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1과목 : 건축계획


1. 공장의 레이아웃 형식 중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과 기계류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형식은?
     1. 고정식 레이아웃
     2. 혼성식 레이아웃
     3. 제품중심의 레이아웃
     4. 공정중심의 레이아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고정식 레이아웃
㈎ 주가 되는 재료나 조립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사람이나 기계는 그 장소에 이동해 가서 작업이 행해지는 방식이다.
㈏ 제품이 크고 수가 극히 적을 경우(선박, 건축)

2.혼성식 레이아웃
㈎혼성식 레이아웃은 제품중심, 공정 중심, 고정식 이 세가지 레이아웃을 섞어서 이용하는 레이아웃을 말한다.

3.제품의 중심의 레이아웃(연속 작업식)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 기계 기구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이다.
㈏대량생산 가능, 생산성이 높음, 공정시간의 시간적, 수량적 밸런스가 좋고 상품의 연속성이 가능하게 흐를 경우 성립한다

4.공정중심의 레이아웃(기계설비 중심)
㈎ 동일종류의 공정 즉 기계로 그 기능을 동일한 것, 혹은 유사한 것을 하나의 그룹으로 집합시키는 방식으로 일명 기능식 레이아웃이다.
㈏ 다종 소량생산으로 예상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에 채용한다.
[해설작성자 : 로이열]

2. 사무소 건축의 코어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어부분에는 계단실도 포함시킨다.
     2. 코어 내의 각 공간은 각 층마다 공통의 위치에 두도록 한다.
     3. 코어 내의 화장실은 외부 방문객이 잘 알 수 없는 곳에 배치한다.
     4. 엘리베이터 홀은 출입구문에 근접시키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잔인한 문제다.
화장실을 숨기면안되고, 차라리 휴지를 숨겨라
[해설작성자 : 설사가 또..]

인정한다... 화장실을 숨기는 건 좀 아니지...이건 악마도 안하는 짓이야
[해설작성자 : 쾌변을 양해 으쌰으쌰]

[관리자 입니다.
크게 한번 웃고...
정답은 꼭 외우세요 ㅎㅎ
정답율 100%를 향하여..]

3. 미술관의 전시실 순회형식 중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해야 하고, 1실을 폐쇄할 경우 전체 동선이 막히게 되는 것은?
     1. 중앙홀 형식
     2. 연속순회형식
     3. 갤러리(gallery) 형식
     4. 코리더(corridor) 형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중앙홀 형식 : 중심부에 큰 홀이 있음.
2. 연속순회형식 : 구(원)형, 다각형의 각 전시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과. 1실을 닫으면 전체 동선이 막힌다.
3&4 갤러리형식 & 코리더형식 : 복도 자체를 전시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중정을 포위하여 순로를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4. 상점 매장의 가구배치에 따른 평면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렬형은 부분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다.
     2. 굴절형은 대면판매 방식만 가능한 유형이다.
     3. 환상형은 대면판매와 측면판매 방식을 병형 할 수 있다.
     4. 복합형은 서점, 패션점, 악세사리점 등의 상점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굴절형은 대면판매와 측면판매를 조합한 유형이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5. 다음의 공동주택 평면형식 중 각 주호의 프라이버시와 거주성이 가장 양호한 것은?
     1. 계단실형
     2. 중복도형
     3. 편복도형
     4. 집중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단실형은 실에 들어가 각 실의 계단을 사용해 이동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와 거주성이 양호하다.
[해설작성자 : ㅊㅈㅇ]

6. 다음은 극장의 가시거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5, ㉡ 22
     2. ㉠ 20, ㉡ 35
     3. ㉠ 22, ㉡ 35
     4. ㉠ 22, ㉡ 38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연기자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생리적 한도는 15m.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1차 허용한도는 22m.
일반적인 동작이 보이는 2차 허용한도는 35m.
[해설작성자 : 밀안니]

7. 사무소 건축에서 엘리베이터 계획 시 고려되는 승객 집중시간은?
     1. 출근 시 상승
     2. 출근 시 하강
     3. 퇴근 시 상승
     4. 퇴근 시 하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출근 시 혈압이 상승!
[해설작성자 : 퇴사각]

8. 도서관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2. 반개가식은 새로 출간된 신간 서적 안내에 채용된다.
     3. 안전개가식은 서가 열람이 가능하여 도서를 직접 뽑을 수 있다.
     4.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며, 열람석도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ㅊㅈㅇ]

4. 안전개가식
[해설작성자 : 기사]

9. 1주간의 평균 수업시간이 30시간인 어느 학교에서 설계제도교실이 사용되는 시간은 24시간이다. 그 중 6시간은 다른 과목을 위해 사용된다고 할 때, 설계제도교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은?
     1. 이용률 80%, 순수율 25%
     2. 이용률 80%, 순수율 75%
     3. 이용률 60%, 순수율 25%
     4. 이용률 60%, 순수율 7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이용율 = 교실이 사용되고 있는 시간/1주간의 평균수업시간×100(%)
순수율 = 일정교과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그 교실이 사용되는 시간×100(%)
[해설작성자 : Juri]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해설의 공식으로 문제를 풀면 답은 1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 오류 신고]
1번이요 순수율은 25%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거는 맞추자]

[추가 오류 신고]
1번이요!!!!

[추가 오류 신고]
1번

24/30*100 = 80% (이용률)
6/24*100 = 25% (순수율)

[관리자 입니다.
사진 원본 확인결과 보기 내용은 이상 없으며
확정답안 확인결과 정답은 2번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설계제도교실이 사용되는시간 = 24시간
설계제도교실에서 다른과목이 사용하는 시간 = 6시간
설계제도교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교과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 = 24 - 6 = 18시간으로 계산하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ㅁ]

[오류신고 반론]
순수율은
24-6=18
즉 24시간 중에 18시간이 순수율임
18시간÷24시간×100분율은 75%
[해설작성자 : 한양건축평생교육원 화이팅]

[오류신고 반론]
2번 맞습니다. 문제를 잘 보시죠. 6시간은 다른과목의 시간입니다. 순수율은 해당 과목을 얼만큼 쓰냐입니다. 그러니 설계제도과목은 24-6=18시간입니다.
따라서 18/24 순수율 75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똑바로]

10. 메조넷형 아파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다.
     2. 소규모 주택에서는 비경제적이다.
     3. 편복도형일 경우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4. 복도와 엘리베이터홀은 각 층마다 계획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층
           >—엘베
1층
[해설작성자 : 사랑과 우정 사이]

메조넷형 아파트란 단면형식이 복층을 의미함.
[해설작성자 : 콩크리트]

11. 극장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픈스테이지형은 무대장치를 꾸미는데 어려움이 있다.
     2. 프로시니엄형은 객석 수용 능력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3. 가변형 무대는 필요에 따라서 무대와 객석을 변화시킬 수 있다.
     4. 애리나형은 무대 배경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애리나형은 무대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있다.

12. 학교 건축에서 단층 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진∙내풍구조가 용이하다.
     2. 학습 활동을 실외로 연장할 수 있다.
     3. 계단이 필요없으므로 재해 시 피난이 용이하다.
     4. 설비 등을 집약할 수 있어서 치밀한 평면계획이 용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단층이라 무너질것도 없다.
2. 체육시간때 창문넘어서 수업 참여가는
3. 자연재해 창문넘어서 집으로 튈 수 있음
4. 설비집약 불필요 집약할것도 없음
[해설작성자 : 급식충]

13. 주택의 부엌가구 배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자형은 부엌과 식당을 겸할 경우 많이 활용된다.
     2. ㄷ자형은 작업공간이 좁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나쁘다.
     3. 일(-)자형은 좁은 면적 이용에 효과적이므로 소규모 부엌에 주로 사용된다.
     4. 병렬형은 작업 동선은 줄일 수 있지만 작업시 몸을 앞뒤로 바꿔야 하므로 불편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소규모 주택에 이용하면 좁게 느껴지며 작업효율은 원래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틀린건 아님!]

14.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령에 따른 편의시설 중 매개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출입구접근로
     2. 유도 및 안내설비
     3. 장애인전용주차구역
     4. 주출입구높이차이제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매개시설(접근로 등)
내부시설(복도 계단 출입문 등)
위생시설(화장실 등)
안내시설(점자블록, 안내판 등)
기타시설(기타 상식전인것들)

장애인들을 위해 위 5개 기준으로 세부항복이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오체불만족]

15. 한국 고대 사찰배치 중 1탑 3금당 배치에 속하는 것은?
     1. 미륵사지
     2. 불국사지
     3. 정림사지
     4. 청암리사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청암리사지는 중앙 1개의 탑과 서금당, 동금당, 북쪽으로 금당이 위치한다.
이는 정릉사와 유사하다.
[해설작성자 : 59기]

16. 상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의 동선은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좋다.
     2. 점원의 동선과 고객의 동선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대면판매형식은 일반적으로 시계, 귀금속, 의약품 상점 등에서 쓰여 진다.
     4. 쇼 케이스 배치 유형 중 직렬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품의 전달 및 고객의 동선상 흐름이 빠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고객의 동선은 미로처럼 복잡하게 만들어서, 빈털털이로 껍데기까지 홀라당 벗겨서 나가게끔 계획해야된다.
[해설작성자 : 거상 이건희]

17. 그리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필리어는 아크로폴리스로 들어가는 입구 건물이다.
     2. 에렉테이온 신전은 이오닉 양식의 대표적인 신전으로 부정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니케 신전은 순수한 코린트식 양식으로서 페르시아와의 전쟁의 승리기념으로 세워졌다.
     4. 파르테논 신전은 도릭 양식의 대표적인 신전으로서 그리스 고전건축을 대표하는 건물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 니케 신전 : 이오니아식
[해설작성자 : 흐어어어어어어ㅓ joker]

18. 다음 중 건축가와 작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 롱샹 교회
     2. 월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 - 아테네 미국대사관
     3.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 - 구겐하임 미술관
     4. 미스 반 데르 로에(Mies Van der Rohe) - M.I.T 공대 기숙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mit기숙사는 스티븐홀 작품이다
[해설작성자 : 8854]

미스반데로어는 I.I.T(일리노이 공대) 건물들을 만들었고 MIT는 스티븐 홀이 만들었다.
[해설작성자 : ㅂ2]

19. 주거단지의 각 도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격자형 도로는 교통을 균등 분산시키고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2. 선형 도로는 폭이 넓은 단지에 유리하고 한쪽 측면의 단지만을 서비스할 수 있다.
     3. 루프(loop)형은 우회도로가 없는 쿨데삭(cul-de-sac)형의 결점을 개량하여 만든 유형이다.
     4.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방지함으로써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선형도로
-비교적 좁은 부지, 양방향 카파 가능
[해설작성자 : 부동산투기는강남이박사부동산]

20. 다음은 주택의 기준척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5cm
     2. 10cm
     3. 15cm
     4. 30c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치수 및 기준척도는 안목치수
2.거실 및 침실의 평면 각 변의 길이는 5cm를 단위로 한 것을 기준척도로 한다.
3.부엌,식당,욕실,화장실,복도,계단 및 계단참 등의 평면 각 변의 길이 또는 너비는 5cm를 단위로 한 것을 긴주척도로 한다.
4.거실,침실의 반자높이는 2.2m이상 / 층높이는 2.4m이상으로 하되 각각 5cm를 단위로 한것을 기준척도로 한다.
[해설작성자 : 노구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거실, 침실의 반자높이는 2.1m이상 / 층높이는 2.4m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이게 맞는거아닌가요?]


2과목 : 건축시공


21. 콘크리트의 균열을 발생시기에 따라 구분할 때 경화 후 균열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알칼리 골재 반응
     2. 동결융해
     3. 탄산화
     4. 재료분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경화= 단단하게 굳어짐
재료분리= 굳기전
[해설작성자 : 머리굳기전에공부하자]

22. 도막방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잡한 형상에 대한 시공성이 우수하다.
     2. 용제형 도막방수는 시공이 어려우나 충격에 매우 강하다.
     3. 에폭시계 도막방수는 접착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4. 셀프레벨링공법은 방수 바닥에서 도료상태의 도막재를 바닥에 부어 도포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용제형 도막방수 : 천연 및 합성고무 등의 용제에 녹인 고무도료를 반복하여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드는 방법. 시공용이 및 자유로운 착색, 화재발생ㆍ환기 주의

출처: pjwoo84-1.tistory.com/98 [주택관리 법규 & 실무에 대한 이야기]
[해설작성자 : Juri]

유제형 님=도막방수공법 잔챙이 그릇이 작아 작은면적 방수에 용의함
용제형 님=쿨한성격이라 아무대나 바를 수 있으나, 성격이 불 같에서 조심해야됌(불조심)
[해설작성자 : 송내동케찹핫도그]

23.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용접 결함의 종류는?

    

     1. 피트
     2. 언더컷
     3. 오버랩
     4. 엔드탭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blow hole이나 용융금속이 튀는 현상이 발생한 결과 용접부의 바깥면에서 나타나는 작고 오목한 구멍

발생원인 : 1)모재에 탄소, 망간등 합금원소가 많다.
           2)이음부에 유지, 페인트, 녹 등이 부착되어 있거나 전극 Wire(와이어)가 흡수되어 있다
출처 : 인터넷 용접결함의 종류와 원인, 대책 참고.
[해설작성자 : 차기 건축가]

24. 터파기 공사 시 지하수위가 높으면 지하수에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차수공사를 실시하며, 이 방법만으로 부족할 때에는 강제배수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성토의 압밀
     2. 주변침하
     3. 흙막이 벽의 토압감소
     4. 주변우물의 고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강제배수의 문제점으로는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우물 고갈, 구조물 지지력 저하, 점성토 등의 압밀침하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건공]

강제배수를 실시하게 되면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흙막이 벽의 토압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인천대 건축]

25. 일반경쟁입찰의 업무순서에 따라 보기의 항목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A→B→F→D→C→E→G→H
     2. A→D→F→C→B→E→G→H
     3. A→B→C→F→D→G→E→H
     4. A→D→C→F→E→G→B→H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고-참가-설명-견적-등록-입찰-낙찰-계약
[해설작성자 : 순서대로]

26. TQC를 위한 7가지 도구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히스토그램
     2. 특성요인도
     3. 파레토도
     4. 체크시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히스토그램 그래프
특성요인도 어골
파레토도 크기 크(기)레파스 연상
[해설작성자 : 이태형]

27. 경량형 강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형 강재는 중량에 대한 단면 계수, 단면 2차 반경이 큰 것이 특징이다.
     2. 경량형 강재는 일반구조용 열간 압연한 일반형 강재에 비하여 단면형이 크다.
     3. 경량형 강재는 판두께가 얇지만 판의 국부 좌굴이나 국부 변형이 생기지 않아 유리하다.
     4. 일반구조용 열간 압연한 일반형 강재에 비하여 판두께가 얇고 강재량이 적으면서 휨강도는 크고 좌굴 강도도 유리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경량형 강재는 국부 변형이 일어나고 부재 비틀림이 쉽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28. 거푸집에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끼치는 영향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거푸집의 강성
     2. 콘크리트 타설 속도
     3. 기온
     4.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강성=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치수화 한것
강도=물체의 강한 정도
[해설작성자 : 야인-강성]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콘크리트 타설 속도, 컨시스턴시, 콘크리트의 온도(기온), 콘크리트의 비중, 거푸집 표면의 평활도, 거푸집의 투수성 및 누수성, 바이브레이터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방법, 거푸집의 강성, 철골 or 철근량이다.
즉, 콘크리트의 강도가 아니라 비중 또는 온도 이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29. 건설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형성된 개념으로 건설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관련된 계획, 관리, 엔지니어링, 설계, 구매, 계약, 시공, 유지 및 보수 등의 요소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것은?
     1.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2.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4.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생산에 초점을 두고 관련된 요소들로 구성(construction)된것
[해설작성자 : 김선달]

30. 경량기포콘크리트(AL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 비중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4 정도로 경량이다.
     2.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10정도로서 단열성이 우수하다.
     3. 유기질 소재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내화성능이 매우 낮다.
     4. 흡음성과 차음성이 우수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ALC는 무기질 소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이다.

31. 실의 크기 조절이 필요한 경우 칸막이 기능을 하기 위해 만든 병풍 모양의 문은?
     1. 여닫이문
     2. 자재문
     3. 미서기문
     4. 홀딩 도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32. 타일 108mm 각으로, 줄눈을 5mm로 벽면 6m2 를 붙일 때 필요한 타일의 장수는? (단, 정미량으로 계산)
     1. 350장
     2. 400장
     3. 470장
     4. 520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00mm/108mm+5mm)x(100mm/108mm+5mm))*6m2 = 4.62mm
단위환산 하시고, 가장 근접한 470장.
[해설작성자 : 그때그치]

(0.108+0.005)*(0.108+0.005)= 6*0.012769‬
[해설작성자 : =469.8]

[추가 해설]
㎜ -> m = 100㎜ -> 0.1m
(0.108+0.005)*(0.108+0.005) = 0.012769
6/0.012769=469.88장
[해설작성자 : 수학은 +-/*]

33. 수장공사 적산 시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장공사는 각종 마감재를 사용하여 바닥 벽 천장을 치장하므로 도면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2. 최종 마감재만 포함하므로 설계도서를 기준으로 각종 부속공사는 제외하여야 한다.
     3. 마무리 공사로서 자재의 종류가 다양하게 포함되므로 자재별로 잘 구분하여 시공 및 관리하여야 한다.
     4. 공사범위에 따라서 주자재, 부자재, 운반등을 포함하고 있는지 파악하여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수장은 마무리 마무리는 깔끔하고안전하게 부속공사까지 확실히
[해설작성자 : ㅂ2]

34. 평판재하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재하판의 크기는 45cm각을 사용한다.
     2. 침하의 증가가 2시간에 0.1mm이하가 되면 정지한것으로 판정한다.
     3. 시험할 장소에서의 즉시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짐을 실시한 후 시작한다.
     4.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즉,

평판재하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번)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석재의 표면 마무리의 갈기 및 광내기에 사용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금강사
     2. 황산
     3. 숫돌
     4. 산화주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36. 건축주가 시공회사의 신용, 자산, 공사경력, 보유기자재 등을 고려하여 그 공사에 적격한 하나의 업체를 지명하여 입찰시키는 방법은?
     1. 공개경쟁입찰
     2. 제한경쟁입찰
     3. 지명경쟁입찰
     4. 특명입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공개경쟁입찰 : 입찰 참가를 공고하여 유자격자 참가시키는 입찰방식
   장점 : 경쟁으로 공사비 절감, 균등한 기회
   단점 : 과다경쟁으로 저렴한 입찰금액으로 부실공사우려, 부적격자에게 낙찰될 위험

- 제한경쟁입찰 : 일정 자격 외에 기술·실적 등 추가적 요건을 갖춘 불특정·다수인 참여시킴

- 지명경쟁입찰 : 3~7개 업체를 선정하여 입찰
   장점 : 부적격업체 제거, 시공상 신뢰성
   단점 : 담합 우려, 공사비가 공개경쟁입찰보다 상승

- 특명입찰(수의계약) : 공사에 적격한 '1개'의 업체를 지정하여 입찰시키는 방식
   장점 : 공사기밀유지, 우량시공 기대, 입찰수속 간단
   단점 : 공사비 증대(업체가 요구하는 대로 들어줘야함), 불공평한 일이 내재
[해설작성자 : 후이]

37.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재가 접촉하는 경우 부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부식성이 큰 금속 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알루미늄 > 철 > 주석 > 구리
     2. 주석 > 철 > 알루미늄 > 구리
     3. 철 > 주석 > 구리 > 알루미늄
     4. 구리 > 철 > 알루미늄 > 주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카나마알아철니주납수구수은백금
고딩때 화학1
[해설작성자 : ㅎㅇ]

38. 스프레이 도장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장거리는 스프레이 도장면에서 150mm를 표준으로 하고 압력에 따라 가감한다.
     2. 스프레이할 때에는 매끈한 평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항상 평행이동하면서 운행의 한 줄마다 스프레이 너비의 1/3 정도를 겹쳐 뿜는다.
     3. 각 회의 스프레이 방향은 전회의 방향에 직각으로 한다.
     4. 에어레스 스프레이 도장은 1회 도장에 두꺼운 도막을 얻을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넓은 면적을 도장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장거리는 스프레이 도장면에서 300mm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그때그치]

39. 창호철물 중 여닫이 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도어 행거(door hanger)
     2. 도어 체크(door check)
     3. 실린더 록(cylinder lock)
     4. 플로어 힌지(floor hing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어행거는 슬라이딩도어
[해설작성자 : 모차]

40. 아스팔트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건조하고 깨끗한 바탕면에 솔, 롤러, 뿜칠기 등을 이용하여 규정량을 균일하게 도포한다.
     2. 용융 아스팔트는 운반용 기구로 시공 장소까지 운반하여 방수 바탕과 시트재 사이에 롤러, 주걱 등으로 뿌리면서 시트재를 깔아 나간다.
     3. 옥상에서의 아스팔트 방수 시공 시 평탄부에서의 방수 시트깔기 작업 후 특수부위에 대한 보강붙이기를 시행한다.
     4. 평탄부에서는 프라이머의 적절한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시트를 깐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특수 다음 평판 순서임
[해설작성자 : 리리]



3과목 : 건축구조


41. 다음 그림과 같은 라멘의 부정정차수는?

    

     1. 6차 부정정
     2. 8차 부정정
     3. 10차 부정정
     4. 12차 부정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r+m+K-2j
n:부정정차수, r:반력수, m:부재수, K:강절점수, j:절점수

문제에서 r=9, m=10, K=11, j=9

따라서 답은 12차 부정정
[해설작성자 : 테테]

42. 1단은 고정, 1단은 자유인 길이 10m인 철골기둥에서 오일러의 좌굴하중은? (단, A = 6000mm2, Ix = 4000cm4, Iy = 2000cm4, E = 205000MPa)
     1. 101.2kN
     2. 168.4kN
     3. 195.7kN
     4. 202.4kN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단 고정 , 1단 자유 시 K=2 , 길이 변화 x 이므로 약축에 대한 좌굴하중 계산.
((3.14^2)*E*Iy)/(2*10000)^2=101.2kN
[해설작성자 : 건축건축]

43.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중앙점(C점)의 휨모멘트 (Mc)를 구하면?

    

     1. 4.50 kN·m
     2. 6.75 kN·m
     3. 8.00 kN·m
     4. 10.50 kN·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W•L(2)/9뉴트3
[해설작성자 : 이박사]

우선 반력구하기 총 하중은 3*6=9kN이므로 삼각형하중이니까 A측 반력 3kN, B측 qksfur 6kN
A-C부분만 따로 떼어내서 힘을 고려하면 C점의 모멘트 구하면
C점을 기준 잡아서 식을 세우면 3*3-0.5*3*1.5*1=6.75kN
[해설작성자 : 토쟁이]

총 하중은 3KN * L 의 값 18에 삼각형하중으로 1/2를 곱하여 9로 산출함.

이후 휨모멘트 공식인 WL/8을 적용하면
9*6/8 = 54/8 값을 환산하면 6.75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ㅂ2]

44.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x-x축에 대한 단면2차반경으로 옳은 것은?

    

     1. 5.5cm
     2. 6.9cm
     3. 7.7cm
     4. 8.1c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a/루트12

[추가 해설]
도형의 단면2차반경 x축 쉽게 외우는법
원형->삼각->사각형 순으로 숫자는 4,3,2 루트는 1,2,3에 높이를 나누면 된다.
EX) 원형은 h/4   삼각형은 h/3루트2   사각형은 h/2루트3
본 문제는 사각형이므로 24/2루트3 -> 6.928203....
[해설작성자 : ㅂ2]

45. 스팬이 ℓ고 양단이 고정인 보의 전체에 등분포하중 w가 작용할 때 중앙부의 최대 처짐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아닌가요 정답??

[오류신고 반론]
4번은 양단고정이 아닌 양단힌지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4번 정답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5wl^4/ 384EI 는 일단 회전단 일단 이동단 의 공식입니다
문제에서 양단 고정이라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에 3번이 정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3번 정답임]

[오류신고 반론]
양단 고정부에 대한 처짐은 단순보의 처짐과 연상해서 외우시면 좋아요
우선 단순보는 등분포하중시 5/384이고, 집중하중시 1/48인건 아실건데
양단고정보일 경우 등분포하중시 1/384(분자가 1이에요), 집중하중시 1/192(분모가 등분포하중의 반이에요)
[해설작성자 : LaSal]

46. 철근콘크리트의 보강철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철근으로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는 연성거동을 한다.
     2. 보강철근은 콘크리트의 크리프를 감소시키고 균열의 폭을 최소화시킨다.
     3. 이형철근은 원형강봉의 표면에 돌기를 만들어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최대가 되도록 한 것이다.
     4. 보강철근을 콘크리트 속에 매립합으로써 콘크리트의 휨강도를 증대시킨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콘크리트가 철근없으면 그냥 전단파괴되는 돌덩이인데
연성거동이 될까?(연성이란 엿가락처럼 휘거나 늘어나면서 파괴되는거다)
취성은 유리 생각하면 됨 그러니까
돌덩이에 오함마 꼿는다 생각하면 취성거동이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성거동이란 철근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보강철근이 없으면 해당부에 콘크리트만 있으니 취성거동을 하게 된다.
다만 복근보에서 압축철근이 너무 많을경우 압축철근은 압축측의 를 높이는 것으로서 취성거동하게 되는것만 유의합시다.
[해설작성자 : LaSal]

47. 강도설계법 적용 시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보 단면의 공칭휨강도 Mn은? (단, fck = 21MPa, fy = 400MPa, As = 1200mm2)

    

     1. 162 kN·m
     2. 182 kN·m
     3. 202 kN·m
     4. 242 kN·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문제 해설>
Mn= As*Fy*(d-a/2) = 0.85*fck*a*b*(d-a/2)
a=As*Fy / 0.85*fck*b

문제의 값을 대입하면
Mn= 1200*400*(550-89.6/2) = 0.85*21*89.6*300*(550-89.6/2)
a=1200*400 / 0.85*21*300 = 89.6mm

= 242.3kNm
[해설작성자 : 갓 호서]

48. 철근의 정착길이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ld는 항상 300mm이상이어야 한다.
     2.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는 항상 150mm이상이어야 한다.
     3.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하나의 다발철근 내에 잇는 개개 철근의 정착길이 ld는 다발철근이 아닌 경우의 각 철근의 정착길이보다 3개의 철근으로 구성된 다발철근에 대해서 20% 증가시켜야 한다.
     4. 단부에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h는 항상 8db 이상 또한 150mm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압철이의 정착길이는 200mm보다 길거나 같아야된다.
[해설작성자 : 인철이]

정착길이는
1.인장300 압축200 갈고리 150이고
2.다발철근 아닌경우 3개철근 다발철근에 대한 값보다 20%증가.
3.갈고리 이형철근정착길이 ldh는 8배 + 150mm 이상
[해설작성자 : ㅂ2]

49.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보 설계에서 양단연속인 경우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 ωc = 2,300 kg/m3 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
     1. ℓ/16
     2. ℓ/21
     3. ℓ/24
     4. ℓ/2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단순 : l/16
1단  : l/18.5
양단 : l/21
캔틸 : l/8
[해설작성자 : 춘양이와 양단이]

50. 내진설계에 있어서 밑면전단력 산정인자가 아닌 것은?
     1. 건물의 중요도 계수
     2. 반응수정계수
     3. 진도계수
     4. 유효건물중량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유효 건물중량. 지진응답계수, 설계스팩트럼. 반응수정계수, 건물의 고유주기, 건물의 중요도계수
유진주반건건
[해설작성자 : ㅇㅇ]

51.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B단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1. 125 kN·m
     2. 188 kN·m
     3. 250 kN·m
     4. 300 kN·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공식 :  구하고자 하는 변 K / 전체K합  * 중심모멘트   / 구하고자 하는 보가 캔틸래버 일시 1/2
계산 :      5 / 10 * 500 = 250 * 1/2  = 125
[해설작성자 : DASD]

52. 다음 그림과 같은 구멍 2열에 대하여 파단선 A-B-C를 지나는 순단면적과 동일한 순단면적을 갖는 파단선 D-E-F-G의 피치(s)는? (단, 구멍은 여유폭을 포함하여 23mm임)

    

     1. 3.7cm
     2. 7.4cm
     3. 11.1cm
     4. 14.8c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순단면적 구하기 A-B-C
An= Ag-ndt=160*t - 1*23*t = 137t

2. 순단면적 구하기 D-E-F-G
An= Ag-ndt+(s^2/4g)*t
=160t-2*23*t+(s^2/4*60)*t = 160t-46t+(s^2/240)*t
=114t+(s^2/2410)*t

3. 순단면적이 같음
137t = 114t+(s^2/240)*t
(s^2 /240)*t=137t-114t
s^2= 23*240 = 5420
s =루트 5420 = 74.29mm = 7.4cm
[해설작성자 : 갓 호서]

53. 원형단면에 전단력 S = 30kN 이 작용할 때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도는? (단, 단면의 반경은 180mm이다.)
     1. 0.19 MPa
     2. 0.24 MPa
     3. 0.39 MPa
     4. 0.44 MPa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3)*(30*103/(파이*(180)2))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54. 다음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고정단모멘트 MAB(CAB)의 절대값은?

    

     1. 2 kN·m
     2. 3 kN·m
     3. 4 kN·m
     4. 5 kN·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등분포하중일때 고정단모멘트=wl^2/12
6×2^2/12=2
[해설작성자 : 용갈이]

55. 그림과 같은 보의 C점에서의 최대처짐은?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액보법
이등변삼각형 분포하중 (C 지점 PL/4EI)
공액보 A,B점 반력 PL^2/8EI
공액보에서 C점 모멘트(=실제보의 C 처짐)
[해설작성자 : 호랑이]

최대처짐량
캔틸.집중하중-pl^3/3EI
캔.등분포하중-wl^4/8EI
단순보.집-pl^3/48EI
단.등-5wl^4/348EI
[해설작성자 : 용갈이]

56. 바닥슬래브와 철골보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2. 스티프너(stiffener)
     3. 턴버클(turn buckle)
     4. 쉬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shear가 전단이라는 의미임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들 화이팅]

각 보강재들의 역할
커버플레이트 : 휨보강(플랜지상부에 붙이는 판)
스티프너 : 좌굴보강(H형강 웨브등에 수직으로 덧대는 판)
턴버클 : 인장보강(돌려서 길이조절가능)
쉬어커넥터 : 전단보강
[해설작성자 : LaSal]

57. 말뚝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기초는 지반이 연약하고 기초상부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하며 주위 흙과의 마찰력은 고려하지 않는다.
     2. 지지말뚝은 굳은 지반까지 말뚝을 박아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하며 주위 흙과의 마찰력은 고려하지 않는다.
     3. 마찰말뚝은 주위 흙과의 마찰력으로 지지되며 n개를 박았을 때 그 지지력은 n배가 된다.
     4. 동일 건물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말뚝을 혼용하지 않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마찰말뚝을 여러개 박은 경우를 무리말뚝이라고 하며, n개를 박았을 때 그 지지력은 n배보다 감소하믄 특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팡민이디]

58. 철골트러스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선 부재들이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거동을 한다.
     2. 트러스의 개방된 웨브공간으로 전기배선이나 덕트등과 같은 설비배관의 통과가 가능하다.
     3. 부정정차수가 낮은 트러스의 경우에는 일부 부재나 접합부의 파괴가 트러스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4. 직선 부재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비정형 건축물의 구조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59. 아래 단면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대 설계축하중(øPn)은? (단, fck = 30 MPa, fy = 400 MPa)

    

     1. 12958 kN
     2. 15425 kN
     3. 17958 kN
     4. 21425 k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최대설계축하중 = 0.65*0.8*(0.85*fck*(Ag-Ast)+Ast*Fy)
=0.65*0.8*(0.85*30*(1800*700-2*3210)+2*3210*400)
=17957830.8N * (10^-3) = 17958kN
[해설작성자 : 갓 호서]

기둥에서는 철근이 응력에 수직이기때문에 보처럼 유효거리(d)가 아닌 전면적에 대해서 응력을 계산한다.
따라서 복근보와 헷갈릴 수 있으나, As든 A's든 모두 일반 철근이기 때문에, 단순히 콘크리트와 철근을 구분해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강도에 콘크리트면적을, 철근은 철근강도에 철근면적을 각각 곱해서 합한것이 축하중이 되며
설계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기본 0.8과 강도감소계수 0.65(압축(기둥이므로)이므로)를 추가로 곱해줘야한다.
[해설작성자 : LaSal]

60. 철골구조 주각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커버 플레이트
     2. 앵커볼트
     3. 베이스 모르타르
     4. 베이스 플레이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커버' 플레이트니깐 뭔가를 커버하기 위함임 그러므로 주각부는 아님!
[해설작성자 : 19금]


4과목 : 건축설비


61. 실내공기오염의 종합적 지표로서 사용되는 오염 물질은?
     1. 부유분진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이산화질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62. 전기 샤프트(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 샤프트(ES는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2. 전기 샤프트(ES)의 면적은 보, 기둥부분을 제외하고 산정한다.
     3. 전기 샤프트(ES)는 전력용(EPS)과 정보통신용(TPS)을 공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전기 샤프트(ES)의 점검구는 유지보수시 기기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기 샤프트(ES)는 용도별로 전력용(EPS)과 정보통신용(TPS)으로 구분하여 설치한다. 단, 각 용도의 설치 장비 및 배선이 적은 경우는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Jin]

63. 기온, 습도, 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 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
     1. 작용온도
     2. 등가온도
     3. 유효온도
     4. 등온지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불쾌지수 : 기온, 습도
유효온도 : 기온, 습도, 기류
등온지수 : 기온, 습도, 기류, 주변온도
작용온도 : 체감온도, 복사열, 기류
[해설작성자 : 세종대건축공만세]

64.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짧다.
     2. 온수난방에 비해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운전 시 증기해머로 인한 소음을 일으키기 쉽다.
     4. 온수난방에 비해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방열량의 제어가 용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65. 조명설비에서 눈부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원의 크기가 클수록 눈부심이 강하다.
     2. 광원의 휘도가 작을수록 눈부심이 강하다.
     3. 광원이 시선에 가까울수록 눈부심이 강하다.
     4. 배경이 어둡고 눈이 암순응될수록 눈부심이 강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2번  - 휘도 : 어떤표면에서 방사되거나 반사된 빛이 눈에 얼마나 들어오는가와 관련된 양
(휘도 = 눈뽕의 량 ) 크면 눈뽕이 심함
[해설작성자 : 휘바휘바 ]

66. 주철제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질이 약하여 고압으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2. 섹션(section)으로 분할되므로 반입이 용이하다.
     3. 재질이 주철이므로 내식성이 약하여 수명이 짧다.
     4. 규모가 비교적 작은 건물의 난방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철은 내식성이 좋아 수명이 길다
[해설작성자 : 1004]

67. 배수트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랩은 이중으로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2. 트랩의 봉수깊이가 너무 깊으면 통수능력이 감소된다.
     3. 트랩은 하수가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4. 트랩은 위생기구에 가능한 한 접근시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중 트랩이 되지 않도록 배관 해야함
[해설작성자 : 건축기사쿠란보]

68. 다음 설명에 알맞은 냉동기는?

    

     1. 터보식 냉동기
     2. 흡수식 냉동기
     3. 스크류식 냉동기
     4. 왕복동식 냉동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69. 액화천연가스(L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보다 가볍다.
     2. 무공해, 무독성이다.
     3. 프로필렌, 부탄, 에탄이 주성분이다.
     4. 대규모의 저장시설을 필요로 하며, 공급은 배관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액화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메탄이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LNG(액화천연가스) : 메탄
LPG(액화석유가스) : 프로필렌, 부탄, 에탄
[해설작성자 : 인천대 건축]

70. 수량 22.4 m3/h 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터빈 펌프의 구경으로 적당한 것은? (단, 터빈 펌프 내의 유속은 2m/s로 한다.)
     1. 65mm
     2. 75mm
     3. 100mm
     4. 125m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펌프구경 공식
1.16 * 루트 수량/유속
->
1.16 * 루트 22.4 * 10^3 / 2*3600  -> 유속에 3600을 곱하는 이유는 수량의 h를 맞추기위해 유속의 s를 초->시간으로 환산하기 위함.
-> 나온 값에 10의 3승(m^3)값 곱하면 64.소수점 -> 근사값 65
[해설작성자 : ㅂ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16이 아니라 1.13입니다.
[해설작성자 : 통통빵]

[오류신고 반론]
그냥 루트 4X양수량 / 유속X파이 하시면 됩니다 양수량 h 를 s  바꾸기위해 양수량을 3600으로 나누어 주시면 되구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46 × 루트(수량/유속)
=> 146 × 루트((22.4÷6)÷2) → 63.xxx → 근삿값 65
※ 수량의 단위는 m3/min 이기 때문에 22.4에 나누기 60 해줘야됨

이렇게 푸는거 아니였어요..? 전 이렇게 풀었음
[해설작성자 : 써리원범]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해설
D=1.13*루트(Q/V)
=1.13*{(22.4/3600)/2}=0.063
[해설작성자 : 용갈이]

7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을 위한 권장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벽 부위는 내단열로 시공한다.
     2. 열손실이 많은 북측 거실의 창 및 문의 면적은 최소화한다.
     3. 외피의 모서리 부분은 열교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열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4. 발코니 확장을 하는 공동주택에는 단열성이 우수한 로이(Low-E) 복층창이나 삼중창이상의 단열성능을 갖는 창을 설치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외벽 부위에는 단열재를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붙일 수는 있는데 에너지 효율적으로 바깥쪽에 붙여야
에너지 효율이 높아짐으로 외벽 부위에는 외단열로 시공하는 것이 좋음
(건축학과인데 수업시간에 배움 ㅎㅎ)
[해설작성자 : 인천대 건축]

72.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자기기, 배선과 관련된 화재를 의미하는 것은?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K급 화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A급 화재 : 보통화재
B급 화재 : 기름화재
C급 화재 : 전기화재
K급 화재 : 주방화재
[해설작성자 : 불란서]

A 보통
B 유류
C 전기
D 금속
K 식용유
[해설작성자 : 공깃밥추가요]

73. 다음 중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조속기
     2. 핸드 레일
     3. 종점 스위치
     4. 전자 브레이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핸드 레일은 에스컬레이터의 안정장치.
[해설작성자 : 밀안니]

74. 다음 중 변전실 면적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전기실의 면적
     2. 변전설비 변압방식
     3.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
     4. 설치 기기와 큐비클의 종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발전기실의 면적과 변전실 면적은 별도로 산출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75. 배관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철관은 오배수관이나 지중 매설 배관에 사용된다.
     2. 경질염화비닐관은 내식성은 우수하나 충격에 약하다.
     3. 연관은 내식성이 작아 배수용보다는 난방배관에 주로 사용된다.
     4. 동관은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고 전성 연성이 풍부하며 가공도 용이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관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수도관,배수관,가스배관같은 배수용으로 사용된대
[해설작성자 : 밀안니]

76. 공기조화방식 중 팬코일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실에 수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있다.
     2. 덕트 샤프트나 스페이스가 필요없거나 작아도 된다.
     3. 각 실의 유닛은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고, 개별제어가 쉽다.
     4.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팬코일 유닛방식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77.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를 갖는 간선의 배선 방식은?

    

     1. 개별방식
     2. 루프방식
     3. 병용방식
     4. 나뭇가지방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개별식을 다른말로 평행식이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메이뷔]

78. 실내의 탄산가스 허용농도가 1000ppm, 외기의 탄산가스 농도가 400ppm 일 때, 실내 1인당 필요한 환기량은? (단, 실내 1인당 탄산가스 배출량은 15L/h 이다.)
     1. 15 m3/h
     2. 20 m3/h
     3. 25 m3/h
     4. 30 m3/h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허용농도 / 허용농도-탄산가스 농도 * 1인당 배출량
1000 / 1000-400 * 15 = >25
[해설작성자 : ㅂ2]

(1000/(1000-400))*15
[해설작성자 : d]

(허용농도 / 허용농도-탄산가스 농도) * 1인당 배출량
1000 / 1000-400 * 15 = >25
[해설작성자 : zz]

79. 펌프의 양수량이 10m3/min , 전양정이 10m, 효율이 80%일 때, 이 펌프의 축동력은?
     1. 20.4 kW
     2. 22.5 kW
     3. 26.5 kW
     4. 30.6 kW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펌프이 축동력 = 전양정x양수량x물의 단위중량(1000) / 6120x효율
1000x10x10 / 6120x0.8 =20.4

80. 최대수요전력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총 부하 설비용량에 대한 최대수요전력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1. 역률
     2. 수용률
     3. 부등률
     4. 부하율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용율과 부하율을 구분하기 어려울때,
분자로 올라가는것이 해당율이다.
ex) 수용율-> 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
ex0 부하율-> 부하설비용량/최대수용전력
[해설작성자 : ㅂ2]


5과목 : 건축법규


81.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4.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은 그 면적을 각각 3m2 이하로 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계단실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은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다른 창문으로부터 2M 이상 띄울것
(망입유리 붙박이창은 면적을 1m2 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계단실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찬문은 그 면적을 각각 1m^2 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그림과 같은 일반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단, 평면도 건물 치수는 두께 300mm인 외벽의 중심치수이고, 지붕선 치수는 지붕외곽선 치수임)

    

     1. 80 m2
     2. 100 m2
     3. 120 m2
     4. 168 m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처마, 지붕 등, 공동주택 발코니는 외벽 중심선으로 부터 1m이상 돌출부분은 끝에서부터 1m 후퇴한 부분만 삽입 하여 산정.
12 X 10 = 120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83. 다음은 대지의 조경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 m2
     2. 200 m2
     3. 300 m2
     4. 500 m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조경 두글자니까 200
[해설작성자 : 야나도]

84. 건축법령상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나 90m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50m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층 건축물 :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초고층 건축물 :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1층당 4m로 계산)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85. 건축물의 거실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피난층의 거실은 제외)
     1.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창고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운수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3.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위락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4.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종교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다음 각 호의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은 제외한다)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排煙設備)를 하여야 한다.

<6층이상인 건축물>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 및 다중생활시설(공연장, 종교집회장 및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는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2. 문화 및 집회시설
3. 종교시설
4. 판매시설
5. 운수시설
6. 의료시설(요양병원 및 정신병원은 제외한다)
7.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8.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은 제외한다)
9.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10. 운동시설
11. 업무시설
12. 숙박시설
13. 위락시설
14. 관광휴게시설
15. 장례식장

<층수 상관없이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

1.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 및 정신병원
2. 노유자시설 중 노인요양시설ㆍ장애인 거주시설 및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해설작성자 : 훙]

86.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 재료는 불연재로로 할 것
     3.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4. 옥내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 (승강장이 없는 경우에는 승강로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공원, 광장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피난 및 소화를 위해 당해 대지에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것을 말한다)에 이르는 거리가 30m 이하일것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헷갈리는 내용 정리
30m --> 원칙
40m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불연재료인 경우] + [16층 이상 공동주택]
50m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불연재료인 경우]
[해설작성자 : 인천대건축]

87. 도시지역에서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증진시켜 도시 정비를 촉진하고 지역 거점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구역은?
     1. 개발제한구역
     2. 시가화조정구역
     3. 입지규제최소구역
     4. 도시자연공원구역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개발제한구역 :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도시주변의 자연환경 보전
2. 시가화조정구역 :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3. 입지규제최소구역 : 복합적인 토지이용 증진 / 지역 거점 육성
4. 도시자연공원구역 : 자연환경 및 경과 보호 / 건전한 여가 및 휴식 공간 제공
[해설작성자 : 밀안니]

88. 건축법령상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감도
     2. 배치도
     3. 건축계획서
     4. 실내마감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규칙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제 6조 제1항 관련)
건축계획서,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 단면도, 구조도, 구조계산서, 실내마감도, 소방설비도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89.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2.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3. 창고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인 건축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공장: 2,000m2 이상

판매시설: 500 이상
창고시설: 500 이상
문화 및 집회시설: 200 이상
(공연장, 종교집회장은 300 이상)
[해설작성자 : 매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및 동식물원은 500이상
[해설작성자 : 밀안니]

90. 노외주차장의 출입구가 2개인 경우 주차형식에 따른 차로의 최소 너비가 옳지 않은 것은? (단, 이륜자동차전용 외의 노외주차장의 경우)
     1. 직각주차 : 6.0m
     2. 평행주차 : 3.3m
     3. 45도 대항주차 : 3.5m
     4. 60도 대항주차 : 5.0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6조
60도 대향주차 : 4.5m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91. 막다른 도로의 길이가 20m인 경우, 이 도로가 건축법령상 도로이기 위한 최소 너비는?
     1. 2m
     2. 3m
     3. 4m
     4. 6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령 제 3조의3
막다른 도로의 길이
10m 미만 : 2m
10m 이상 35m 미만 : 3m
35m 이상 : 6m (도시지역이 아닌 읍, 면 지역은 4m)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92. 어느 건축물에서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이 판매시설인 경우, 이 건축물이 주차전용 건축물이기 위해서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연면적 비율이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
     2. 70%
     3. 85%
     4. 9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주차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 이상이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이란 건축물의 연면적 중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95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다만,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이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단독주택(같은 표 제1호에 따른 단독주택을 말한다. 이하 "단독주택"이라 한다),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창고시설 또는 자동차 관련 시설인 경우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70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주차 전용 건축물은 95%이상
단 단독,공동,1근2근,문화집회종교,판매운수업무창고,운동,자동차관련시설(버스터미널은 자동차관련시설 아님)은 70%
[해설작성자 : ㅂ2]

93. 다음은 차수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00 m2
     2. 5000 m2
     3. 10000 m2
     4. 20000 m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차수설비 & 만제곱(10,000 제곱미터)
차수만 --> SM 엔터테이먼트 이수만 사장님 --> 차수만 (외우기 쉽쥬?)
[해설작성자 : 인천대건축]

94. 건축법령상 아파트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 층 이상인 주택
     2.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3.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7개 층 이상인 주택
     4.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10개 층 이상인 주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이상인 공동주택을 말합니다(규제「주택법」 제2조제3호, 규제「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 및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가목).
※ 다만,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하고, 지하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합니다(「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 단서).
[해설작성자 : 갓 호서]

95.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이 업무시설인 경우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국공관 및 오피스텔은 제외)
     1. 시설면적 100m2 당 1대
     2. 시설면적 150m2 당 1대
     3. 시설면적 200m2 당 1대
     4. 시설면적 350m2 당 1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주차장법 제19조제3항,
주차장법 시행령 제6조제1항 본문 및 별표1
참고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96.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실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였을 경우, 옳지 않은 것은? (단, 개별관람실의 바닥면적은 1000m2 이다.)
     1.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m 이상으로 하였다.
     2. 관림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을 밖여닫이로 하였다.
     3. 개별관람실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하였다.
     4. 개별관림실의 출구는 3개소 설치하였으며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4.5m로 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출구유효폭은 당해 용도바닥면적 ÷ 100m2 × 0.6
1000÷100×0.6=6m
참고 . 출구개수는 최소폭 1.5m임
[해설작성자 : 금게]

개별관람실의 출구는 관람실별로 2개이상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97. 용도지역의 세분 중 도심∙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은?
     1. 유통상업지역
     2. 근린상업지역
     3. 일반상업지역
     4. 중심상업지역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중심상업지역: 도심, 부도심의 상업 및 업무기능 확충

일반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 및 업무기능 담당
근린상업지역: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 공급
유통상업지역: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
[해설작성자 : 맹뿌]

98. 층수가 15층이며,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5000m2 인 종합병원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 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
     1. 6대
     2. 7대
     3. 8대
     4. 9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문화/판매/의료 = 2+ (6층이상 거실면적-3000)/2000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기반시설 중 광장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옥상광장
     2. 일반광장
     3. 지하광장
     4. 건축물부설광장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제2조(기반시설)
3. 광장
가. 교통광장
나. 일반광장
다. 경관광장
라. 지하광장
마. 건축물부설광장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100. 다음 중 제1종 전용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포함)
     1. 노유자시설
     2. 공동주택 중 아파트
     3. 교육연구시설 중 고등학교
     4.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종교집회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1종 전용주거지역은 단독주택 중심으로 양호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한 지역입니다.
단독주택 중심이라는 걸 기억하고 계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초리뽀리집사]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4447908) 좋은아빠되기 2022.10.07 21
3409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9월 21일(1654947) 좋은아빠되기 2022.06.15 728
3408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4
3407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40
3406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10월 10일(5회)(3060896) 좋은아빠되기 2024.01.27 14
3405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8 62
3404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9
3403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46306) 좋은아빠되기 2018.10.20 2560
340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8월 31일(6434433) 좋은아빠되기 2022.10.03 40
3401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03월 04일(9525763) 좋은아빠되기 2022.05.19 34
3400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3월 01일(3730548) 좋은아빠되기 2022.06.15 422
3399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3 447
3398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17.07.01 3417
3397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3 1326
3396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36056) 좋은아빠되기 2017.07.01 9367
3395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8 56
3394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73
»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688
3392 건축목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5060546) 좋은아빠되기 2022.04.22 294
3391 건축목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5472967) 좋은아빠되기 2022.04.05 44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