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9월 02일(4736893)


1. 그림의 대화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경제 문제의 유형 이해
[정답해설]
ㄱ. 자동화 기계의 도입은 생산 방법의 선택 문제에 해당한다.
ㄴ. B제품의 생산량을 줄이고 대신 A제품의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생산물의 선택 문제에 해당한다.

[오답피하기]
ㄷ. 병은 경제생활의 유형 중 소득 분배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ㄹ. 갑, 을, 병 모두 기업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형평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2. 다음 자료에 대한 적절한 분석 및 추론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단, 수요 곡선에 변화는 없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정부의 시장 개입 이해
[정답해설]
ㄴ. 신전 안 영업에 대한 허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면 신전 안에서 공물용 비단의 공급이 늘어나 공물용 비단 가격은 하락하게 될 것이다.
ㄹ. 인증서를 발급받은 소수의 상인들만 공물용 비단을 판매할 수 있으므로 독과점에 해당한다.

[오답피하기]
ㄱ. 사람들은 의무적으로 공물을 바쳐야 하므로 공물용 비단 가격이 비싸더라도 일정량의 공물용 비단을 살 수밖에 없었다. 이는 공물용 비단의 수요가 가격에 매우 비탄력적임을 의미한다.
ㄷ. 인허가는 정부 규제의 대표적인 수단이다. 공기업 민영화는 공기업이 독점적으로 생산하던 생산물을 시장 경쟁에 맡기는 것으로 정부 규제와 성격이 반대인 사례에 해당한다.

3. 그림은 민간 부문의 경제 순환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택배 회사가 물품을 배달하고 받은 대금은 ㉠에 해당된다.
     2. 의사의 진료 행위는 ㉡에 해당된다.
     3. 비업무용으로 구입한 자가용 승용차는 ㉢에 해당된다.
     4. ㉡의 수요 증가는 ㉢의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다.
     5. A시장에서 (가)는 수요자, B시장에서 (나)는 공급자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민간 부문의 경제 순환 이해
[정답해설]
노동 시장에서 가계는 공급자, 기업은 수요자이므로 (가)는 가계, (나)는 기업이다. 따라서 A시장은 노동 외의 생산 요소 시장이며, B는 생산물 시장이다. ㉠은 가계가 생산 요소를 제공하고 얻는 소득이며, ㉡은 기업이 생산을 위해 구입하는 노동이며, ㉢은 가계가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생산물이다.
③ 자가용 승용차를 비업무용으로 구입하는 것은 소비 활동이며, 자가용 승용차는 생산물에 해당한다.

[오답피하기]
① 택배 회사의 물품 배달은 B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이다.
②의 사의 진료 행위는 노동 시장이 아니라 B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이다.
④ ㉡은 기업이 구입하는 노동이다. 노동 수요의 증가는 가계의 소득 증가로 이어져 가계의 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⑤ A시장에서 (가)는 공급자이며, B시장에서 (나)는 공급자이다.

4. 그림은 수박 시장 균형점 e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옳은 추론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단, 수박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따른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시장 균형점의 변화 분석
[정답해설]
ㄱ. 병충해로 수박의 생산량이 감소하면 수박 공급이 감소하여 가격은 상승하고 거래량은 줄어든다.
ㄷ. 대체재인 참외의 가격이 하락하면 수박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은 하락하고 거래량은 감소한다.

[오답피하기]
ㄴ. 수박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지면 수박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은 하락하고 거래량은 감소한다.
ㄹ. 수박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수박 공급이 감소하여 가격은 상승하고 거래량은 감소한다.

5. 그림은 증권 상품의 일반적인 특징에 따라 A와 B를 구분한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단, A, B는 각각 주식 또는 채권에 해당한다.) [3점]

   

     1. A를 보유한 사람은 확정 이자를 기대할 수 없다.
     2. B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부채에 해당한다.
     3. A는 B에 비해 원금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편이다.
     4. (가)에는“공공 기관만 발행할 수 있습니까?”가 들어갈 수 있다.
     5. (나)에는“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까?”가 들어갈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채권과 주식의 비교
[정답해설]
주식은 기업의 주주임을 나타내는 증서이다. 따라서 A는 채권, B는 주식이다.
③ 주식은 회사 경영 상태와 경기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해 안전성이 낮은 편이다. 채권은 이자가 확정되어 있으며 정부나 공공 기관, 금융 회사 그리고 신용도가 높은 주식회사 등이 주로 발행하므로 원금과 이자에 대한 안전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오답피하기]
① 채권은 확정 이자가 약속되어 있는 증권이다.
② 기업의 입장에서 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주식이 아니라 채권이다.
④ 주식은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이며, 채권은 정부나 공공 기관, 금융 회사 그리고 신용도가 높은 주식회사 등이 주로 발행하는 증권이다.
⑤ 주식과 채권 모두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6. 그림은 A`재화의 가격 변화율에 따른 갑~병의 소비 지출액 변화율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수요의 가격 탄력성 분석
[정답해설]
ㄱ. 갑의 경우 가격이 3% 하락할 때 소비 지출액은 3% 증가한다. 즉, 가격 하락률보다 수요량 증가율이 크다. 따라서 갑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탄력적이다.
ㄷ. 병의 경우 가격이 3% 하락할 때 소비 지출액은 3% 하락한다. 즉, 가격이 변해도 구매량의 변화는 없다.

[오답피하기]
ㄴ. 을의 경우 가격이 3% 상승할 때 소비 지출액의 변화는 없다. 즉, 가격 상승률과 수요량 감소율이 동일하다. 따라서 을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단위 탄력적이다.
ㄹ. 갑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탄력적이며 병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이다. 따라서 갑의 수요가 병의 수요보다 가격에 대해 더 탄력적이다.

7. 다음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는 비례세율, (나)는 누진세율이 적용된다.
     2. (가)에 비해 (나)는 소득의 재분배 효과가 크다.
     3. (가)에서는 과세 대상 소득이 3,000만 원일 때의 세후 소득이 3,100만 원일 때의 세후 소득보다 더 크다.
     4. 과세 대상 소득이 5,000만 원인 사람의 세액은 (가)와 (나)에서 같다.
     5. 과세 대상 소득이 2,000만 원에서 2,500만 원으로 500만 원 증가할 때 추가적으로 납부할 세액은 (가)보다 (나)에서 더 크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누진세와 비례세의 비교
[정답해설]
(가)는 누진세이며 (나)는 비례세이다. ④과 세 대상 소득이 5,000만 원인 사람의 소득세액은 (가)에서는 500만 원[(2,000만 원 × 10%) + (2,000만 원 × 15%)]이며, (나)에서도 500만 원(5,000만 원 × 10%)이다.

[오답피하기]
① (가)는 누진세율, (나)는 비례세율이 적용된다.
② 비례세율보다 누진세율이 소득 재분배 효과가 크다.
③ (가)에서 과세 대상 소득이 3,100만 원일 때의 소득세액은 3,000만 원일 때보다 15만 원만큼 많아진다. 따라서 과세 대상 소득이 3,100만 원일 때의 세후 소득은 3,000만 원일 때보다 85만 원만큼 크다.
⑤과 세 대상 금액이 2,000만 원에서 2,500만 원으로 500만 원 증가할 때 추가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은 (가)와 (나)에서 모두 50만 원(500만 원 × 10%)으로 동일하다.

8. 그림은 X재 시장에 대한 정부의 최고 가격제 실시 전후의 시장 상황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1. 가격 규제 이전 생산자 잉여는 C+G이다.
     2. 가격 규제 이후 Q0Q2만큼 초과 수요가 발생한다.
     3. 가격 규제 이후 사회적 잉여는 E+F만큼 증가한다.
     4. 가격 규제 이후 소비자 잉여는 A+B+C+D+E+F이다.
     5. 가격 규제 이전 생산자 잉여에 포함된 C는 규제 이후 소비자 잉여에 포함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최고 가격제로 인한 경제적 잉여의 변화 분석
[정답해설]
⑤ 가격 규제 이전 생산자 잉여는 C+D+G이며, 규제 이후 소비자 잉여는 A+C이다. 따라서 C는 가격 규제 이전에는 생산자 잉여에 포함되었으나 규제 이후에는 소비자 잉여에 포함된다.

[오답피하기]
① 가격 규제 이전 생산자 잉여는 C+D+G이다.
② 가격 규제로 최고 가격이 시장 가격이 된다. 이 가격 수준에서 수요량은 Q2, 공급량은 Q1으로 Q1Q2만큼 초과 수요가 발생한다.
③ 가격 규제 이전 사회적 잉여는 A+B+C+D+G이며, 가격 규제 이후 소비자 잉여는 A+C이며 생산자 잉여는 G로 사회적 잉여는 A+C+G이다. 따라서 가격 규제 이후 사회적 잉여는 B+D만큼 감소한다.
④ 가격 규제 이후 소비자 잉여는 A+C이다.

9.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갑: A국의 실업률은 변화가 없습니다.
     2. 을: A국은 경제 활동 인구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했습니다.
     3. 병: B국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상승했습니다.
     4. 정: B국은 실업자 감소 인원보다 취업자 증가 인원이 적습니다.
     5. 무: A국에서는 B국과 달리 취업자 수가 감소했습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고용 지표의 분석
[정답해설]
② A국은 경제 활동 인구는 증가했으며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따라서 경제 활동 인구에서 취업자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했다.

[오답피하기]
① A국의 경제 활동 인구는 증가했고 실업자 수는 변화가 없으므로 실업률은 감소했다.
③ B국의 15세 이상 인구와 경제 활동 인구는 변화가 없으므로 경제 활동 참가율 또한 변화가 없다.
④ B국의 경제 활동 인구는 변화가 없으며 실업자 수가 감소했으므로 취업자 수는 감소한 실업자 수만큼 증가했다.
⑤ A국과 B국의 취업자 수는 모두 증가했다.

10. 표는 갑국의 2012년~2014년 X재, Y재의 가격 및 생산량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갑국은 X재와 Y재만 생산하며, 두 재화는 모두 최종 생산물이다. 기준 연도는 2012년이다.)

    

     1. 2012년 실질 GDP는 2,000원이다.
     2. 2013년 명목 GDP는 3,000원이다.
     3. 2014년 명목 GDP는 6,000원이다.
     4. 2014년 경제 성장률은 100%이다.
     5. 2014년 실질 GDP는 2013년 실질 GDP보다 크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계산
[정답해설]
실질 GDP는 명목 GDP를 기준 연도의 가격으로 계산한 것이다. X재는 매년 생산량이 동일하므로 실질 GDP의 변화가 없다. Y재는 매년 물가 수준이 기준 연도와 동일하므로 실질 GDP와 명목 GDP가 일치한다.
④ 2013년의 실질 GDP는 X재 1,000원(10개×100원)과 Y재 1,500원(150개×10원)을 합쳐 2,500원이다. 2014년의 실질 GDP는 X재 1,000원(10개×100원)과 Y재 3,000원(300개×10원)을 합쳐 4,000원이다. 따라서 2014년 경제 성장률은 60%이다.

[오답피하기]
① 2012년은 기준 연도이므로 실질 GDP와 명목 GDP가 일치한다. 따라서 실질 GDP는 2,000원(1,000원 + 1,000원)이다.
② 2013년 명목 GDP는 3,000원(1,500원 + 1,500원)이다.
③ 2014년 명목 GDP는 6,000원(3,000원 + 3,000원)이다.
⑤ 2013년의 실질 GDP는 2,500원이며 2014년의 실질 GDP는 4,000원이다.

11. 그림은 갑국의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의 관계 분석
[정답해설]
경제 성장률이 인구 증가율보다 크면 전년 대비 1인당 실질 GDP는 증가하며, 반대로 경제 성장률이 인구 증가율보다 작으면 전년 대비 1인당 실질 GDP는 감소한다.
ㄱ. 2013년의 1인당 실질 GDP는 전년과 동일하며 2014년의 1인당 실질 GDP는 전년보다 증가하므로 1인당 실질 GDP는 2014년이 가장 크다.
ㄷ. 2014년의 경제 성장률은 4%이므로 2014년의 실질 GDP는 전년보다 4% 증가했다.

[오답피하기]
ㄴ. 2013년에는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이 일치하므로 2013년의 1인당 실질 GDP는 전년과 동일하다.
ㄹ. 인구 증가율은 매년 양(+)의 값을 가지므로 2012 ~ 2014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2. 그림의 대화에 대한 분석 및 추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갑은 총수요의 감소가 디플레이션을 초래한다고 보고 있다.
     2. 갑은 확대 통화 정책보다 긴축 통화 정책을 지지할 것이다.
     3. 을은 실질 GDP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 을은 총공급의 감소를 물가 하락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5. 갑과 을이 진단하는 경제 상황이 동시에 나타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디플레이션의 원인 분석
[정답해설]
디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갑은 디플레이션의 발생 원인을 민간 소비의 감소에서 찾고 있으며, 을은 국제 원자재 가격의 하락에서 찾고 있다.
① 민간 소비는 총수요를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므로 민간 소비의 감소는 총수요의 감소를 초래한다.

[오답피하기]
② 갑은 총수요의 감소가 디플레이션의 원인이므로 총수요 증대를 지지할 것이다. 긴축 통화 정책을 실시하면 총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③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 총공급이 증가한다. 이 경우 물가는 하락하며 실질 GDP는 증가한다.
④ 을은 총공급의 증가를 물가 하락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⑤ 총수요가 감소하고 총공급이 증가하는 경우 물가는 하락하며 생산량의 증감 여부는 불분명하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총공급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13. 그림의 A, B는 앞으로 예상되는 환율의 변화 방향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3점]

    

     1. A의 경우 일본 엔화 대비 원화의 교환 비율은 상승한다.
     2. A의 경우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할 것이다.
     3. B의 경우 미국으로 자녀를 유학 보낸 일본 학부모의 학비 부담이 감소할 것이다.
     4. A와 달리 B의 경우 엔화를 달러화로 환전하는 일본 관광객의 부담이 감소할 것이다.
     5. 일본산 부품을 사용하여 한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B보다 A의 경우에 생산 비용이 적게 든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환율 변동의 영향 파악
[정답해설]
A의 경우 엔/달러 환율은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은 하락한다. B의 경우 엔/달러 환율과 원/달러 환율 모두 상승한다.
⑤ 엔화 가치 대비 원화 가치는 A가 B보다 높다. 따라서 원/엔 환율은 A보다 B가 높다. 따라서 일본산 부품을 사용하여 한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생산비는 A가 B보다 적다.

[오답피하기]
① A의 경우 미국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는 하락하고 원화 가치는 상승한다. 따라서 원/엔 환율, 즉 일본 엔화 대비 원화의 교환 비율은 하락한다.
② A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므로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하락하게 된다.
③ B의 경우 엔/달러 환율은 상승하므로 미국으로 자녀를 유학 보낸 일본 학부모의 학비 부담은 증가하게 된다.
④ A와 B 모두 엔/달러 환율은 상승하므로 엔화를 달러화로 환전하는 일본 관광객의 부담은 A의 경우와 B의 경우 모두 증가한다.

14. 다음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격이 550원일 때 갑의 수요량은 4개이다.
     2. 가격이 650원일 때 병의 공급량은 3개이다.
     3. 가격이 750원일 때 을의 수요량이 병의 공급량보다 많다.
     4. 가격이 850원일 때 병의 생산자 잉여는 450원이다.
     5. 가격이 850원일 때 갑의 소비자 잉여는 을의 소비자 잉여보다 150원 크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계산
[정답해설]
⑤ 가격이 850원일 때 갑의 수요량은 2개이며, 갑의 소비자 잉여는 200원(150원 + 50원)이다. 가격이 850원일 때 을의 수요량은 1개이며, 을의 소비자 잉여는 50원이다. 따라서 갑의 소비자 잉여는 을의 소비자 잉여보다 150원 크다.

[오답피하기]
① 갑의 경우 550원 이상의 금액을 치르고 구입하고자 하는 수량은 3개이다.
② 병의 경우 650원 이하의 금액을 받고 판매하고자 하는 수량은 2개이다.
③ 가격이 750원일 때 을의 수요량은 2개이며 병의 공급량은 3개이다.
④ 가격이 850원일 때 병의 공급량은 3개이며 이때 병의 생산자 잉여는 1,250원(650원+450원+150원)이다.

15. 다음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1.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 수는 3백만 명이다.
     2.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 수는 사회적 최적 수준보다 많다.
     3.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 수보다 정부 지원에 따른 추가 접종자 수가 많다.
     4. 정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갑국 사람 모두가 접종받는 것은 아니다.
     5. 정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외부 효과로 인한 시장 실패는 해소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외부 효과의 분석
[정답해설]
소비 활동에서 외부 경제가 발생한 경우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면 사적 수요 곡선은 사회적 수요 곡선과 일치하는 수준까지 상향 이동하게 된다.
④ 정부 지원으로 접종자 수는 4백만 명으로 늘어난다. 이 수는 전체 인구 5백만 명보다 적다.

[오답피하기]
①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 수는 2백만 명이다.
② 소비 활동에서 외부 경제가 발생하면 시장 소비량은 사회적 최적 수준보다 적게 된다. 따라서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수는 사회적 최적 수준보다 적다.
③ 정부 지원이 있으면 추가 접종자 수는 2백만 명 늘어난다. 이 수는 정부 지원이 없을 때의 접종자 수와 동일하다.
⑤ 외부 경제, 외부 불경제를 불문하고 외부 효과는 시장 실패를 가져온다. 정부의 보조금 지급은 예방 접종자 수를 늘리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예방 접종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부 효과가 해소된다.

16. 그림은 갑국의 국민 경제 균형점 E의 변화를 나타낸다. 균형점 E를 (가), (나)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3점]

    

     1. 정부 지출 확대, 순수출 감소
     2. 생산 요소 가격 상승, 순수출 감소
     3. 생산 요소 가격 상승, 기준 금리 인하
     4. 기술 혁신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기준 금리 인하
     5. 기술 혁신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정부 지출 축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국민 경제의 균형점 이동의 원인 파악
[정답해설]
(가)는 총공급이 감소할 때 (나)는 총수요가 감소할 때 균형점이 이동하는 방향이다.
② 생산 요소의 가격 상승은 총공급의 감소를 초래하며, 순수출 감소는 총수요 감소를 초래한다.

[오답피하기]
① 정부 지출 확대는 총수요 증가, 순수출 감소는 총수요 감소 요인이다.
③ 생산 요소 가격 상승은 총공급 감소, 기준 금리 인하는 총수요 증가 요인이다.
④ 기술 혁신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총공급 증가 요인이다.
⑤ 정부 지출 축소는 총수요 감소 요인이다.

17. 그림은 A국 생산 가능 곡선의 변화에 대한 갑과 을의 예상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분석 및 추론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갑의 예상이 맞으면 X재 50개와 Y재 80개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2. 갑의 예상이 맞으면 (다)의 각 점은 생산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비효율적인 생산 조합이 된다.
     3. 을의 예상이 맞으면 X재 1개 생산의 기회비용은 Y재 1/2개가 된다.
     4. 갑과 달리 을은 Y재 1개 생산의 기회비용이 작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5. 갑과 을 중 누구의 예상이 맞더라도 X재 60개와 Y재 60개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생산 가능 곡선의 이해
[정답해설]
⑤ X재 60개와 Y재 60개의 생산은 (나), ㈐ 곡선이 만나는 점으로 두 곡선 상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점이다.

[오답피하기]
① 갑의 예상이 맞으면 X재 50개와 함께 Y재를 최대로 75개 생산할 수 있다.
② 갑의 예상이 맞으면 곡선 (다)상의 점 중에서 곡선 (나)와 만나는 점은 생산 가능 하고 동시에 효율적인 생산 조합이다.
③ 을의 예상이 맞으면 X재 1개 생산의 기회비용은 Y재 2/3개가 된다.
④ 갑은 Y재 1개 생산의 기회비용이 X재 1개에서 2/3개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을은 X재 1개에서 1.5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18. 그림은 갑국의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과 명목 이자율의 예상 조합 A~D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1. A의 경우 현금 보유가 예금보다 유리하다.
     2. 실질 이자율은 B의 경우에 가장 높다.
     3. B와 C의 경우 물가 수준은 같다.
     4. C보다 A의 경우 예금의 실질 구매력이 작다.
     5. D보다 B의 경우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이 높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물가 상승률과 명목 이자율의 관계 분석
[정답해설]
➃ 예금의 실질 구매력은 명목 이자율이 높을수록, 물가 상승률이 낮을 수록 높아진다. A는 C에 비해 명목 이자율은 동일하지만 물가 상승률이 높으므로 예금의 실질 구매력은 C보다 A일 때 더 작다.

[오답피하기]
① A의 경우 명목 이자율이 양(+)의 값이므로 현금보다 예금 보유가 유리하다.
② 실질 이자율은 D의 경우에 가장 높다.
③ 물가 상승률이 높을수록 물가 수준이 높아진다. 따라서 C보다 B의 경우 물가 수준이 높다.
⑤ 물가 상승률은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이란 명목 이자율을 의미한다. 명목 이자율은 B와 D의 경우 동일하다.

19. 그림은 2013년과 2014년 A국의 B국에 대한 상품 수출액과 상품 수지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분석 및 추론으로 옳은 것은? (단, 교역은 A국과 B국 간에만 존재한다.)

    

     1. A국의 상품 수입액은 증가했다.
     2. A국의 상품 수입액 변동폭은 상품 수출액 변동폭보다 크다.
     3. B국의 상품 수지는 악화되었다.
     4. B국의 소비 심리 개선이 위와 같은 추세의 원인이 될 수 있다.
     5. A국이 B국보다 상품 수출액 감소폭이 더 크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상품 수출액과 상품 수지의 분석
[정답해설]
수입액은 수출액에서 상품 수지를 차감한 금액이다.
⑤ A국의 상품 수출액은 200억 달러 감소했으며, B국의 상품 수출액(A국의 상품 수입액)은 100억 달러 감소했다.

[오답피하기]
① 2014년 A국의 상품 수입액은 200억 달러로 2013년의 300억 달러보다 감소했다.
② A국의 상품 수출액 변동폭은 200억 달러이며 상품 수입액 변동폭은 100억 달러이다.
③ A국의 상품 수지는 악화되었으며 반대로 B국은 개선되었다.
④ B국의 소비 심리 개선은 A국의 수출 증가로 이어진다.

20. 다음 자료에 대한 분석 및 추론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은 6이다.
     2. 고속버스의 소요 시간이 4시간으로 증가하면 ㉡은 1 미만이 된다.
     3. 열차 운임이 5만 원으로 변경되면 ㉢은 1 이상, 3 미만이 된다.
     4. 열차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면 시간의 가치가 2만 7천 원인 사람은 비행기를 이용한다.
     5. 비행기 운임이 10만 원으로 인상되어도 시간의 가치가 4만 5천원인 사람은 여전히 비행기를 이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시간의 기회비용 분석
[정답해설]
③ 열차 운임이 5만 원이면 ㉢은 1 이상, 4 미만이 된다.

[오답피하기]
① 열차 이용자의 시간 가치가 2만 원 이상, 3만 원 미만이므로 열차 운임은 비행기 운임보다 3만 원 적고, 고속버스 운임보다 2만 원 많은 6만 원이다.
② 고속버스의 소요 시간이 4시간이면 열차 대신 고속버스를 선택함으로써 시간은 2시간 더 소요되고 운임은 2만 원 감소한다. 따라서 고속버스 이용자의 시간 가치는 1만 원보다 작다.
④ 시간의 가치가 2만 7천 원인 사람은 비행기 이용으로 고속버스 이용 대비 2시간(5만 4천 원)을 얻는 대신 요금 5만 원을 더 부담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⑤ 시간의 가치가 4만 5천 원인 사람은 비행기 이용으로 고속버스 이용 대비 2시간(9만 원)을 얻는 대신 요금 6만 원을 더 부담하므로 유리하며, 열차 이용 대비 1시간(4만 5천 원)을 얻는 대신 요금 4만 원을 더 부담하므로 유리하다.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9월 02일(473689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0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17.01.10 139
1549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74070)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39
1548 EPR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1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16.06.09 139
154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12월 16일(510867) 좋은아빠되기 2022.07.07 138
154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9331357) 좋은아빠되기 2022.05.29 138
1545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7월1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38
1544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7 138
1543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0.01.07 138
1542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38
1541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37
1540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6월 27일(6298897)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36
1539 광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06일(6455272) 좋은아빠되기 2022.04.19 135
1538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35
1537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8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18.06.28 135
1536 T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96644) 좋은아빠되기 2016.10.10 135
1535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8월 08일(7879295)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34
1534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7 134
1533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16.07.02 134
1532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9월07일 남쌤 2022.04.04 133
1531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2 133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