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 03월 05일(4603504)


1과목 : 시스템 프로그래밍


1.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2진수로만 이루어진 언어를 의미하는 것은?
     1. assembly language
     2. high level language
     3. assembler
     4. machine languag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2.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1. Binary Search Tree
     2. Binary Tree
     3. Parse Tree
     4. Skewed Tre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3. IBM 메인프레임 O/S에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로, 일괄 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하부 시스템을 시작하는 방법을 시스템에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Memory Address Register
     2. Task Scheduling Processor
     3. Mainframe Adventure
     4. Job Control Languag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4.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가 어렵다.
     2.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메모리가 많이 소요된다.
     3.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4.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5. 매크로의 처리 순서 중 괄호 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컴파일러
     2. 어셈블러
     3. 인터프리터
     4. 로더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6.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볼 수 없는 것은?
     1. Compiler
     2. Macro Processor
     3. Loader
     4. Spreadsheet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7.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들이 차례로 준비상태 큐에 들어왔을 경우 SJF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하여 제출시간이 없는 경우의 평균 실행시간은?

   

     1. 10
     2. 11
     3. 18
     4. 2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8. 어셈블리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머신코드를 니모닉 심볼(mnemonic symbol)로 표현한 것이다.
     2. 프로세서(CPU)에 따라 같은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명령어가 다르다.
     3. machine 명령문과 pseudo 명령문이 있다.
     4. high level 의 언어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9. 매크로와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정의는 주프로그램에서 매크로의 이름을 기술하는 것이다.
     2. 매크로 호출은 정의된 매크로 이름을 주프로그램에 기술하는 것이다.
     3. 매크로 확장은 매크로 호출부분에 정의된 매크로 코드를 삽입하는 것이다.
     4. 매크로 라이브러리는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매크로들을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10. 로더(loader)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ompile
     2. allocation
     3. linking
     4. relocation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11.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주기억장치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2. 중앙처리장치의 시간이 프로세서에게 나누어서 할당된다.
     3.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가 동시에 수행된다.
     4.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수행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12.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어는 0과 1의 2진수 형태로 표현되며 수행시간이 빠르다.
     2. 어셈블리 언어는 기계어와 1:1로 대응되는 기호로 이루어진 언어이다.
     3. 기종에 상관없이 기계어가 동일하므로 호환성이 높다.
     4. 고급언어는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를 사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13. 원시 프로그램을 컴파일러가 수행되고 있는 컴퓨터의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종에 맞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은?
     1. 디버거
     2. 인터프리터
     3. 프리프로세서
     4. 크로스 컴파일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14. 일반적인 로더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Direct Linking Loader
     2. Dynamic Loading Loader
     3. Absolute Loader
     4. Compile And Go Loader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15. 2패스 어셈블러에서 패스1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Symbol Table
     2. Literal Table
     3. Machine-Operation Table
     4. Base Tabl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16. 매크로 프로세서가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할 작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매크로 정의 인식
     2. 매크로 정의 저장
     3. 매크로 호출 인식
     4. 매크로 호출 저장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17. 링킹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실제적으로 기계 명령어와 자료를 기억 장소에 배치한다.
     2.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한다.
     3. 프로그램들에 기억 장소 내의 공간을 할당한다.
     4. 목적 모듈간의 기호적 호출을 실제적인 주소로 변환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18.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있는 페이지들 중에서 어느 페이지를 교체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교체 기법 중 가변 할당 기반의 교체 기법이 아닌 것은?
     1.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
     2. VMIN(Variable MIN) 알고리즘
     3. WS(Working Set) 알고리즘
     4. PFF(Page Fault Frequency) 알고리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19. 페이지 교체 기법 중 가장 오래 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할 페이지로 선택하는 기법은?
     1. FIFO
     2. LRU
     3. LFU
     4. SECOND CHANC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20.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비용
     2. 처리 능력
     3. 사용 가능도
     4. 신뢰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2과목 : 전자계산기구조


21. 다음 마이크로 연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와 B의 값을 덧셈한 결과가 0이 아니면 R2와 R3의 값을 덧셈하여 그 결과를 R1에 전송한다.
     2. A 또는 B가 참이면 R2와 R3의 값을 덧셈하여 그 결과를 R1에 전송한다.
     3. A와 B의 값을 덧셈하여 플래그를 변경시키는 것과 동시에 R2와 R3의 값을 덧셈하여 그 결과를 R1에 전송한다.
     4. A 또는 B를 연산할 때 오류가 없으면 R2와 R3의 값을 덧셈하여 그 결과를 R1에 전송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22. 캐시(cache) 액세스 시간이 11sec, 주기억장치 액세스 시간이 20sec, 캐시 적중률이 90%일 때 기억장치 평균 액세스 시간을 구하면?
     1. 1sec
     2. 3sec
     3. 9sec
     4. 13sec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23. 다음 회로의 출력 Y 값은?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24. 1워드당 32비트인 컴퓨터 명령어 시스템에서 OPCODE가 8비트, 주소모드가 1비트인 경우에 이 컴퓨터가 가질 수 있는 레지스터의 최대 수는?(단, 기억장소의 크기는 1 메가바이트 이다.)
     1. 3
     2. 4
     3. 8
     4. 1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25. 다음 기억장치 중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이라고 하는 것은?
     1. 주기억 장치
     2. Cache 기억장치
     3. Virtual 기억장치
     4. Associative 기억장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26. 다음 내용은 LOAD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다. 이 가운데 어떤 명령어든지 수행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끼리 나열한 것은?(단, Rs1, Rd, S2 : 레지스터 주소)

    

     1. 1, 2, 3, 6
     2. 2, 3, 4, 6
     3. 3, 4, 5, 6
     4. 1, 3, 5, 6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27. 1개의 Full adder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의 Half adder가 필요한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28. 기억장치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틀린 것은?
     1. 1GB(Giga Byte) = 230 Byte
     2. 1TB(Tera Byte) = 1024 PB(Peta Byte)
     3. 1MB(Mega Byte) = 1024 KB(Kilo Byte)
     4. 1MB(Mega Byte) = 220 Byt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29. 다음 기억장치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ssociative memory는 데이터의 내용으로 병렬 탐색을 하기에 알맞도록 되어 있다.
     2.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associative memory와 CAM이 DRAM보다 가격이 싸다.
     3. associative memory는 각 셀이 외부의 인자와 내용을 비교하기 위한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다.
     4. CAM의 탐색은 전체 워드 또는 한 워드 내의 일부만을 가지고 시행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30. 우선순위 중재 방식 중 중재동작이 끝날 때마다 모든 마스터들의 우선순위가 한 단계씩 낮아지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았던 마스터가 최상위 우선순위를 가지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회전 우선순위
     2. 임의 우선순위
     3. 동등 우선순위
     4. 최소-최근 사용 우선순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31. 레코드의 삽입(Insertion)이나 삭제(Deletion)가 빈번할 때 가장 적합한 데이터 구조는?
     1. Array 구조
     2. 계층 구조
     3. Binary Tree 구조
     4. Linked list 구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32. 회로의 논리함수가 다수결 함수(Majority Function)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전가산기
     2. 전감산기
     3. 3-to-8 디코더
     4. 우수 패리티 발생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4%

33. 10진수 (18-72)의 연산결과를 BCD 코드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단, 보수는 9의 보수체계를 사용한다.)
     1. 0100 0101
     2. 1011 0110
     3. 1100 1001
     4. 1100 101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34.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눈다.
     2. 주기억장치는 롬과 램으로 구성할 수 있다.
     3. 접근방식은 직접 접근방식과 순차적 접근방식이 있다.
     4. 기억장치의 접근속도는 모두 일정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35. 입ㆍ출력 제어 방식에서 다음의 방식은 무엇인가?

    

     1. 프로그램에 의한 I/O(programmed I/O)
     2. 인터럽트에 의한 I/O(interrupt I/O)
     3. DMA에 의한 I/O
     4. IOP(I/O 프로세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36.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 사용
     2. 명령어 숫자의 최소화
     3. 주소지정 방식의 최소화
     4. 각 명령어는 대부분 단일 사이클에 수행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37. 다음은 어떤 종류의 병렬 컴퓨터 구조를 나타낸 것인가?

    

     1. SISD
     2. SIMD
     3. MISD
     4. MIM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38. 논리식 를 간소화한 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39. 캐시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정보교환을 위해 임시 보관하는 장치이다.
     2. 중앙처리장치의 속도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3. 캐시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정보 교환을 위하여 임시 저장하는 장치이다.
     4. 캐시와 주변장치의 속도를 같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40. 기억장치에 대해 접근을 시작하고 종료한 후에, 다시 해당 기억장치를 접근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 탐색 시간(seek time)
     2. 전송 시간(transfer time)
     3. 접근 시간(access time)
     4. 사이클 시간(cycle tim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3과목 : 마이크로전자계산기


41.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어셈블리 프로그램의 ORG 명령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2. 서브루틴(subroutine)
     3. 램 스토리지(RAM storage)
     4. 메모리 스택(memory stack)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1%

42. 절대주소와 상대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대주소는 고유주소라고도 부르며 기억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주소를 말한다.
     2. 절대주소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3. 상대주소는 기준주소를 필요로 하는 주소로 고유주소로 변경되어야 기억장치 접근이 가능하다.
     4. 상대주소는 기억장치 접근이 쉽지만 기억장치의 이용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43. 다음 중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은?
     1. 수퍼바이저 프로그램
     2. 언어 처리 프로그램
     3. 유틸리티 프로그램
     4. 응용 프로그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44. 주소 지정방식 중에서 기억장치를 가장 많이 액세스해야 하는 방식은?
     1. 직접주소 지정방식
     2. 간접주소 지정방식
     3. 상대주소 지정방식
     4. 인덱스주소 지정방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45. 주루틴(main routine)의 호출명령에 의하여 명령 실행 제어만이 넘겨져서 고유의 루틴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은?
     1. 열린 서브루틴(open subroutine)
     2. 폐쇄 서브루틴(closed subroutine)
     3. 매크로(macro)
     4. 벡터(vecto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46.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을 미리 지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양자화 된 레벨을 식별하여 그 값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장치는?
     1. Decoder
     2. Encoder
     3. D/A Converter
     4. A/D Converte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47. 다음 중 가장 많은 양의 자료를 일정 시간에 입ㆍ출력할 수 있는 방식은?
     1. 프로그램에 의한 입ㆍ출력
     2. 인터럽트에 의한 입ㆍ출력
     3. DMA
     4. 직렬 입ㆍ출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48. 다음 중 UART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이 아닌 것은?
     1.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들어오는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2. 외부 전송을 위해 패리티 비트를 추가한다.
     3. 데이터를 외부로 내보낼 때에는 시작비트와 정지비트를 추가한다.
     4. 바이트들을 외부에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병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49. DMA 제어장치가 꼭 갖추어야 할 필수 레지스터가 아닌 것은?
     1. status register
     2. program counter
     3. data counter
     4. address registe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50. 주어진 논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게이트들을 가진 SPLD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장치(EEPROM) 등에 사용하는 것은?
     1. PAL
     2. CPLD
     3. FPGA
     4. RO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51.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독하여 그 명령 신호를 각 장치에 보내 명령을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것은?
     1. 제어 장치
     2. 연산 장치
     3. 기억 장치
     4. 입력 장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52.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자주 이용되는 표준화된 버스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S-100 bus
     2. Multi-bus
     3. RS-232C
     4. IEEE-488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53. 기억장치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억 장치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1초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이다.
     2. 사이클 타임 또는 접근시간과 기억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 길이(버스 폭)에 따라 결정된다.
     3. 한 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워드가 크면 대역폭은 증가한다.
     4. 기억장치 모듈 접근시간이 크면 대역폭은 증가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54. 입력과 출력의 독립 제어점을 갖는 8비트로 구성된 5개의 레지스터에 상호 병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위한 데이터 선의 수는?
     1. 8
     2. 40
     3. 80
     4. 16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55. 제어 메모리에서 번지를 결정하는 방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제어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하나씩 증가
     2. 마이크로 명령어에서 지정하는 번지로 무조건 분기
     3. 상태비트에 따라 무조건 분기
     4. 매크로 동작 비트로부터 ROM으로의 매핑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56. 고정배선제어에 비해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방식이 가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변경 가능한 제어기억소자를 사용하면 제어의 변경이 가능하다.
     2. 동작 속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3. 제어 논리의 설계를 프로그램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다.
     4.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에러에 대한 진단 및 수정이 쉽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57. 인터럽트 반응시간(interrupt response tim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인터럽트 요청신호가 발생한 후 부터 해당 인터럽트 취급루틴의 수행이 시작될 때까지
     2. 인터럽트 요청신호가 발생한 후 부터 해당 인터럽트 취급루틴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3. 인터럽트 요청신호가 발생한 후 또는 다른 인터럽트 요청신호가 발생할 때 까지
     4. 인터럽트 취급루틴의 수행을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 까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인터럽트 발생 시간부터 인터럽트 처리 서브루틴이 시작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이때 경과된 총시간과 실제 수행 시간과의 차이를 오버헤드라고 하고 양자는 모두 가능한 짧아야 한다

58.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2. 원거리 통신에 사용한다.
     3. 전송을 위한 회선이 적게 사용된다.
     4.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59. 기억 장치 중 데이터의 내용으로 병렬 탐색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RAM(Random Access Memory)
     2. ROM(Read Only Memory)
     3.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
     4. SAM(Serial Access Memor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60. TTL 출력 종류 중 논리값이 0도 아니고 1도 아닌, 고임피던스 상태를 가지며, 특히 bus 구조에 적합한 것은?
     1. Tri-state 출력
     2. Open collector 출력
     3. Totem-pole 출력
     4. TTL 표준출력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4과목 : 논리회로


61. 10[MHz] 클럭의 클럭사이클 타임[㎲]은?
     1. 10
     2. 1
     3. 0.1
     4. 0.01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62. 다음 제시된 조건에 따라 간략화한 f의 값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63. 10진수 59를 BCD코드로 변환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0101 1001
     2. 0101 0111
     3. 0011 1011
     4. 1000 11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BCD코드는8421코드로 5와9를 각각 대입 하면 5는 0101이고 9는1001이 되어 1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전자 기능장]

64. 조합논리회로가 아닌 것은?
     1. DECODER
     2. ENCODER
     3. MUX
     4. RA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65. BCD 가산기의 덧셈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진수의 덧셈 규칙에 따라 두수를 더한다.
     2. 연산결과 4bit의 집합의 값이 9이거나 9보다 작으면 틀린 값이다.
     3. 연산결과 4bit의 집합의 값이 9보다 크거나 자리 올림수가 발생하면 틀린 값이다.
     4. 틀린 값에 6(0110)을 더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66. 플립플롭의 동작 특성 중 클록펄스가 상승에지 변이 이후에도 입력값이 변해서는 안 되는 일정한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전파지연시간 + 홀드시간 + 설정시간
     2. 전파지연시간
     3. 홀드시간
     4. 설정시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67. 10진수 298의 9의 보수(9‘s complement)를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701
     2. 801
     3. 901
     4. 90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68. 입력 트리거 신호가 가해질 때마다 일정한 폭을 갖는 구형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1. JK Flipflop
     2. Latch
     3. Monostable-Multivibrator
     4. T Flipflo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69. 기억 용량이 4KB(4096 word x 8 bit)인 SRAM에 필요한 최소 외부 핀 수는?(단, SRAM은 입ㆍ출력 공통형이다.)
     1. 12 pin
     2. 24 pin
     3. 32 pin
     4. 48 pin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9%

70. 다음의 카운터 회로는 몇 진 카운터인가?

    

     1. 2
     2. 8
     3. 10
     4. 1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71. 다음 회로의 기능에 따른 명칭은?

    

     1. 기수 패리티 발생 회로
     2. 다수결 회로
     3. 비교 회로
     4. 우수 패리티 발생 회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72. 오류(Error) 검출 방식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Checksum
     2. Parity Code
     3. Hamming Code
     4. Excess-3 Cod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73. 2진수 (11000110)을 Gray code 로 변환하면?
     1. 0 1 0 0 0 1 0 1
     2. 1 0 1 0 0 1 0 1
     3. 1 1 0 0 0 1 1 0
     4. 1 0 0 0 0 1 0 1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74. 2진수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에 들어가는 논리 게이트 명칭은?
     1. NOR 게이트
     2. 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EX-OR 게이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75. 순서논리회로의 동작 특성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같은 입력이 주어지는 한 출력은 항상 일정하다.
     2. 연속적으로 동일한 입력 값이 주어질 때만 정상 동작을 한다.
     3. 입력 값에 관계없이 정해진 순서에 맞추어 출력이 생성된다.
     4. 동일한 입력이 주어져도 내부 상태에 따라 출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76. 다음 회로의 출력 Y가 수행하는 논리 동작은?(단, 정논리로 가정한다.)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77. 가산과 감산의 기능을 갖는 연산회로를 설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게이트는?
     1. AND
     2. OR
     3. EX-NOR
     4. EX-O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78. JK 플립플롭에서 Jn = Kn = 1 일 때 Qn-1의 출력상태는?
     1. 0
     2. 1
     3. 반전
     4. 부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79. 다음 회로를 NAND 게이트만을 사용하여 구성하면?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80. 다음 회로가 나타내는 것은?

    

     1. 2 x 4 decoder
     2. 3 x 8 decoder
     3. 4 x 1 multiplexer
     4. 4 x 2 multiplexe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5과목 : 데이터통신


81. IPv4에서 IPv6로의 천이 전략 중 캡슐화 및 역캡슐화를 사용하는 것은?
     1. Dual Stack
     2. Header translation
     3. Map Address
     4. Tunnel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82. HDLC의 프레임(Frame)의 구조가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단, A: Address, F: Flag, C: Control, D: Data, S: Frame Check Sequence)
     1. F-D-C-A-S-F
     2. F-C-D-S-A-F
     3. F-A-C-D-S-F
     4. F-A-D-C-S-F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83. 연속적인 신호파형에서 최고주파수가 W(Hz)일 때 나이키스트 표본화 주기(T)는?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84. 전진에러수정(FEC)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EC 코드의 종류로 CRC 코드 등이 있다.
     2. 에러 정정기능을 포함한다.
     3.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4. 역채널을 사용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85. 회선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정된 대역폭으로 데이터 전송
     2. 회선이 설정되어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회선을 물리적으로 접속
     3. 수신노드에서 패킷을 재순서화하는 과정 필요
     4. 실시간 대화용에 적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86. 호스트의 물리 주소를 통하여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얻어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ICMP
     2. IGMP
     3. ARP
     4. RARP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87.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방식이 있다.
     2. 메시지를 1개 복사하여 여러 노드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3. 가상회선방식은 연결 지향 서비스라고도 한다.
     4. 축적 교환이 가능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88. X.25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물리계층
     2. 링크계층
     3. 논리계층
     4. 패킷계층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89. 인터넷 망(IP Network)과 유선 전화망(PSTN)간을 상호 연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1. ISDN
     2. R2 CAS
     3. H.323
     4. SIGTRA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1%

90.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구문(Syntax)
     2. 타이밍(Timing)
     3. 처리(Processing)
     4. 의미(Semantic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91. 다중접속방식 중 CDMA 방식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의 포화 상태로 인한 통화 단절 및 혼선이 적다.
     2. 실내 또는 실외에서 넓은 서비스 권역을 제공한다.
     3. 배경 잡음을 방지하고 감쇄시킴으로써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한다.
     4. 산악 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는 품질이 떨어진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92. 패킷화 기능이 없는 일반형 터미널에 접속하여 패킷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대신해 주는 장치는?
     1. DTE
     2. PS
     3. PAD
     4. PMAX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93. 8진 PSK 변조방식에서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정보 신호의 속도는 몇 (bits/s)인가?
     1. 7200
     2. 4800
     3. 2400
     4. 8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94. Hamming코드에서 총 전송비트수가 17비트 일 때, 해밍 비트수와 순수한 정보 비트수는?
     1. 해밍 비트수 : 4, 정보 비트수 : 13
     2. 해밍 비트수 : 5, 정보 비트수 : 12
     3. 해밍 비트수 : 6, 정보 비트수 : 11
     4. 해밍 비트수 : 7, 정보 비트수 : 1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95. QPSK 변조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몇 [bps/Hz]인가?
     1. 1
     2. 2
     3. 4
     4. 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96. IP계층의 프로토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MA
     2. ICMP
     3. ARP
     4. I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97. OSI 7계층에서 단말기 사이에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은?
     1. 전송 계층
     2. 응용 계층
     3. 세션 계층
     4. 표현 계층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98. 192.168.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6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 때 subnetting된 네트워크 중 5번째 네트워크의 2번째 사용 가능한 IP주소는?
     1. 192.168.1.255
     2. 192.168.0.129
     3. 192.168.1.130
     4. 192.168.1.6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99.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AM
     2. TM
     3. FM
     4. P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100. 광대역통합네트워크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SIP
     2. R2 CAS
     3. H.323
     4. Megaco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8%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 03월 05일(460350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3월 05일(4603504)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0
3049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3월 06일(8137173)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8
3048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3월 02일(8958064)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69
3047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7050447)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4
3046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8월 04일(528313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06
3045 수산양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3월 28일(2회)(6600812)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6
3044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3656891) 좋은아빠되기 2022.04.05 689
3043 건축목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5472967) 좋은아빠되기 2022.04.05 44
3042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10월 11일(5회)(5395600) 좋은아빠되기 2022.04.05 37
3041 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1월 30일(1회)(7016911)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1
3040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5월 16일(2236097)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3
3039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7월 20일(4회)(6324492) 좋은아빠되기 2022.04.05 50
3038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146834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34
3037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4월 28일(919550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8
3036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10월 01일(5303771) 좋은아빠되기 2022.04.05 43
3035 포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663093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0
3034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2월 08일(799259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2
3033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11월 20일(3224611)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18
3032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3월 06일(521001) 좋은아빠되기 2022.04.04 79
3031 정보보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9월 08일(5077022) 좋은아빠되기 2022.04.04 356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