동화 예측 도구들 중 Rayleigh-Norden 곡선과 Putnam의 예측모델에 기반을 둔 것은?(2005년 03월)
     가.SLIM
     나.ESTIMACS
     다.SPQR/20
     라.WICOMO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80.다음 중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 폭포수형(waterfall) 모델에서 개발 순서가 옳은 것은?(2006년 09월)
     가.타당성 검토 → 계획 → 분석 → 구현 → 설계
     나.타당성 검토 → 분석 → 계획 → 설계 → 구현
     다.타당성 검토 → 계획 → 분석 → 설계 → 구현
     라.타당성 검토 → 분석 → 계획 → 구현 → 설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5과목 : 데이터 통신


81.문자의 시작과 끝에 각각 START 비트와 STOP 비트가 부가되어 전송의 시작과 끝을 알려 전송하는 방식은?(2009년 08월)
     가.비동기식 전송
     나.동기식 전송
     다.전송 동기
     라.PCM 전송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82.IETF에서 고안한 IPv4에서 IPv6로 전환(천이)하는데 사용되는 전략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가.Dual stack
     나.Tunneling
     다.Header translation
     라.Source rout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문제 해설>
IPv4를 IPv6로 전환하는 전략에는 Dual stack, Tunneling, Header translation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Yang]

83.두 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정보의 송수신 측에서 정해둔 통신 규약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8월)
     가.Protocol
     나.Link
     다.Terminal
     라.Interfac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2% 

84.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8년 09월)
     가.encryption
     나.sampling
     다.quantization
     라.encod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문제 해설>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표본화(sampling), 양자화(quantizing), 부호화(encoding), 복호화(decoding), 여파화(filtering) 이다.
[해설작성자 : 효로롱]

85.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2009년 03월)

    

     가.Header Translation
     나.Tunneling
     다.Packet Handling
     라.Dual Stack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86.다음 중 ISD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가.음성(비음성) 서비스를 포함한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음성신호와 컴퓨터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그리고 텔레비전의 영상신호 등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다.데이터베이스나 정보 처리 기능의 이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통신의 이용 가치를 높이게 한다.
     라.서로 다른 여러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아날로그 망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87.쿼드비트를 사용하여 1,600 [baud]의 변조속도를 지니는 데이터 신호가 있다. 이 때 데이터 신호 속도[bps]는?(2003년 08월)
     가.2,400
     나.3,200
     다.4,800
     라.6,40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88.다음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잡음에 대한 설명인가?(2006년 03월)

    

     가.열잡음
     나.누화잡음
     다.충격잡음
     라.상호변조 잡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89.패킷교환방식 중 가상회선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가.전송 중에는 동일한 경로를 갖는다.
     나.연결 설정 후에는 물리적인 회선을 공유하지 못한다.
     다.별도의 호(call) 설정 과정이 있다.
     라.프레임 저장 기능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90.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세 가지 동작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가.PAM
     나.NRM
     다.ARM
     라.AB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문제 해설>
NRM : 반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또는 멀티 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ARM : 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불균형링크 구성에 사용
ABM : 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균형링크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강호일]

91.다음 중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가.접속형(Connection-Or iented) 서비스
     나.경로 설정(Routing) 서비스
     다.전이중(Full-Duplex) 전송 서비스
     라.신뢰성(Reliability) 서비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92.토클링 방식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표준안은?(2005년 09월)
     가.IEEE 802.2
     나.IEEE 802.3
     다.IEEE 802.5
     라.IEEE 802.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93.PCM에서 ISI를 측정하기 위해 eye pattern을 이용하는데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2016년 05월)
     가.변조도
     나.시스템 감도
     다.잡음의 여유도
     라.ISI 간섭 없이 수신파를 sampling 할 수 있는 주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문제 해설>
eye pattern
좌우 폭 -> 수신파를 ISI 간섭 없이 샘플링 할 수 있는 주기
상하의 높이 -> 특정 샘플링 시간에 대한 잡음의 여유도
[해설작성자 : 삼사미]

94.RTCP(Real-Time Control Protocol)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가.Session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나.데이터 분배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 플렉싱을 제공한다.
     라.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만을 제공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패킷의 전송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세션에 참가한 각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제어
정보 전송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제어 패킷의 다중화 제공
RTCP 패킷은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남

95.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가.ASK
     나.FSK
     다.PSK
     라.PC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8% 
     <문제 해설>
PCM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꾸는 변환방식으로 표본화-양자화-부호화-복호화-여과의 과정을 거칩니다.
변조과정 : 표본화-양자화-부호화
복조과정 : 복호화 - 여과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96.HDLC 프레임의 종류 중 링크의 설정과 해제, 오류 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2009년 05월)
     가.I-Frame
     나.U-Frame
     다.S-Frame
     라.R-Fram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문제 해설>
HDLC의 프레임 종류
ㆍ정보 프레임(Information Frame) : 사용자 데이터 전달
ㆍ감독 프레임(Supervisor Frame) : 흐름 및 에러 제어
ㆍ무번호 프레임(Unnumbered Frame) : 회선의 설정, 유지 및 종결

97.터미널과 컴퓨터 사이에 RS-232C를 이용하여 직접 접속하는 모뎀의 이름은?(2005년 05월)
     가.널(Null) 모뎀
     나.동기식 모뎀
     다.비동기식 모뎀
     라.인터페이스 모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98.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ARQ 방식은?(2009년 08월)

    

     가.Stop-and-Wait ARQ
     나.Selective-Repeat ARQ
     다.Go-back-N ARQ
     라.Sequence-Number ARQ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99.Stop-and-wait ARQ 방식에서 수신측이 4번 프레임에 대해 NAK를 보내왔다. 이에 대한 송신측의 행위로 옳은 것은?(2012년 05월)
     가.1, 2, 3, 4번 프레임을 재전송 한다.
     나.현재의 윈도우 크기만큼을 모두 전송한 후 4번 프레임을 재전송 한다.
     다.5번 프레임부터 모두 재전송 한다.
     라.4번 프레임만 재전송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stop and wait arq전송방식은 
송신자가 하나의 프레임을 보내면 그 다음프레임을 바로 전송하지 않고, 송신측에서 ack가 날라올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음 프레임을 보내는 아주 비효율적이고 느린 방식입니다.

100.비동기 전송방식에서 스타트(start)와 스톱(stop) 신호의 필요성에 대하여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3년 06월)
     가.메시지 단위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다.
     나.정보단위의 하나이므로 사용한다.
     다.바이트(byte)와 바이트(byte)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라.비트(bit)를 표본화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1209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


TA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0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081490) 좋은아빠되기 2017.03.28 926
1629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785
1628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7.03.28 740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12093) 좋은아빠되기 2017.03.28 934
1626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27980) 좋은아빠되기 2017.03.28 1348
1625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442
1624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309991) 좋은아빠되기 2017.03.28 580
1623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12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7.03.28 1003
1622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586424) 좋은아빠되기 2017.03.28 1570
1621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883
1620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480
1619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1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7.03.28 663
1618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7.03.28 786
1617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87819) 좋은아빠되기 2017.03.28 586
1616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95061) 좋은아빠되기 2017.03.28 537
1615 중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746030) 좋은아빠되기 2017.03.28 8326
1614 미용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08048) 좋은아빠되기 2017.03.28 1009
1613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47857) 좋은아빠되기 2017.03.28 523
1612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3400
1611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8 536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