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08일


1과목 : 원자력기초


1. 다음 중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핵자들간에 작용하는 핵력(Nuclear For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성자간의 반발력보다 훨씬 큰 힘이다.
     2. 인력이 아닌 척력이다.
     3. 전하와 무관하다.
     4. 핵과 같이 극히 짧은 거리에서만 작용하는 힘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 다음 방사붕괴 형태 중 원자핵의 양성자 수 및 중 성자 수에 변화가 없는 것은?
     1. 알파 붕괴
     2. 베타 붕괴
     3. 감마 붕괴
     4. 중성자 붕괴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 중성자와 핵의 비탄성 산란반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충돌 전후 총 운동에너지는 보존된다.
     2. 산란 후 핵은 여기상태로 존재한다.
     3. 저에너지 중성자가 가벼운 질량의 핵과 반응할 때 주로 발생한다.
     4. 충돌 후 중성자는 핵에 포획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 중성자에 대한 미시적 단면적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핵이 중성자와 반응을 일으키는 확률에 비례한다.
     2. 미시적 단면적의 단위인 bam은 1024m2의 면적에 해당한다.
     3. 미시적 단면적은 실제 핵의 단면적과 동일하다.
     4. 미시적 단면적은 산란 단면적(σscattering)과 포획단면적(σcapture)으로 구성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핵분열에너지의 대부분은 중성자의 운동에너지이다.
     2. 핵분열 후 생성되는 즉발중성자의 평균에너지는 수 GeV 정도이다.
     3. 원자로가 트립(Trip)되면 노심에서 생성되는 열에너지는 즉시 0이 된다.
     4. 핵분열 시 방출 에너지의 일부는 발전소에서 회수할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 질량수 A, 양성자수 Z, 수소질량 mH, 중성자질량 mN, 측정질량(Experimental Mass) M일 때 질량결손을 나타낸 것은?
     1. M - ZmH - (A - Z)
     2. ZmH + (A - Z)mN - M
     3. M - ZmN - (A - Z)
     4. ZmN + (A - Z)mH - 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 다음 노심증배계수 구성인자 중 제논과 같은 독물질에 의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은?
     1. 재생계수(η)
     2. 속분열인자(Fast Fission Factor)
     3. 공명이탈확률(Resonance Escape Probability)
     4. 열중성자 이용률(Thermal Utilization Facto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 다음 중 1군 확산 방정식(One-group diffusion Equation)에 사용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확산계수
     2. 흡수단면적
     3. 산란단면적
     4. 핵분열단면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 경수형 원자로에서 핵연료의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핵종은?
     1. 233U
     2. 235U
     3. 238U
     4. 239Pu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0. 천연 우라늄(U) 1g 중에 포함된 235U의 원자수는? (단, 우라늄의 원자량은 238.028이며 천연우라늄에 존재하는 235U의 비율은 0.714% 이다.)
     1. 1.806 × 1018
     2. 1.806 × 1019
     3. 1.806 × 1020
     4. 1.806 × 1021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1. 다음 중 같은 양의 핵연료를 가지고 증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원자로 노심 외곽에 반사체를 설치하여 중성자 누설을 줄이는 방법
     2. 핵연료와 감속재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균질 원자로심을 구성하여 중성자 공명흡수를 줄이는 방법
     3. 핵연료 이외의 물질에 의한 중성자 흡수를 줄여서 열중성자이용률(f)을 크게 하는 방법
     4. 핵분열성 물질의 농축도를 높여 중성자 재생인자(η)를 크게 하는 방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2. 중성자의 특성과 반응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률(R)은 거시적 반응단면적(Σ)과 중성자속(Φ)의 곱으로 표시한다.
     2. 반응률은 단위체적, 단위시간에 일어나는 반응의 수를 나타낸다.
     3. 속중성자속(Φf)은 연료내에서 가장 낮고, 감속재에서 가장 높다.
     4. 열외중성자는 238U 및 240Pu 내에서 공명흡수를 일으킨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3. 원자로의 증배계수가 k=1.000에서 1.001로 변화되었다. 증배계수 변화에 상응하는 반응도는? (단, 원자로의 βeff=0.0065)
     1. 0.001$
     2. 0.0065$
     3. 0.065$
     4. 0.15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4. 경수로 원자로의 반응도 제어와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연성 독물질봉은 원자로를 운전함에 따라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작은 물질로 전환된다.
     2. 가연성 독물질봉은 중성자 산란단면적이 큰 물질로 제조된다.
     3.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학적 독물질은 붕산이다.
     4. 원자로 냉각재에 붕산을 주입하여 장기적 반응도를 제어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5. 원자로 재기동 불능시간(Reactor Dead Time)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핵종은?
     1. 135Xe
     2. 149Sm
     3. 10B
     4. 113C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6. 경수로의 제어봉 반응도값(Rod Worth)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어봉 반응도값은 제어봉의 삽입위치(높이)에 따라 변한다.
     2. 제어봉 반응도값은 독물질의 농도에 따라 변한다.
     3. 노심의 온도가 높아지면 제어봉 반응도값은 감소한다.
     4. 인근 제어봉과의 거리가 가까우면 제어봉 반응도값은 작아진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7. 출력이 1,000MWth로 운전되는 원자로에 주기 τ= 80초로 출력변화를 줄 때 80초 후의 출력은?
     1. 1,000MWth
     2. 2,718MWth
     3. 4,526MWth
     4. 7,389MWth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8. UO2 60톤(Ton)이 장전된 원자로가 정격 열출력 3,000MWth, 이용율 75%로 400일간 운전할 경우 연료의 평균 연소도는?
     1. 10,000 MWD/MTU
     2. 15,000 MWD/MTU
     3. 20,000 MWD/MTU
     4. 25,000 MWD/MTU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지발중성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235U의 핵분열시 방출되는 중성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 평균 수명이 약 13초이며 원자로 제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원자로는 지발중성자만으로 임계유지가 가능하다.
     4. 239Pu는 235U에 비해 지발중성자 분률이 더 작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0. 국내에서 운전 중인 CANDU 원자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냉각재와 감속재로 모두 중수를 사용한다.
     2. 핵연료는 수평으로 설치된 압력관 내에 장전된다.
     3. 정상운전 중에 핵연료를 교체한다.
     4. 정상운전 중 출력은 흡수봉(Mechanical Control Absorber)으로 제어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21. 다음 중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는?
     1. 레이놀드(Reynolds) 수
     2. 프라우드(Froude) 수
     3. 웨버(Weber) 수
     4. 스토크(Stokes) 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2.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유량측정계시(오리피스, 유량노즐, 벤츄리관)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가?
     1. 차압의 제곱에 비례
     2. 차압의 제곱에 반비례
     3. 차압의 제곱근에 비례
     4. 차압의 제곱근에 반비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3.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노심에서 고온수로의 축방향 위치별 출력이 코사인(Cosine) 함수형태 일 때, 고온수로에서 실제 열유속(Actual Heat Flux. q"actual)과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 q"CHF) 및 핵비등이탈률(DNBR) 변화를 축방향 위치별로 적절히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4. 원자로 압력용기가 급격히 냉각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1. 가압열충격(PTS)
     2. 응력부식균열(SCC)
     3. 정지여유도 상실
     4. 과냉각도 상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5.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압력용기는 중성자 조사에 의해 수명말기까지 샤르피 충격시험 곡선의 최대 흡수 에너지가 ( ㉮ ) 아래로 낮아지거나 기준 무연성천이온도(RTNDT)가 (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다음 중 ㉮와 ㉯에 들어갈 값은?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6. 고에너지 중성자 조사에 의한 원자로 압력용기의 취화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복강도 및 연성-취성 천이온도가 증가
     2. 취화 정도는 합금조성에 영향을 받으면 구리(Cu), 니켈(Ni) 등의 함량이 영향을 미침
     3. 가동온도 범위에서 조사온도가 증가할수록 취성이 크게 일어남
     4. 중성자속(Neutron Flux) 및 미세조직도 취화 정도에 영향을 미침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7. 감속재의 감속비는 중성자와 감속재간 충돌당 손실되는 중성자에너지와 감소재의 거시적 산란단면적에 비례하고 감속재의 거시적 흡수단면적에 반비례한다. 감속재의 감속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중수(D2O) → 흑연(Graphite) → Be → 경수(H2O )
     2. 중수(D2O) → 경수(H2O) → 흑연(Graphite) → Be
     3. 중수(D2O) → 경수(H2O) → Be → 흑연(Graphite)
     4. 중수(D2O) → Be → 흑연(Graphite) → 경수(H2O)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8.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정상출력 운전시 펠렛 중심온도, 피복재 표면온도 및 냉각재 온도의 축방향 분포에 대해 맞게 기술한 것은? (단, 연료봉 길이와 펠렛 적층길이는 동일하다고 가정)
     1. 최대 펠렛 중심온도의 축방향 위치는 연료봉 길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
     2. 축방향 최대 냉각재 온도는 연료봉 최하단으로부터 약 75% 지점에서 발생
     3. 최대 피복재 표면온도와 최대 펠렛 중심온도는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서 발생
     4. 축방향 최대 피복재 표면온도는 최대 펠렛 중심온도에 비해 상부 위치에서 발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9. 금속우라늄 핵연료와 비교한 이산화우라늄(UO2)핵연료의 특성이 잘못 기술된 것은?
     1. 세라믹 연료의 특성상 고온의 용융점을 가지고 있다.
     2. 물과 화학적 반응성이 낮아 물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상업용 원전의 핵연료로 사용한다.
     3. 방사선 조사에 의한 비등방성 뒤틀림이 없어 제원안전성이 높다.
     4.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출력에서 핵연료 온도가 낮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0.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에서 정상운전 및 비정상운전 기간 동안 핵연료의 파손을 방지하고 가상사고시 노심냉각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한 설계기준 중 틀린 것은?
     1. 정상운전 중에는 핵연료의 중심선 온도가 이산화우라늄 펠렛의 용융점 보다 낮아야 한다.
     2. 정상운전 중에 연료봉 표면에서의 열유속((Heat Flux)이 임계 열유속(Critical Heat FluX) 보다 높게 설정되어 열전달 효과가 좋아야 한다.
     3. 냉각재 상실사고시 피복재의 최고온도는 1,204℃이내 이어야 한다.
     4. 냉각재 상실사고시 피복재의 최대 산화도는 산화전피복재 두께의 17% 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1.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노외 중성자계측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원자로 축방향의 중성자속 측정
     2. 원자로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중상자속을 감시하여 원자로출력 준위를 측정
     3. 엔탈피 변화 및 설계시 계산된 열수력 계수값 확인
     4. 선원영역(기동채널)은 노외 중성자속 검출기에 해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2.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가압기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냉각재의 체적변화를 수용하며 고온관에 부착되어 있음
     2. 정상운전시 가압기 내부는 미포화(Subcooling) 상태의 물과 증기가 공존
     3. 운전중 냉각재계통 압력을 허용치내로 유지
     4. 보조전열기(Backuo Heater) 출력은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으며 ON/OFF 제어만 가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3. 화학 및 체적 제어계통(CVCS)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냉각재가 냉각재 펌프 축을 타고 외부대기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 밀봉수를 공급한다.
     2. 부식 및 용해성 분열생성물을 제거한다.
     3. 냉각재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펌프 사용 불능시 가압기에 보조살수 유량을 제공한다.
     4. 고압 안전주입 펌프를 가동할 수 있도록 냉각재계통의 압력을 수동으로 감압해 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4.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재에 첨가된 붕산수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붕산수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봉 집합체 수를 줄일 수 있다.
     2. 노심 내부의 국부출력을 제어한다.
     3. 가연성흡수봉을 사용하면 요구되는 붕산농도가 작아진다.
     4. 제어봉에 비해 붕산수는 원자로심내 출력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5. 증기발생기 내부 급수 분산환(Feedering)에 J-Type 또는 C-Type의 관을 설치하는 이유는?
     1. 부식(Corrosion) 방지
     2. 수격(Water Hammer) 현상 방지
     3. 재순환 비율(Recirculation Ration) 증대
     4. 정상운전중 급수링(Feedering) 진동 방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6. 증기발생기에서 운전중 발생 가능한 수위팽창(Swelling)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터빈부하 급격한 증대
     2. 주증기 안전밸브 열림
     3. 증기덤프밸브 열림
     4. 원자로 및 터빈 정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7.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주요 손상기구가 아닌 것은?
     1. 프레팅(Fretting)
     2. 열시효(Thermal Aging)
     3. 응력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
     4. 피팅(Pittin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8. 그림 1은 원자로 2차계통의 재열 랭킨(Rankine) 사이클이다. 이 그림의 ④와 ⑤사이 공정은 T-S 선도 (그림 2)의 어느 공정에 해당되는가?

    

     1. a - b
     2. c - d
     3. e - f
     4. f - 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9. 다음의 괄호에 들어갈 합금원소가 순서대로 적절히 나열된 것은?

    

     1. 주석(Sn), 나이오븀(Nb)
     2. 철(Fe), 크롬(Cr)
     3. 니켈(Ni), 주석(Sn)
     4. 니켈(Ni), 나이오븀(Nb)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0. 아래 조건에서 경수로 원동형 우라늄 펠렛의 중심 온도는? (단, 펠렛열전도도(k)는 펠렛온도 및 연소도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

    

     1. 955℃
     2. 1,005℃
     3. 1,045℃
     4. 1,09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발전로계통공학


41.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 원자로냉각재의 수화학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온정지 상태에서는 하이드라진(N2H4)을 첨가하여 용존산소를 제거한다.
     2. 출력운전 상태에서는 수소기체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를 제거한다.
     3. 붕소는 주로 반응도 제어를 위해 사용한다.
     4. 주기초 보다 주기말에 붕소의 농도가 높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2. 액체 방사성폐기물을 제염계수가 5인 이온교환기로 처리하였다. 처리하기 전에 액체 방사성폐기물에 존재하던 방사능 이온교환기를 통해 제거된 방사능의 비율은?
     1. 80%
     2. 85%
     3. 90%
     4. 9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3. 최근 개발되고 있는 고온가스냉각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액체질소가 냉각재로 고려되고 있다.
     2. 드라이아이스가 감속재로 고려되고 있다.
     3. 세라믹으로 피복된 입자상태의 핵연료가 고려되고 있다.
     4. 원자력을 이용한 해수담수화가 주목적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4. 우라늄 농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위인 SWU(Separative Work Uni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WU의 단위는 질량(kg)이다.
     2. 농축우라늄의 질량이 클수록 SWU가 크다.
     3. 감손우라늄의 질량이 클수록 SWU가 크다.
     4. 천연우라늄의 질량이 클수록 SWU가 크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5. 핵연료 피복관의 펠렛-피복재 상호작용(PC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소도가 낮은 핵연료에서 발생하기 쉽다.
     2. 출력이 서서히 감소될 경우 발생하기 쉽다.
     3. 응력부식균열(SCC)과는 관계가 없다.
     4. 요오드에 의해 유발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6. 한국표준형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집합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핵연료봉은 17× 17 정방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2. 제어봉 안내관에는 중성자 선원봉도 삽입된다.
     3. 노내 핵계측관은 집합체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4. 최하단 지지격자의 재질은 다른 지지격자의 재질과 다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7. 금속 핵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Zr 합금은 대표적인 금속 핵연료의 재료이다.
     2. 이산화우라늄 핵연료 보다 높은 연소도를 얻는데 유리하다.
     3. 이산화우라늄 핵연료 보다 녹는점이 높다.
     4. 이산화우라늄 핵연료 보다 열전도도가 높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8. 원자력발전소 구조재료의 부식의 형태 중 틈새부식과 비슷하나 보호피막이 부분적으로 파괴된 경우 혹은 재질이 비균질적인 경우같이 비교적 화학적 활성이 큰 부위부터 집중적으로 부식이 일어나는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면부식
     2. 점식
     3. 선별용해부식
     4. 결정입계부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9. 원자로 냉각재 중에 존재하며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커서 독물질로 작용하여 반응도에 영향을 주는 핵분열 생성물은?
     1. Xe, I
     2. Xe, Sm
     3. Xe, Kr
     4. Xe, C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0. 중수제조나 삼중수소분리 등을 위한 수소동위원소 분리공정으로 이용되지 않는 공정은?
     1. 증류공정
     2. 원심분리공정
     3. 전기분해공정
     4. 화학교환반응공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1. 핵연료 제조공정에서 우라늄 원광으로부터 조 엘로우 케이크(Crude Yellow Cake)를 만들어내는 공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련
     2. 변환
     3. 동위원소 분리
     4. 재변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2. 다음 중 초우라늄(TRU) 원소에 해당하지 않는 원소는?
     1. Pu
     2. Cm
     3. Am
     4. Nd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3.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방법은 크게 습식 재처리법과 건식 재처리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습식 재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PUREX
     2. COEX
     3. Pyro-Process
     4. UREX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4. 핵연료 피복관 재료의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작을 것
     2. 열전도도가 낮을 것
     3. 냉각재에 대한 내식성이 좋을 것
     4. 중성자 조사에 따른 손상이 작을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5. 우라늄 화합물중 탄화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물 또는 증기와 신속히 반응한다.
     2. 상온에서만 안정하다.
     3. 고속증식로의 연료로 사용된다.
     4. 단일 고체상의 조성을 이루고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6.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여러 가지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고 있다. 다음 중 기체폐기물이 주로 발생되는 곳이 아닌 것은?
     1. 붕산회수 계통 배수 탱크 배기
     2. 탈염기 재생
     3. 격납용기 퍼지
     4. 체적 제어탱크의 배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7. 다음 방사성폐기물 육지처분시스템의 구성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은 고체 형태이어야 하며, 지하수에 의한 용해도 및 침출성이 작아 방사성 핵종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한다.
     2. 처분부지는 주요 지각 운동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3. 처분시설은 필요시 적절하게 감시가 가능하게 설계, 건설되어야 한다.
     4. 폐기물은 비표면적이 높고, 가능한 부피가 최소이어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8.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신뢰도는 수질에 의존한다. 수질 관리를 위하여 행하는 일반적 원자로 수화학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침적물에 의한 중성자 포획
     2. 연료표면의 오염 유지
     3. 노심내 유기물 유입 최대화
     4. 재료에 대한 물의 공격성 감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9. 다음 나열된 핵종 중 사용되는 산업분야가 옳지 않은 것은?
     1. 60Co, 65Zn - 유리 용융로내 유동상태
     2. 127Xe, 133Xe - 용광로내 가스 통과시간의 측정
     3. 37Ar, 41Ar - 하천에서의 유동상태
     4. 14CO2, 35SO2 - 가스의 누설검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0. 의료용 가속기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11C
     2. 13N
     3. 18F
     4. 14C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원자로 안전과 운전


61. 다음 중 100% 출력으로 정상운전중인 가압경수로의 정지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충분한 양의 가연성독물질봉을 사용한다.
     2. 정지제어봉집합체를 일정한 높이 이상 인출한 상태로 유지한다.
     3. 원자로냉각재의 붕산 농도를 높게 유지한다.
     4. 독물질(Xe,Sm)의 발생량이 최대가 되도록 운전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2. 다음 중 출력계수에 영향을 주는 값이 아닌 것은?
     1. 핵연료온도계수
     2. 감속재온도계수
     3. 기포계수
     4. 반경방향첨두계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3. 열출력 1000 MW로 정상운전중이던 원자로의 출력이 900MW 감소하면서, 핵연료의 온도는 100℃, 감속재의 온도는 50℃ 각각 감소하였다. 핵연료 온도계수 및 감속재 온도계수가 모두 -1.0 x 10-5 Δk/k/℃일때, 이 원자로에서 출력감소로 인하여 발생된 반응도 변화량은?
     1. 5.0 x 10-7 Δk/k/℃
     2. 5.0 x 10-4 Δk/k/℃
     3. 1.0 x 10-3 Δk/k/℃
     4. 1.5 x 10-3 Δk/k/℃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4.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냉각제상실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과 가장 관련이 있는 공학적안전설비작동신호는?
     1. 주제어실 비상환기 작동신호
     2. 격납건물 격리 작동신호
     3. 비상디젤발전기 작동신호
     4. 핵연료건물 비상환기 작동신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5. 다음 중 국내 가압경수로의 설계에서 발전소정전 사고(SBO : Station Black Out.가 발생하여 교류전원이 완전히 상실되었을 때, 원자로의 붕괴열 제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는?
     1. 비상노심냉각계통
     2. 잔연제거계통/정지냉각계통
     3. 화학 및 체적 제어계통
     4. 보조(비상)급수계통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6. 다음 중 냉각제상실사고의 진행단계 중 재층수(Refill)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단부위를 통하여 물과 수증기의 혼합된 유체가 임계유동(Critical Flow)의 형태로 방출된다.
     2. 원자로냉각재계통의 압력이 감소하여 비상노심냉각계통의 작동이 개시되나, 냉각수가 핵연료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3. 핵연료에 냉각수가 도달함으로써 핵연료의 급속 냉각이 개시되며, 노심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회복된다.
     4. 핵연료가 비상노심냉각수에 의해 완전히 잠기게 되며, 붕괴열이 안정적으로 제거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7. 다음 중 1단계 확률론적안전성평가(Level 1 PSA_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결과는?
     1. CDF(Core Damage Frequency)
     2. LERF(Large Early Release Frequency)
     3. LRF(Large Release Frequency)
     4. CCFP(Conditional Containment Failure Probability)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8. 다음은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제1발전소 1,2,3호기 사고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현상들이다. 발생 순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 B → C → D
     2. A → C → B → D
     3. B → A → C → D
     4. B → C → A → 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9. 전기출력 100만kWe인 원자력발전소가 있다. 가동률이 80%이고 전기판매 단가가 kWh당 50원일 때, 이 발전소의 연간 전기 판매대금은 얼마인가? (단, 1년은 365일이다.)
     1. 약 150억원
     2. 약 230억원
     3. 약 3500억원
     4. 약 5500억원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0. 다음 중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압중수로(PHWR)형 노형에서 원자로냉각재로 중수를 사용하는 근본적 이유는?
     1. 중수의 작은 중성자 흡수단면적
     2. 중성자에 의한 냉각재 방사화 저감
     3. 원자로 냉각재계통 부식 최소화
     4. 열전달 향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1.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핵분열의 부산물로 방사성물질이 방출된다. 이러한 방사성물질을 환경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중성자 조사시편
     2. 핵연료 피복제
     3. 원자로 용기
     4. 원자로 건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2. 다음의 원자력발전소 사고에서 공통증상으로 맞는 것은?

    

     1. 가압기 압력 감소
     2. 격납건물 압력 증가
     3. 격납건물 방사는 준위 증가
     4. 가압기 수위 증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중 공학적안전설비(ESF)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방사성물질 외부누출 억제
     2. 비상노심 냉각으로 핵연료 피복재 보호
     3. 중성자 및 감마선에 의한 소성으로부터 원자로용기 보호
     4. 원자로냉각재상실사고(LOCA)시 핵분열 생성물 제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핵연료 재장전 운전을 위하여 원자로냉각재 온도를 177℃에서 연료재장전온도까지 냉각하는 계통으로 맞는 것은?
     1. 정지냉각계통(잔연제거계통)
     2.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
     3. 1차기기냉각해수계통
     4. 2차기기냉각수계통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5. 다음 중 중대사고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MCC(Molten Core Concrete Interaction)
     2. FCI(Fuel Collant Interaction)
     3. DCH(Direct Containment Heating)
     4. EOP(Emergency Operation Procedur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6. 다음 중 모든 소내·외 교류전원상실시 안전관련 모선에 자동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는?
     1. 축전지
     2. 비안전디젤발전기
     3. 대체교류디젤발전기
     4. 비상디젤발전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7. 노심에 잉여반응도를 준 이유로 맞는 것은?
     1. 출력변화에 따른 135XE와 149Sm의 연소를 보상하기 위해
     2. 음(-)의 감속재 온도계수를 보상하기 위해
     3. 출력증발 동안 출력결손에 의해 첨가되는 부반응도를 보상하기 위해
     4. 노심수명 동안 238U의 239Pu로 전환을 보상하기 위해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8. 최대 선출력밀도(kW/ft)와 관련하여 고온 열수로계수를 제한하는 이유는?
     1. 원자로냉각재 온도를 제한치내로 유지
     2. 핵비등 방지
     3. 핵연료 펠렛 팽창 방지
     4. 핵연료 용융 방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9. 운전중 핵연료 손상 예측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핵종은?
     1. 삼중수소(3H)
     2. 요오드(131I)
     3. 사마리움(149Sm)
     4. 크립톤(87K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0. 가연성 독물질을 원자로에 사용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

    

     1. A - B - C
     2. A - B - D
     3. A - C - D
     4. B - C - 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과목 :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81. 다음 중 BF3 계수기와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1. 비례계수관
     2. (n, p) 반응
     3. (n, ⍺)반응
     4. wall effec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2. 질량에너지전달계수(μtr/ρ)와 질량에너지흡수계수(μen/ρ)와 차이가 발생하는 주 원인은?
     1. 제동복사
     2. 컴프턴산란
     3. 광전효과
     4. 전자쌍생성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3. 어떤 방사성물질의 유효반감기가 5일인 경우, 생물학적 반감기는? (단, 물리적 반감기는 10일이다.)
     1. 5일
     2. 8일
     3. 10일
     4. 15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4. 10cGy의 방사선이 1kg의 공기 중에서 만드는 이온쌍의 수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에서 1개의 이온쌍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평균에너지는 34eV이다.)
     1. 1.84 × 1016 이온쌍
     2. 2.55 × 1016 이온쌍
     3. 3.68 × 1016 이온쌍
     4. 4.14 × 1016 이온쌍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5. 측정값에서 나타난 요동이 방사능붕괴에 대한 분포함수인 포와송(Poisson) 분포에서 벗어난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계측시스템의 오작동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은?
     1. t 검증
     2. χ2 검증
     3. Gaussian 검증
     4. Rosner 검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6.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확률적 영향은 문턱선량 없이 선량에 비례하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2. 결정적 영향은 대체로 급성이며, 증상의 심각도가 선량에 비례한다.
     3. 백내장은 확률적 영향이다.
     4. 확률적 영향에 대한 방호 개념은 합리적 범위에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7. 자연돌연변이와 방사선에 의한 유전적 영향을 평가하는 척도는?
     1. 배가선량(Double Dose)
     2. 선량선량률효과인자(Dose and Dose Rate Effectiveness Factor)
     3. 상대생물학적효과비(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4. 구경꾼효과(By-stander Effect)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8. 다음 방사선의 종류 중 연속에너지 스펙트럼을 갖는 것은?
     1. 오제전자
     2. 감마선
     3. 내부전환전자
     4. 베타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9. 1 MeV 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방출하는 핵종의 초기 방사선량률을 납을 이용하여 1/16으로 줄이고자 한다. 필요한 납의 두께는 약 얼마인가? (단, 납의 질량 에너지감쇠계수와 밀도는 각각 μ/ρ=0.071cm2/g, ρ=11.34g/cm3이고, 축적인자는 무시한다.)
     1. 1.26cm
     2. 1.91cm
     3. 2.67cm
     4. 3.44c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0. 고순도반도체검출기(HPGe)를 이용한 감마선핵종 분석시스템으로 미지의 시료를 측정한 결과 950keV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전에너지 피크(Photo Peak)가 나타났다. 측정된 스펙트럼에서 기대할 수 없는 피크는?
     1. 단일이탈 피크
     2. 특성 X-선 피크
     3. 컴프턴 단애(Compton Edge)
     4. 후방산란 피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1. Nal(Tl) 섬광계수기로 5,000Bq의 방사능을 갖는 교정용 137Cs 선원을 1분 동안 측정하여 35,000counts를 얻었다. 이때 백그라운드 계수율이 600cpm이었다면 선원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에 대한 검출기의 계수효율은 약 얼마인가? (단, 137Cs 선원의 감마선 방출률은 85%이다.)
     1. 13.5%
     2. 15.2%
     3. 17.3%
     4. 18.9%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2. 감마선 핵종분석에 앞서 수행하는 에너지교정을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방사성핵종의 방사능과 채널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절차이다.
     2. 방사성핵종의 방사능과 감마선의 에너지와의 관계를 설정하는 절차이다.
     3. 감마선의 에너지와 채널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절차이다.
     4. 감마선의 에너지와 효율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절차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3.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끼리 짝지은 것은?

    

     1. A, B
     2. A, C
     3. B, D
     4. C, D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4. 일반인에 대한 선량한도가 방사선작업자보다 낮게 설정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에 대한 수용준위가 일반인의 경우 작업자 보다 낮기 때문이다.
     2. 일반인의 피폭량은 작업자 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집단선량이 낮기 때문이다.
     3. 일반인에는 방사선에 민감한 유아 및 아동과 같은 연령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4. 작업자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피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5. 발단선량 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평가되는 결정적 영향은?
     1. 백혈구 감소
     2. 백내장
     3. 피부의 홍반
     4. 갑상선 기능저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6. 다음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중 표면오염 가능성이 가장 큰 경우는?
     1. 갑상선 치료에 131I을 사용하는 병원
     2. 90Sr을 이용하는 종이 두께계를 사용하는 제지공장
     3. IC칩 불량검사에 85Kr을 사용하는 반도체 공장
     4. 식품조사를 실시하는 대단위 60Co 조사시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7. 방사선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볼수 없는 것은?
     1. 여러 가지 종류의 계측기를 사용한다.
     2. 차폐를 하여 백그라운드를 낮춘다.
     3. 계수시간을 길게 한다.
     4. 기하학적 효율 등을 크게 하여 전체적인 계수효율을 높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8. 다음 중 삼중수소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삼중수소는 저에너지의 ß선만 방출하는 핵종이다.
     2. 체내에 섭취시 전신, 근육에 침착된다.
     3. ß선의 최대에너지는 0.018keV로 낮다.
     4. 물리적 반감기는 12.3년이고, 유효 반감기는 10일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9. 매질 내를 통과하는 하전입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에너지 손실률은 전하량에 비례하고, 하전입자의 속도에 반비례한다.
     2. 에너지 손실률은 하전입자의 속도에 비례하고, 전하량에 반비례한다.
     3. 에너지 손실률은 하전입자의 속도와 전하량에 비례한다.
     4. 에너지 손실률은 하전입자의 속도와 전하량에 반비례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00. 0.1에서 2 MeV 사이의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가 물이나 공기와 반응할 경우 가장 많이 일어나는 반응은?
     1. 전자쌍생성(Pair Production)
     2. 컴프턴 산란(Compton Scattering)
     3.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4. 톰슨산란(Thomson Scatterin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0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0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6
1769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46
1768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21
1767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22
1766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66
1765 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7
1764 염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3
1763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6
1762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07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14
»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09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48
17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7
1759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1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5
1758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2
1757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7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0
1756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25
1755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9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98
1754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95
1753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1
175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6
1751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53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