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266529)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다음은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 장치들을 나열한 것이다. 속도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2003년 10월)
     1.레지스터 - 메인 메모리 - 광학 디스크 - 자기 테이프
     2.메인 메모리 - 캐시 메모리 - 자기 디스크 - 자기 테이프
     3.자기 디스크 - 자기 테이프 - 캐시 메모리 - 광학 디스크
     4.메인 메모리 - 레지스터 - 자기 디스크 - 광학 디스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다음중 최근 운영체제의 특징들을 나열한 것 중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다중사용자 - 네트워킹 기능 - 구형 프로세스 최적화
     2.멀티태스킹 환경 - 멀티미디어 환경 -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
     3.계층적 파일 시스템 - 가상 메모리 지원 - 분산 디렉터리 서비스
     4.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수동 시스템 업데이트 - 비대화형 시스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3.리눅스의 특징을 나열한 것 중 거리가 가장 먼것은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실시간 페이지 적재 기능 제공
     2.가상콘솔 기능 제공
     3.동적 공유 라이브러리 제공
     4.단일 사용자, 단일 작업 시스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3% 
     <문제 해설>
리눅스 운영체제는 멀티 사용자 멀티 작업 이 가능합니다.

4.다음중 컴퓨터 운영체제 고유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 준다.
     2.사용자들 간에 하드웨어 및 데이터 공유를 가능 토록 해 준다.
     3.새로운 응용 소프트웨어가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4.컴퓨터의 CPU, 메모리, HDD등 자원관리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5.초기 유닉스 시스템의 설계 목적과 상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대형 시스템으로 설계하려 했다.
     2.멀틱스라는 시스템과의 차별화로 유닉스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3.한번에 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4.한번에 한 가지 일처리만 가능하기도 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6.중복 저장된 데이터를 가진 적어도 2개 이상의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스트립(Strip)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최고의 성능과 고장 대비 능력을 발휘하는 RAID 방식은?(2003년 01월)
     1.RAID-0
     2.RAID-1
     3.RAID-5
     4.RAID-7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RAID-0 :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하여 빠른 입출력 속도를 제공
                 데이터를 중복이나 패리티 없이 디스크에 분산하여 기록
                 처리속도는 빠르나, 구성된 디스크 중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 복구가 불가함
RAID-1 : 미러링 기술을 사용하여 두개의 디시크에 데이터를 동일하게 기록
                 스트라이핑 기술은 사용하지 않으며, 각 드라이브를 동시에 읽을 수 있어서 읽기 성능은 향상되나 쓰기 성능은 단일 디스크와 동일
RAID-5 : 패리티 정보를 이용하여 나하의 디스크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구성 방식
                 최소 3개의 디스크로 구성해야 함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된 디스크에 분산하여 기록하지만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 않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
RAID-7 : 하드웨어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는 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속도가 빠른 버스를 이용하고 독자적인 여러 가지 특성들을 제공
[해설작성자 : 따식이]

7.다음 중 리눅스용 응용프로그램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연결된 것 중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Sane - 스캐너
     2.ProFtpd - 비디오 카드
     3.gcombust - 네트워크 카드
     4.Xmms - 이동형 저장장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다음 중 텍스트 환경에서 커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service
     2.ntsysv
     3.chkconfig
     4.ini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문제 해설>
ntsysv : 커서와 스페이스 키를 이용해서 사용할 서비스 체크.
chkconfig : chkconfig 명령어로 service를 on/off    시킬 수 있다.
service : 현재 실행중인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9.다음중 MBR에 설치된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리눅스에서 lilo -u 명령어를 이용해서 삭제한다.
     2.리눅스에서 lilo -U 명령어를 이용해서 삭제한다.
     3.도스에서 fdisk /mbr 명령어를 이용해서 삭제한다.
     4.리눅스에서 fdisk -mbr 을 이용해서 삭제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10.다음 중 콘솔에서 “startx” 입력 시 X 윈도가 실행되지 않고 에러가 발생했을 때 설정해 주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Xconfig
     2.Xconfigurator
     3.Xeditor
     4.Xcontro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11.본 쉘(Bourne shell)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의미가 바르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1.$0 : 프로그램의 이름
     2.$* : 명령 라인의 모든 인자(argument)
     3.$# : 종료 코드
     4.$$ : 현재 프로세스의 I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2.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lin ㉡ joon
     2.㉠ joon ㉡ lin
     3.㉠ ./test.sh ㉡ lin
     4.㉠ ./test.sh ㉡ joo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13.프로세스 상태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5월)
     1.생성 상태 :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 커널에 등록되어 커널 공간에 PCB 등이 만들어지고 프로세스가 처음 생성되는 상태
     2.준비 상태 : 프로세스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서 처음 생성되었을 당시에 그 프로세스를 위한 기억장치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
     3.실행 상태 : 프로세스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지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상태
     4.대기 상태 : 프로세스가 임의의 자원을 요청한 후 이를 즉시 할당받을 수 없어 이를 할당받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상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14.다음 설명 중 (괄호)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fork
     2.getpid
     3.setpgid
     4.getpgr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15.다음 중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가장 관련 있는 특수기호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16.다음 OSI Layer 중에서 아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데이터 링크 계층
     2.전송 계층
     3.표현 계층
     4.응용 계층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문제 해설>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는 관련된 응용 프로세스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한다. 응용 서비스의 예로, 가상 터미널(예를 들어, 텔넷), "Job transfer and Manipulation protocol" (JTM, 표준 ISO/IEC 8832)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JBL]

17.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케이블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크로스(Cross) 케이블
     2.다이렉트(Direct) 케이블
     3.점퍼(Jumper) 케이블
     4.모뎀(Modem) 케이블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18.네트워크상에서 Packet 통신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로서, 이 정보가 없으면, 내부 통신은 가능하지만 외부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할 수 없다. 이 정보의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서브넷 마스크
     2.게이트웨이 주소
     3.DNS 서버주소
     4.IP 주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9.다음 중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로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6월)
     1.ethtool
     2.mii-tool
     3.ipconfig
     4.rout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20.다음 명령 중 실행의 결과로 www.ihd.or.kr의 IP주소를 알 수 없는 것은?(2004년 10월)
     1.ping www.ihd.or.kr
     2.nslookup www.ihd.or.kr
     3.dig www.ihd.or.kr
     4.route www.ihd.or.k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00%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다음 중 root 사용자의 UID값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0
     2.1
     3.500
     4.10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문제 해설>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보면
root:x:0:0:root:/root:/bin/bash
여기서 세번째 필드인 UID가 0임을 알 수 있다.

22.로그인 계정을 확인하기 위하여「whoami」 또는 「who am i」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who am I를 사용할 경우 확인 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1월)
     1.로그인 이름
     2.로그인한 가상콘솔
     3.현재 시간
     4.로그인 날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who am i 를 실행하면..

# who am i
root         pts/1                2014-02-13 23:00 (192.168.56.1)

사용자명(root)     현재 로그인한 가상콘솔(pts/1)     로그인 날짜, 시간, 아이피(2014-02-13 23:00 (192.168.56.1))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23.시스템 관리자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 특정 사용자 계정의 소속 그룹을 변경시키기 위한 가장 적절한 명령어는?(2004년 05월)
     1.adduser
     2.usermod
     3.chgrp
     4.chag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24.사용자를 추가하는데 필요한 파일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04년 05월)
     1./etc/shadow
     2./etc/passwd
     3./etc/profile
     4./etc/grou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5.다음 중 접속 중인 사용자의 정보를 알아보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w
     2.who
     3.users
     4.id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문제 해설>
id     ->     현재 사용자의 실제 ID와 유효 사용자 ID, 그룹 ID
[해설작성자 : KTH]

26.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UUID
     2.Set-UID
     3.Set-GID
     4.Sticky-Bi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27.ihd라는 사용자를 일시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lock을 거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passwd -l ihd
     2.passwd -d ihd
     3.passwd -u ihd
     4.passwd -s ih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28.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서브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의 이름을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닌 것은?(2003년 10월)
     1.ls -lR
     2.ls -lr
     3.find . -ls
     4.find . -prin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9.다음은 /dev/sdb1 파티션을 ext4 파일시스템으로 생성하려고 한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mkfs.ext4
     2.mke2fs -t ext4
     3.mke2fs –j
     4.mkfs –t ext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ext4 파일시스템 생성>
1. mkfs -t ext4
2. mke2fs -t ext4

mke2fs -j는 저널링 파일시스템 생성이므로 ext3

답은 2, 4번. 답도 잘못됐지만 문제 또는 지문 자체가 잘못된듯.
[해설작성자 : ㄱㅇㅇ]

정답은 1번 맞습니다.
오류신고내용에 1번을 mkfs -t ext4 라고 하셨는데 둘다 맞습니다.
보통은 mkfs.ext4를 ext3에선 mke2fs -j를 실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별차이는 없지만)

30.다음 중 파일시스템의 종류별로 사용할 수 있는 –t 옵션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윈도즈98 : mount -t msdos /dev/hda1/mnt/disk1
     2.윈도즈2000/XP : mount -t ntfs /dev/hda1/mnt/disk1
     3.리눅스 파일 : mount -t ext2 /dev/hda1/mnt/disk1
     4.CD-ROM : mount -t iso9660 /dev/cdrom/mnt/cdro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31.다음 파일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이 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다.
     2.이 파일은 현재 실행 모드가 없다.
     3.이 파일은 소유자만이 내용을 수정 할 수 있다.
     4.파일 소유자 외 나머지 사용자들은 접근권한이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3% 
     <문제 해설>
ls 목록 표기 구분
#ls -al ihd.log
-rw-r--r-- 1 root root 47635 1월 2 20:10 ihd.log

맨 앞에 -는 파일과 디렉터리 구별 기호. -는 파일 d는 디렉터리
그 다음 9자리(rw-r--r--)는 파일 퍼미션이 나온다.
(3/3/3)으로 잘라서 (소유자/소유그룹/다른사용자)로 나눈다.
여기서는 (rw-r--r--)이므로 소유자는 읽고(r), 쓰기(w)가능하고 실행(x)은 안된다.
소유그룹과 다른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그 다음(1)은 하드링크 번호이며 그 다음 문자와 그 다음 문자는 각각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보여준다.
그 다음 숫자(47635)는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다음(1월 2 20:10)은 파일이 만들어지거나 수정된 날짜와 시간을, 마지막 부분(ihd.log)는 파일의 이름을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32.nice 명령을 이용하여 우선 순위를 변경하려고 한다. 다음 중 설정 가능한 NI값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20 ∼ -19
     2.-20 ∼ 19
     3.-19 ∼ 20
     4.19 ∼ - 2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NI : Nice Value (-20 ~ 19 사이의 값으로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짐)
[해설작성자 : ㄱㅇㄷ]

33.다음 중 top 명령으로 확인할 수 없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네트워크 부하량
     2.시스템 부하량
     3.메모리 및 스왑 사용량
     4.실행중인 프로세스의 개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문제 해설>
top 명령으로 시스템 부하량, 메모리 사용량, swap 메모리 사용량, 프로세스의 갯수를 알 수 있다.

34.프로세스는 종료되었으나 종료 코드를 반환하지 않은 상태는?(2002년 05월)
     1.waiting
     2.sleeping
     3.blocking
     4.zombi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35.vi 에디터로 편집 하던 중 잠시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 Ctrl-z 키를 사용하여 빠져나왔다. 작업을 마친 후, 다시 vi 에디터의 편집 작업으로 돌아가기 위한 명령은?(2003년 01월)
     1.fg
     2.bg
     3.vi
     4.back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6.다음 리눅스의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3월)
     1.종류는 일반 파일, 디렉토리, 특수 파일 등이 있다.
     2.일반 파일은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텍스트 파일들을 말하며 바이너리 파일은 제외한다.
     3.디렉토리는 다른 파일들을 조작하고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4.특수 파일은 리눅스가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device)를 가리킨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37.rpm 또는 dpkg 명령의 사용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1월)
     1.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자동 설치
     2.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업그레이드
     3.프로그램의 복제 방지
     4.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대한 정보 검색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8.파일 시스템 복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fsck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조사 후 손상된 파일을 출력한다.
     2.fsck는 매개 변수 없이 사용하면 모든 파일 시스템을 검사한다.
     3.리눅스 파일 시스템 정보는 /etc/fstab 파일에 보관되어있다.
     4.fsck를 수행하고 난 후의 종료 코드 1은 재부팅이 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6% 

39.커널 컴파일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8년 06월)
     1.컴파일 환경 설정을 위해 사운드카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의 하드웨어 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참조한다.
     2.make menuconfig는 콘솔 메뉴식 설정 화면으로 컴파일 시 쉽게 설정 할 수 있다.
     3.이전 설정한 정보를 지우거나 새로운 커널 소스를 컴파일 할 경우 make mrprop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모듈 방식으로 설정하고, 드라이버를 모두 모듈로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40.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일련의 사건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모든 신호를 수용 처리 한다.
     2.프로세스 그룹에게 시그널 보냄
     3.문맥 교환
     4.부모 프로세스에 자식 프로세스 종료를 알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41.커널 패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3년 06월)
     1.패치 파일은 커널의 전체를 수정한다.
     2.가장 최근의 패치만을 적용시키면 된다.
     3.패치가 성공한 경우 패치된 파일의 원본은 이름 뒤에 .orig가 붙어 백업된다.
     4.패치가 실패한 경우 실패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42.USB /proc 드라이버에서 현재 USB 버스에 연결된 장치의 정보 표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T:로 시작하는 행에서 Lev는 장치의 레벨을 표시한다.
     2.D:로 시작하는 행에서 Ver는 해당 장치의 버전을 표시한다.
     3.P:로 시작하는 행에서 ProcID는 제품 고유 코드를 표시한다.
     4.C:로 시작하는 행에서 MPwr은 현재 장치 설정에서의 최대 전력 사용 값을 표시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8% 

43.새로운 하드디스크를 리눅스에 장착하고, 재부팅시마다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설정파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etc/motd
     2./etc/mountd.conf
     3./etc/proftpd.conf
     4./etc/fstab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4.매직키란 Kernel에게 직접 내릴 수 있는 명령어 단축키이다. 다음 중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나 응급복구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직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10월)
     1.매직키의 사용을 위해서는 리눅스 설치 시에 매직키관련 설정을 선택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커널컴파일의 Kernel hacking 단계에서 Magic SysRq Key 사용을 선택한 후 컴파일하여야 한다.
     2.ALT + SysRq + S 는 Alt키와 SysRq키, S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SYNC 작업을 수행한다.
     3.ALT + SysRq + U 는 Alt키와 SysRq키, U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mount 작업을 수행한다.
     4.ALT + SysRq + B 는 Alt키와 SysRq키, B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reboot을 수행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5.리눅스로 software RAID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 것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1.가장 처음 작업해야 할 단계는 fdisk로 partition을 생성해야 한다.
     2.fdisk로 파티션 생성 후 즉시 mke2fs명령을 이용하여 RAID 디바이스를 포맷한다.
     3.부팅때마다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하기 위해 /etc/fstab에 등록한다.
     4./etc/raidtab 파일은 소프트웨어 RAID 관련 설정이 담겨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6.프린터 관련 명령어와 이에 대한 설명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2003년 10월)
     1.lps : 프린터의 상태를 출력한다.
     2.lprm : 프린터의 스풀링 대기열에 있는 지정된 문서를 삭제한다.
     3.lpq : 현재 프린트작업 상태를 출력한다.
     4.lpr : 지정된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7.다음 중 커널에서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확인 할 때 참고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proc/filesystems
     2./etc/filesystem
     3./etc/fstab
     4./etc/system/fssys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48.다음 결과의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lspci
     2.lsmod
     3.lsof
     4.lsusb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49.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카드를 사용하려고 할때 해야 하는 단계를 순서별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2007년 08월)

    

     1.가-나-다-라-마
     2.라-다-가-나-마
     3.나-가-라-다-마
     4.라-나-가-다-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0.다음 ( )안에 들어갈 단어가 차례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2007년 08월)

    

     1.sndconfig, system-config-soundcard, sysconf-sound
     2.redhat-config-soundcard, system-config-soundcard, sysconf-snd
     3.soundconfig, system-config-sound, sysconf-sound
     4.sysconf-sound, system-config-soundcard, soundconfi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51.syslog.conf 파일에서 사용자 로그인 관련 부분을 파일에 저장하지 않고, 프린터(lp0)로 출력하기 위한 설정은?(2003년 06월)
     1.*.info /dev/lp0
     2.auth.* /dev/lp0
     3.authpriv.* /dev/lp0
     4.loginfo.* /dev/lp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52.다음 중 vi 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로그 내용을 살펴볼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var/log/wtmp
     2./var/log/xferlog
     3./var/log/dmesg
     4./var/log/boot.lo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7% 

53.다음 중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etc/passwd
     2./etc/password
     3./etc/shadow
     4./etc/md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54.아래의 명령은 무엇을 실행하기 위한 것인가?(2006년 09월)

    

     1.데이터베이스 갱신
     2.계정 보안 검사
     3.무결성 검사
     4.폴리시 파일 갱신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5.외부에서 NFS의 접속을 막기 위해 포트 번호를 차단하고자 한다. 만약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NFS의 접속포트를 알지 못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2007년 08월)
     1.host 명령어를 통해 포트 번호를 알아낸다.
     2.ping 명령어를 통해 포트 번호를 알아낸다.
     3./etc/resolve.conf 파일정보를 통해 포트번호를 알아낸다.
     4./etc/services 파일정보를 통해 포트번호를 알아낸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6.tripwire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3월)
     1.무결성 검사를 위해서 “tripwire --check”를 입력한다.
     2.이메일 경고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tripwire --test --email admin@mytest.com”을 입력한다.
     3.주기적인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tripwire 프로그램을 실행해 줄 수 밖에 없다.
     4.데이터베이스와 리포트 파일을 텍스트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twprint --print-dbfile > db.txt”을 입력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57.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보안도구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portmap
     2.portscan
     3.ntop
     4.nmap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58.다음 중 백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자료의 가치에 무관하게 같은 백업 전략을 세운다.
     2.백업테이프는 번갈아가며 사용한다.
     3.중요한 백업자료에는 암호화를 한다.
     4.주기적으로 백업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59.시스템의 백업을 위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백업 테이프는 번갈아 가며 사용하라
     2.백업 테이프는 자주 사용하므로 쓰기 방지를 할 필요가 없다.
     3.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관하자.
     4.자료 가치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취하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0% 

60.다음 중 dd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디스크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2.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3.디렉터리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4.소문자로 이루어진 텍스트 파일을 전부 대문자로 전환할 때 사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3과목 :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동적인 웹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초기 웹 서비스 구축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2.여러 개의 CGI 스크립트를 동작시켜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3.CGI의 스크립트는 어떤 언어로도 코딩될 수 있으며, 단순해서 사용이 간단하다.
     4.CGI 스크립트의 작성에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는 C, C++, Perl 등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62.아파치 환경 설정 파일인 httpd.conf에서 아래의 설정이 뜻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2002년 08월)

    

     1.한번의 GET 요청에 대한 타임아웃 시간을 정해주는 부분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보를 받을 때까지 소요되는 대기시간의 최대 값을 뜻한다.
     2.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후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으로, 다음 요청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3.하나의 지속적인 접속 동안 허용할 최대 요청 횟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4.동일한 접속 상태에서 동일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다음 요청을 기다리는 시간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요청을 하지 않으면 접속을 끊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63.다음 중 웹 디렉토리에 접근시 가장 먼저 인식 되는 파일명을 index.htm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httpd.conf에서 설정해야 할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ServerRoot
     2.DirectoryIndex
     3.DocumentRoot
     4.ServerAdmin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64.웹서버인 아파치를 특정 디렉토리(/usr/local/apache/)에 설치하였다. 설치된 경로아래에 여러 디렉토리가 생성되었다. 생성된 디렉토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bin/ : 아파치 서버프로그램, 유틸리티 및 PID가 포함되어 있다.
     2.cgi-bin/ : cgi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한다.
     3.icons/ : 아파치 서버에서 사용하는 아이콘들이 들어있다.
     4.logs/ : 아파치로그 파일이 저장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5.하나의 IP 주소로 운영하는 아파치 웹 서버에 여러개의 도메인을 가지고 각각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작업이 아닌 것은?(2002년 08월)
     1.NameVirtualHost 지시자에 사용하고자 하는 IP 주소를 설정한다.
     2.<VirtualHost> ... </VirtualHost> 컨테이너 안의 ServerName 지시자에 도메인을 설정한다.
     3.Listen 지시자에 홈페이지에서 사용할 도메인을 모두 설정한다.
     4.하나의 홈 페이지에 두 개 이상의 도메인을 이용하여 접속하기 위해서는 ServerAlias 지시자를 사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8% 

66.다음 중 N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NIS는 하나의 서버에서 다수의 서버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유용하다.
     2.Sun Microsystems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초기에는 Yellow Pages라고 불렀다.
     3.NFS와 병행해서 구축하면 효율적인 네트워크 서버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4.NIS는 RPC를 사용하지 않고, NIS+만 RPC를 사용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문제 해설>
NIS는 RPC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KTH]

67.다음 LDAP 속성 중 이름과 성의 조합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cn
     2.sn
     3.dc
     4.givenNam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68.아파치 웹 서버 환경설정 파일에서 서버 루트 디렉토리의 기본 경로를 지정해 주는 설정은?(2003년 10월)
     1.ServerRoot "/usr/local/apache"
     2.LockFile /usr/local/apache/logs/httpd.lock
     3.PidFile /usr/local/apache/logs/httpd.pid
     4.ScoreBoardFile /usr/local/apache/logs/httpd.scoreboar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9.htpasswd 프로그램은 웹 서버 각 디렉토리의 접근 제어를 위한 인증 정보를 가지는 파일을 생성 관리 한다. 다음 중 .htpasswd 파일을 처음 생성하여 jone이라는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2003년 06월)
     1.htpasswd -c .htpasswd jone
     2.htpasswd .htpasswd jone
     3.htpasswd jone
     4.htpasswd -n .htpasswd jon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0.다음은 삼바관련 명령어들이다.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samba 3.0.X)(2007년 05월)
     1.smbpasswd : 삼바서버 사용자의 계정생성, 비밀번호 변경 등에 사용된다.
     2.testparm : 삼바서버 마운트시 사용된 옵션을 테스트하기 위한 명령이다.
     3.smbstatus : 현재 삼바 서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4.smbclient : 삼바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1.삼바(samba)서버의 설정 파일에서 주석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8년 03월)
     1.# ...
     2.* ...
     3.: ...
     4./% ...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72.Samba 서버의 설정 파일 smb.conf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시자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1.workgroup = WorkGroup
     2.server string = Samba Server
     3.browseable = no
     4.readerable = ye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3.다음에서 설명하는 NFS 서버 설정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anonuid
     2.all_squash
     3.root_squash
     4.no_root_squash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문제 해설>
* all_squash : 클라이언트 측에서 사용자로 접근 요청했을때 익명 계정으로(nobody) 매핑 (관리자 제외)
* root_squash : 기본값. 클라이언트 측에 관리자가 접속을 요청했을 때 익명 계정으로(nobody) 연결 
*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 측에 관리자가 접속 요청했을 때 서버 측에서의 관리자 계정으로 매핑
[해설작성자 : 야옹쓰]

74.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서비스 데몬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rpc.nfsd
     2.rpc.mountd
     3.portmap
     4.rpc.lock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9% 

75.파일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무명 FTP 서버를 구축하였다. proftpd의 설정파일(proftpd.conf)에 다음과 같이 설정했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무명 FTP의 자료가 보관되는 곳은 ftp 계정의 홈 디렉토리이다.
     2.디렉토리 및 파일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3.incoming 디렉토리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
     4.incoming 디렉토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76.다음은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NFS 파티션을 마운트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etc/fstab 파일에 명시해야 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4년 05월)

    

     1.ihd:/export/test /test nfs rw,intr 0 0
     2./test ihd:/export/test nfs rw,intr 0 0
     3.ihd:/export/test /test rw,intr 0 0
     4./test ihd:/export/test rw,intr 0 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7.발신자가 spammer@aol.com인 메일의 수신을 거부하는 설정을 /etc/mail/access에 등록하려고 한다. 다음 설정 중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Connect:spammer@aol.com REJECT
     2.From:spammer@aol.com REJECT
     3.Connect:spammer@aol.com RELAY
     4.From:spammer@aol.com RELAY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78.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를 부팅 시에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해서는 /etc/fstab에 설정을 해줘야한다. 다음 /etc/fstab에 마운트하기 위한 옵션중에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rsize : NFS서버로부터 읽어들이는 바이트 수를 지정. 기본은 1024바이트
     2.wsize : NFS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수를 지정. 기본은 1024바이트
     3.timeo : 클라이언트에서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다시 재전송 요구를 보낼 때 사용하는 시간
     4.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server not responding”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79.Sendmail에서 사용하는 파일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1월)
     1.aliases.db
     2.inetd.conf
     3.aliases
     4.$HOME/.forwar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0.여러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공유하는데 사용하는 서비스인 것은?(2005년 03월)
     1.SSH
     2.MTA
     3.NFS
     4.DN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1.sendmail.cf 설정파일의 섹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Option 섹션은 sendmail의 환경을 정의하는 부분으로 사용옵션이 100여 개에 이른다.
     2.Trusted Users 섹션에 등록된 root, daemon, uucp 리스트는 절대로 변경하면 안 된다.
     3.Message Precedences 섹션은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숫자로 표현하며, 음수는 사용되지 않는다.
     4.Rewriting Rules에서는 입력된 주소를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을 정의된 규칙에 의해서 주소를 새로운 포맷으로 다시 작성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5% 

82.sendmail.cf 파일에서는 샌드메일 전송모드를 직접 지정하여 사용한다. 다음 중 샌드메일에서 지원되지 않는 전송모드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interactively(mqueue에 있는 메일들을 동기화 모드로 작동시켜 메일을 전송)
     2.immediately(mqueue에 있는 메일들을 background mqueue에 보내고 실시간 모드로 전송)
     3.background(mqueue에 있는 메일들을 비동기화 모드로 작동시켜 전송)
     4.defer(메일을 수신하여 가능한 한 빨리 큐에 저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3.메일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 중 사용자가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1.MRA (Mail Receiver Agent)
     2.MUA (Mail User Agent)
     3.MTA (Mail Transfer Agent)
     4.MDA (Mail Delivery Agen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84.다음 xinet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TCP, UDP 및 RPC 서비스들에 대한 접근 제어
     2.DoS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억제
     3.동시에 작동하는 동일 유형 서버 수에 대한 제한
     4.로그 파일 개수에 대한 제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85.DNS 서버의 리버스 존(reverse zone) 파일은 IP주소에 대한 호스트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설정을 위해 리버스 존 파일에 사용 되는 레코드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1.SOA
     2.PTR
     3.CNAME
     4.N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86.다음에 설명된 리눅스 가상화 기술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KVM
     2.VirtualBox
     3.XEN
     4.Vmwar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87.다음 중 CPU 전가상화 뿐만 아니라 CPU 반가상화도 지원하는 가상화 기술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KVM
     2.Xen
     3.VMware
     4.VirtualBox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88.네임서버를 분류하는 종류가 아닌 것은?(2011년 09월)
     1.캐싱 서버
     2.포워딩 서버
     3.주네임 서버
     4.보조네임 서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89.NIS의 동작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NIS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서버로부터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는다.
     2.슬레이브 서버는 단지 NIS 데이터베이스의 복사본을 갖고 있다.
     3.NIS 데이터베이스들은 ASCII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상속된 DBM 포맷 안에 있다.
     4.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90.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0년 03월)
     1.ypswitch
     2.ypbind
     3.ypmatch
     4.yppol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91.다음은 DNS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name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 중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192.168.51.33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보조 네임 서버로 구성 가능하다.
     2.외부에서 질의 요청시 192.168.32.31에 넘기고, 만약 질의응답을 못하면 이 서버가 응답해준다.
     3.192.168.56.103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보조 네임서버로 구성 가능하지만, 질의는 할 수 없다.
     4.192.168.10.10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이 서버에 질의를 할 수 없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92.DHCP 서버의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못한 것은?(2003년 01월)
     1.DHCP 서버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커널에서 MULTICAST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2.일부 DHCP 클라이언트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어 255.255.255.255를 위한 라우팅을 추가해 주는 것이 좋다.
     3.설정 파일의 option subnet-mask 옵션을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사용할 서브넷 마스크를 알려준다.
     4.클라이언트에서 DHCP 서버를 찾을 수 있도록 설정 파일의 fixed-address 항목에 서버 자신의 IP 주소를 기재해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3.DHCP 서버에서 MAC 주소와 IP 주소를 변환 해주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2011년 03월)
     1.ARP
     2.ICP
     3.TCP
     4.AS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94.다음은 인터넷 슈퍼데몬(xinetd)의 속성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1.server : 서버 프로그램의 경로이다.
     2.wait : 스레드에 대한 서비스 동작을 정의한다.
     3.cps : 다중프로세스 환경에서 서비스에 사용할 CPU 개수이다.
     4.per_source : 동일 호스트로부터의 서버 접속 수를 설정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5.다음 CVS 사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cvs ci -m "revision set to 2.0" -r2.0 ohmysrc.c : ohmysrc.c의 리비전을 2.0으로 강제 지정
     2.$ cvs get -D "3 month ago" myproj : myproject의 3개월 전 소스를 가져 온다.
     3.$ cvs release -d proj : project source를 릴리즈 한다.
     4.$ cvs annotate a.c : a.c 저작자를 확인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8% 

96.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트로이 목마
     2.DoS(Denial of Service) 공격
     3.웜 바이러스
     4.버퍼 오버플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97.사용 중인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한 후 하드 디스크의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을 테이프에 백업하였다. 일주일 후 하드 디스크에 있는 /bin/ps 파일과 테이프에 백업되어 있는 /bin/ps 파일의 크기가 달라져 있었을 때, 네트워크 침해 유형으로 가장 의심스러운 것은?(2003년 01월)
     1.침입 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2.트로이 목마(Trojan Horse)
     3.스푸핑(Spoofing)
     4.서비스 거부(Denial of Service) 공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98.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컴퓨터에 자기 자신의 복사본을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것은?(2007년 03월)
     1.백도어
     2.바이러스
     3.
     4.트로이목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5% 

99.로그를 분석해보니 특정 IP 주소에서 ssh 포트로 무작위 대입을 통한 접근 기록을 발견하였다. 다음 중 해당 IP 주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Tripwire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2.John The Ripper라는 도구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3./etc/hosts.deny 파일에 해당 IP주소를 등록한다.
     4.Nessus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1. Tripwire - 파일 무결성 점검 프로그램
2. John The Ripper - Unix 계열 password crack tool
4. Nessus - 취약점 분석 tool
[해설작성자 : 정재희]

100.해커를 유인하여 그들의 해킹 수법이나 행동 방식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는 서버로 이 시스템에 해커가 접근하면 해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면서 최신 해킹 기술이나 해커의 신분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서버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10월)
     1.VPN
     2.HONEYPOT
     3.Sniffing
     4.DMZ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8%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26652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0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17.06.18 719
1689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17.06.18 190
1688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7.06.18 258
1687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1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17.06.17 2020
1686 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857582) 좋은아빠되기 2017.06.17 540
1685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7.06.17 434
1684 미용기능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929854) 좋은아빠되기 2017.06.17 676
1683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17.06.17 1387
1682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401283) 좋은아빠되기 2017.06.17 2090
1681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578884) 좋은아빠되기 2017.06.17 475
1680 미용기능사(일반) 필기 시험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292543) 좋은아빠되기 2017.05.22 1184
1679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847788) 좋은아빠되기 2017.05.22 713
1678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87947) 좋은아빠되기 2017.05.22 2578
1677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17.05.22 480
1676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7.05.22 735
1675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1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7.05.22 377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266529) 좋은아빠되기 2017.05.22 415
1673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17.05.22 415
1672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17.05.22 499
1671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17.05.22 275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