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0일


1과목 : 전파법규


1. 다음은 항공기국의 검사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관은 조사 목적으로 무선국 허가장의 제시를 요구할 수 있다.
     2. 명백한 위규사항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무선설비를 검사할 수 있다.
     3. 검사관은 통신사의 자격증 제시를 요구할 수 있다.
     4. 검사관은 통신사에게 직무에 관한 전문지식의 입증을 요구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2.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국이라 함은 무선통신을 위하여 허가 받은 시설만을 말한다.
     2. 송신설비는 전파를 보내는 설비로서 송신장치와 송신공중선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3. 수신설비는 전파를 받는 설비로서 수신장치와 수신공중선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4. 무선설비는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제2조(정의) ①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8. 6. 13., 2010. 7. 23., 2013. 3. 23., 2014. 6. 3., 2015. 1. 20., 2015. 12. 22., 2017. 7. 26., 2020. 6. 9.>
  5. "무선설비"란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6. "무선국(無線局)"이란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 다만, 방송수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제외한다.

전파법시행령
제2조(정의) 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3. 3. 23., 2016. 6. 21., 2017. 7. 26.>
1. 삭제  <2008. 6. 20.>
2. "송신설비"란 전파를 보내는 설비로서 송신장치와 송신안테나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3. "수신설비"란 전파를 받는 설비로서 수신장치와 수신안테나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3. 다음 중 30 [MHz]초과 300 [MHz]이하의 주파수대를 표시하는 약어는?
     1. VHF
     2. SHF
     3. UHF
     4. HF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kHz 초과 30kHz 이하 / 4(주파수대번호) / VLF / 밀리아미터파
30kHz 초과 300kHz 이하 / 5 / LF / 킬로미터파
300kHz 초과 3000kHz 이하 / 6 / MF / 헥터미터파
3MHz 초과 30MHz 이하 / 7 / HF / 데카미터파
30MHz 초과 300MHz 이하 / 8 / VHF / 미터파
300MHz 초과 3000MHz 이하 / 9 / UHF / 데시미터파
3GHz 초과 30GHz 이하 / 10 / SHF / 센티미터파
30GHz 초과 300GHz 이하 / 11 / EHF / 밀리미터파
300GHz 초과 30000GHz 이하(또는 3THz 이하) / 12 /  / 데시밀리미터파
[해설작성자 : 외우기]

4. 다음 중 무선국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옳은 것은?
     1. 실용화 시험국 : 3년
     2. 항공국 : 5년
     3. 실험국 : 2년
     4. 회전익항공기 및 초경량 비행장치의 의무항공기국 : 1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제44조(정기검사의 유효기간) ① 법 제24조제4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을 말한다.  <개정 2009. 9. 9., 2010. 7. 26., 2010. 12. 31., 2013. 3. 23., 2017. 3. 29., 2017. 7. 26.>
  1. 다음 각 목에 따른 무선국: 1년
    가. 의무선박국(제2호가목 및 나목에 따른 의무선박국은 제외한다)
    나. 의무항공기국(제2호다목에 따른 의무항공기국은 제외한다)
    다. 실험국
    라. 실용화시험국
  2. 다음 각 목에 따른 무선국: 2년
    가. 총톤수 40톤 미만인 어선의 의무선박국
    나. 「선박안전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3호가목에 따른 평수구역 안에서만 운항하는 선박(여객선 및 어선은 제외한다)의 의무선박국
    다. 「항공안전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헬리콥터 및 경량항공기의 의무항공기국
  3. 제36조제1항제2호의2 및 제3호에 따른 무선국: 3년
  4. 제36조제1항제2호에 따른 무선국: 5년. 다만, 인명구조 및 재난 관련 무선국으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무선국은 2년으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정기검사의 유효기간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날부터 기산한다.  <개정 2008. 12. 9., 2010. 12. 31., 2014. 8. 27., 2016. 6. 30.>
  1. 최초로 정기검사를 받는 무선국: 법 제24조제3항에 따른 검사증명서(이하 "준공검사증명서"라 한다)를 발급받은 날(법 제24조의2제1항 각 호에 따른 무선국의 경우에는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날을 말한다)
  2.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다시 정기검사를 받는 무선국: 종전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다음날
  3. 정기검사의 유효기간 중에 법 제24조제5항에 따른 검사(이하 "수시검사"라 한다)를 받은 무선국: 수시검사를 받고 제45조제7항에 따른 검사증명서(이하 이 조에서 "검사증명서"라 한다)를 발급받은 날. 이 경우 종전의 정기검사의 유효기간은 수시검사를 받고 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날 만료된 것으로 본다.
  4. 정기검사의 유효기간 중에 다시 제45조제2항에 따른 정기검사를 받은 무선국: 해당 정기검사를 받고 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 이 경우 종전의 정기검사의 유효기간은 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날 만료된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추가 해설]
제36조(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 ①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08.12.9, 2010.7.26, 2010.12.31, 2014.12.3, 2016.6.21, 2016.6.30, 2017.3.29, 2018.12.18>

2. 이동국·육상국·육상이동국·기지국·이동중계국·선박국[「선박안전법」, 「어선법」 또는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선박에 의무적으로 개설하여야 하는 무선국(이하 "의무선박국"이라 한다)은 제외한다]·선상통신국·무선표지국·무선측위국·우주국·일반지구국·해안지구국·항공지구국·육상지구국·이동지구국·기지지구국·육상이동지구국·아마추어국·간이무선국·항공국·고정국·무선항행육상국·무선항행이동국·무선탐지육상국·무선탐지이동국·비상국·기상원조국·항공기지구국·무선조정국·무선조정이동국·무선조정중계국·전파천문국·선박지구국·항공기국[「항공안전법」에 따라 항공기 또는 경량항공기에 의무적으로 개설하여야 하는 무선국(이하 "의무항공기국"이라 한다)은 제외한다]·비상위치지시용무선표지국·비상위치지시용위성무선표지국·해안국 및 무선방향탐지국: 5년
[해설작성자 : 외우기]

5. 다음 중 급박한 위험상태에 있는 항공기국과 지상의 무선국 사이의 통상사용 전파가 불명인 때 사용 가능한 주파수는?
     1. 121.5 [MHz]
     2. 4,555 [MHz]
     3. 123.1 [MHz]
     4. 243 [MHz]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제88조(121.5 MHz의 주파수 사용) 121.5 MHz의 주파수의 사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인 경우에 한정한다.
  1. 급박한 위험상태에 있는 항공기의 항공기국과 지상의 무선국간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로서 통상 사용하는 전파가 명확하지 아니 하거나 다른 항공기국간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
  2. 수색과 구조작업에 종사하는 항공기의 항공기국 상호간 또는 이들 무선국과 지상 또는 해상의 무선국간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
  3. 121.5 MHz외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는 항공기국과 항공국간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
  4. 제1호 및 제2호에 준하는 경우로서 긴급을 요하는 통신을 행하는 경우

참고
제116조(비상통신의 사용주파수) 전파형식이 A1A 또는 A1B이고 주파수가 4555 kHz인 전파는 연락을 설정할 때에 사용하고, 연락이 설정되면 통상 사용하는 전파에 의하여 통신을 행하여야 한다. 다만, 통상 사용하는 전파에 의하여 통신을 행할 수 없거나 곤란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20조(비상용 전파의 청취) 비상사태가 발생한 인근지역에서 그 사실을 인지한 무선전신국은 가능한 한 매시 00 분과 30 분부터 각 10 분간 전파형식이 A1A 또는 A1B이고 주파수가 4555 kHz인 전파에 의하여 청취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6.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추진하여야 하는 전파이용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관련 표준의 제정
     2. 전파관련 표준의 보급
     3. 전파관련 표준의 적합인증
     4. 전파관련 표준의 등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63조(표준화)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촉진, 전파이용 질서의 유지 및 이용자 보호 등을 위하여 전파이용 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추진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표준화법」 제12조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이 제정되어 있는 사항에 대하여는 그 표준에 따른다.  <개정 2013. 3. 23., 2017. 7. 26.>
  1. 전파 관련 표준의 제정 및 보급
  2. 전파 관련 표준의 적합인증
  3. 그 밖의 표준화에 필요한 사항
  ② 제1항에 따른 전파이용 기술 표준화의 추진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8. 6. 13.]
[해설작성자 : 외우기]

7. 다음 중 전파감시업무가 아닌 것은?
     1. 무선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파의 품질측정
     2. 혼신을 일으키는 전파의 탐지
     3. 무선국에서 발사한 전파의 도청
     4. 음란, 불온 및 허위통신의 감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제49조(전파감시)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파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하고 혼신의 신속한 제거 등 전파이용 질서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전파감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2017. 7. 26.>
  ② 제1항에 따른 전파감시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무선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편차ㆍ대역폭(帶域幅) 등 전파의 품질 측정
  2. 혼신을 일으키는 전파의 탐지
  3. 허가받지 아니한 무선국에서 발사한 전파의 탐지
  4. 제28조제2항에 따른 통신, 허가받지 아니한 무선국에서 발사한 전파, 혼신에 관하여 조사를 의뢰받은 전파 등의 방향  탐지
  5. 제25조 및 제27조부터 제30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사항의 준수 여부
  6. 그 밖에 전파이용 질서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전문개정 2008. 6. 13.]
[해설작성자 : 외우기]

8. 전파관련 법령에 의한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의 기능확인 중 틀린 것은?
     1. 항공기의 비행 전에 그 설비가 완전히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2. 항공기의 비행 후에 그 설비가 완전히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3. 무선설비는 1천시간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송신장치의 출력과 변조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4. 무선설비는 1천시간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수신장치의 감도와 선택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제63조(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의 기능확인) ①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는 그 항공기의 비행전에 그 설비가 완전히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②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는 1천 시간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그 송신장치의 출력과 변조도, 수신장치의 감도와 선택도에 대하여 「무선설비규칙」에서 정한 성능의 유지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9. 다음 중 진폭변조, 단측파대의 전반송파를 나타내는 전파형식 표시기호는?
     1. A
     2. B
     3. H
     4. F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파발사는 다음의 기본특성에 따른 등급과 기호로 표시하되, 보다 완벽한 기술을 표시하기 위하여 취사형 추가특성을 첨가 사용할 수 있다.

1. 첫째 기호 - 주반송파의 변조형식
1) 무변조 반송파의 발사 : N
2) 주 반송파가 진폭변조된 발사
  - 양측파대 : A
  - 단측파대, 전반송파 : H
  - 단측파대, 저감 또는 가변레벨 반송파 : R
  - 단측파대, 억압반송파 : J
3) 주 반송파가 각변조된 발사
  - 주파수변조 : F
  - 위상변조 : G
4) 펄스 변조
  - 무변조 연속 펄스 발사 : P
2. 둘째 기호 - 주반송파를 변조시기는 신호의 특성
1) 무변조신호 : 0
2) 변조용 부반송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퀸타이즈 또는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1
3) 변조용 부반송파를 사용한 퀸타이즈 또는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2
4) 아날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3
3. 셋째 기호 - 송신할 정보 형태
1) 정보 송출이 없는 것 : N
2) 전신 - 가청 수신용 : A
3) 전신 - 자동 수신용 : B
4) 팩시밀리 : C
5) 데이터의 전송, 텔레메트리, 텔레코멘드 : D
6) 전화(음성방송 포함) : E
7) 텔레비전(영상) : F
8) 그 외의 방식 : X
4. 넷째 기호 - 신호의 항목
1) 음성 방송(모노포닉) : G
2) 음성 방성(스테레오) : H
3) 상용 음성 : J
4) 흑백 : M
5) 천연색 : N
5. 다섯째 기호 - 다중화 특성
1) 다중화가 아닌 것 : N
2) 부호 분할다중 : C
3) 주파수 분할 다중 : F
4) 시 분할다중 : T
5) 기타 다중방식 : X
[해설작성자 : 외우기]

10. 항공이동업무국의 운용에서 책임항공국이 항공기국에 대하여 통신연락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의 일방송신 방법 중 틀린 것은?
     1. 책임항공국은 통신연락이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일방적으로 통보를 송신할 수 있다.
     2. 인근 책임항공국은 당해 항공기국과 최후로 사용한 전파로 일방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3. 항공기국은 수신설비의 고장으로 책임항공국과 연락설정을 할 수 없는 경우 책임항공국에서 지시된 전파로 일방송신을 할 수 없다.
     4. 항공기국이 일방송신을 행하는 때에는 “수신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일방송신”등 약어를 먼저 보내고 행하는 그 통보를 반복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제77조(일방송신) ① 항공무선통신망에 속하는 책임항공국은 제76조제1항(동조제4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라 협력을 요구하여도 그 항공기국과의 통신연락설정이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협력을 요청받은 무선국에 지장이 없는 범위안에서 제1주파수 및 제2주파수의 전파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통보를 송신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일방송신에도 불구하고 항공기국과의 통신연락설정이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항공무선통신망에 속하지 아니하는 인근 책임항공국은 당해 항공기국과 최후로 사용한 전파를 사용하여 일방적으로 통보를 송신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규정은 항공기국이 항공무선통신망에 속하는 책임항공국과의 사이에 연락설정이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관하여 이를 준용한다.
  ④ 항공기국은 수신설비의 고장으로 책임항공국과 연락설정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일정한 시각 또는 장소에서 보고할 사항의 통보가 있는 때에는 당해 책임항공국에서 지시된 전파로 일방송신에 의하여 그 통보를 송신하여야 한다.
  ⑤ 무선전화에 의하여 제3항에 따른 일방송신을 행하는 때에는 "수신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일방송신"이라는 약어 또는 이에 해당하는 다른 약어를 먼저 보내고 행하는 그 통보를 반복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이 경우 그 통신에 이어 다음 통보의 송신예정시각을 통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11. 무선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중 누구의 허가를 얻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지식경제부장관
     2. 방송통신위원회
     3. 전파방송관리국장
     4.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제19조(허가를 통한 무선국 개설 등) ① 무선국을 개설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사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08. 6. 13., 2010. 7. 23., 2013. 3. 23., 2017. 7. 26.>
  1. 삭제  <2010. 7. 23.>
  2. 삭제  <2010. 7. 23.>
  3. 삭제  <2010. 7. 23.>
  ② 제1항 전단에도 불구하고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전기통신역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무선국을 개설하려는 자가 해당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자와 이용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그 무선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이 경우 제1항 후단, 제22조, 제24조, 제25조의2 및 제69조제1항제2호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8. 6. 13., 2010. 3. 22., 2010. 7. 23., 2013. 3. 23., 2017. 7. 26.>
  ③ 전기통신사업자는 제2항에 따른 무선국을 개설하려는 자와 이용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신규로 이용계약을 체결한 가입자의 수와 전체 가입자의 수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08. 6. 13., 2013. 3. 23., 2017. 7. 26.>
  ④ 삭제  <2010. 7. 23.>
  ⑤ 제1항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부터 주파수 사용승인을 받은 자는 무선국을 개설할 수 있다.  <개정 2008. 6. 13., 2013. 3. 23., 2017. 7. 26.>
  ⑥ 삭제  <2010. 7. 23.>
[제목개정 2010. 7. 23.]
[해설작성자 : 외우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무선국을 개설하고자할때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허락이있어야한다고 알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전 미래창조과학부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2. 항공기국에 의하여 안전목적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주파수는?
     1. 156.2 [MHz]
     2. 156.5 [MHz]
     3. 156.8 [MHz]
     4. 157 [MHz]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제36조(조난통신의 사용전파) ① 조난통신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파에 의하여 이를 하여야 한다.
5. 전파형식이 G3E이고 주파수가 156.8 MHz인 전파
⑤ 세계해상조난및안전제도에 의한 무선전화장치를 갖춘 경우에는 전파형식이 H3E 또는 J3E이고 주파수가 2182 kHz, 4125 kHz, 6215 kHz, 8291 kHz, 12290 kHz인 전파 또는 전파형식이 G3E이고 주파수가 156.8 MHz인 전파에 의하여 조난통신을 하여야 한다.

제98조(조난통신의 사용전파 등) ① 조난통신의 송신에 사용하는 전파는 책임항공국으로부터 지시된 전파로 하여야 한다. 다만, 그 전파에 의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적당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조난항공기국은 책임항공국으로부터 지시된 전파로 조난호출 및 조난통보의 송신을 행하여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적절한 전파로 변경하여 그 호출 및 통보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능한 한 Q약어 또는 적당한 어구에 의하여 전파변경에 관한 뜻을 표시하여야 한다.
③ 항공기국은 조난호출과 조난통보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제1항의 전파외에 자국이 500 kHz, 2182 kHz 또는 156.8 MHz의 주파수를 갖추고 있는 때에는 그 주파수에 의하여 당해 송신을 행하여야 한다. 다만, 그 주파수에 의하여 송신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13. 다음 통신 중 항공이동업무에서 가장 우선순위인 것은?
     1. 전기통신업무의 운용과 관련된 업무용 통신
     2. 무선방향탐지와 관련된 통신
     3. 우선권이 특별히 요구된 정부 메시지
     4. 국제연합(UN) 헌장의 적용과 관련된 메시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81조(통보의 종별과 우선순위) ① 항공이동업무에 있어서 통신의 우선순위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의하여야 한다.
  1. 조난통신
  2. 긴급통신
  3.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
  4.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관한 통신
  5. 기상통보에 관한 통신
  6. 항공기의 정상운항에 관한 통신
  7. 국제연합헌장의 적용에 관한 통신
  8. 우선권이 특별히 요구되는 정부통신
  9. 전기통신업무의 운용 등 업무용 통신
  10. 제1호에서 제9호에 정한 통신외의 통신
  ② 노탐(항공시설, 항공업무, 항공방식 또는 항공기의 항행상의 장해에 관한 사항으로서 항공기의 운행관계자에게 신속히 통지하여야 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통보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 관한 통신은 긴급의 정도에 따라 제1항제2호의 긴급통신 다음으로 그 순위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③ 제1항제4호 및 제6호에 정한 통신의 통보요령은 별표 21과 같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14. 다음은 항공무선통신사 자격을 가진 자가 무선설비의 외부조정의 기술 운용 범위를 나타낸 말이다. ( )에 적당한 공중선전력은?

    

     1. 50와트
     2. 100와트
     3. 200와트
     4. 250와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항공무선통신사의 종사범위(전파법시행령 별표 17)
1) 다음에서 정한 무선설비의 통신 운용(무선전신은 제외한다)
  - 항공기국, 항공국 및 항공기를 위한 무선항행업무를 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
  - 그 밖에 항공운항 및 항공업무 관련 무선국의 안테나 공급 전력이 50W 이하의 무선설비
2) 다음에서 정한 무선설비(무선전신 및 다중무선설비는 제외한다)의 외부조정의 기술 운용
  - 항공기에 개설하는 무선설비
  - 항공국과 항공기를 위한 무선항행업무를 하는 무선국의 안테나공급전력이 250W 이하의 무선설비
  -  레이다의 외부조정의 기술운용
  - 그 밖에 항공운항 및 항공업무 관련 무선국의 안테나 공급 전력이 50W 이하의 무선설비
3)  제 3급 아마추어무선기사(전화급)의 종사범위에 속하는 운용
[해설작성자 : 외우기]

15. 다음 중 의무항공기국의 허가유효기간은?
     1. 10년
     2. 5년
     3. 무기한
     4. 3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제22조(주파수 사용승인 및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 ① 제18조의2제3항에 따른 주파수 사용승인의 유효기간은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19조제1항에 따른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7년 이내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각각 정하며, 그 기간이 끝나면 재승인이나 재허가를 할 수 있다.  <개정 2014. 6. 3.>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선박안전법」, 「어선법」 또는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선박에 의무적으로 개설하여야 하는 무선국(이하 "의무선박국"이라 한다)이나 「항공안전법」에 따라 항공기 또는 경량항공기에 의무적으로 개설하여야 하는 무선국(이하 "의무항공기국"이라 한다)의 개설허가 유효기간은 무기한으로 한다.  <개정 2015. 12. 22., 2016. 3. 29.>
[해설작성자 : 외우기]

16.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전파이용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직접적인 목적이 아닌 것은?
     1.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촉진
     2. 전파이용질서의 유지
     3. 전파감시업무의 효율적 수행
     4. 전파이용자 보호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파법
제63조(표준화)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촉진, 전파이용 질서의 유지 및 이용자 보호 등을 위하여 전파이용 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추진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표준화법」 제12조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이 제정되어 있는 사항에 대하여는 그 표준에 따른다.  <개정 2013. 3. 23., 2017. 7. 26.>
  1. 전파 관련 표준의 제정 및 보급
  2. 전파 관련 표준의 적합인증
  3. 그 밖의 표준화에 필요한 사항
  ② 제1항에 따른 전파이용 기술 표준화의 추진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8. 6. 13.]
[해설작성자 : 외우기]

17. 다음 중 업무종사의 정지를 당한 후 그 기간중에 무선설비를 운용한 경우의 벌칙은?
     1.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91조(과태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20. 6. 9.>

1. 제28조제2항을 위반하여 긴급통신ㆍ안전통신 또는 비상통신에 관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자
2. 제29조제2항 본문을 위반하여 무선국을 운용한 자
3. 제30조제1항에 따른 통신보안사항을 지키지 아니하거나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통신보안교육을 받지 아니한 자
4. 제45조와 제47조를 위반하여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또는 안전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무선설비를 운용한 자
5. 제47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전자파 강도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
6. 제70조제4항 본문을 위반하여 무선설비를 운용하거나 공사를 한 자
7. 제76조에 따라 업무종사의 정지를 당한 후 그 기간에 무선설비를 운용하거나 그 공사를 한 자

[전문개정 2008. 6. 13.]
[시행일 : 2020. 12. 10.] 제91조
[해설작성자 : 외우기]

18. 다음 중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닌 경우는?
     1. 간이무선국의 동일 주파수대역내에서의 주파수 변경
     2. 송신공중선의 형식ㆍ구성 및 이득의 변경
     3. 공중선 전력의 변경
     4. 운영허용시간의 변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19. 항공국의 허가유효기간 만료일 도래 시 재허가 신청기간은?
     1.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1월 이상 2개월 이내
     2.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1월 이상 4개월 이내
     3.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2월 이상 4개월 이내
     4.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2월 이상 6개월 이내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제38조(재허가) ① 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재허가를 받으려는 자는 유효기간 만료 전 2개월 이상 4개월 이내의 기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재허가신청을 하여야 한다. 다만, 허가의 유효기간이 1년인 무선국에 대하여는 그 유효기간 만료일 2개월 전까지 신청하여야 하며, 허가의 유효기간이 1년 미만인 무선국에 대하여는 그 유효기간 만료일 1개월 전까지 신청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2017. 7. 26.>
[해설작성자 : 외우기]

20. 다음은 비상사태가 발생한 때 방송통신위원회가 무선국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조치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국의 개설허가를 취소
     2. 무선국의 운용휴지 명령
     3. 무선국의 운용정지 명령
     4. 무선설비의 변경 명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4%
     <문제 해설>
③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선국 개설허가의 취소 또는 개설신고한 무선국의 폐지를 명하거나 무선국의 변경ㆍ운용제한 또는 운용정지를 명할 수 있다.  <개정 2008. 6. 13., 2013. 3. 23., 2017. 7. 26.>

1.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2. 혼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해설작성자 : 외우기]


2과목 : 기초전파공학


21. 지상에 항공기의 교류나 직류를 제공해주는 전원공급장치는?
     1. APU(Auxiliary Power Unit)
     2. GCU(Generator Control Unit)
     3. GPU(Ground Power Unit)
     4. BPCU(Bus Power Control Uni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22. 항공기내 무선설비 중 단파통신에서 송신지점으로부터 공간파가 처음 발사되어서 수신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도약거리(Skip Distance)라고 하며, 거리 내에서 지상파(지표파)도 받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불감지대(Dead Zone)
     2. 페이딩(Fading)
     3. 라디오 덕트(Radio Duct)
     4. 케널리(Kenely)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23. 대전한 두 물체를 접근시켰을 때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1. 두 물체가 가진 전기량의 제곱에 비례한다.
     2.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두 물체가 가진 전기량의 곱에 반비례한다.
     4. 두 물체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24. 항공기의 이ㆍ착륙을 허가하거나 항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제탑과 항공기 사이에 사용되는 VHF 무선송수신기의 전파형식은?
     1. F3E
     2. A3E
     3. J3E
     4. H3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25. 야기(yagi)안테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지향성은 투사기에서 도파기 쪽으로 향하는 단일 방향이다.
     2. 도선의 길이는 도파기, 투사기 및 반사기의 순으로 길이가 커진다.
     3. 반치폭은 60° 이다.
     4. 반사기는 용량성, 도파기는 유도성으로 작용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26. SSR 모드 “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목적 항공기에만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질문을 할 수 있다.
     2. 교통량이 많은 곳에서도 목적기를 찾기 쉽다.
     3. 관제측과 항공기 사이에서 메시지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4. 트랜스폰더의 응답에는 어드레스부호와 거리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27. 다음 중 항공기의 기내 인터넷을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선LAN장비의 주파수, 전력밀도, 점유주파수대폭, 불요발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비는?
     1. 오실로스코프
     2. 스펙트럼분석기
     3. Dip Meter
     4. Megge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오실로스코프 : 파동과 같은 주기적인 변화(oscilation)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비로, 특히 전압의 변화를 신호로써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
Dip Meter : 연결되지 않은 인근 RF회로의 공진주파수 측정
Megger : 절연저항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전파의 전리층 반사를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는 무엇인가?
     1. 장파안테나
     2. 중파안테나
     3. 단파안테나
     4. 파라볼라안테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29. 면적이 5[m2], 권수 10회인 루프안테나를 1[MHz]의 수신용으로 사용할 때 실효고는 얼마인가?
     1. π
     2. π/2
     3. π/3
     4. π/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4%

30. 변조신호주파수가 200[Hz], 전압3[V]로 주파수변조[FM]하였을 때, 변조지수가 30이었다. 이 때 최대주파수 편이[△f]는 얼마인가?
     1. 2 [kHz]
     2. 6 [kHz]
     3. 9 [kHz]
     4. 1.8 [kHz]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31. ADF를 이용하여 비행할 때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계속적으로 국(Station) 식별신호를 감청하여야 한다.
     2. 정확한 TUNNING이 되어야 한다.
     3. 자연적인 환경에 민감하므로 뇌우지역을 피해야 한다.
     4. 가시거리(Line of Sight)이내에서만 수신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32. RFID/USN(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주파수 분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135[kHz], 13.56[MHz], 908.5~914[MHz]
     2. 13.56[MHz], 908.5~960[MHz], 4.5[GHz]
     3. 135[kHz], 443.92[MHz], 900~700[MHz]
     4. 13.56[MHz], 135[MHz], 2.45[GHz]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33. 환상코일의 자체 인덕턴스는 다음 어느 매질의 상수에 따라 변화하는가?
     1. 절연저항
     2. 자속
     3. 유전율
     4. 투자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34. 항공기용 기상레이더(Weather radar)의 안테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브라운(Braun) 안테나
     2. 평판(Flat plate) 안테나
     3. 턴스타일(Turn stile) 안테나
     4. 휩(Whip) 안테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35. 정류기의 평활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고역여파기
     2. 저역여파기
     3. 대역여파기
     4. 대역소거여파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36. 전파고도계(Low range radio altimete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GPWS 또는 AFCS에 기압고도 정보를 제공한다.
     2. 2,500피트(ft) 이하의 저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3. 일종의 레이더로 주로 착륙할 때 이용된다.
     4. 항공기 이기종간에 호환성이 없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37. VOR에 이용되는 주파수의 범위는?
     1. 200 ~ 415 [kHz]
     2. 108.0 ~ 117.95 [MHz]
     3. 500 ~ 1,000 [kHz]
     4. 962 ~ 1,105 [MHz]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38. 주파수 체배시 가장 많이 쓰는 증폭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39. 다음 중 항공로용 초단파(VHF) Marker Beacons과 관련 없는 것은?
     1. 주파수는 75[MHz] ±0.005% 이어야 한다.
     2. 무선마커비콘은 95% 또는 100%이상 변조된 연속 반송파를 방사한다.
     3. 변조 톤의 주파수는 3,000 ±75[Hz] 이여야 한다.
     4. 전파의 방사는 반드시 원 편파만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40. 직류 발전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기자(Armature)의 권선은 적층 철심에 감겨있고 자기장 내에 놓여 있을 때 큰 전압을 얻을 수 있다.
     2. 전기자의 권선은 전기 철심의 많은 홈에 많은 코일이 들어있어 발전전압의 크기가 변하고 불안정한 직류전압이 된다.
     3. 계자는 연철에 권선이 감겨있어 스스로 발생한 직류전압 또는 외부의 직류전원에서 전류가 들어와 전자석이 된다.
     4. 브러쉬는 카본이 사용되며 정류자와 접촉을 원활히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3과목 : 통신보안


41. 비밀누설의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과다한 통신소통
     2. 보고체제의 다원화
     3. 취약성 있는 통신망 이용
     4. 보안장비 이용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42. 다음 주파수대 중 통신보안상 가장 불리한 주파수대는?
     1. 초단파
     2. 극초단파
     3. 단파
     4. 장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9%

43. 보안자재의 관리요령 중 틀린 것은?
     1. 과거용, 현재용, 미래용을 분리 보관한다.
     2. 사용기간이 만료된 보안자재는 10일 이내에 반납한다.
     3. 보안자재는 매월 1회 이상 점검한다.
     4. 보안자재를 일반문서와 분리 보관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44. 통신보안의 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비밀누설 가능성을 사전 제거한다.
     2. 획득하려는 정보와 획득한 정보의 분석을 지연시킨다.
     3. 통신에 의한 정보의 누설량을 최소화 한다.
     4. 통신에 의거 전달되고 있는 내용을 도청 분석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45. 기만통신에 대한 방어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상호간에 약정된 통신확인표 사용
     2. 비밀내용의 평문소통 실시
     3. 상호간 상대통신사의 특성을 파악
     4. 의심스러울 때는 즉각 예비주파수로 전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46. 도청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통신소의 위치 확인을 위한 수신행위
     2. 통신보안 위반사항 포착을 위한 수신행위
     3. 통신운용상태를 감독하기 위한 수신행위
     4. 통신내용을 탐지하기 위하여 몰래 엿듣는 수신행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47. 각 기관 공통으로 사용할 암호자재는 어느 기관에서 제작 배부하는가?
     1. 행정안전부장관
     2. 국가정보원장
     3. 방송통신위원회
     4. 중앙전파관리소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48. 무선전화의 통신보안 취약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언제 어디서나 통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통화하는 사람이 특정인이기 때문이다.
     3. 무선전화의 이용자가 많기 때문이다.
     4. 사용자가 도청의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고 중요내용을 평문통화하기 때문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49. 다음 중 송신보안 방책에 해당하는 것은?
     1. 통신제원의 수시변경
     2. 암호, 평문 2중 송신의 금지
     3. 암호문에 대한 응답은 암호로 이행
     4. 암호조직의 보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50. 다음 중 통신보안 교육을 받아야 할 사람은?
     1. 무선설비를 수리 의뢰한 자
     2. 무선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자
     3. 무선국에 근무하는 모든 사람
     4. 무선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4과목 : 영어


51. “The propagation of radio waves, particularly at frequencies greater than 1 [GHz],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ain, as well as by sand and dust storms.”에서 전파는 다음의 어떤 상태임을 말하는가?
     1.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조금 영향을 받는다.
     2.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3. 강우 뿐 아니라 모래폭풍에 의하여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
     4. 강우 뿐 아니라 모래폭풍에 의하여 때때로 영향을 받는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propagation = (소리 등의) 전파, 전달

[해설작성자 : 외우기]

52. The forward distance an airplane flies compared with the vertical distance lost with no engine is called.
     1. Descent ratio
     2. Rate of descending
     3. Vertical velocity
     4. Glide ratio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4. Glide ratio = 활공비 = 활공거리 / 활공고도
1. Descent ratio = 하강 비율
2. Rate of descending = 하강율

참고
비행기가 추력 없이 활공(gliding) 비행하는 경우는 엔진 결함으로 인해 추력이 상실했을 때, 또는 엔진 자체가 없는 글라이더가 비행할 때이다.
출처: https://sciencebooks.tistory.com/1293 [ScienceBooks]
[해설작성자 : 외우기]

53. 다음의 문장이 의미하는 용어는?

    

     1. Hurry
     2. Speedy
     3. Expedite
     4. Swif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ompliance = 준수, 따름

expedite = 더 신속히 처리하다

swift = 신속한, 날랜, 빠른
[해설작성자 : 외우기]

54.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Approved
     2. Contact
     3. Go Ahead
     4. Say Agai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55. 다음 중 약어의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DME-Distance Measuring Equipment
     2.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3. ADF-Automatic Direction Finder
     4. NAV-Navigation Aircraft Vertical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ADF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항공기에 사용하는 자동 방향 탐지기(automatic direction finder,ADF)의 약자이다.

거리측정장치(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DME)는 항공기와 VOR 기지국과의 거리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계기착륙장치(計器着陸裝置, 영어: instrument landing system, ILS)는 공항 부근의 지상시설로부터 지향성 유도전파를 발사해 시야가 나쁠 때에서도 안전하게 활주로까지 유도하는 계기착륙 시스템이다. 활주로 옆으로 놓인 시설은 착륙 방향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5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뜻의 단어는?

    

     1. explains
     2. produces
     3. allows for
     4. constitute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ccount for N = ~을 해명하다, ~의 이유가 되다 / ~을 설명하다 / (부분, 비율을) 차지하다

constitute = ~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다, ~이 되다 / ~을 구성하다, 이루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57. What kind of time system shall be used by all stations in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1. Universal Coordinated Time
     2. Local Mean Time
     3. Local Time
     4. International Mean Tim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Universal Coordinated Time 국제 표준시
Local Mean Time 지방 평균시, 지방시간으로 현지 표준시를 말한다
Local Time 현지 시간

[해설작성자 : 외우기]

58. When an error has been made in transmission which word should be spoken?
     1. CLEAR
     2. CORRECTION
     3. REVISION
     4. SAY AGAIN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59. Aviation radio phrase “READ BACK”means ;
     1. Repeat my message back to me.
     2. My transmission is ended and I expect a response from you.
     3. Let me know that you have received and understand this message.
     4. This conversation is ended and no response is expecte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60. 다음 빈칸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are
     2. were
     3. are the
     4. i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61. 항공통신용어 중 “Unable to contact”란 말의 뜻은?
     1. 어떤 통신국과 교신할 수 없다.
     2. 어떤 통신국과 교신하면 안된다.
     3. Negative contact 와 같은 의미이다.
     4. Positive contact 와 같은 의미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62. 다음 대화내용 중 ( )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은?

    

     1. forest
     2. bush
     3. jungles
     4. wood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out of the woods = 위험에서 벗어나
[해설작성자 : 외우기]

get over ~을 극복하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63. 약어 “NOSI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It stands for no sign.
     2. It contains trend type en route forecast.
     3. It stands for no significant change.
     4. It means “none”or “nothing to send you”.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NOSIG(No Significant Change)편집
항공기상 약어 표현으로 현재 일기에서 2시간 이내에 지상풍, 시정, 일기, 구름 등 기상당국과 운항자간에 일기 요소에 특별한 의미가 없을 것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해설작성자 : 외우기]

64. 다음 설명에서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starting engine
     2. take-off
     3. the last part of the final approach
     4. the landing roll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65. 다음 중 “I SAY AGAIN ”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That is correct
     2. A chance has been made to your last clearance
     3. Wait and I will call you
     4. Repeat all of your last transmissi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66. 다음 빈칸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on
     2. keep
     3. take
     4. di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67. 다음 문장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은?

    

     1. Like
     2. At
     3. As
     4. B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68. 항공무선통신에서 숫자 “3”을 송신할 때 발음상의 음이 맞는 단어는?
     1. thri
     2. thlee
     3. tree
     4. tle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69. 괄호 속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1. to absolute
     2. absolutely
     3. in absolute
     4. absolut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absolute 형용사가 priority 명사 수식
[해설작성자 : 외우기]

70. 밑줄 친 곳에 알맞은 단어는?

    

     1. strong
     2. big
     3. great
     4. heavy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0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0 항로표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22
4069 항로표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7월 12일(4회)(336591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1
4068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3월 30일(2회)(631477)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7
4067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7
4066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8 13
4065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23
4064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1년 04월 29일(2회)(794974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8
4063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4월 03일(2회)(6274693) 좋은아빠되기 2022.05.24 31
4062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8 34
4061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2 17
4060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4월 07일(2회)(4974209) 좋은아빠되기 2023.04.02 25
4059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918199) 좋은아빠되기 2020.07.01 403
4058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1018164) 좋은아빠되기 2022.06.15 250
4057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6월 12일(8585563) 좋은아빠되기 2023.04.03 221
4056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07571) 좋은아빠되기 2018.06.28 3076
4055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55
4054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213
»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95
4052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1
4051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10월 28일(4187229) 좋은아빠되기 2022.05.29 2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