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1과목 : 소방원론


1. 피난로의 안전구획 중 2차 안전구획에 속하는 것은?
     1. 복도
     2. 계단부속실(계단전실)
     3. 계단
     4. 피난층에서 외부와 직면한 현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피난안전구획
- 1차 : 복도
- 2차 : 부속실(계단전실)
- 3차 : 계단
[해설작성자 : 팔봉K]

2. 어떤 기체가 0℃, 1기압에서 부피가 11.2L, 기체질량이 22g 이었다면 이 기체의 분자량은? (단,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22
     2. 35
     3. 44
     4. 5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증기밀도 = 질량/부피 = 분자량/부피
부피는 22.4
증기밀도 = 22/(11.2/22.4) = 44
[해설작성자 : 팔봉K]

표준상태 0℃, 1기압에서 밀도 = 분자량 / 22.4
-> 분자량 = 밀도 * 22.4
*밀도 = 질량/부피 = 22/11.2
따라서, 분자량 = (22 g/11.2 L)*22.4 L = 44
[해설작성자 : 감칠맛S]

3. 제3종 분말소화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 B, C급 화재에 모두 적응한다.
     2. 주성분은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이다.
     3. 열분해시 발생되는 불연성 가스에 의한 질식효과가 있다.
     4. 분말운무에 의한 열방사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주성분은 제1인산암모늄(NH4H2PO4)
   - 열분해시 생성된 불연성가스(NH3, H2O)에의한 질식효과
[해설작성자 : 팔봉K]

[추가 해설]

주성분이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인 것은 제4종

4. 연소의 4요소 중 자유활성기(free radical)의 생성을 저하시켜 연쇄반응을 중지시키는 소화방법은?
     1. 제거소화
     2. 냉각소화
     3. 질식소화
     4. 억제소화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연소의 4요소
가연물 - 제거소화
산소 - 질식소화
점화원 - 냉각소화
연쇄반응 - 부촉매소화(억제소화)
[해설작성자 : 팔봉K]

5. 할론계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 및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화약제의 증발잠열에 의한 소화방법이다.
     2. 산소의 농도를 15% 이하로 낮게 하는 소화방법이다.
     3. 소화약제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소화방법이다.
     4. 자유활성기(free 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소화방법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억제소화(부촉매소화)
1. 라디컬포착제로 활성라디컬의 생성을 저하시켜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화학적소화
2. 적용: 할론계 소화약제
[해설작성자 : 응시자]

6.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소석회
     2. 알루미늄분
     3. 석탄분말
     4. 밀가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
시멘트(불연성), 석회석(불연성), 팽창질석(소화약제), 이황화탄소(액체)
모든가연물(밀가루, 커피, 코코아, 금속분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은 분질폭발을 일으킴
[해설작성자 : 팔봉K]

7. 갑종방화문과 을종방화문의 비차열 성능은 각각 최소 몇 분 이상이어야 하는가?
     1. 갑종 : 90분, 을종 : 40분
     2. 갑종 : 60분, 을종 : 30분
     3. 갑종 : 45분, 을종 : 20분
     4. 갑종 : 30분, 을종 : 10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방화문>
1. 구조: 감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써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열·온도상승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
2. 방화문의 종류
   가. 갑종방화문: 비차열 1시간
   나. 을종방화문: 비차열 30분 이상
[해설작성자 : 응시자]

갑종방화문 (60분 방화문) : 60분 이상
을종방화문 (30분 방화문) : 30분 이상 60분 미만
[해설작성자 : 리재횬]

8. 경유화재가 발생했을 때 주수소화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
     1. 경유는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2. 경유의 연소열로 인하여 산소가 방출되어 연소를 돕기 때문에
     3. 경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화재면의 확대 우려가 있으므로
     4. 경유가 연소할 때 수소가스를 발생하여 연소를 돕기 때문에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유류화재>
유류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주수 소화 시 물위에 떠서 유면이 확대됨으로 화재면이 확대될 우려가 있음

<유류화재의 소화>
포소화약제 등으로 유면을 덮어 질식소화를 한다.
[해설작성자 : 응시자]

9. 비열이 가장 큰 물질은?
     1. 구리
     2. 수은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비열>
1. 정의: 어떤 물질 1kg의 온도를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2. 물질별 비열
   가. 구리: 0.385
   나. 수은: 0.033
   다. 물: 1
   라. 철: 0.107
[해설작성자 : 응시자]

비열, 증발잠열은 모든 물질을 통들어서 "물"이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리재횬]

10. TLV(Threshold Limit Value)가 가장 높은 가스는?
     1. 시안화수소
     2. 포스겐
     3. 일산화탄소
     4. 이산화탄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TLV = 허용농도
시안화수소- 10ppm
포스겐-0.1ppm
일산화탄소-50ppm
이산화탄소-5000ppm
[해설작성자 : 마블링]

TLV : 독성가스 허용농도이다. 즉 독성이 높은 가스일수록 TLV가 낮고 독성이 낮은 가스일수록 TLV가 크다.
[해설작성자 : 노승수]

1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개구부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5m 이내일 것
     2. 크기는 지름 50㎝ 이상의 원이 내접할수 있는 크기일 것
     3.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4.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수 있을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개구부 기준
1 크기가 지름 50cm 이상
2 개구부 밑부분까지 1.2m 이내
3 차량 진입 가능한 공지
4 쉽게 파괴, 개방 가능할 것
[해설작성자 : 독학화이팅]

12.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KHCO3
     2. NaHCO3
     3. CO2
     4. NH3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KHCO3: 제2종, 탄산수소칼륨
2. NaHCO3: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3. CO2: 이산화탄소
4. NH3: 암모니아
[해설작성자 : 응시자]

13.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알칼리 금속의 과산화물, 질산염류, 과망간산염류의 특징과 화재 시 소화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열 등에 의해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화재 시 산소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2. 가연물, 유기물, 기타 산화하기 쉬운 물질과 혼합물은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하는 수도 있다.
     3.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을 제외하고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4. 그 자체가 가연성이며 폭발성을 지니고 있어 화약류 취급 시와 같이 주의를 요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염류, 무기과산화물은 제1종 위험물이며 산화성 고체 이므로 4번에 가연성은 틀린말이다.
[해설작성자 : 찰리 아담]

14.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철근콘크리트조로 두께가 10㎝ 이상인 벽
     2. 철근콘크리트조로 두께가 5㎝ 이상인 외벽 중 비내력벽
     3. 벽돌조로서 두께가 19㎝ 이상인 벽
     4.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 이상인 벽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7cm 이상

ㅇ 내화구조의 벽 기준(건축물 피난 바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 콘크리트조: 벽두께 10cm이상, 외벽중 비내력벽 7cm이상 : 10에 7로 암기
   - 철골조로 하고 양면에 철망모르타르     : 벽두께  4cm이상, 외벽중 비내력벽 3cm이상
   - 철골조로 하고 콘크리트 블록,벽돌 석재 : 벽두께  5cm이상, 외벽중 비내력벽 5cm이상
   - 벽돌조                            : 벽두께 19cm이상, 외벽중 비내력벽 7cm이상
[해설작성자 : 박길로이]

15. 소방시설 중 피난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무선통신보조설비
     2. 완강기
     3. 구조대
     4. 공기안전매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무선통신보조설비 - 소화활동설비
[해설작성자 : 오니]

16. 폭연에서 폭굉으로 전이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상연소속도가 작은 가스일수록 폭굉으로 전이가 용이하다.
     2. 배관 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폭굉으로 전이가 용이하다.
     3. 배관의 관경이 가늘수록 폭굉으로 전이가 용이하다.
     4. 배관내 압력이 높을수록 폭굉으로 전이가 용이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폭연에서 폭굉으로 전이되기 위한 조건>
1. 연소속도가 큰 혼합가스일수록
2. 배관 내에 장애물이 존재
3. 배관의 관경이 가늘수록
4. 배관내 압력이 높을수록
[해설작성자 : 응시자]

17. 어떤 유기화합물을 원소 분석한 결과 중량백분율이 C : 39.9%, H : 6.7%, O : 53.4%인 경우 이 화합물의 분자식은? (단, 원자량은 C=12, O=16, H=1이다.)
     1. C3H8O2
     2. C2H4O2
     3. C2H4O
     4. C2H6O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원자량 x 원자수) / Σ(원자량 x 원자수)

ex) 중량백분율 H = (1 x 4) / [(12 x 2) + (1 x 4) + (16 x 2)] x 100 = 6.7%
[해설작성자 : 확인요망]

(39.9%/12):(6.7%/1)/(53.4%/16)
=1:2:1
→C와 h와 o의 분자가 1:2:1인것을 찾으면
  C2:h4:o2가 답임
[해설작성자 : 후훗]

18. 유류 탱크의 화재 시 탱크 저부의 물이 뜨거운 열유층에 의하여 수증기로 변하면서 급작스런 부피 팽창을 일으켜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은?
     1. 슬롭 오버(Slop Over)
     2. 블레비(BLEVE)
     3. 보일 오버(Boil Over)
     4. 파이어 볼(Fire Ball)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화재 시 탱크 밑에 있는 물이 끓어오르면서 안에있는 기름을 밖으로 끄집어내어 화재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pwj0611]

보일오버와 슬롭오버의 차이점은
보일오버는 "처음부터" 탱크저부에 물이 위치하여있다가 가열로 인해 급격한 부피팽창을 일으켜 탱크외부로 분출하는 것
슬롭오버는 물이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에 "들어갈 떄" 기름 표면에서 급격한 분출이 일어나면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
[해설작성자 : 리재횬]

1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 두께가 최소 몇 ㎝ 이상인 것을 방화구조로 규정하는가?
     1. 2
     2. 2.5
     3. 3
     4. 3.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철망모르타르 바르기:두께2cm이상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것:두께2.5cm이상
회반죽을 바른것:두께2.5cm이상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것:두께2.5cm이상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것:모두해당
[해설작성자 : 양느]

20. 제4류 위험물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기비중은 공기보다 크다.
     2. 정전기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이 있다.
     3. 인화성 액체이다.
     4. 인화점이 높을수록 증기발생이 용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인화점: 점화원을 가했을 때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온도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수록 증기발생이 용이하여 위험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응시자]


2과목 : 소방전기회로


21. 정현파 전압의 평균값이 150V이면 최댓값은 약 몇 V인가?
     1. 235.6
     2. 212.1
     3. 106.1
     4. 95.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Vmax = Vage*3.14 /2
Vage = 2*Vmax / 3.14

150*3.14 /2 = 235.6

22.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하는 소자로 옳은 것은?
     1. 다이어프램
     2. 가변 저항기
     3. 벨로우즈
     4. 노즐 플래퍼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다이어프램: 압력 --> 변위
3. 벨로우즈: 압력 --> 변위
4. 노즐플래퍼: 변위 --> 압력
[해설작성자 : 응시자]

23.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게이트 회로에서 출력전압은? (단, 다이오드내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1. 10V
     2. 5V
     3. 1V
     4. 0V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다이오드 방향이 접지쪽이므로 OR회로 이므로 5V ( 다이오드 방향 반대는 AND회로)
[해설작성자 : 찰리 아담]

24. 전지의 내부 저항이나 전해액의 도전율 측정에 사용되는 것은?
     1. 접지저항계
     2. 캘빈 더블 브리지법
     3. 콜라우시 브리지법
     4. 메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지 -> 접지
[해설작성자 : 확인요망]

[오류신고 반론]
휘트스톤 브리지의 일종으로,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비례변에 미끄럼 저항선을 사용하고, 전원에 가청 주파수의 교류를 사용하는 점이 특색이며, 전지의 내부 저항이나 전해액의 도전율 등의 측정에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콜라우시 브리지 [Kohlraush bridge] (전자용어사전, 1995. 3. 1., 월간전자기술 편집위원회)
네이버 검색결과로는 전지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히히히힣히]

[오류신고 반론]
메거 : 절연저항 측정
켈빈 더블 브리지법 : 저저항 측정
콜라우시 브리지법 : 전지의 내부저항이나 전해액의 도전율 측정
[해설작성자 : 리재횬]

25. 전자유도현상에서 코일에 생기는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정의한 법칙은?
     1.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2. 플레밍의 왼손법칙
     3. 렌쯔의 법칙
     4.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오른손법칙 : 유기기전력 방향 결정
왼손법칙 : 전자력방향결정
패러데이법칙 : 유기기전력의 크기

[추가 해설]

1.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 도체운동에 의한 유기기전력의 방향 결정
2. 플레밍의 왼손 법칙 : 전자력의 방향 결정
3. 렌쯔의 법칙 : 코에일에 생기는 유도기전력의 방향 결정
4. 패러데이의 법칙 : 유도기전력의 크기 결정
[해설작성자 : 낑깡]

26. 반도체에 빛을 쬐이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은?
     1. 홀효과
     2. 광전효과
     3. 펠티어효과
     4. 압전기효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광전소자 : 광다이오드, 광트랜지스터, 광도전셀 등
[해설작성자 : 충]

27.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모두 직류(DC)로서 출력이 최대 5㎾까지로 견고성이 좋고 토크가 에너지원이 되는 전기식 증폭기기는?
     1. 계전기
     2. SCR
     3. 자기증폭기
     4. 앰플리다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앰플리다인 : 특수 구조의 직류발전기. 회전증폭발전기의 하나이며, 계자전압에 작은 전력의 변화를 주어도 큰 전력의 변화를 유도할수 있다. 증폭도는 5,000~15,000 이다.
[해설작성자 : 가온이아빠]

28. 시퀀스제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계적 계전기접점이 사용된다.
     2. 논리회로가 조합 사용된다.
     3. 시간 지연요소가 사용된다.
     4. 전체시스템에 연결된 접점들이 일시에 동작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체시스템에 연결된 접점들이 일시에 동작할 수 없고, 순차적으로 제어 가능
[해설작성자 : 카시오]

2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압계 3개로 단상전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의 유효전력은?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교류전력 측정시 3전압계법 P=1/2R*(V1^2-V2^2-V3^2)
[해설작성자 : ㅎㅅㅎ]

[추가 해설]
<참고>3전류계법
P=(R/2)*(I3^2-I2^2-I1^2)

30. 어느 도선의 길이를 2배로 하고 전기저항을 5배로 하려면 도선의 단면적은 몇 배로 되는가?
     1. 10배
     2. 0.4배
     3. 2배
     4. 2.5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저항=고유저항*도선길이/단면적
단면적=길이/저항 (고유저항은 일정하니까 제외)
S=2/5=0.4
[해설작성자 : ㅎㅅㅎ]

31. 각 전류의 대칭분 I0, I1, I2가 모두 같게 되는 고장의 종류는?
     1. 1선 지락
     2. 2선 지락
     3. 2선 단락
     4. 3선 단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선 지락: I0=I1=I2
2선 지락: V0=V1=V2
[해설작성자 : 가온이아빠]

32. 입력 r(t), 출력 c(t)인 제어시스템에서 전달함수 G(s)는? (단, 초기값은 0이다.)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c(t)(s제곱+3s+2)=r(t)(s+3)
G(s)=c(t)/r(t)=(s+3)/(s제곱+3s+2)
[해설작성자 : 가온이아빠]

33. 다음 단상 유도전동기 중 기동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셰이딩 코일형
     2. 콘덴서 기동형
     3. 분상 기동형
     4. 반발 기동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기동토크 크기 순서>
반발기동형 > 콘셑서 기동형 > 분상 기동형 > 셰이팅 코일형
[해설작성자 : 응시자]

34. 를 가장 간소화한 것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바 처리
A[B]•(C+[C])+[A][B]•(C+[C])+[A]BC
A[B]+[A][B]+[A]BC = [B]•(A+[A])+[A]BC
[B]+[A]BC = [B]+[A]•[B]+B•[B]C
[B]+[A]•[B]+C = [B]+[A]C
[해설작성자 : 아님말고]

전 이해하기 너무 어려웠네요
이해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부울대수의 정리와 법칙" 검색하셔서 확인하세요
전 분배법칙을 적용안해서 최종답이 안나오고 1번으로 나왔네요
[해설작성자 : 안군이]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분들의 접근방법처럼 부울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울대수를 확실히 모르면 해당방법으로 접근하면 틀릴 확률이 높습니다.)

일단 해당문제는 카르노맵을 사용하는 문제입니다. 카르노맵 해설을 달고 후에 편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카르노맵 그리기 (해당문제는 부울대수보다 카르노맵에 관해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AB'C  + A'BC  + A'B'C + A'B'C' + AB'C'
(101 ,011,001,000,100
해당문제는 카르노맵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AB 00 01 11 10
C   0 (1) 0 0 {1}
     1 [(1) 1] 0 {1}

값에 상관없는거 빼고 고정된거 적는다.
()  C가 0도 들어가고 1도 들어간다. : A'B'
[]  B가 0도 들어가고 1도 들어간다. : A'C
{} C가 0도 들어가고 1도 들어간다 : AB'

A'B' + A'C + AB'
= (A+A')B' +A'C
= B' +A'C

답은 3번이 됩니다.


2. 카르노맵 몰라도 풀 수 있습니다. 다른 분들의 풀이처럼 부울대수 사용할 수 있구요.
만약 한문제라도 맞춰야 하는 상황인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면
시험지 빈공간에 논리회로 그리고 논리식을 하나하나 넣으면됩니다.
(이는 모든 논리식 문제에서 활용할 수 있으니 방법만이라도 익히시기 바랍니다.)

논리식
A   B   C   결과
0   0   0    
0   0   1
0   1   0
0   1   1
1   0   0
1   0   1
1   1   0
1   1   1 ​

보기 또한 논리식을 만들고 하나라도 틀리는순간 가차없이 그어가면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2시간동안 보는 시험이고, 나머지 3과목이 암기과목이기 때문에  문제를 다풀고 나도 한시간이 남습니다.
시험장에서 남는게 시간입니다.  그러니 모르면 논리식문제는 거져주는 문제라 생각하고 노가라로라도 풀기 바랍니다.

2.
논리회로를 조금이라도 공부해보셨다면
ABC는 8개의 경우의 수가 있다고 볼 수 있고

AB'C  + A'BC  + A'B'C + A'B'C' + AB'C'
​이 자체가 논리식이됩니다. (모르면 위에방법으로 논리회로 그리고 8가지 경우의 수 넣어서 출력보는겁니다.)

논리식
A   B   C   결과
0   0   0    1
0   0   1    1
0   1   0    0
0   1   1    1
1   0   0    1
1   0   1    1
1   1   0    0
1   1   1 ​   0

보기 또한 논리식을 만들어 줍시다. (정답인 3번만 봅시다.)
(마지막이 OR로 묶여있어 B가 0이 들어가는 순간 1이됩니다.)
(A'C가 1이 되는 경우는 01 일때 입니다. 01들어가는 모든 경우는 1이됩니다.
A   B   C   결과
0   0   0    1
0   0   1    1
0   1   0    0
0   1   1    1
1   0   0    1
1   0   1    1
1   1   0    0
1   1   1 ​   0

정답은 3번이 됩니다.

여러분 소방원론, 법규, 전기구조 다 풀어도 30분~한시간 밖에 안지나갑니다.
2시간 시험에서 논리식문제는 논리회로 그리면서 풀어도 시간이 남아요.
거져주는 문제라 생각합시다!
[해설작성자 : 남는게 시간입니다. ]

다른 분들께서 해설 적어주신 것처럼 부울대수법칙, 카르노맵, 직접 대입해 계산 등 방법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위 세가지 방법 모두 자신이 없다고 하시면
밴다이어그램을 그리고 보기와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초보자가 가장 쉽게 익힐 수 있는 방법입니다.

AB'C  + A'BC  + A'B'C + A'B'C' + AB'C'를 밴다이어그램으로 그리면
AB'+C의 모양이 그려지는데, 보기에는 없지만 그려보시면 보기 중 어느 식과 같은 모양인지 알 수 있을 겁니다.
[해설작성자 : 꿈돌이소금빵]

35. 한 상의 임피던스가 Z=16+j12Ω인 Y결선 부하에 대칭 3상 선간전압 380V를 가할 때 유효전력은 약 몇 ㎾인가?
     1. 5.8
     2. 7.2
     3. 17.3
     4. 21.6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Iy=V/루트3×Z=380/루트3×루트16^2+12^2=380/루트3×20=19/루트3=약10.96
2. P=I^2R 이므로 10.96^2×16(=저항R)=약1925
3. 3상이므로 2번에서 구한 값 1925에 3을 곱하면 5776
4. kW로 바꾸면 5.8
[해설작성자 : 로빈조]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같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쉽게 구해보세요.
V^2/R+X=W+VAR 값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앞에있는 값은 소비전력값이 되고 뒤에 값은 무효전력값이 되니 둘다 구할 수 있으며, 계산기에서 변환법을 이용하여 피상전력또한 한번에 구할 수 있습니다.

ex)380^2/16+j12 = 5776-4332j 이므로, 유효전력 : 5.8kw, 무효전력 : 4.3kvar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날라리]

유효전력 p
= (V^2 * R) / R^2 + X^2 이 방식으로 하시면
   (380^2 * 16) / 16^2 + 12^2 → 5776 이 나오고
   kW 이므로 5776 * 0.001 => 5.776 = 5.8 kW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크런키]

36. 10㎌인 콘덴서를 60㎐ 전원에 사용할 때 용량 리액턴스는 약 몇 Ω인가?
     1. 250.5
     2. 265.3
     3. 350.5
     4. 465.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L=1/2×3.14×f×c = 2×3.14×60×10×10-6승
2파이 에프 씨분에 일 ㅎㅎ

[추가 해설]

*리액턴스의 크기(X)=전압의진폭/전류의진폭

*용량 리액턴스(Xc)= 1/2πfc
>즉,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저항이 낮아진다.
    고주파에서 저항 크다
    저주파에서 저항 작다
[해설작성자 : ㄱㄴㄷ]

37. 다음 소자 중에서 온도 보상용으로 쓰이는 것은?
     1. 서미스터
     2. 바리스터
     3. 제너다이오드
     4. 터널다이오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서미스터 : 온도보상용
바리스터 : 서지방지용
제너다이오드 : 정전압유지용
터널다이오드 : 발진, 증폭, 스위칭 작용
[해설작성자 : 타이코 존슨]

38. 용량 10kVA의 단권변압기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면 역률 80%의 부하에 몇 ㎾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가?

    

     1. 8
     2. 54
     3. 80
     4. 88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자기용량/부하용량) = (Vh - V)/Vh
※부하용량 = (자기용량 × Vh) ÷ (Vh - Vi)
         =(10*3300)÷(3300-3000)
         =110kVA
※부하전력 = 부하용량×역률
        = 110*0.8 = 88kW
[해설작성자 : 충~]

39. 1㎝의 간격을 둔 평행 왕복전선에 25A의 전류가 흐른다면 전선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은 몇 N/m이며, 이것은 어떤 힘인가?
     1. 2.5×10-2, 반발력
     2. 1.25×10-2, 반발력
     3. 2.5×10-2, 흡인력
     4. 1.25×10-2, 흡인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왕복평행도체에 흐르는 전류(왕복전류)는 전류1과 전류2는 상호반대임을 의미함으로 작용력의 성격은 반발력.
F=2 x 전류1 x 전류2 /r(두 도체간의 간격 [m])
[해설작성자 : 합격응위해]

평행한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일때(왕복)는 반발력이 작용하고 계산식은
F=(2*전류1*전류2/거리)*10^-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두 도선
        μI1I2
F  = --------------
          2πd

       μ x 25 x 25
   = ------------------
        2 x πx 0.01

μ(뮤) I1(전류) I2(전류) π(파이) d (지름 m)
[해설작성자 : 태운 아빠]

40.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회로의 논리식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병렬은 논리합, 직렬은 논리곱
[해설작성자 : 응시자]



3과목 : 소방관계법규


41. 소방시설공사업법령에 따른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자의 설계범위 기준 중 틀린 것은?
     1. 연면적 30,000m2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로서 공항시설
     2. 연면적 100,000m2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 (단, 아파트등은 제외)
     3.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30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단, 아파트등은 제외)
     4. 하나의 건축물에 영화상영관이 10개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제15조의3(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
1.연면적 20만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다만 아파트 등은 제외한다.
2.건축물의 높이가 100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3.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30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4.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공항시설
5.하나의 건축물에 영화상영관이 10개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시행 2015. 1. 6] [대통령령 제26031호, 2015. 1. 6, 일부개정]
제2조의2(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 법 제11조제2항에 따라 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신축 건축물을 말한다.
1. 연면적(「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4호에 따라 산정한 면적을 말한다. 이하 같다) 20만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다만,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제1호가목의 아파트는 제외한다.
2. 건축물의 높이가 100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30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을 포함한다). 다만,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제1호가목의 아파트는 제외한다.

2015. 6. 22.개정 시 해당 항목이 사라졌으므로 이 문제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꿈돌이소금빵]

4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인화성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를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
     1.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2.0m 이하로 할 것
     2. 방유제내의 면적은 100,000m2 이하로 할것
     3.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20% 이상으로 할 것
     4. 높이가 1m를 넘는 방유제 및 간막이 둑의 안팎에는 방유제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m마다 설치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높이0.5~3m
면적80000m^
탱크1기탱크용량의110퍼이상
              2기 최대용량의 110

43. 소방기본법에 따른 소방력의 기준에 따라 관할구역의 소방력을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는 자는?
     1. 소방서장
     2. 소방본부장
     3. 시ㆍ도지사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본, 서, 대 는 묶여다니는 사람들이고

행정안전부장관, 대통령, 경찰, 부동산업자, 군인 등은 소방법규의 등장인물이 아닙니다.
절대 정답이 아닙니다. 절대 고르면 안됩니다. / 틀린거 고를때는 무조건 입니다. (그러나 거의 그렇게 쉽게 않나옵니다.)
(대통령령, 행안부령 만 있습니다.)

아닌거 골라라 맞는거 골라라 할 때
보기에 : 1. 본 2. 서 3. 대
이 3명은 함께 다녀야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찍어야하는 상황에선 절대 고르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본, 서, 대는 한몸이다.]

1. 대통령(령) : 소방장비 등에 대한 국고보조 기준 규정
2. 소방청장 : 소방력의 동원에 대한 기준 규정 및 각 시·도지사에게 요청
3. 시·도지사 : 소방력의 확충을 위해 필요한 계획 수립·시행
4. 행정안전부(령) : 소방력의 기준 등 규정
[해설작성자 : 우한맨]

44.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장에서 불꽃을 사용하는 용접ㆍ용단기구 사용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반경 몇 m 이내에 소화기를 갖추어야 하는가? (단,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조치의 적용을 받는 사업장의 경우는 제외한다.)
     1. 1
     2. 3
     3. 5
     4. 7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소방기본법 시행령 제5조관련 별표 1)
불꽃을 사용하는 용접 용단기구는 반경 5M이내 소화기를 갖추어야할것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장 주변 반경 10M이내에는 가연물을 쌓아두거나 놓아두지 말것, 단 가연물 제거가 곤란하여 방지포 등으로 방호조치를 한경우는 제외한다

45. 소방기본법에 따른 벌칙의 기준이 다른 것은?
     1. 정당한 사유 없이 불장난, 모닥불, 흡연, 화기 취급, 풍등 등 소형 열기구 날리기, 그 밖에 화재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에 따른 명령에 따르지 아니하거나 이를 방해한 사람
     2. 소방 활동 종사 명령에 따른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번지지 아니하록 하는 일을 방해한 사람
     3.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용수시설 또는 비상소화장치를 사용하거나 소방용수시설 또는 비상소화장치의 효용을 해치거나 그 정당한 사용을 방해한 사람
     4. 출동한 소방대의 소방장비를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하여 화재진압ㆍ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한 사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200만원 이하의 벌금
2.5년이하의징역 5천만원이하의벌금
3.5년 5천이하벌금
4.5년 5천이하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소방용수,비상소화장치와 헷갈리는거
물의사용이나 수도 개폐조작,생활안전활동은 100이하벌금
소방용수 비상소화장치는 5년이하 5천만원이하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소방대원에게 실시할 교육ㆍ훈련 횟수 및 기간의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 ㉡ 2
     2. ㉠ 2, ㉡ 4
     3. ㉠ 1, ㉡ 2
     4. ㉠ 1, ㉡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소방법규 교육,훈련 정리해드립니다(1,2분법 한정 나머진 알아서 찾을것)
-------------1분법------------
화재경계지구내 소방에 필요한 훈련 및 교육
-본서장이 관계인에게 연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교육 10일전 통보해야한다)
화재경계지구내 소방특별조사
-연1회이상 본서장이 실시해야한다

소방용수시설조사:월1회(조사결과 보관기간:2년)

소방대원 교육: 2년에 1회 2주이상-본서장이 실시해야한다
-------------2분법------------
소방특별조사 시기-정해진거 없음
소방특별조사 실시-청본서장이 시작 7일전 관계인에게
소방특별조사 연기-관계인이 시작 3일전 청본서장에게

소방훈련 및 교육:연1회이상
-관계인이 근무자 및 거주자한테 실시 해야한다
소방안전교육:교육 10일전까지 교육 대상자에게 통보
-본서장이 관계인에게 실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정리자]

4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화재안전기준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는 특수한 용도 또는 구조를 가진 특정소방대상물 중 핵폐기물처리시설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은?
     1. 소화용수설비
     2. 옥외소화전설비
     3. 물분무등소화설비
     4. 연결송수관설비 및 연결살수설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원자력발전소, 핵폐기물처리시설에는 연결송수관설비 및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소방초짜]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특정소방대상물 중 의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요양병원
     2. 마약진료소
     3. 한방병원
     4. 노인의료복지시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노인의료복지시설 ---> 노유자 시설
[해설작성자 : 공어장]

의료시설
1,병원:요양병원 병원 한방병원 치과병원 종합병원
2.격리병원:마약치료소,전염병원
3.장애인의료재활시설
4.정신의료기관
[해설작성자 : 너 내가 누군지아니?]

4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특정소방대상물의 수용인원의 산정방법 기준 중 틀린 것은?
     1. 침대가 있는 숙박시설의 경우는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종사자 수에 침대수 (2인용 침대는2인으로 산정)를 합한수
     2. 침대가 없는 숙박시설의 경우는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종사자 수에 숙박시설 바닥면적의 합계를 3m2로 나누어 얻은 수를 합한 수
     3. 강의실 용도로 쓰이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는 해당 용도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를 1.9m2로 나누어 얻은 수
     4. 문화 및 집회시설의 경우는 해당 용도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를 2.6m2로 나누어 얻은 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강당,문화 및 집회시설,운동시설,종교시설: 해당 용도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를 4.6m2 나누어 얻은 수(관람석이 있는 경우 고정식 의자를 설치한 부분은 그 부분의 의자 수로 하고, 긴 의자의 경우에는 의자의 정면너비를 0.45m로 나누어 얻은 수로 한다)

5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 및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공공기관의 장은 작동기능점검을 실시한 경우 며칠 이내에 소방시설등 작동기능 점검 실시 결과 보고서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020년 8월부터 7일로 개정
[해설작성자 : Naib]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임시소방시설 중 간이소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사의 작업 현장의 규모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000, ㉡ 6, ㉢ 150
     2. ㉠ 1000, ㉡ 6, ㉢ 600
     3. ㉠ 3000, ㉡ 4, ㉢ 150
     4. ㉠ 3000, ㉡ 4, ㉢ 60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제15조의5(임시소방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 등) 별표5의2
1.임시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공사의 종류와 규모
나.간이소화장치
1)연면적3천제곱 이상
2)지하층,무창층 또는 4층 이상의 층. 이 경우 해당 층의 바닥면적이 6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추가 해설]
임시소방시설
소화기 비상경보장치 간이소화장치 간이피난 유도선
간이소화장치:연면적 3000이상 지,무,4층이상 바닥 600이상
비상경보장치:연면적 400이상 지,무 바닥 150이상
간이피난유도선:- 지,무 바닥 150이상
암기tip 맨위에 간소(간이소화장치) 마지막에 간피유(간이피난유도선) 고정
[해설작성자 : xijin핑핑]

5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 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틀린 것은?
     1.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시설로서 종교시설
     2.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4. 노유자시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근린생활시설 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크럽장,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수영장을 제외한것. 숙박시설, 종합병원,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2.노유자시설, 의료시설중 정신보건시설(입원실이 없는 정신과의원은제외)
및 숙박이 가능한 청소년 시설
3.다중이용업의 영업장
4.11층 이상인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우선제외:수영장,아파트)
1.근린생활 시설중 의원 체력단련장 공연장 및 종교집회장
2.(문집 종교 운동)시설   (운동시설중 수영장제외)
3.의료시설
4.교육연구시설중 합숙소
5.노유자시설
6.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7.숙박시설
8.방송통신시설중 방송국 및 촬영소
9.다중이용업소
10.11층이상인 것 (아파트제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소방시설공사업법령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중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등을 구성하는 것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설, 이전 또는 정비하는 공사의 착공신고 대상이 아닌 것은?
     1. 수신반
     2. 소화펌프
     3. 동력(감시)제어반
     4. 제연설비의 제연구역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문제 오류: 착공신고 <제외대상이 아닌것>으로 바뀌어야함.
착공신ㄱ도 제외대상 --> 수신반, 동력(감시)제어반, 소방펌프.
그래서 답은 제연설비의 제연구역이 도힘
[해설작성자 : 뭉게구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이 틀렸습니다. 문제의 오류는 없습니다.
착공신고 대상 : 수신반, 소화펌프, 동력(감시)제어반 이 맞습니다.
그래서 착공신고 대상이 아닌것에 답이 4번이 되는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케넨]

[오류신고 반론]
소방시설공사업법령 제4조(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 대상)
3.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등을 구성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설(改設), 이전(移轉) 또는 정비(整備)하는 공사. 다만, 고장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하여 작동시킬 수 없는 소방시설을 긴급히 교체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신고하지 않을 수 있다.
  가. 수신반(受信盤)
  나. 소화펌프
  다. 동력(감시)제어반

따라서 착공신고 대상은 수신반, 소화펌프, 동력(감시)제어반이며 제연설비의 제연구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꿈돌이소금빵]

5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소화난이도등급I의 옥내탱크저장소에서 유황만을 저장ㆍ취급할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소화설비로 옳은 것은?
     1. 물분무소화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포소화설비
     4. 옥내소화전설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유황은 제 2류 위험물로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를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펭터리]

55. 피난시설, 방화구획 또는 방화시설을 폐쇄ㆍ훼손ㆍ변경 등의 행위를 3차 이상 위반한 경우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0만 원
     2. 300만 원
     3. 500만 원
     4. 1000만 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53조제2항제1호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0 제2호에 의거하여

1차-100만 2차-200만 3차-300만 입니다.
[해설작성자 : 산청사람]

[관리자 입니다. 2018년 09월 15일자 시험에는 위 규정 적용하여 300만원이 맞습니다.
오류신고 자제 부탁 드리며
규정이 바뀌면 바뀐 규정을 알려주시면 추가하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공동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고층 건축물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몇층 이상인 건축물만 해당되는가?
     1. 6층
     2. 11층
     3. 20층
     4. 30층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동소방안전관리자 선임
1. 고층건축물(지하층 제외 11층 이상인 건축물)
2. 지하가(지하의 인공구조물 안에 설치된 상점 및 사무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이 연속하여 지하도에 접하여 설치된 것과 그 지하도를
    합한 것을 말한다.)
3.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것 또는 층수가 5층 이상인 것
4. 판매시설 중 도매시장 또는 소매시장
[해설작성자 : 소방초보]

엄청 헷갈리는것 비교 구분
공동소방안전관리:(지하층)을 제외한 11층이상
현장확인대상물:(아파트)를 제외한 11층이상

공동소방안전관리:(복합건축물로서) 연 5000이상 또는 층수가 5층이상인것
종합정밀검사;(물분무소화설비가) 설치된 연 5000이상 특정소방대상물

+추가
소방안전관리 보조자:300세대 이상아파트
상주공사감리:지하층을 포함한 16층으로서 500세대 이상아파트
[해설작성자 : 택똥이]

5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제조소의 옥외에 있는 위험물취급탱크 용량이 100m3및 180m3인 2개의 취급탱크 주위에 하나의 방유제를 설치하는 경우 방유제의 최소 용량은 몇 m3이어야 하는가?
     1. 100
     2. 140
     3. 180
     4. 28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제조소 1기=탱크용량50%    2기=최대50%+나머지10%
옥외탱크 1기=탱크용량110%  2기=최대50%+나머지10%

[추가 해설]

1. 위험물제조소의 옥외 위험물 취급 탱크
   1기 : 탱크용량 50% 이상, 2기이상 : 탱크들 중 최대용량 50% + 나머지 합산 * 10%
2. 위험물제조소의 옥내 위험물 취급 탱크 -> 방유턱
   1기 : 탱크용량 이상 , 2기이상 : 탱크들 중 최대용량
3.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
   1기 : 탱크용량 110%(비인화는 100%), 2기이상 : 탱크들 중 최대용량 110%(비인화는 100%)
    --> 위 해설 중 옥외탱크에 대한 부분 수정 필요.

해당 문제는 1. case임.

180 * 0.5 + 100 * 0.1 = 100m3
[해설작성자 : 열공파파]

5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소방안전 특별관리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대상 전통시장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
     2. 300
     3. 500
     4. 60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4조 2 (소방안전 특별관리시설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통시장이란 점포수가 500개 이상인 전통시장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옥정동신똘이]

5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정기점검의 대상인 제조소등의 기준 중 틀린 것은?
     1. 암반탱크저장소
     2. 지하탱크저장소
     3. 이동탱크저장소
     4.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의 옥외탱크저장소
[해설작성자 : Sungrak]

10 일
100 옥외
150 옥내
200 옥외탱
암반 지하 이동
[해설작성자 : Naib]

60.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화재경계지구의 관리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월 1, ㉡ 7
     2. ㉠ 월 1, ㉡ 10
     3. ㉠ 연 1, ㉡ 7
     4. ㉠ 연 1, ㉡ 1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방기본법 시행령
제4조(화재경계지구의 관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연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게
훈련 또는 교육 10일 전까지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옥정동신똘이]

소방법규에서 유일한 월1회 이상은 소방용수시설 조사 (본서) 뿐이다.

대부분은 연1회 이상으로 찍으면된다.
[해설작성자 : 소방용수시설을 안외웠네]


4과목 :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분배기ㆍ분파기 및 혼합기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1. 먼지ㆍ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임피던스는 50Ω의 것으로 할 것
     3.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4.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번은 증폭기 및 무선이동중계기의 설치기준입니다
[해설작성자 : 마블링]

62. 피난기구의 용어의 정의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구조대
     2. 완강기
     3. 간이완강기
     4. 다수인피난장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완강기 : 한명이 완강기를 착용하고 내려가면 다른 줄에 걸린 완강기가 올라가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간이 완강기 : 말 그대로 간이, 일회용입니다. 한명이 완강기를 착용하고 내려가면 그게 끝입니다.
[해설작성자 : 소방초보]

63.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는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몇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0.1
     2. 0.15
     3. 1.0
     4. 1.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시각경보기 설치기준
   1. 복도, 통로, 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로비, 회의실, 강의실, 전시실등)에 설치
       ※ 거실은 15m*15m 마다 1개씩, 복도는 15m마다 1개씩
   2. 각 부분으로 부터 유용한 경보를 바랄 수 있는 위치에 설치
   3. 공연장, 집회장, 등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에 설치
   4. 설치 높이는 2~2.5m, 다만 천장높이가 2m 미만인 경우 천장으로부터 0.15m이내 설치
   5. 시각경보기장치의 광원은 전용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할것, 다만 시각경보기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식승인을 얻은 수신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다.
        ※ 시각경보기 장치는 신호입력 후 3초이내 작동, 정지하고 1초당 1회~3회 점멸할 것
   6.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이상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어느 수신기에서도 시각경보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소방초보]

6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연기복합형 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부착높이는?
     1. 4m 이상 8m 미만
     2. 8m 이상 15m 미만
     3. 15m 이상 20m 미만
     4. 20m 이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0m이상
- 불꽃감지기
- 광전식(분리형, 공기흡입형) 중 아날로그 방식
[해설작성자 : 젠]

65. 비상조명등의 설치 제외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2
     2. 5
     3. 15
     4. 2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제5조(비상조명등의 제외)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2. 8. 20.>

1.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m이내인 부분
2. 의원·경기장·공동주택·의료시설·학교의 거실

② 지상1층 또는 피난층으로서 복도·통로 또는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피난이 용이한 경우 또는 숙박시설로서 복도에 비상조명등을 설치 한 경우에는 휴대용비상조명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플라]

66. 각 소방 설비별 비상전원의 종류와 비상전원 최소용량의 연결이 틀린 것은? (단, 소방설비 – 비상전원의 종류 – 비상전원 최소용량 순서이다.)(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 – 축전지설비 – 20분
     2. 비상조명등설비 – 축전지설비 또는 자가발전설비 – 20분
     3.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 축전지설비 또는 자가발전설비 – 20분
     4. 유도등 – 축전지 – 20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추가 해설]
비상 전원의 용량중
자동화재 탐지설비,자동화재속보설비,비상경보설비 의 비상 전원 용량은 10분이상(단 30층 이상은 30분 이상) 비상 전원은 축전지 입니다
유도등의 비상전원은 축전지로 비상전원 용량은 20분이상 입니다(단 지하상가및 11층(지하층제외) 이상의 유도등은 60분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뚜기]

67.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부착높이 4m 이상 20m 미만에는 3종 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다.
     2.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 1종 및 2종은 보행거리 30m마다 설치한다.
     3.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 3종은 수직거리 10m마다 설치한다.
     4. 감지기는 벽이나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0. 연기감지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가. 감지기의 부착높이에 따라 다음 표에 따른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나.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m(3종에 있어서는 20m)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다.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라.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마.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이해가 안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 보행거리 30m 마다 설치한다.

[관리지 입니다.
오류신고 내용처럼 다른 문제집에서는 보기 내용을 바꾸어서
2번만 정답처리한듯 합니다.
참고하세요.]

68.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것으로서 두께는 최소 몇 ㎜ 이상의 철판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1.2
     3. 1.5
     4. 1.6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69.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틀린 것은? (단, 사람이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1. 판매시설 중 전통시장
     2.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3.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건축물만 해당)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4. 업무시설, 공장, 창고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ㆍ군사시설, 발전시설(사람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에는 무인경비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시설만 해당)로서 바닥면적이 1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 <개정2018.06.26>

1. 업무시설, 공장, 창고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발전시설(사람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에는 무인경비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시설만 해당한다)로서 바닥면적이 1천5백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노유자 생활시설

3. 2)에 해당하지 않는 노유자시설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4.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건축물만 해당한다)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5.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6. 1)부터 5)까지에 해당하지 않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

7.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가) 요양병원(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은 제외한다)
   나)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8. 판매시설 중 전통시장
[해설작성자 : 또봉이통닭]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
노유자 생활시설, 30층 이상 건축물, 목조건축물 (문화재), 전통시장 : 필수설치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숙박시설포함) , 요양병원 : 500미터제곱이상
공장,업무시설,국방군사시설,발전시설 : 1500미터제곱이상
[해설작성자 : 지피지기]

지하가 중 터널은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인생뭐있나~]

70. 비상방송설비의 배선과 전원에 관한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
     1.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11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1㏁ 이상이 되도록 한다.
     2.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3.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 상태를 3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ㆍ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 등에 설치하되 60V 미만의 약전류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번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 //절연저항 0.1M옴
2번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것
3번 감시 60분에 지속 10분 경보 / 30층이상 30분 경보
[해설작성자 : 마블링]

71. 7층인 의료시설에 적응성을 갖는 피난기구가 아닌 것은?
     1. 구조대
     2. 피난교
     3. 피난용트랩
     4. 미끄럼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미끄럼대 -> 3층
[해설작성자 : 아자]

72.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구조 및 성능기준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65, ㉡ 단독경보형감지기
     2. ㉠ 65, ㉡ 자동화재탐지설비
     3. ㉠ 80, ㉡ 단독경보형감지기
     4. ㉠ 80, ㉡ 자동화재탐지설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73. 비상방송설비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 ㉡ 15
     2. ㉠ 2, ㉡ 25
     3. ㉠ 3, ㉡ 15
     4. ㉠ 3, ㉡ 25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74. 누전경보기 전원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5, ㉡ 30
     2. ㉠ 15, ㉡ 20
     3. ㉠ 10, ㉡ 30
     4. ㉠ 10, ㉡ 2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75. 유도등 예비전원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알칼리계 2차축전지
     2. 리튬계 1차축전지
     3. 리튬 이온계 2차축전지
     4. 수은계 1차축전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기,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해설작성자 : 찰리 아담]

76. 축광방식의 피난유도선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50, ㉡ 50
     2. ㉠ 50, ㉡ 100
     3. ㉠ 100, ㉡ 50
     4. ㉠ 100, ㉡ 1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도표지 화재안전기준 제8조의 2 피난유도선 설치기준
축광방식 피난유도선 설치시
    ①-가. 바닥으로부터 높이 50㎝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
    ①-나. 피난유도 표시부는 50c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
[해설작성자 : BTC다람]

축광방식 : 0.5M 이내에 설치
광원점등방식 : 1M 이내에 설치
[해설작성자 : 참억울하거등요]

축광방식과 광원점등방식의 비교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 0.5m이내 설치 / 1.0m이내 설치
간격 : 0.5m 마다 설치 / 0.5m 마다 설치 (단, 장애물이 있을 경우는 1m 마다 설치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지피지기]

77.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400, ㉡ 5
     2. ㉠ 300, ㉡ 5
     3. ㉠ 400, ㉡ 3
     4. ㉠ 300, ㉡ 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누설동축케이블 설치기준
- 소방전용
- 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것
- 고압의 전로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 (정전기 차폐장치 한 경우 제외)
- 임피던스 50옴

무선기 접속단자 설치기준
- 보행거리 300m 이내 다른 용도와 5m 이상 거리를 둘 것

증폭기
- 축전지, 전기저장장피, 교류옥내간선, 배선 전용
- 표시등, 전압계
- 30분 이상 작동

설치제외
- 지하층 바닥부분 2면 이상이 지표면과 동일 하거나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1m 이하인 경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내력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500, ㉡ 2
     2. ㉠ 500, ㉡ 3
     3. ㉠ 1000, ㉡ 2
     4. ㉠ 1000, ㉡ 3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50v 이하 1000
150v 이상 x 2 + 1000
[해설작성자 : 영햄]

7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한 설정기준 중 틀린 것은?
     1. 지하구의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800m 이하로 할 것
     2.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 이하로하고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4.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하구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700m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Passion5]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항 법개정으로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중국인이 아니라 천만다행이다]

80.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지하구, 모래ㆍ석재 등 불연재료 창고 및 위험물 저장ㆍ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한다.)
     1.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이상인 것
     2. 공연장으로서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 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400m 이상인 것
     4. 3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5
비상경보설비 설치대상
    ① 연면적 400m^2 이상 (지하가 중 터널/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식물 관련시설 제외)
    ② 지하층/무창층의 바닥면적 150m^2 이상, 공연장인 경우 바닥면적 100m^2 이상
    ③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
[해설작성자 : BTC다람]

3번에 지하가중 터널로서 길이가 400m이상인 것 ---> 500m입니다
[해설작성자 : 카와이시라]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0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3 187
1769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289663) 좋은아빠되기 2020.12.08 187
1768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356542) 좋은아빠되기 2016.11.12 187
1767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10월 16일(8106740)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86
1766 컴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2월 15일(549496) 좋은아빠되기 2022.07.07 185
1765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9월 20일(219908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85
1764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13일(4687076) 좋은아빠되기 2022.05.29 185
1763 해양자원개발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5월 11일(9758421) 좋은아빠되기 2022.05.27 185
1762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562163) 좋은아빠되기 2016.08.30 185
1761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3 184
1760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990150) 좋은아빠되기 2018.06.28 184
1759 T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470148) 좋은아빠되기 2016.11.16 184
1758 수능(국사)(2013년이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14271)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84
1757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570517) 좋은아빠되기 2017.03.15 183
1756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266447) 좋은아빠되기 2016.11.15 183
1755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4회) 좋은아빠되기 2016.10.30 183
1754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4월 11일(274457)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82
1753 주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7월 18일(4회)(3409912) 좋은아빠되기 2022.04.25 182
»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82
1751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1.11.06 182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