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24일


1과목 : TCP/IP


1. IPv4와 IPv6를 비교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IPv4는 자체적으로 IPsec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지만, IPv6는 보안 프로토콜의 추가가 필요하다.
     2. IPv4는 필드 구분을 위해 '.'을 사용하고, IPv6는 ';'으로 구분한다.
     3. IPv4의 각 필드는 10진수로 표시되나, IPv6의 각 필드는 16진수로 표시된다.
     4. IPv4는 4개의 16bit 정수로 나누어지나, IPv6는 8개의 32bit 정수로 구분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가. IPv6는 확장기능으로 IPsec 보안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고, IPv4는 보안 프로토콜의 추가가 필요하다.
나. IPv4는 ' . ' , IPv6는 ' : ' 으로 구분한다.
라. IPv4는 4개의 8bit 정수로 나누어지나, IPv6는 8개의 16bit 정수로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 Ping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2. 원격 호스트까지의 패킷이 도달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3. 원격 호스트에 네트워크 오류가 있을 경우, 이를 확인하고 오류를 정정해 준다.
     4. 원격 호스트와의 연결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오류 정정 코드에는  수직 패리티 비트, 수평 패리티 비트, 사이클릭 코드, 해밍 코드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 IP Header의 내용 중 TTL(Time To Live)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패킷은 네트워크상에서 영원히 존재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라우터의 한 홉(Hop)을 통과할 때마다 TTL 값이 '1' 씩 감소한다.
     3. Ping과 Tracert 유틸리티는 특정 호스트 컴퓨터에 접근을 시도하거나 그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때 TTL 값을 사용한다.
     4. IP 패킷이 네트워크상에서 얼마동안 존재 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IP 패킷은 삭제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TTL값이 0이 될경우 패킷은 폐기된다
[해설작성자 : B_ms]

4. 원격호스트 'aaa.bbb.ccc'에 Telnet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한 명령어 'telnet aaa.bbb.ccc : 9999'에서, '9999'가 뜻하는 것은?
     1. 사용자 번호
     2. 네트워크 주소
     3. 포트 번호
     4. IP Addres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콜론 뒤에 있는 숫자는 "포트번호" 를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

5.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1. 2개
     2. 6개
     3. 14개
     4. 30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마지막 .224는 2진수로 11100000 으로 표현한다. (2의 7승 128 + 2의 6승 64 + 2의 5승 32 = 224)
여기서 1은 네트워크 수, 0은 호스트 수로 나눠진다.
그리고 2의 n승에 각각 네트워크 수와 호스트 수를 넣어준다.
그리하여 네트워크 수는 2의 3승인 8구간으로 나뉘어지고, (0~31/32~63/64~95/96~127/128~159/160~191/192~223/224~255)
호스트 수는 2의 5승인 32개가 된다.
하지만 호스트의 첫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로 쓰이며,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쓰이기 때문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32개에서 2개를 제외한 30개이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6.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그램의 생존기간과 관련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Version (4bit) : IP의 Version (IPv6는 6)
Priority (8bit) : 송신 호스트가 패킷을 전송할 때 특정 패킷의 우선순위를 높이는 용도로 사용
Next Header (8bit) : 기본헤더 다음에 위치하는 확장 헤더의 종류를 표시
Hop Limit (8bit) : 패킷이 라우터에 의해 중개될 때마다 감소되며, 0이 되면 해당 패킷은 네트워크에서 사라진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7.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위주의 전송방식이다.
     2. 신뢰성 있는 전송방식이다.
     3. 능동적인 흐름제어기능을 가지고 있다.
     4. 일부 데이터가 손실되어도 치명적이지 않은 프로그램 등에 적합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일부 데이터가 손실되고 치명적이지 않은 프로그램 등에 적합한 프로토콜은 UDP (User Datagram Protocol)에 대한 설명이며,
빠른속도 때문에 실시간 방송 등에 사용되는데 데이터 처리가 신속하고 한 두장의 프레임이 빠져도 앞뒤장으로 보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8. UDP 세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CMIP
     2. SMTP
     3. SNMP
     4. TFT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 TCP 연결지향, ISO 통신관리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Mail 전송 프로토콜, 보통  Mail 전송 서버로 사용,  TCP 세션사용
SNMP(Simple Network Mangement Protocol) : 네트웍 관리 프로토콜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 UDP세션을 이용한 파일전송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4번인데 3번으로 되어있어요
[해설작성자 : whoami??]

[오류신고 반론]
3번 답 맞아요,
SNMP = UDP세션 이용한 네트워크관리 프로토콜
TFTP = UDP세션 이용한 파일전송 프로토콜

[오류신고 반론]
TFTP와 SNMP둘다 UDP세션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던 학생..]

[오류신고 반론]
문제를 다시 읽어보면 네트워크를 관리한다고 있습니다.
둘다 UDP세션을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관리는 SNMP와 관련이 있습니다.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힘냅시당]

9.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 Protocol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RP
     2. ICMP
     3. SNMP
     4. IGM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계층 네트워크 계층:ARP,ICMP,IGMP
7계층 응용 계층:SNMP
[해설작성자 : 꼼읭]

10. Anonymous FTP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사용자 계정이 없어도 파일을 수신 할 수 있다.
     2. 'Anoymous' 또는 'FTP'를 계정으로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23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4. Internet의 많은 컴퓨터들이 Anonymous FTP를 사용하여, 문서, S/W 등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FTP-----21
Telnet--23
Gopher--70
DNS----53
HTTP----80
[해설작성자 : 중앙능력개발원(ssh)]

11. SSH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 전송 시 UDP 프로토콜만을 사용한다.
     2.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패스워드가 보호되지 않는다.
     3. Secure Shell 이라고 부른다.
     4. 쌍방 간 인증을 위해 Skipjack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SSH >
- 원격 컴퓨터에 안전하게 액세스(Access)하기 위한 유닉스 기반의 명령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 네트웍 관리자들이 웹서버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서버들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
- SSHv1 과 SSHv2 , 2개의 프로토콜을 사용
- 쌍방의 접속과 인증을 위해 RSA 공개키/ 개인키 암호화 기법을 사용
- 통신이 노출된다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임
- 암호화 알고리즘에는 Blowfish, DES 및 IDEA등이 포함, 기본 알고리즘은 IDEA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2. IGMP 프로토콜의 주된 기능은?
     1. 네트워크 내에 발생된 오류에 관한 보고 기능
     2.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
     3. 멀티 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관리 기능
     4. 호스트의 IP Address에 해당하는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알려주는 기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IGMP=(Intr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간의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비대칭)프로토콜입니다!
[해설작성자 : @.@]

13. UD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항목은?
     1.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
     2. 소스 포트(Source Port) 주소
     3. 체크섬(Checksum) 필드
     4.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주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 : TCP 헤더에 포함, 수신 프로세스가 제대로 수신한 바이트의 수를 응답하기 위해 사용

※UDP Header
소스 포트(Source Port) : 송신 프로세스에 할당된 네트워크 포트 번호
체크섬(Checksum) : 프로토콜 헤더와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 값을 제공하여 수신자가 데이터그램 변형 오류를 감지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 수신 프로세스에 할당된 네트워크 포트 번호
길이(Length) : 프로토콜 헤더를 포함한 UDP 데이터그램의 전체 크기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4. IP Address '138.212.30.25'가 속하는 Class는?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A Class : 0   ~ 127
B Class : 128 ~ 191
C Class : 192 ~ 223
D Class : 224 ~ 239 (Multicast용으로 사용)
E Class : 240 ~ 255 (실험용으로 예약된 주소)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5. 네트워크상에서 기본 서브넷 마스크가 구현될 때, IP Address가 '203.240.155.32'인 경우 아래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Network ID는 203.240.155 이다.
     2. Network ID는 203.240 이다.
     3. Host ID는 155.32가 된다.
     4. Host ID가 255일 때는 루프백(Loopback)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IP Address 203.240.155.32는 C Class에 속한다.
C Class의 Default Subnet Mask는 255.255.255.0 이다.
Subnet Mask를 보고, Network ID와 Host ID를 나눌 수 있는데,
2진수로 표현했을시 1은 Network ID, 0은 Host ID를 의미한다.
따라서 255.255.255.0 을 2진수로 표현시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이므로
203.240.155.32 IP Address에 적용시켜 보면
Network ID : 203.240.155 // Host ID .32 가 된다.

※ Loopback(루프백)
자기 자신을 가리키기 위한 목적으로 쓰기 위해 예약된 IP 주소이다.
IPv4의 경우 127.0.0.0~127.255.255.255 까지 있으며, 보통 127.0.0.1을 사용한다.
보통 시스템에서는 /etc/hosts 파일 등에 localhost를 127.0.0.1로 연결시켜,
호스트 이름에 localhost를 입력하면 DNS를 타지 않고 바로 local로 연결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6. AR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2.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 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3.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하여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경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시스템의 통신은 IP 주소로 통신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세세하게는 시스템의 고유주소인 MAC주소로 통신을한다.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시켜 통신하게되는데 그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며, MAC 테이블을 만들어 IP주소와 맵핑시켜 통신하게된다.
[해설작성자 : 그레인키]

17. ICMP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목적지로 동시에 보내는 멀티캐스팅 기능이 있다.
     2. 두 호스트간의 연결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반향과 회답 메시지를 지원한다.
     3. 'ping' 명령어는 ICMP를 사용한다.
     4. 원래의 데이터그램이 TTL을 초과하여 버려지게 되면 시간 초과 에러 메시지를 보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여러 목적지로 동시에 보내는 멀티캐스팅은 ICMP 가아니라 IGMP입니다~!
[해설작성자 : 드래곤ㅋ]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18. 전송한 프레임의 순서에 관계없이 단지 손실된 프레임만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1. Selective-repeat ARQ
     2. Stop-and-wait ARQ
     3. Go-back-N ARQ
     4. Adaptive ARQ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에러 제어 방식
ARQ (Automatic Repeat reQuset)
통신 경로에서 에러 발생시 수신측은 에러의 발생을
송신측에 통보하고 송신측은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

Stop-and wait ARQ : 송신 측이 하나의 블록 전송 후 수신 측에서
에러의 발생을 점검한 다음 에러 발생 유무 신호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림
Go-back-N ARQ :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
Adaptive ARQ :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9. LAN에서 사용하는 CSMA/CD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랜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ACK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전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후 전송을 시작한다.
     2. 송신을 원하는 호스트는 송신 전에 다른 호스트가 채널을 사용하는지 조사한다.
     3. 전송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채널을 감시하여 충돌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한다.
     4.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충돌한 데이터들은 버려지고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들에게 재전송을 요구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Dectection"--데이터 충돌을 막기위해 송신테이가 없을때를 감지하면 데이터를송신하고
송신하다 데이터가 충돌하면 중단됩니다 그다음 다시 재전송 됩니다.
[해설작성자 : @.@]

(가)는 TCP/IP가 아니라 CSMA/CA 방식입니다.  
CSMA/CA는 무선랜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 화이팅]

20. PCM(Pulse Code Modulation)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2. 양자화
     3. 부호화
     4. DM(Delta Modulati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PCM (Pulse Code Modulation)
Analog 신호를 세분화하여 Digital 신호로 바꾸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 변환순서
① 표본화(Sampling)
입력측의 Analog 신호를 신호가 갖는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샘플링 하여
진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PAM(Pa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열로 변환
② 양자화(Quantizing)
PAM 신호를 유한 개의 부호에 대한 값으로 조정하는 과정
③ 부호화(Encoding)
양자화된 PCM 펄스의 진폭 크기를 2진수로 표시하는 과정

※ DM(Delta Modulation)
차분 신호가 단지 1 비트로 부호화되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DPCM(Differental Pulse Code Modulation) 이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1. MAC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8bit의 길이를 갖는다.
     2.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용된다.
     3. 실제 데이터 전송은 IP Addres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에 중복된 MAC Address가 할당되어도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4. 장치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Address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통신을 위한 장비 랜카드나 모뎀, 스마트폰 등에 존재하는
고유번호로 12자리 16진수로 표시하며, 바뀌지 않음

*MAC address, IP address 모두 같은 네트워크내에서
유일해야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2.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
     2. 패킷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3. 큐잉(queuing) 지연이 존재한다.
     4. 각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지 않음
[해설작성자 : 정운]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가를 봐야하는데
표기되어있지는 않지만 패킷교환방식의 상대되는 개념은 회선교환방식입니다.
즉, 문제는 (회선교환방식에 비해) 라는 말이 생략된것과 같습니다.

패킷교환방식은 회선교환 방식보다 선로 장애시 복구가 더 수월합니다.
[해설작성자 : dev]

23.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주소 지정을 담당하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물리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Data Link Layer : 데이터가 목적지에 완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에러통보, 흐름제어, 네트워크 토톨로지,  순차적 프레임 전달 등을 담당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4. OSI 7 Layer의 각 Layer 별 Data 형태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Transport Layer - Segment
     2. Network Layer - Packet
     3. Datalink Layer - Fragment
     4. Physical Layer - bi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계층(물리 계층) : 비트(Bit)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 : 프레임(Frame)
3계층(네트워크 계층) : 패킷(Packet)
4계층(전송 계층) : 세그먼트(Segment)
5계층(세션 계층) : 포트(Port)
6계층(표현 계층) : 확장자(jpg, gif, mpg 등)
7계층(응용 계층) : 서비스제공(HTTP, SSH, SMTP, FTP)

※Fragment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기억 장소에 맞게
하나의 관계를 여러 개로 나눈 것.
관계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행과 열의 부분 집합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5.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IEEE 803.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2.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3. 기존 이더넷상의 전송 속도를 초당 1기가비트까지 향상시킨 것이다.
     4. 기업의 백본(Backbone)망으로도 사용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란
PC 등에 주변 기기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Gigabit Ethernet의 표준 규격은 IEEE 802.3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로 Wi-Fi의 표준 규격은 IEEE 802.11 이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6. 802.3 Ethernet 프레임 구조의 구성요소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프리앰블(Preamble) : 7Byte
     2. 시작문자(SFD) : 1Byte
     3. 데이터 : 46~1500Byte
     4. 프레임 확인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 5Byt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Preamble : 7 byte
Start Frame Delimiter(SFD): 1 byte
Destination Address(DA): 6 byte
Source Address(SA): 6 byte
Length/type field: 2 byte
Data & Padding: 46 byte ~ 1,500 byte
Frame Check Sequence(FCS): 4 bytes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의 형태는?

    

     1. Star
     2. Bus
     3. Ring
     4. Tre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Network Topology
Star : 각 호스트가 허브에 Point-to-Point 링크에 의해 연결하는 형태
Bus : 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형태
Ring : 닫힌 루프 형태로 각 호스트가 자신의 양쪽 호스트와 전용으로 Point-to-Point 링크로 연결하는 형태
Tree : Star형의 변형으로 Tree에 연결된 호스트는 허브에 연결되어 있지만 모든장치가 중앙전송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형태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과목 : NOS


28.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서버 : 주 영역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2. 책임자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3. 최소 TTL : 각 레코드의 기본 Cache 시간을 지정한다.
     4. 새로 고침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이 두절 되었을 때 다시 통신할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SOA Record (Start Of Authority Record)

해당 도메인의 주 DNS 서버에 이름을 할당하고,
데이터를 얼마나 오래  캐시에 저장할 수 있는지 지정하는 레코드

책임자는 E-Mail 주소를 입력한다. 단 @대신 .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라에 대한 설명은 다시 시도 간격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ㅎㅇㄷ]

29.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www.icqa.or.kr'의 IP Address를 얻기 위한 콘솔 명령어는?
     1. ipconfig www.icqa.or.kr
     2. netstat www.icqa.or.kr
     3. find www.icqa.or.kr
     4. nslookup www.icqa.or.k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ipconfig : 현재 컴퓨터의 TCP/IP 네트워크 설정값을 표시
netstat : 네트워크 연결 현황을 종합적 확인, 열려져 있는 포트 및 서비스 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태정보를 확인
find : 특정문자검색
nslookup : 특정 사이트의 IP 주소 확인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는?

    

     1. shell
     2. kernel
     3. program
     4. deam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shell : 운영 체계(OS)를 사용자와 접촉하는 셸과 실제 하부 루틴의 집합인 핵심부(kernel)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경우, 이용자와 시스템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해 주며, 이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읽어 그 문장이 요청하는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주는 명령 해석기
kernel : 운영 체제의 기능 중에서 운영 체제를 구성하는 프로세스와 운영 체제의 제어 아래서 주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부분
program :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해 차례대로 작성된 명령어 모음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1. Linux의 퍼미션(Permiss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grp'이다.
     2. 파일의 접근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mod'이다.
     3.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려면 권한을 '666'으로 변경한다.
     4.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own'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파일 허가권한
소유자 권한 / 그룹 권한 / 그 외 사용자 권한 으로 text로 표시
r(읽기),4로 표현, w(쓰기),2로 표현, x(실행),1로 표현
따라서 모든 사용자가 모든 권한을 부여하려면
-rwxrwxrwx 텍스트로 표현하며 수로 변환하면 '777'이 된다.
'666'은 모든 사용자가 읽기.쓰기만 가능한 권한으로
-rw-rw-rw- 텍스트로 표현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2. Linux에서 주어진 명령어의 도움말(매뉴얼)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ps
     2. fine
     3. man
     4. l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ps : process 상태 보고
find : 파일 찾기
ls : directory 내용 나열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3. Linux에서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inux는 Windows 시스템과 같이 완벽한 PnP 기능을 지원하지 못한다.
     2. LAN 카드 설치는 Linux 커널에 드라이버를 포함시키거나,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로딩 할 수 있다.
     3. LAN 카드를 메모리에 로딩해서 사용하려면 ‘modprobe’ 명령을 사용한다.
     4. 네트워크 설정은 ‘ipconfig’ 로 확인 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네트워크 설정은 ifconfig입니다.
[해설작성자 : S]

ipconfig 는 linux가 아닌 윈도우의 cmd 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34.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파일 및 프린터 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1. TCP/IP
     2. SNMP
     3. SMTP
     4. IGM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SNMP : IP 네트워크 상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
SMTP :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IGMP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5. Windows Server 2008 R2의 FTP Serv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Server 2008 R2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www.iis.net' 에서 다운로드 하여야 한다.
     2. IIS 7의 웹사이트에 FTP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3. FTP는 별도의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IP주소, 포트를 계획해야 한다.
     4. FTP 구성 시 SSL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FTP Server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6. Windows Server 2008 R2 서버 상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능 모니터의 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네트워크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2. 작업 관리자의 네트워킹 탭을 통해 네트워크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3. 바이트 처리량이란 현재 연결 대역폭 중에 트래픽 송수신에 사용하는 비율이다.
     4. 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한 통계만 볼 수 있고 비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해서는 볼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비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해서도 볼 수 있다

37.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 파일,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는?
     1. 응용 프로그램 로그
     2. 보안 로그
     3. 설치 로그
     4. 시스템 로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이벤트 로그의 종류

응용프로그램 로그 :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한 다양한 이벤트가 저장되며, 기록되는 이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의해 결정
보안 로그 : 유효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로그온 시도 및 파일 생성, 열람, 삭제 등의 리소스 사용에 관련된 이벤트를 기록. 감사로그 설정을 통해 다양한 보안 이벤트 저장 가능
설치 로그 :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 프로그램이 잘 설치되었는지 ,호환성문제가 일어나지 않는지 이 기록을 보면 알 수 있음
시스템 로그 : Window 시스템 구성요소가 기록하는 이벤트로 시스템 부팅 시 드라이버가 로드 되지 않는경우와 같이 구성요소의 오류를 이벤트 기록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8. Windows Server 2008 R2의 보안 템플릿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안 템플릿이란 보안 관련 설정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템플릿이다.
     2. 기본 보안 템플릿은 ‘%SystemRoot%\Security\Templates’ 폴더에 있다.
     3. 보안 템플릿 스냅인에서 보안 템플릿 작성 및 적용까지 바로 할 수 있다.
     4. 보안 템플릿 설정값을 변경하면 이에 따라 제안값 변경 대화상자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안 템플릿 적용은 '보안 구성 및 분석' 스냅인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9.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개체에 접근했을 때 기록이 남도록 감사정책을 설정하였다. 이를 시스템에 바로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gpresult
     2. gpfix
     3. gpupdate
     4. gptool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40. Windows Server 2008 R2의 '시작->관리도구->로컬 보안 정책'에 나오는 보안 설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계정 정책
     2. 로컬 정책
     3. 공개키 정책
     4. 대칭키 정책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계정 정책, 로컬 정책,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방화벽, 네트워크 목록 관리자 정책, 공개 키 정책,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
응용 프로그램 제어 정책, IP 보안 정책(위치:로컬 컴퓨터), 고급 감사 정책 구성
[해설작성자 : kk12]

단순한 팁
로컬보안정책이 server 2008 R2 에 대한 정책이라면
대칭키는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가 보관하는 키다.
그렇게 외우면 된다.
[해설작성자 : dev]

41. Windows Server 2008 R2에서는 다양한 인증 매커니즘을 IIS 웹사이트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 IIS 웹사이트의 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인증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한다.
     2. 액티브디렉토리 클라이언트 인증서 -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3. 윈도우 NTLM - 윈도우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인증한다.
     4. 익명 - 계정 입력으로 인증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익명계정은 로그인시 암호를입력하지않는다 권한이 읽기권한밖에없음
[해설작성자 : 보안]

42. Windows Server 2008 R2에 설치된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1. CNAME
     2. MX
     3. A
     4. PTR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MX (Mail Exchanger) : 메일 교환기 리소스 레코드
A : 호스트 주소 리소스 레코드, DNS 도메인 이름을 IP버전 4, 32비트 주소로 매핑
PTR : 포인터 리소스 레코드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43. Linux에서 현재 사용 디렉터리 위치에 상관없이 자신의 HOME Directory로 이동하는 명령은?
     1. cd HOME
     2. cd /
     3. cd ../HOME
     4. cd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d HOME : 하위 HOME 폴더로 이동
cd / : 가장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cd../HOME : 상위 HOME 폴더로 이동이 아닌 상위에서 바라보는 하위의 HOME 폴더. 즉, 같은 레벨의 HOME 폴더로 이동합니다.
[해설작성자 : dev]

44.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Hyper–V’를 이용하여 가상의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때 ‘새 가상 컴퓨터마법사’를 통하여 설정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이름 및 위치지정
     2. 메모리 할당
     3. 가상 IP주소 설정
     4. 가상 하드디스크 연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새 가상 컴퓨터 마법사에서 설정 가능한 기능은
이름 및 위치 지정, 세대 지정, 메모리 할당, 네트워킹 구성, 가상 하드 디스크 연결 등이 있으나 가상 IP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은 없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45.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액티브 디렉터리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2.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3.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있다.
     4.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Active Directory 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 이름을 가진다.
개체들은 고유 이름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없는거 아닌가요?

[추가 오류 신고]

식별자 변경 불가라고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까망이]

[추가 오류 신고]

식별자는 변경 불가고 1번이 오타가 있는 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낼 시험인데 헷갈리게]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올바르지 않은것으로 해아 정답이 3번이 됩니다.
마소홈에 SID는 변경은 불가능 하다고 나옵니다.
(윈도우 8 기능 보안 식별자 (SID)를도입 . 기능 SID는 고유하고 변경할 수 없는 방식으로 기능을 식별합니다.)

개체는 사용자, 프린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구체적인 무언가를 대표하는 특정 특성들의 집합체입니다.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개체는 사용자의 성, 이름과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로 분류된 개체들은 "공통 이름", "전화번호" 그리고 "이메일 주소" 와 같은 특성 형식의 사용을, "조직" 은 "조직 이름" 과 "비즈니스 카테고리" 와 같은 특성을 허용할 것입니다.
특성은 하나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특성의 형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액티브 디렉터리 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꿀 수 있지만, 개체의 식별자는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내부의 개체는 개체의 이름이 아닌 개체의 식별자를 통해 알려집니다.
개체의 식별자는 개체가 생성될 당시 DSA(Directory System Agent)에 의해 할당되는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입니다.
GUID는 objcetGUID라는 특성에 저장되며, 모든 개체의 일부입니다.
objectGUID 특성은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없습니다. 외부 저장소(예, 데이터베이스)에 액티브 디렉터리 개체를 참조해 저장할 경우, 이름과 달리 절대 변하지 않기 때문에 objectGUID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dk]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가능한분 계시면
문제 내용, 보기내용, 정답 확인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이기적 20년 7월 신간에도 똑같이 나와있으나 옳지않은 것을 고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개발자인데]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OSI 7계층 중에서 리피터(Repeater)가 지원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응용 계층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물리계층 -> 허브, 리피터
[해설작성자 : 원종동 쌍칼]

47.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검색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은?
     1. MAC Address 테이블
     2. NVRAM
     3. 플래쉬(Flash) 메모리
     4. 라우팅 테이블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MAC Address Table :  MAC Address 는 Switch 나 Bridge 가 출발지에서 들어오는 MAC Address 를 보고
것을 자신의 MAC Address Table 에 저장한다.
NVRAM :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random-access memory)
메인보드의 수은전지가 NVRAM 중 전원이 차단되도 데이터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쓰이는 배터리 이고, 메인보드 NVRAM 에는 메모리용량, 드라이브 종류/타입, 부팅정보, 기타 등
컴퓨터를 켰을때 해당 시스템의 기본적인 부팅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Flash Memory : 빠른 속도와 블록단위에 읽고/쓰기 방식이 가능하여 USB Memory, SSD 등에 쓰이고 있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48. IP Address의 부족과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내부에서는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주소는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은?
     1. DHCP 방식
     2. IPv6 방식
     3. NAT 방식
     4. MAC Address 방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주소와 같은 TCP/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파라메터들을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
IPv6 (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IPv4에 이어서 개발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표현 방식의 차세대 버전, 128bit
MAC Address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 장치(ROM)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는 48비트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49. 전송 매체의 특성 중 Fiber Optics에 해당하는 것은?
     1. 여러 라인의 묶음으로 사용하면 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다.
     2. 신호 손실이 적고, 전자기적 간섭이 없다.
     3. 송수신에 사용되는 구리 핀은 8개 중 4개만 사용한다.
     4. 수 Km이상 전송 시 Repeater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신호 손실이 적고, 전자기적 간섭이 없다. ←광케이블
[해설작성자 : 9509]

50.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며, 네트워크층 간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는?
     1. 브리지(Bridge)
     2. 리피터(Repeater)
     3. 라우터(Router)
     4. 모뎀(MODE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Bridge :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Repeater : 장거리 전송 회선의 중간에 삽입하여 신호의 증폭, 파형의 정형 등을 하는 중계장치
Modem : Digital ↔ Analog 상호간 신호를 변복조 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30
929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30
928 수산물품질관리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2.03.30 30
927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30
926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8 30
925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5월29일(276) 좋은아빠되기 2024.03.12 29
924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1년09월23일(267) 좋은아빠되기 2024.03.11 29
923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4회)(8818872) 좋은아빠되기 2023.04.02 29
922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4월 07일(6760970) 좋은아빠되기 2023.04.02 29
921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8월 11일(8973775) 좋은아빠되기 2023.04.02 29
92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5월 14일(2199883) 좋은아빠되기 2022.10.09 29
919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4월 17일(1570900) 좋은아빠되기 2022.05.24 29
918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5월 10일(5293019) 좋은아빠되기 2022.05.24 29
917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2월 13일(1회)(8803453) 좋은아빠되기 2022.05.22 29
916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10월 12일(5회)(2934750) 좋은아빠되기 2022.05.21 29
915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4월 17일(244471)(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29
914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7월16일(4회) 남쌤 2022.04.04 29
913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29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7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9
911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3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9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