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3월 10일(2531800)


1과목 : 데이터 베이스


1.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설계의 옵션 선택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트랜잭션 처리도
     2. 저장 공간의 효율화
     3. 트랜잭션 모델링
     4. 응답 시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물리적 설계옵션 선택시 고려사항
- 반응시간 (Response Time) : 트랜잭션 수행을 요구한 시점부터 처리결과를 얻을 때 까지의 경과 시간
- 공간활용도(Space Utilization) : 데이터 베이스 파일과 액세스 경로 구조에 의해 사용되는 저장공간의 양
- 트랜잭션 처리량(Transaction Throughput) : 단위시간 동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평균개수
[해설작성자 : Avgeneia]

2. 병행 제어를 하지 않을 때의 문제점 중 하나의 트랜잭션 수행이 실패한 후 회복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갱신 결과를 참조하는 현상은?
     1. Lost Update
     2. Inconsistency
     3. Uncommitted Dependency
     4. Cascading Rollback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LOST UPDATE (갱신 분실) : 하나의 트랜젝션에서 수행된 변경 연산 값을 다른 트랜젝션이 덮어쓴 상황을 말한다.
INCONSISTENCY (모순성) : 하나의 트랜젝션이 여러 개의 변경 연산 값을 실행할 때, 연관성 없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값을 가져와서 연산하여 잘못된 결과를 초래하는 현상을 말한다.
UNCOMMITTED DEPENDENCY (미완성 종속 문제) : 하나의 트랜젝션이 미완성된 결과값을 참조하여 연산하는 현상을 말한다.
CASCADING ROLLBACK (연쇄 복귀) : 한 트랜젝션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Rollback 연산을 수행하여 변경전 연산값을 사용하여, 계속 연쇄적으로 rollback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장성현]

3. 다음 트리를 Post-order로 운행할 때 노드 C는 몇 번째로 검사되는가?

   

     1. 2번째
     2. 3번째
     3. 4번째
     4. 5번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Post-order : 좌측노드 - 우측노드 - Root노드
1번째 : D
2번째 : E
3번째 : C
[해설작성자 : 김xx]

4. 정규화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1.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애트리뷰트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2. 좋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해 내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며 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준다.
     3. 정규형에는 제 1정규형, 제 2정규형, 제 3정규형, BCNF형, 제 4정규형 등이 있다.
     4. 어떠한 릴레이션 구조가 바람직한 것인지, 바람직하지 못한 릴레이션을 어떻게 합쳐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제공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NF - 모든 속성을 원자값으로 분해
2NF -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
3NF - 이행적 함수적 종속제거
BCNF - 결정자 //
4NF - 다치 종속 제거
5NF - 완전 함수적 종속 제거
[해설작성자 : 인천인력개발원-학생 lww]

5. 널 값(null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백(space)과는 다른 의미이다.
     2.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값이다.
     3. 영(zero)과 같은 값이다.
     4. 정보의 부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0은 0이란 값이 있다는 얘기 입니다.
널(NULL)은 이론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값을 의미하며, 0은 널값이 아닙니다.

6.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oncurrent Sharing
     2. Address Reference
     3. Continuous Evolution
     4. Time Accessibility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는 주소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이용해서 데이터에 접근합니다.
[해설작성자 : 천강민]

7.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한다.
     2. 뷰의 정의 변경시 ALTER VIEW 문을 사용한다.
     3.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
     4. 데이터 접근 제어로 보안을 제공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뷰의 정의 변경시 삭제 후에 만들어야 함
뷰(View)는 ALTER VIEW문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즉, 뷰의 정의를 변경할수없습니다

8. 해싱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Synonym
     2. Collision
     3. Bucket
     4. Overflow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해싱에서 동일한 홈주소를 가진 레코드 들을 동의어 [Synonym]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나정윤]

9. 다음 영문의 ( )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Sorting
     2. Stacking
     3. Merging
     4. Queuein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문 : 합병(Merging)은 두개의 파일이 각각의 파일의 구조를 유지한뒤, 하나로 합치는것이다.
예를들어 알파벳순으로 되어있는 이름의 리스트를 갖는 두 파일이 있을경우 모든 이름이 알파벳순으로 된 하나의 큰 파일로 합병하는것이다.
합병정렬 : 이미정렬된 두가지의 파일을 한개의 파일로 합병하는 정렬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이태웅]

10.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2.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3.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가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4.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이라고도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시스템 카탈로그의 내용은 일반 사용자도 검색할수 있습니다.

11. 자료구조를 선형구조 및 비선형구조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TREE
     2. DEQUE
     3. QUEUE
     4. STACK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Deque는 Stack과 Queue의 장점을 모은 것으로 FIFO 방식과 LIFO 방식 둘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SQL을 정의, 조작, 제어문으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것은?
     1. DELETE
     2. UPDATE
     3. CREATE
     4. SELEC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DELETE 레코드 지우기(DML)
UPDATE 레코드 수정(DML)
CREATE 테이블 생성(DDL)
SELECT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명령어(DML)

13.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의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존재 가치가 확실한 필수적 데이터이다.
     2. 정보 소유 및 응용에 있어 지역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3.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이다.
     4. 동일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소유와 응용은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함

14. A, B, C, D의 순서로 정해진 입력 자료를 스택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가 될 수 없는 것은?
     1. B, A, C, D
     2. B, C, D, A
     3. A, B, C, D
     4. C, D, A, B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 B를 뽑기 전에는 A를 뽑아낼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Ryu]

15. 정규화 과정 중 이행함수 종속제거가 이루어지는 단계는?
     1. 비정규 릴레이션 → 1NF
     2. 1NF → 2NF
     3. 2NF → 3NF
     4. 3NF → BCNF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번은 원자값이 아닌 도메인 분해
2번은 부분함수 종속성 제거
3번은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4번은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것 제거
[해설작성자 : 강미진]

16. In computing, this is the process of rearranging an initially unordered sequence of records until they ordered. What is this?
     1. debugging
     2. loading
     3. sorting
     4. compilin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문제 : 전자계산에서, 이것은 초기에 정렬되지 않은 순서의 레코드를 정렬될때까지 재배열하는과정이다. 이것은 무엇일까?

정렬(sort)은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을 특정 키 값을 기중으로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이태웅]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렬 기법은?

    

     1. Quick Sort
     2. Selection Sort
     3. Insertion Sort
     4. Bubble Sor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Quick Sort 빠른 정렬   (시험에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Selection Sort 선택적 정렬
Bubble Sort 버블 정렬
[해설작성자 : 인천인력개발원-학생 lww]

18. 릴레이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있다.
     2.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3.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갖는다.
     4.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튜플에 순서는 없습니다.

19. 한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약조건은 무엇인가?
     1. 참조 무결성
     2. 릴레이션 무결성
     3. 외래키 무결성
     4. 개체 무결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개체무결성은 한 릴레이션에서 기본키에 속해있는 속성은 널(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제약조건.
[해설작성자 : 이태웅]

20. 그래프로 표현하기에 적절치 않은 것은?
     1. 행렬
     2. 유기화학 구조식
     3. 통신 연결망
     4. 철도 교통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그래프(Graph)는 비선형자료구조로, 통신 연결망, 철도 교통망, 유기화학 구조식등을 표현하기에 적절함.
[해설작성자 : 이태웅]


2과목 : 전자 계산기 구조


21.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처리 속도 불균형을 보완하며, 중앙처리장치를 입출력 조작에서 해방시켜서 중앙처리장치 본래의 일을 보다 많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1. 완충 제어장치
     2. 채널
     3. 제어장치
     4. 연산 논리장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22. 여러 대의 고속 입출력 장치가 동시에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 방식은?
     1. 바이트 다중 방식
     2. 버스트 방식
     3. 입출력 선택 채널 방식
     4. 입출력 블록 다중 채널 방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선택채널(Selector Channel) : 한개의 고속 입&출력장치를 제어
다중채널(Multiplexer Channel) : 동시에 여러개의 저속 입&출력장치를 제어
블록다중채널(BlockMultiplexer Channel) : 동시에 여러개의 고속 입&출력장치를 제어
[해설작성자 : 이태웅]

23. 사용되는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코드의 길이가 달라지는 코드는?
     1. 7421코드
     2. 그레이(Gray) 코드
     3. 허프만(Huffman) 코드
     4. 비퀴너리(Biquinary) 코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허프만코드는 문자의 빈도수의 따라서 변환된 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한근상]

24. 인터럽트(interrupt) 발생 요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정전시
     2. 컴퓨터 조작원의 요구에 따라 중단하고자 할 때
     3. 처리 결과가 만족하지 않을 때 자동 발생
     4. 입출력 장치의 동작에 중앙처리장치의 기능이 요청될 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25. 다음과 같은 회로도의 조건 제어문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총알 모양의 OR 논리연산이 보이고 X와 Y는 둘다 NOT이 아니므로 X+Y만봐도 답을 알수있지요.
뒤에는 어차피 다 똑같네요 ^^
[해설작성자 : 루넬이아빠]

26. 2개의 2진수 변수로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연산은 몇 가지 있을 수 있는가?
     1. 8
     2. 16
     3. 32
     4. 6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진수 => 4개  가 2개 있으니 4*4 = 16
[해설작성자 : 매워서입아파]

2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집합에서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정지시키는 것은?
     1. push
     2. pop
     3. halt
     4. interrup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28. 제어 메모리에서 읽어온 마이크로명령어가 몇 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고, 각 필드는 디코더(decoder)의 입력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디코더의 출력이 제어신호로 사용되었다면 이 마이크로명령어는 어떤 형식의 마이크로 명령어인가?
     1. 수직마이크로명령어형식
     2. 수평마이크로명령어형식
     3. 마이크로프로그램형식
     4. 매크로프로그램형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수직 마이크로명령어 : 제어메모리외부에 디코딩회로를 필요로하는 명령어.
장점 : 구현이 쉽고, 해독에 따른 지연시간이 없음.
단점 : 마이크로명령어의 비트수가 길어 더 큰 용량의 제어기억장치가 필요.
[해설작성자 : 이태웅]

29. 가상기억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많은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에서 한 번에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2. 사용자가 보조 메모리의 총용량에 해당하는 기억장소를 컴퓨터가 갖고 있는 것처럼 가상하고,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3. 데이터를 미리 주기억 장치에 넣는 것을 말한다.
     4. 자주 참조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모은 메모리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상기억장치의 정의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용량을 주기억장치처럼 가사으로 사용하는것.
주기억장소(RAM)의 물리적공간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이태웅]

30. 2개의 2진수 10110110 과 11010111 를 AND 연산한 결과의 값은?
     1. 10010110
     2. 01101001
     3. 11110111
     4. 10001101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AND = 논리곱

       10110110
     x 11010111
       10010110

3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한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레지스터를 누산기라 한다.
     2. 입출력 장치는 주변장치에 해당된다.
     3. 레지스터에서 기억장치로 정보를 옮기는 것을 로드(load)라 한다.
     4. 기억장치내의 데이터를 다른 기억장치로 옮기는 것을 전송이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 기억장치에서 레지스터로 정보를 옮기는 것을 로드라 한다.

[추가 해설]

레지스터에서 기억장치(MEMORY)로 정보를 옮기는 것은 STORE(저장)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루넬이아빠]

32. 다음 중 AND 연산을 이용하여 어느 비트(문자)를 지울 것인가를 결정하는 자료가 되는 것은?
     1. CARRY(캐리)
     2. 플립플롭
     3. 패리티(parity) 비트
     4. 마스크(mask) 비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33. 다음 중 인터럽트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데이지 체인(daisy chain)방법
     2. 폴링(polling)
     3. 스택(stack)
     4. DMA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DMA)는 주변장치들(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등)이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34. 자기디스크 장치의 3 요소에 들지 않는 것은?
     1. 디스크(disk)
     2. 액세스 암(access arm)
     3. 헤드(head)
     4. 트랙(track)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자기디스크의 종류
디스크(Disk) : 실제정보가 저장된느 장소로써, 다수의 트랙들로 구성.
읽기/쓰기 헤드(Head) : 디스크에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한 장치.
액세스암(Arm) :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
구동장치(Actuator) : 액세스암을 움직이는 모터.
[해설작성자 : 이태웅]

35.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은?
     1. search time
     2. seek time
     3. access time
     4. CPU clock tim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이라고 하며,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CPU Clock Time 또는 CPU Cycle Time 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mondaywillow]

36. 명령 코드의 비트는 필드라고 불리는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모드 필드(mode fiel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퍼랜드나 유효번지가 결정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2. 메모리나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3. 수행하여야 할 동작을 나타낸다.
     4.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37. B000H 번지에서 DAFFH 번지까지의 메모리 영역은 모두 몇 페이지(page)인가?
     1. 23
     2. 33
     3. 43
     4. 53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38. 명령어 실행 과정에서 명령어가 지정한 번지를 수정하기 위한 레지스터는?
     1. 명령 레지스터
     2. 프로그램 레지스터
     3. 베이스 레지스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명령 레지스터 - 현재 실행중인 명령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프로그램 레지스터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베이스 레지스터 - 명령이 시작되는 최초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 - 주소변경, 서브루틴 연결, 반복 연산 수행 등의 역할을 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청산연 최씨]

39. 어떤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는 양쪽 표면이 모두 사용되는 8개의 디스크가 있는데, 각 표면에는 16개 트랙과 8개의 섹터가 있다. 트랙내의 각 섹터에 하나의 레코드가 있다면 디스크 내의 레코드에 대한 주소 지정에는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10
     2. 11
     3. 12
     4. 1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표면의 수 : 8개x양면 = 16면
각 면의 섹터의 수 : 16x8=128
디스크 전체의 섹터의 수 : 128x16=2048개
2048개 => 2의11 => 11개
[해설작성자 : 이태웅]

40. 카운터를 설계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1. M/S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RS 플립플롭
     4. D 플립플롭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3과목 : 시스템분석설계


41. 코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화 기능
     2. 분류 기능
     3. 간소화 기능
     4. 균형 기능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코드의 기능 : 식별,분류,배열,간소화,표준화,연상,암호화,오류 검출기능등
[해설작성자 : 이태웅]

42. 마스터 파일(Master File)의 변경하고자 하는 내용을 검사하거나 갱신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서,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파일은?
     1. Transaction File
     2. History File
     3. Summary File
     4. Trailer Fil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43. 시스템의 기본 요소 중 처리된 결과가 정확하지 않으면 결과의 일부나 오차를 다음 단계에 다시 입력하여 한 번 더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제어 기능
     2. 피드백 기능
     3. 처리 기능
     4. 출력 기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44. 코드 설계시 주의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도록 한다.
     2. 공통성이 있도록 한다.
     3. 비체계성이 있어야 한다.
     4.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45.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기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객체들 사이의 제어흐름, 상호작용, 연산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것은?
     1. 객체 모델링
     2. 기능 모델링
     3. 동적 모델링
     4. 정적 모델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46. 시스템의 특성 중 어떤 조건이나 상황의 변화에 대응하여 스스로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1. 목적성
     2. 제어성
     3. 종합성
     4. 자동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상호 작용 또는 의존 관계" ← 종합성
"잘못되지 않게 잡아준다." ← 제어성
"어느 것을 달성하기 위해" ← 목적성
[해설작성자 : 수험생]

47.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인간공학적 원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름길을 제공한다.
     2. 작업의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3.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4. 사용자의 비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48. 시스템의 문서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시스템 개발 단계의 요식행위이다.
     3. 시스템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 인수를 쉽게 할 수 있다.
     4.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49. 출력 설계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출력의 내용→출력의 매체화→출력의 분배→출력의 이용
     2. 출력의 매체화→출력의 분배→출력의 이용→출력의 내용
     3. 출력의 분배→출력의 이용→출력의 내용→출력의 매체화
     4. 출력의 이용→출력의 내용→출력의 매체화→출력의 분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출력의 내용→출력의 매체화→출력의 분배→출력의 이용
이건 그냥 외우는 것 쉽게 외우는 방법는
내용을 보고 그 내용을 스크랩하고 주제에 맞는 공책에 붙이고 그것을 다시보는 스크랩 방식으로 외우시면 편할것 같아요
[해설작성자 : avj.co.kr]

내 매 분 이 로 외우면 더 쉽게 외워집니다.
이거 말고도 항특매편 수매투내 발수매투내 항목범기특방문 등이 있습니다.-> 다른 설계에서요
[해설작성자 : 뇌피셜]

50. 프로세스의 표준 패턴 중 입력 파일의 데이터를 분배조건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Update
     2. Merge
     3. Matching
     4. Distributio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Update (갱신)
2.  Merge (병합)
3.  Matching (대조)
4.  Distribution (분배)
솔직히 영어로 되어있어서 어렵쥬~ 데이터를 분배조건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처리 분배~
한글로 하면 쉽쥬잉~
[해설작성자 : avj.co.kr]

51.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의 상태 및 구성 요소,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2.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정을 특정 부서 직원들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프로세스 전개의 사상을 통일해야 하며, 하드웨어의 기기 구성, 처리 성능을 고려한다.
     4. 오류에 대비한 검사 시스템을 고려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딱봐도 느낌이 이상하쥬~?
2번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정을 특정 부서 직원만 이해하는 것이아닌 모든사람이 이해할수 있도록 표준화 해야합니다유~
따라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avj.co.kr]

52.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 중 대상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조직체를 나타낸 것은?
     1. Process
     2. Data Flow
     3. Data Store
     4. Terminato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er ~or 붙으면 사람을 뜻합니다유~
솔직히 영어 알면 쉬운데 IT배우는 사람들이 영어에 조금약하쥬잉~?
그래도 IT할 떄는 영어 꼭 필요합니다유~
[해설작성자 : avj.co.kr]

53. 자료 입력 방식 중 발생한 데이터를 전표 상에 기록하고 일정한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입력 매체에 수록하는 입력 방식은?
     1. 회귀 데이터 시스템
     2. 집중 매체화 시스템
     3. 분산 매체화 시스템
     4. 직접 입력 시스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54. 표의 숫자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드에 물리적 수치를 부여하여 기억이 용이하다.
     2. 코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다.
     3. 같은 코드를 반복 사용하므로 오류가 적다.
     4. 항목의 자리수가 짧아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표의숫자코드(Significant Digit)는 항목의 자리수가 길어질 수 있어 기계 처리에 용이하지않다.
[해설작성자 : MH]

55. 다음 중 파일 설계 과정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행해지는 것은?
     1. 파일 항목의 검토
     2. 편성법 검토
     3. 파일 매체의 검토
     4. 파일의 특성 조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4→3→2
[해설작성자 : SSSONG]

56. 컴퓨터 입력 단계에서의 오류 검사 방법 중 차변과 대변의 합일치를 검사하는 방법은?
     1. Balance check
     2. Limit check
     3. Sequence check
     4. Matching check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Limit check (한계검사 - 규정된 범위내에있는지확인)
3.  Sequence check (순차 검사 - 이미정해진 순서와 일치하는지 검사)
4.  Matching check (대조검사 - 시스템에 보관된 코드를 대조해서 일치하는지 검사)
[해설작성자 : avj.co.kr]

Balance check = 균형검사 : 차변과 대변의 한계값을 검사하는 방법, 대차의 균형이나 가로, 세로의 합게가 일치하는가를 검사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학생]

57. 해싱 함수에 의한 주소 계산 기법에서 서로 다른 키값에 의해 동일한 주소 공간을 점유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ynonym
     2. Changing
     3. Collision
     4. Bucke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해싱(해시표)
1 Synonym  동기/동거라고도 하며 충돌현상(Collision)에 의해 같은 Home Address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
3 Collision 충돌이라고 하며,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레코드들이 갖은 주소를 갖는 현상
4 Bucket 버킷, 하나의 주소를 갖는 파일의 한 구역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컴공 한상훈]

58. 시스템 평가(System test)의 종류 중 다음 항목과 관계되는 것은?

    

     1. 기능 평가
     2. 가격 평가
     3. 신뢰성 평가
     4. 성능 평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성능평가:시스템이 운용 계획에서 마련한 운용 스케줄대로 수행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CPU의 속도 및 기억 용량과 파일 편성법과 액세스 방식 등을 검토합니다
[해설작성자 : 쾅]

59. 소프트웨어 위기의 발생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급속히 발전하는 소프트웨어에 비해 하드웨어 생산 활동이 보조를 맞추지 못함
     2.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부족과 그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함
     3.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요구에 따라 수요는 늘어나지만 공급이 이를 못 따라감
     4.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이 지연되고 개발 비용의 초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급속히 발전하는 하드웨어에 비해 소프트웨어 생산 활동이 보조를 맞추지 못함
[해설작성자 : 333]

60. 모듈 응집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절차적 응집성→통신적 응집성→순차적 응집성→기능적 응집성
     2. 통신적 응집성→절차적 응집성→순차적 응집성→기능적 응집성
     3. 절차적 응집성→통신적 응집성→기능적 응집성→순차적 응집성
     4. 기능적 응집성→순차적 응집성→통신적 응집성→절차적 응집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기능적 응집도 > 순차적 응집도 > 통신적 응집도 > 절차적 응집도 > 시간적 응집도 > 논리적 응집도 > 우연적 응집도


4과목 : 운영체제


61. 파일 보호 기법 중 각 파일에 판독 암호와 기록 암호를 부여하여 제한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기법은?
     1. 파일의 명명(Naming)
     2. 비밀번호(Password)
     3. 접근제어(Access control)
     4. 암호화(Cryptography)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접근제어- 사람마다 골라서 제어
암호화 - 파일 내용을 암호화
파일 명명 - 접근하고자 하는 파일 이름 모르는사람 제외
[해설작성자 : 근원짱]

62. 운영체제의 설계 목표가 아닌 것은?
     1. 빠른 응답시간
     2. 경과 시간 단축
     3. 처리량 감소
     4. 폭 넓은 이식성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처리량이 많아야 좋은 건데 감소되면 좋지가 않겠지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63. 다중 프로그래밍 운영체제에서 한 순간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공유되는 데이터 및 자원에 대하여, 한 순간에는 반드시 하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만 자원 또는 데이터가 사용되도록 하고, 이러한 자원이 프로세스에 의하여 반납된 후, 비로소 다른 프로세스에서 자원을 이용하거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된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1. monitor
     2. semaphore
     3. critical section
     4. working se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64.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들이 차례로 준비상태 큐에 들어올 경우 SJF 기법을 사용한다면 평균대기 시간은?

    

     1. 10
     2. 11
     3. 12
     4. 1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P1들어오면 P1밖에 없기 때문에 대기시간 : 0
-> P1이 처리되는 시간 17 사이에 P2, P3 들을 제출받음
-> SJF는 실행시간이 짧은 것부터 실행 하기때문에 P3부터 실행
   처리순서 : P1 -> P3 -> P2 로 된다.

1) 1번째 대기시간 P1이기 때문에 : 0
2) 2번째 대기시간 P3 : 17(P1실행시간) - 2(P3제출시간) = 15
3) 3번째 대기시간 P2 : ( 17(P1실행시간)+2(P3실행시간) ) - 1(P2제출시간) = 18

SJF 평균대기시간 : (0+15+18)/3 = 11
[해설작성자 : J_Shark]

65. 13K의 작업을 다음 그림의 14K 공백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Last fit
     2. First fit
     3. Worst fit
     4. Best fit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6K 공간에 할당했다면 First fit(최초 적합)
30K 공간에 할당했다면 Worst fit(최악 적합)
14K 공간에 할당했으니 Best fit(최적 적합)
[해설작성자 : 수험생]

66. 초기 헤드의 위치가 100번 트랙이고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이다. SSTF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로 처리하는 트랙은? (단, 가장 안쪽 트랙 : 0, 가장 바깥 쪽 트랙 : 150)

    

     1. 40
     2. 65
     3. 90
     4. 11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SSTF는 현재 헤드위치에서 가장 짧은 거리의 트랙으로 헤드를 옮김
- 첫번째 처리: 90 (100에서 가장 가까움)
- 두번째 처리: 112 (90에서 가장 가까움)
- 세번째 처리: 65 (112에서 가장 가까움)
- 네번째 처리: 40 (65에서 가장 가까움)
- 다섯번째 처리 : 16(40에서 가장 가까움)
[해설작성자 : 졍이얌]

67. 디스크 탐색 시간 최적화 전략 중 C-SCAN 스케줄링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재 헤드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I/O 요청을 서비스 한다.
     2. 헤드가 디스크 표면을 양방향(안쪽/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하는 동선의 I/O 요청을 서비스한다. 이때, 헤드는 이동하는 동선의 앞쪽에 I/O 요청이 없을 경우에만 후퇴가 가능하다.
     3. 헤드는 트랙의 안쪽으로,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며 안쪽에 더 이상 I/O 요청이 없으면 다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I/O 요청을 서비스한다.
     4. 먼저 도착한 I/O 요청을 먼저 서비스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68.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1. Locality
     2. Page
     3. PCB
     4. Proces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69. 페이지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테이블 크기가 커진다.
     2.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입출력 전송이 효율적이다.
     3.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내부의 단편화로 인한 낭비 공간이 줄어든다.
     4.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좀 더 효율적인 워킹 셋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입출력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입출력 효율은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ㅎㄹㅎㄹ]

70.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각 CPU가 4개의 연결점을 가질 경우 CPU의 총 개수는?
     1. 4
     2. 16
     3. 32
     4. 6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연결점이 n개 이면 CPU는 2^n개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ㅎㄹㅎㄹ]

71. UNIX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은?
     1. mv
     2. open
     3. mkdir
     4. mkf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mv : 파일을 이동한다.
opne : FCB을 연다
mkidr : 디렉터리 생성 명령
mkfs : 파일 시스템을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익명]

72. 은행원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ijkstra"가 제안한 방법이다.
     2.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예방(Prevention) 기법이다.
     3. 자원의 양과 사용자(프로세스) 수가 일정해야 한다.
     4. “안전 상태”와 “불안전 상태”라는 두 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은행원 알고리즘 :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회피(Avoidance)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최준혁]

73. HRN 스케줄링 기법 사용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 번호는?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HRN 스케줄링의 경우 대기시간이 길수록, 서비스시간이 짧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렉]

74. 현재 헤드의 위치는 트랙 50 이다. 다음과 같이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순서적으로 도착하였다.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FCFS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경우, 총 이동거리는? (단, 가장 안쪽 트랙은 0 이다.)

    

     1. 50
     2. 60
     3. 105
     4. 14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현재 헤드위치 = 50
FCFS = FIFO 즉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 함
50번째에서 요청 트랙의 첫번 째 순서인 10까지의 이동거리 50-10 = 40
두번째 요청 트랙의 순서인 40까지의 이동거리 10-40 = 30 (현재 10번트랙으로 이동했으므로)
세번째 40-55 = 15
네번째 55-35 = 20

이동한 모든 거리를 합하면 40 + 30 + 15 + 20 = 105
[해설작성자 : 뺨만두]

75. UNIX에서 커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2.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3.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해석기 역할을 수행한다.
     4.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쉘은 명령어해석기, 시스템과 사용자간 인터페이스 담당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ㅎ]

76.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 파일 제어 블록(FCB)이라고도 한다.
     3. 사용자가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있다.
     4. 파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최준혁]

77.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구조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2. 운영체제의 수행은 주프로세서가 담당한다.
     3. 주프로세서가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4. 주프로세서가 고장 날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시스템이 다운
[해설작성자 : 으이그으]

78. 3 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에서 페이지 참조 순서가 1, 2, 1, 0, 4, 1, 0 일 경우 FIFO 알고리즘에 의한 최종 페이지 대치 결과는?
     1. 1, 4, 2
     2. 4, 1, 3
     3. 1, 2, 0
     4. 4, 1, 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2,1,0,4,1,0 일때
1 1 1 1 4 4 4
  2 2 2 2 1 1
      0 0 0 0
그래서 마지막은 4,1,0
[해설작성자 : JBK]

79.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만들어준다.
     2. 운영체제는 CPU, 기억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3. 운영체제는 파일,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4.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쉽게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어주는 도구는 컴파일러이다.
[해설작성자 : 최준혁]

80. 구역성(loc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구역성의 예로는 순환, 부프로그램, 스택 등이 있다.
     2. 구역성에는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이 있다.
     3.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4.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액세스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워킹 셋(Working Set) :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최준혁]


5과목 : 정보통신개론


81. 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링크 접속 설정
     2. 흐름제어
     3. 에러제어
     4. 경로선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경로선택-네트워크계층

82. 변조속도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Baud
     2. CPS
     3. WPS
     4. PPS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83. 데이터 교환 방식의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교환
     2. 패킷교환
     3. 메시지교환
     4. 회선교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84. 샤논(Shannon)의 정리에 따라 백색 가우스 잡음이 발생되는 통신로의 용량 C가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C=Wlog2(1+S/N)
     2. C=Wlog10(1+S/N)
     3. C=Wlog2(1+N/S)
     4. C=Wlog10(1+N/S)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85. 송신측에서 1개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하여 ACK 또는 NAK를 보내올 때 까지 대기하는 ARQ 방식은?
     1. 선택적 ARQ
     2. 적응적 ARQ
     3. 연속적 ARQ
     4. 정지-대기 ARQ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86.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기본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Format
     2. Syntax
     3. Semantics
     4. Tim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구문, 의미, 시간
[해설작성자 : 수험생]

87. HDLC 프레임 구조 중 주소영역에서 모든 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맞는 것은?
     1. 00000000
     2. 00001111
     3. 11110000
     4. 11111111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든 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전송한다 라는 말은 흔히말해 브로드 캐스트라고 말합니다.
브로드 캐스트 값은 255 이므로 11111111입니다.
128+64+32+16+8+4+2+1 = 255
[해설작성자 : 다들 화이팅!]

88. 미국 군사용 방공 시스템으로 사용된 최초의 데이터통신 시스템은?
     1. ARPA
     2. CTSS
     3. SABRE
     4. SAG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89. DSU(Digital Service Unit)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2.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3.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4.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DSU(Digital Service Unit)는 컴퓨터나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회선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 반대의 과정을 수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은쾅]

90.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 중 Token Passing 방식에 사용되는 Token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채널의 사용권
     2. 노드의 수
     3. 전송매체
     4. 패킷 전송량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91.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메시지 교환 방식과 같이 축적 교환 방식의 일종이다.
     2. 트래픽 용량이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3.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다.
     4. 데이터 그램과 가상회선방식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92. 통신제어장치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자의 조립 및 분해
     2. 전송 제어
     3. 오류 검출
     4. 통신 신호의 변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8%
     <문제 해설>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신호의 직렬,병렬 변환을 통해 전송 문자를 조립 밑 분해하는 장치로 컴퓨터를 대신해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93. 데이터 전송의 흐름이 양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정보의 흐름을 전환하여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전송방식은?
     1. 전이중(Full Duplex) 방식
     2. 반이중(Half Duplex) 방식
     3. 단방향(Simplex) 방식
     4. 비동기(Asynchronous) 전송 방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전이중(Full Duplex)방식 : 동시에 양방향 전송이 가능 ex)전화
                             전송량이 많고, 전송 매체의 용량이 클 때 사용
2. 반이중(Half Duplex)방식 :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할 수 없는 방식 ex) 무전기
3. 단방향(Simplex)방식 :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ex)라디오

[해설작성자 : Cloud]

94.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망 간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보통 두 개의 서로 다른 망들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Adapter
     2. Repeater
     3. Gateway
     4. Bridg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두 개를 이어주는 관문(Gateway)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95. OSI 7계층 중 응용간의 대화제어(Dialogue control)를 담당하는 것은?
     1.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2. 프레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
     3.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 프로그램 담당
2. 프레젠테이션 계층 : 데이터 표현 규정(암호화, 코드) 담당
3. 세션 계층 : 데이터 교환을 관리학 위한 규정(대화 제어) 담당
4. 트랜스포트 계층 : 실제 전송을 하기 위한 규정(다중화, 주소) 담당
[해설작성자 : Cloud]

96. 불균형적인 멀티 포인트 링크 구성에서 회선제어 방식 중 주 스테이션에서 각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은?
     1. 실랙션 방식
     2. 대화모드 방식
     3. 폴링 방식
     4. 회선쟁탈 방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97. HDLC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문자 위주의 회선제어 프로토콜이다.
     2.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며 동기식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3. 데이터 링크 형식이 멀티 포인트 링크 방식만 가능하다.
     4. 전송 데이터에 대한 에러검출 기능이 없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HDLC :
-bit위주의 프로토콜이다.
-포인트 투 포인트 및 멀티 포인트, 루프 등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오류 제어를 위해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peat)ARQ를 사용한다.

98. 비동기(asynchronous) 데이터 전송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순수한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것이다.
     2. 송수신 클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3. 한 데이터 블록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4. 한 문자 전송 때마다 시작과 정지비트를 갖고 전송되는 것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99.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 형상은?

    

     1. 버스형
     2. 링형
     3. 성형
     4. 계층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앙 제어" 또는 "중앙 컴퓨터" 가 나오면 성(Star)형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00.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방향성
     2. 네트워크화
     3. 분산적
     4. 특정 다수자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 03월 10일(253180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0 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8168494) 좋은아빠되기 2022.04.07 47
1089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10월 05일(5회)(6691680)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43
1088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4월 09일(6627118) 좋은아빠되기 2022.04.07 27
1087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8월 30일(1104379) 좋은아빠되기 2022.04.07 23
1086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7월 17일(9809661) 좋은아빠되기 2022.04.07 411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3월 10일(2531800) 좋은아빠되기 2022.04.07 63
1084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5월 31일(7424022) 좋은아빠되기 2022.04.07 37
1083 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7월 08일(5189008)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35
1082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3월 07일(2639782) 좋은아빠되기 2022.04.07 97
1081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5월 08일(9747925)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06
1080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7월 11일(639199) 좋은아빠되기 2022.04.07 34
1079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8월 19일(6791825)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46
1078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3월 03일(2708071) 좋은아빠되기 2022.04.07 403
1077 소음진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5월 10일(4553248)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30
1076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06일(1638621) 좋은아빠되기 2022.04.07 271
1075 조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8월 10일(3604604) 좋은아빠되기 2022.04.07 52
1074 통신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2월 01일(1회)(3519149)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1
1073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9월 07일(730079)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83
1072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6월 08일(5865468) 좋은아빠되기 2022.04.07 13
1071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7월 20일(4회)(5306696) 좋은아빠되기 2022.04.07 66
Board Pagination Prev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