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9월03일


1. 우리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대 국어의 표준어에서는 소리의 길이에 따라서 의미를 변별할 수 있다.
     2. 우리말의 자음 체계에서 '비음'과 '유음'의 분류는 조음(調音) 위치에 따른 것이다.
     3.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4. 우리말 품사 중 감탄사는 활용하지 않는데 대답할 때 쓰는 '예, 아니요'가 그 예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음 과 유음의 분류는 조음의 방법에 따라 분류.

1.말:(말하다), 말(동물)
3.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종속적 연결어미)]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4.우리말 품사 중 감탄사는 활용하지 않음. 활용 가능한 것은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만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 괄호 속에 들어갈 수 있는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흙내(명사)
     2. 저녁내(부사)
     3. 끝내(부사)
     4. 막내(명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흙+내 어근+어근 합성어.

저녁+내 어근+접사 파생어.

끝+내 어근+접사 파생어

막내 어근 단일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단어의 로마자 표기나 외래어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1. 수락산 ⇒ Suraksan
     2. 오죽헌 ⇒ Ojukheon
     3. ambulance ⇒ 앰뷸란스
     4. 毛澤東 ⇒ 마오쩌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앰뷸런스.

4.장제스 마오쩌뚱 덩샤오핑 베이징은 물론 장개석 모택동 등소평 북경 모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문장을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수정한 것은?

   

     1.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2.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3.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4.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함께하며(합성어) 붙여쓴다.
가족같이(조사) 붙여쓴다.
한번 - 기회가 있는 어떤 때의 뜻으로 붙여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밑줄 친 차자 표기의 방식이 다른 하나는?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그윽할, 밀->훈차(뜻을 빌림)
2.다만, 지->음차(어미)
3.어조사, 의->음차(조사)
4.보낼, 고->음차(어미)

향찰의 표기방식
실질형태소 - 훈차(뜻을빌림)
형식형태소 - 음차(소리를 빌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에는 주격 조사와 만나 형태가 변한 명사가 포함되어 있다.
     2. ㉡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당시의 표기법에는 어긋난다.
     3. ㉢에는 현대 국어의 명사 '가물'의 옛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
     4. ㉣에서 조사가 생략되었다면 '내'의 형태로 쓰였을 것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4%
     <문제 해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려, 꽃 좋고 열매 많나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쳐서, 내를 이루어 바다에 가나니

1.중세국어에서 나무는 나모.
남간 은 명사 나모와 보조사 안의 구성. 모음으로 된 조사 앞에서 모음탈락과 ㄱ첨가현상이 일어나 체언의 형태가 교체.
보조사 안과 결합한 구성이므로 주격 조사와 만나 형태가 변했다는것은 틀림.

2.곶을 소리나는 대로 적으면 곳.
3.가마래는 가말과 격조사 ㅐ가 결합한 구성. 현대 국어에서 가뭄과 가물은 복수 표준어.
4.체언의 ㅎ종성은 모음으로 된 조사나 ㄱ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나타나지만
단독으로 쓰이면 종서의 ㅎ이 탈락됨. ㅎ종성 체언 냏은 격조사 이와 만나면 내히가 되지만 단독으로 쓰일 경우 내'로 쓰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중 한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한글은 창제 당시 28개의 기본자 중 17개가 자음자였으며 모음자 중 4개는 이중모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2. 한글은 소리 문자이지만 일본의 '가나'와 다른 음소 문자로서 개별 글자가 하나의 음소에 모두 일대일로 대응된다.
     3. 남한과 북한에서 사용하는 한글 자모 명칭은 같지만 사전에 올릴 때에 사용하는 한글 자모 순서는 일부 차이가 있다.
     4. 'ㄱ<ㅋ<ㄲ'과 같이 소리의 세기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제자 과정에서 가획의 원리가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문제 해설>
1.이중모음 재출자는 ㅑ ㅕ ㅛ ㅠ 4개이다.

2.음소는 음운이며,자음과 모음. 개별글자가 자음과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다.
자음은 단독으로 음절이 될 수가 없다.

3.일부 차이는 있지만 한글 자모 명칭이 같지는 않다.
남한 : 기역 니은 디귿
북한 : 기윽 니은 디읃

4.ㄲ은 가획이 아닌 합용이 원리(병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1. 이런 날씨에 비를 맞추니 멀쩡한 사람도 병이 나지.
     2. 너라면 아마도 그 문제의 정답을 맞출 수 있었을 텐데.
     3. 우리 선수는 마지막 화살까지도 10점 과녁에 맞췄다.
     4. 그는 그녀와의 약속 시간을 제대로 맞춘 적이 없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맞히다.
-목표물 (과녁을 맞히다)
-정답 (정답을 맞히다)
-눈 비 (눈을 맞히다)
-좋지 아니한 일 (바람을 맞히다)
-침 주사 등 치료. (주사를 맞히다)

맞추다.
-대상끼리 비교 (정답과 답안지를 맞추다)
-조절하다 (간을 맞추다)
-주문하다 (한복을 맞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문장의 표현이 가장 적절한 것은?
     1. 그러지 말고,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 줘.
     2. 선생님, 제 말씀부터 좀 들어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3. 정성이 이 정도라면 여간한 성의라고밖에 할 수 없네요.
     4. 선생님, 선생님께 훈장이 추서됐으니 수여식에 참석하시래요.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소개시켜 줘. - 과도한 사동표현. 소개해줘.
3.여간한 성의라고밖에 할 수 없네요 = 별볼일 없는 성의.
->여간한 성의가 아니네요.
여간하다 : 이만저만하거나 어지간하다.
4.추서 :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을 수여하는 일

2.말씀 : 높임 낮춤 모두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문장에서 '-었-/-았-/-였-'의 문법적 기능이 밑줄 친 예와 가장 유사한 것은?

    

     1. 모두가 기다리던 그가 밤늦게 공항에 도착하였다.
     2. 윤희는 예쁜 파란색 모자를 사고서는 방금 떠났다.
     3. 그 사람은 자신의 아버지와 달리 정말로 잘생겼다.
     4. 결국 곧 진실이 드러날 테니 이제 우리는 다 죽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았- 현재 지속의 의미까지 포함하는 시제 선어말 어미. 영어로는 have pp
지금까지도 닮은 상태. 지금까지도 잘생긴 상태.

1.2. - 이미 일어난 사건 had pp
4.일어나지 않은 일을 기정사실인 것처럼 말할 때 사용. will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표기할 때 적절한 것은?(순서대로 ㉠, ㉡, ㉢)

    

     1. 發揮, 排他的, 一刻
     2. 撥揮, 排他的, 一覺
     3. 發揮, 俳他的, 一刻
     4. 撥揮, 俳他的, 一覺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發揮 쏠 발 휘두를 휘
排他的 물리칠 배 다를 타 과녁 적
一刻 한 일 새길 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리다.
     2. ㉡: 곤충의 한 종류로 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3. ㉢: 얼굴에 우묵한 마맛자국이 생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4. ㉣: 여러 가지 농기구를 파는 작은 가게를 일컫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궁싯거리다 : 잠이 오지 않아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다. +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리다.

2.각다귀 : 각다귓과 곤충. + 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얼금뱅이 : 얼굴이 얽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4.드팀전 : 베, 무명, 비단 같은 천을 팔던 가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중 속담의 뜻풀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둥 치면 들보가 운다:전혀 관계가 없는 일에 억울하게 배상을 하게 된다.
     2. 게도 구멍이 크면 죽는다:분수에 지나치면 도리어 화를 당하게 된다.
     3. 토끼 덫에 여우 걸린다:처음 계획했던 것보다 의외로 더 큰 이익을 얻게 된다.
     4.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자기의 과실은 생각지 않고 상대만 원망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직접 맞대고 탓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말해도 알아들을 수 있음.
주가되는 대상에 일격을 가하면 그와 관련된 대상들은 자연히 영향을 입게됨.
팽두이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14. 이 글을 시간의 흐름에 맞게 배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라) → (가) → (다) → (나)
     4. (라) → (나) → (가) → (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보기는 사미인곡.
정철이 지은 가사.
당파 싸움으로 쫒겨나 창평에 은거. 이때 임금에 대한 충절을 한 여인이 남편과 생이별하고 연모하는 마음을 기탁하여 표현.

ㄹ봄- 창 밖에 심은 매화 (봄꽃)
ㄱ여름-꽃 지고 새 잎이 나 녹음이 깔렸는데 (여름)
ㄷ가을-하룻밤 서리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때(가을)
ㄴ겨울-천지가 생기가 막혀 백설이 한가지 색으로 덮혀있을 때(겨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이 작품의 주제를 연군지정(戀君之情)이라 할 때, 각 단락에 나타난 중심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4번 공통지문 문제)
     1. (가) - 자신의 정성을 임금에게 전하고자 함.
     2. (나) - 임금의 건강을 염려하고 임금을 그리워 함.
     3. (다) - 자신과 임금이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 함.
     4. (라) -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알리고자 함.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는 정철 사미인곡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전개과정.

라.
봄바람이 문득 불어 쌓인 눈을 헤쳐 내니 창 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어라.
가뜩이나 쌀쌀하고 적막한데 그윽한 향기는 무슨 일인가. 황혼의 달이 따라와 베갯머리에 비치니, 흐느끼는 듯 반기는듯, 임이신가 아니신가. 저 매화 꺾어 내어 임 계신 데 보내고자. 임이 너를 보고 어떻다 여기실까

가.
꽃 지고 새 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비단 휘장이 적막하고 수놓은 장막이 비어있다. 연꽃 수놓은 휘장을 걷어 놓고 공작을 수놓은 병풍을 둘러두니, 가뜩이나 시름이 많은데 날은 어찌 그리 길었던가. 원앙 비단을 베어 놓고 오색실 풀어내어 금으로 만든 자로 재어서 임의 옷 지어내니,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격식도 갖추었네, 산호나무로 만든 지게 위의 흰 옥으로 된 함에 담아두고 임에게 보내고자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산인가 구름인가 험하기도 험하구나. 천만 리 길을 누구라서 찾아갈까. 이르거든 열어 보고 나를 본 듯 반기실까

다.
하룻밤 서리 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 때에 높은 누각에 혼자 올라 수정 발을 걷었더니, 동쪽 산에 달이 뜨고 북극에 별이 보이니, 임이신가 반기니 눈물이 절로 난다. 맑은 빛을 쥐어 궁궐에 부치고자. 누각 위에 걸어두고 온 세상 다 비추어 깊은 산 어두운 골짜기도 대낮같이 만드소서.

나.
하늘과 땅이 생기가 막히고 눈에 덮여 세상이 흰색일 때 사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날짐승도 자취 없다.
소강상 남쪽도 추위가 이 같거늘, 임 계신 곳이야 더욱 말해 무엇하리. 따뜻한 봄기운 일으켜 임 계신 곳 쬐이고자. 초가집 처마에 비친 해를 대궐에 올리고자. 붉은 치마를 여미어 입고 푸른 소매를 반만 걷어 해 저물 무렵 긴 대나무에 헤아림이 많기도 많구나. 짧은 해가 쉬이 져서 긴 밤을 꼿꼿이 앉아, 푸른 등 걸어 놓은 곁에 자개로 꾸민 공후 놓아두고, 꿈에나 임을 보려 턱 받치고 기대니, 원앙 이불이 차기도 차구나. 이밤은 언제 샐까


3.
다'에서는 임금에게 달빛을 보내 임금의 선정을 소망하고 있다.

1.옷을 짓는 화자의 정성
2.햇빛을 보내어 임금에게 쬐이고자 하니 외로움 속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모습이 나타남.
4.매화는 변함없는 자신의 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16.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모닥불을 함께 쬐며 개인적 삶을 긍정하고 있다.
     2. 감각적이고 토속적인 언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3. 1연과 2연은 동일한 구조의 반복을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4. 3연에서 불행한 가족사와 민족사를 접목시키고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강대국 사이에서 힘들게 살아온 우리 민족의 모습을 그려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시어를 풀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6번 공통지문 문제)
     1. ㉠: 가죽신의 밑창
     2. ㉡: 아버지의 사촌 형제
     3. ㉢: 새 사돈
     4. ㉣: 딸려 붙었던 것이 다 떨어지고 몸뚱이만 남은 물건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재당 : 제사를 지내거나 회의를 주관하던 집안 어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18. 이 글과 주제 면에서 가장 유사한 것은?
     1. ᄇᆞᆰ가버슨 兒孩(아해)ㅣ들리 거믜줄 테를 들고 ᄀᆡ川(천)으로 往來(왕래)ᄒᆞ며,
ᄇᆞᆰ가숭아 ᄇᆞᆰ가숭아 져리 가면 쥭ᄂᆞ니라. 이리 오면 ᄉᆞᄂᆞ니라. 부로나니 ᄇᆞᆰ가숭이로다.
아마도 世上(세상)일이 다 이러ᄒᆞᆫ가 ᄒᆞ노라.
     2. 宅(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저 장사야 네 황화 그 무엇이라 웨는다 사자
外骨內肉(외골내육) 兩目(양목)이 上天(상천) 前行後行(전행후행) 小(소)아리 八足(팔족) 大(대)아리 二足(이족) 淸醬(청장) 아스슥 하는 동난지이 사오
장사야 하 거북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하렴은.
     3. 靑天(청천)에 ᄠᅥᆺᄂᆞᆫ 기러기 ᄒᆞᆫ 雙(쌍) 漢陽城臺(한양성대)에 잠간 들러 쉬여 갈다.
이리로셔 져리로 갈 제 내 消息(소식) 들어다가 님의게 傳(전)ᄒᆞ고 져리로셔 이리로 올 제 님의 消息(소식) 드러 내손ᄃᆡ 브듸 들러 傳(전)ᄒᆞ여 주렴.
우리도 님 보라 밧비 가ᄂᆞᆫ 길히니 傳(전)ᄒᆞᆯ 동 말 동 ᄒᆞ여라.
     4. 두터비 ᄑᆞ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ᄃᆞ라 안자
것넌 山(산) ᄇᆞ라보니 白松鶻(백송골)이 ᄯᅥ 잇거ᄂᆞᆯ 가슴이 금 즉 ᄒᆞ여 풀덕 ᄯᅱ여 내ᄃᆞᆺ다가 두험 아래 쟛바지거고
모쳐라 ᄂᆞᆯ랜 낼싀망졍 에헐질 번ᄒᆞ괘라.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박지원 호질 의 주제는 양반의 허위의식과 유학자의 이중성 비판과 풍자이다.
이 작품에서는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한 모습을 보이는 두꺼비를 비판하고 희화화의 방법을 통하여 풍자.

ㄱ.서로 속고 속이는 세태 비판
ㄴ.게장수의 현학적 태도 비판
ㄷ.시적화자와 의인화된 기러기의 대화형식을 통한 임에 대한 그리움 표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가)∼(라)에 나타난 상황을 한자 성어로 표현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18번 공통지문 문제)
     1. (가) - 表裏不同
     2. (나) - 命在頃刻
     3. (다) - 巧言令色
     4. (라) - 櫛風沐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가-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나-명재경각 : 목숨이 경각에 달림
다-교언영색 : 교묘한 말과 알랑거리는 얼굴로 상대방을 현혹시킴
라-즐풍목우 :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몸을 씻는다. 온갖 고생을 다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아버지에 대한 사람들의 왜곡된 시선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다.
     2.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희망을 보여 준다.
     3. ㉢:삶의 터전을 빼앗기리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4. ㉣:난쟁이 가족의 어려운 삶의 형편을 보여 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어코 왔구나!" 라는 표현을 통해
언젠가 올것이라는걸 예상하고 있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9월0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10 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9
1609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4
1608 제강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80
1607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1
1606 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30 22
1605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606
1604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4
1603 주택관리사보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9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36
1602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3.30 27
1601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6
160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3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8
1598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031회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5
1597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3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64
159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10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30
159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1
1594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09
1593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1월18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3.30 17
1592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9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67
1591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6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67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