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3월 08일(11460)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
     1. 지하물질의 밀도 분포
     2. 대기의 대류 현상
     3. 태양과 달의 인력
     4. 지구의 공전 운동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2. 임의 지점에서 GPS 관측을 수행하여 타원체고(h) 59.543m를 획득하였다. 그 지점의 지구중력장 모델로부터 계산한 지오이드고 (N)가 2.309m 이었다면 정표고(H)는?
     1. -61.852m
     2. -57.234m
     3. 57.234m
     4. 61.852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표고(H)=타원체고(h)-지오이드고(N)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3. 다음 중 지구의 공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계절의 변화
     2. 일조 시간의 변화
     3. 태양 남중고도의 변화
     4. 인공위성의 궤도가 서편하는 현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4. GPS 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PS 시는 위성에 탑재된 원자시계가 나타내는 시각이다.
     2. GPS 시와 UTC의 차이는 윤초의 삽입으로 증가한다.
     3. GPS 시는 1980년 1월 6일 0시 UTC로부터 시작하였다.
     4. GPS 시는 국제원자시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5. 다음 중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측량으로 짝지어진 것은?
     1. 다각측량, 중력측량
     2. 수준측량, 중력측량
     3. 수준측량, 지자기측량
     4. 다각측량, 지자기측량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구는 회전타원체이기 떄문에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 평균해면 상의 중력이 커지게 되는데 회전타원체의 지구형상에 기초한 중력식을 사용하여 수준측량에서 측정된 높이에 보정하는 것으로 정표고를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수준측량, 중력측량이 수행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6. 지구의 반지름이 6400㎞인 구(球)라고 가정했을 때 위도 30°, 경도 60°, 높이(h) 0m인 지점의 지심직각좌표계 상 좌표값 중 z 좌표는? (단 지구의 회전축을 z 축으로 한다.)
     1. 2520㎞
     2. 3200㎞
     3. 5217㎞
     4. 64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7. 중력보정 중 관측점을 중심으로 지형이 높은 곳은 깎고 낮은 곳은 채워서 평탄하게 했을 때의 값으로 보정하는 것은?
     1. 지형보정
     2. 고도보정
     3. 부게보정
     4. 아이소스타시보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8. 어느 구면 삼각형에서 구과량이 30″이었다. 이 구면 삼각형의 면적이 0.355m2 이라면 구의 반지름은?
     1. 39.8m
     2. 42.3m
     3. 49.4m
     4. 60.0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구과량은(면적/반지름 제곱)*206265"의 식에서
반지름을 구하려면 루트(면적/30")*206265" 하면 49.4m
[해설작성자 : 동니]

9. 서편각이 +30°인 어느 지점에서 나침반의 자침이 그림과 같을 때 진북방향각을 가리키는 것은?

   

     1. N60°W
     2. N30°W
     3. N30°E
     4. N60°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10. 다음 중 DGPS에 의해서 보정되지 않는 오차는?
     1. 전리층 지연 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사이클 슬립
     4. 위성궤도오차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11. GPS 위성의 궤도를 계산하기 위한 궤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궤도의 장반경
     2. 궤도의 경사각
     3. 궤도의 원지점 인수
     4. 궤도의 승교점 적경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12. 다음의 GPS를 이용한 측량방법 중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 방법으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정지(Static) 측량
     2. 이동(Kinematic) 측량
     3.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
     4.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13. GPS 오차원인 중 L1 신호와 L2 신호의 굴절 비율이 상이함을 이용하여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한 것은?
     1. 전리층 지연 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GPS 안테나의 구심오차
     4. 다중경로오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14. 현재 운용중인 GP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신자료가 아닌 것은?
     1. C/A
     2. L1
     3. L2
     4. E6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15. 지구좌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위도좌표계는 지구상의 절대적 위치를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곡면상의 좌표계이다.
     2. 평면직교좌표계란 측량범위가 크지 않은 일반적인 측량에 많이 이용되는 좌표계이다.
     3.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는 적도를 종축, 지구 자전축을 횡축으로 하며 지구를 회전테원체로 보고 지구전체를 위도 6°씩 60개의 구역, 경도 8°씩 20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4. UPS (Universal Polar Stereographic) 좌표계는 UTM 좌표 체계를 적용할 수 없는 극지방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만들어진 좌표계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16. 지자기측량에서 필요한 보정이 아닌 것은?
     1. 지자기장의 일변화 및 기계오차에 의한 보정
     2. 태양 고도각 보정
     3. 기준점 보정
     4. 온도 보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17. 다음 중 VLBI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간섭계를 이용한 것으로 전파망원경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좋은 공간해상도를 갖는다.
     2. 공간해상도는 두 물체를 분리하여 볼 수 있는 최소각을 의미한다.
     3. 일반적으로 수백㎞ 이상의 범위에서 직접 측정이 유효하다.
     4.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정밀측량, 지각변동의 관측 등을 목적으로 이용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18. 통합기준점 설치를 위한 GPS 기준점 측량 시 연속 관측 시간은?
     1. 2시간
     2. 4시간
     3. 6시간
     4. 8시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19. 다음 중 GPS 다중경로 오차를 줄이기 위한 측량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이중주파수 수신기를 설치한다.
     2. 관측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3. 오차 요인을 가진 장소를 피해 안테나를 설치한다.
     4. 각 위성 신호에 대하여 칼만 필터를 적용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20. 지오이드(geoi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오이드는 중력장이론에 따라 물리적으로 정의한다.
     2. 지오이드는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변화한다.
     3. 모든 지점에서 지구타원체의 수직선과 지오이드의 연직선은 일치한다.
     4. 일반적으로 육지에서의 지오이드면은 지구타원체면보다 높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2과목 : 응용측량


21. 클로소이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이다.
     2. 클로소이드는 주로 철도의 완화곡선으로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4.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클로소이드는 주로 고속도로의 완화곡선의 선형으로 이용된다.

22.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같이 편각법에 의해 행한다.
     2. 터널 내 측량에는 터널 내 중심선측량과 터널 내 수준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3. 터널의 중심선측량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 측량으로 행한다.
     4. 터널 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및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23. 터널 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갱(導坑)
     2. 레벨(level)
     3. 자이로(gyro)
     4. 도벨(dowel)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24. 그림과 같은 도로건설의 절취단면 면적은?

    

     1. 13.95m2
     2. 15.95m2
     3. 16.95m2
     4. 17.95m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25. 사다리꼴 토지의 밑변 AD에 평핸한 직선 PP'에 의해 면적을 2등분 (m : n = 1 : 1)하고자 할 때 PP'의 거리는?

    

     1. 37.0m
     2. 38.7m
     3. 40.5m
     4. 42.5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26. 도로의 종단면도에 기입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추가말뚝의 추가거리, 측점간의 거리
     2. 계획고, 지반고
     3. 절ㆍ성토고, 계획선의 경사
     4. 절ㆍ성토 단면적, 절ㆍ성토량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27. 하천의 유속측정을 위하여 그림과 같이 표면부자를 수면에 띄우고 A점을 출발하여 B점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분 20초이었다. AB 두 점 사이의 거리가 20.5m 일 때 유속은? (단, 큰 하천에 대한 보정계수는 0.9임)

    

     1. 0.113m/s
     2. 0.132m/s
     3. 0.146m/s
     4. 0.163m/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0.9×20.5=140×X
[해설작성자 : 공주]

28. 다음 수로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좌표계는 세계측지계를 사용한다.
     2. 수심은 기본수준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표시한다.
     3. 해안선은 해면이 약최저저조면에 달하였을 때의 육지와 해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4. 투영법은 국제횡마르카토르도법(UTM)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29. 경관의 구성요소에서 인간의 속성을 나타내는 직업, 연령, 건강상태, 교육환경이 속하는 계는?
     1. 대상계
     2. 경관장계
     3. 시점계
     4. 형상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30. 터널측량의 일반적인 작업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지형측량 - 터널 외 기준점 측량 - 세부측량 - 터널 내 측량 - 준공측량
     2. 세부측량 - 터널 외 기준점 측량 - 터널 내 측량 - 지형측량 - 준공측량
     3. 지형측량 - 세부측량 - 터널 외 기준점 측량 - 터널 내 측량 - 준공측량
     4. 세부측량 - 터널 내 측량 - 지형측량 - 준공측량 - 터널 외기준점 측량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31. 그림과 같이 200㎜ 하수관을 묻었을 때 측점 A의 관저계획고는 53.16m 이고, AB 구간의 설치 기울기는 1/200, BC 구간의 설치 기울기는 1/250 일 때, 측점 C의 관저계획고는?

    

     1. 54.35m
     2. 54.48m
     3. 54.51m
     4. 54.54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32.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
     1. 좌표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33. 교각 60°, 곡선반지름 150m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완화곡선을 설치하면 완화곡선의 길이는?(단, 완화곡선의 매개변수는 120m 이다.)
     1. 5.3m
     2. 53m
     3. 9.6m
     4. 96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34. 체적측량에 있어서 관측된 수평 및 수직거리 x, y, z의 거리오차 를 dx, dy, dz 라 하고 거리관측의 정확도가 k로 동일하다고 할때, 다음 중 체적관측의 정확도는?
     1. 1/3K
     2. 1K
     3. 3K
     4. 9K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35. 노선측량에서 곡선을 설치할 때 가장 먼저 결정하여야 할 것은?
     1. T.L. (접선길이)
     2. C.L. (곡선길이)
     3. B.C. (곡선시점)
     4. R (곡선반지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36. 하천의 유속측정에 있어서 수면으로부터 수심(H)의 0.2H, 0.6H, 0.8H인 지점의 유속이 각각 12.783m/s, 12.863m/s, 12.821m/s일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12.321m/s
     2. 12.421m/s
     3. 12.833m/s
     4. 12.933m/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37. 수애선(水涯線) 및 수애선 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수위의 변화가 적은 시기에 심천측량을 행하여 하천의 횡ㆍ단면도를 먼저 만든다.
     2.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최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3. 수면과 하안과의 경계선을 수애선이라 한다.
     4. 수애선 측량에는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과 동시관측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38. 하천측량에서 합류점, 분류점이나 만곡이 심한 장소로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곳의 삼각망 구성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유심삼각망
     2. 단열삼각망
     3. 단삼각망
     4. 사변형삼각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39. 삼각형 ABC의 좌표가 표와 같을 때 토지의 면적은?

    

     1. 4700m2
     2. 3700m2
     3. 2700m2
     4. 1700m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40. 캔트가 C인 노선의 곡선부에서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할때 변화된 캔트는?
     1. C/3
     2. 1.5C
     3. 3C
     4. 9C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사진의 축척을 일치시키고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여 제작한 사진지도 중 등고선이 삽입되지 않은 사진지도는?
     1. 정사투영 사진지도
     2. 중심투영 사진지도
     3. 약집성 사진지도
     4. 조정집성 사진지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42. 위성영상 중 지표면의 온도분포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은?
     1. Landsat 위성의 TM 영상
     2. Landsat 위성의 RBV 영상
     3. SPOT 위성의 HRV 영상
     4. 아리랑 위성의 EOC 영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43. 다음 중 상업용 위성으로 1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위성은?
     1. KOMPSAT - 1
     2. IKONOS
     3. SPOT - 5
     4. LANDSA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44.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이용하여 해상도가 낮은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기법은?
     1. 영상 융합
     2. 영상 모자이크
     3. 영상 피라미드
     4. 영상 기하 보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45.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다중 파장대에 의한 지구 표면의 정보획득이 용이하다.
     2.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
     3. 짧은 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 관측이 가능하다.
     4.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하여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46. 초점거리 200㎜의 카메라로 지상에서 한 변의 길이가 30㎝인 대공표지를 사진 상에서 30μm 이상의 크기로 나타나게 하고자 할 때, 한계비행고도는?
     1. 1500m
     2. 1700m
     3. 2000m
     4. 2500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47. 초점거리 210㎜인 카메라로 평지를 촬영하였을 때 주점기선의 길이가 73㎜ 이었다. 인접사진과의 종중복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23㎝ 이다.)
     1. 76%
     2. 68%
     3. 53%
     4. 4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48. 상호표정요소를 계산하기 위하여 측정하여야 할 공액점의 최소 개수는?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49.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심투영의 성질 때문에 생긴다.
     2. 변위량은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3. 변위량은 지형지물의 비고에 반비례한다.
     4. 변위량은 사진주점에서 상이 생기는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50. 사진측량의 내부표정에 사용 가능한 방법은?
     1. 3차원 상사변환 (3-dimensional similarity transformation)
     2. 의사부등각사상변환 (pseudo affine transformation)
     3. 공면조건 (coplanarity condition)
     4. 공선조건 (collinearity condition)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51. 평탄지를 축척 1:20000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 사진의 크기가 23㎝×23㎝, 종중복도 60% 일 때 기선고도비는?
     1. 0.51
     2. 0.61
     3. 0.71
     4. 0.81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52. 항공사진 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층 빌딩이 많은 지역에서는 종중복도를 감소시킨다.
     2. 산악지 같은 지형의 상은 왜곡되어 찍힌다.
     3. 촬영 각도가 기울어지면 같은 사진 내에서도 축척이 일정하지 않다.
     4. 주점, 연직점, 등각점의 특수 3점이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53. 사진의 주점(principal point)을 계산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1. 사진지표
     2. 초점거리
     3. 노출중심
     4. 사진의 번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54. 초점거리 150㎜ 카메라로 촬영고도 1800m, 촬영기선장 960m로 연직촬영한 입체모델이 있다. A점의 시차를 관측한 결과 기준면(표고 0m)의 시차보다 10㎜ 더 크게 관측되었다면, 엄밀계산법으로 구한 A점의 표고는?
     1. 150m
     2. 175m
     3. 200m
     4. 225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55. 항공사진은 어떤 투영에 의한 지형ㆍ지물의 상인가?
     1. 중심투영
     2. 등적투영
     3. 평행투영
     4. 정사투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56. 절대표정 (또는 대지표정)이 완전히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합동
     2. 상사
     3. 상반
     4. 일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57. 상호표정에 사용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λ (축척계수)
     2. κ (Z축에 대한 회전)
     3. φ (Y축에 대한 회전)
     4. ω (X축에 대한 회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58. 위성영상처리 과정 중 전처리(preprocessing)에 속하는 것은?
     1. 수치지형모델(DTM) 생성 및 지도제작
     2. 영상분류와 판독
     3. 방사보정과 대기보정
     4. 영상자료 전송 및 압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59. 항공사진 측량시 표정기준점(또는 지상기준점)의 선정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사진 상의 명료한 점
     2. 상공에서 보이느 점
     3. 시간적인 변화가 없는 점
     4.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60. 위성영상의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성영상의 질(quality)을 표준화하여 등급을 정하는 것이다.
     2. 영상향상(image enhancement)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 적용된다.
     3. 다양한 위성영상들을 좌표계에 맞추어 구역별로 나누는 것이다.
     4. 무감독 분류에서는 사전학습자료(training data)를 이용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중 위상정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간객체의 길이, 면적 등의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2. 공간객체 형태(Shape)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제반 분석을 매우 빠르게 한다.
     3.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의 형태(Shape), 인접성,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위상정보는 공간객체 간의 형태뿐만 아니라 계급성,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설작성자 : 군무원 4개월 만에 합격가자!]

62. 아래 두 테이블을 합집합(union)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63. 벡터(Vector)방식의 데이터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불연속적인 선이나 점을 이용한다.
     2. 벡터 모형의 모든 객체는 수학적 위치값을 갖는다.
     3. 대상물들은 점, 선, 면 요소로 형성된다.
     4. 대상 지역 모든 곳의 정보를 담고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64. 공간분석 기능 중 하나인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분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분석
     2. 자원할당 분석
     3. 접근성 분석
     4. 최단경로 분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6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분석기능 중 버퍼분석(Buffer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선 또는 면형에서 일정거리 안의 지역을 둘러싸는 폴리곤 구역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2.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레이어로부터 도형자료나 속성자료를 추출하기 위한 기법이다.
     3. 상호 연결된 선형의 객체를 이용하여 최적 경로 계산을 위한 기법이다.
     4. 유역분석, 가시권 분석, 3차원 가시화에 사용되는 기법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66. GIS의 응용기법 중 하나로써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 DXF
     2. FM
     3. DEM
     4. A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67.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할 때, 도형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1. 관거 재질
     2. 관거 형상
     3. 관거 매설 년도
     4. 관거 관리 이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68. 독도를 대축척 수치지형도로 제작할 경우 적용하여야 하는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 원점은?
     1. 38° N, 125° E
     2. 38° N, 127 E
     3. 38° N, 129 E
     4. 38° N, 131° 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69.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곽이라 함은 일정한 크기에 따라 분할된 지도의 가장자리에 그려진 경계선을 말한다.
     2. 좌표라 함은 좌표계 상에서 지형ㆍ지물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3. 수치지도작성이라 함은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하여 전산시스템에서 처리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 또는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4. 메타데이터(metadata)라 함은 작성된 수치지도의 결과가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를 말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70. 다음 중 수치표고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의 제작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SAR (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이용한 방법
     2.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방법
     3. 라이다(LiDAR) 자료를 이용한 방법
     4.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을 이용한 방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71. 지리저보시스템(GIS)의 자료처리 단게를 순서대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2.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3.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자료조작 및 관리 - 출력
     4.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자료의 수치화 - 출력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72. 래스터 자료의 보간법 중 최근린보간법(nearest neighb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이 손실되지 않는다.
     2. 다른 보간법에 비해 계산속도가 빠르다.
     3. 원래의 자료값을 평균하거나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한다.
     4. 가장 가까운 4개의 기지값의 거리에 따라 경중률을 계산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7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
     1. 연산속도 향상
     2. 자원공유
     3. 효율성
     4. 창조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74. 단순한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갱신은 쉽지만 검색 과정이 폐쇄적인 데이터베이스는?
     1.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2.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3.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75. 불규칙삼각망(TIN :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IN은 불규칙한 3차원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한 곳이다.
     2.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료로부터 TIN을 만들 수 있다.
     3. 격자 형태로 고도를 표현하는 수치모형이다.
     4. TIN은 벡터구조로서 위상관계를 갖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76. 그림은 6×6 화소 크기로 래스터데이터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중간값(Median Method)을 사용하여 2×2 화소 크기의 데이터로 만든 결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77. 다음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소프트웨어
     2. 하드웨어
     3. 네트워크
     4. 자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78. 그림은 셀에 대한 국소저항값이다. 보기에서 음영 표시한 셀에서 국소저항이 5인 셀로 이동할 때의 최소비용경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N→E
     2. →E→N
     3. →NE
     4. →NW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3번을 ↗NE로 바꾸어놓고 푸셔야 답 나옵니다. 잘 못 옮겨 적으신 듯 하네요.
[해설작성자 : 군4]

79. 지형을 저장하고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중 라이다(LiDAR) 원시 자료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점(Point) 위치에 대해 데이터 값을 기록
     2. 불규칙삼각망(TIN)
     3. 수치표고모델
     4. 등고선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80. 공간데이터의 중처분석에서 음영부분(A+B+C=)의 특성을 맞게 설명한 것은?

    

     1. 모래질 밭이며 배수가 불량한 지역
     2. 점토질 밭이며 배수가 양호한 지역
     3. 자갈인 밭이며 배수가 양호한 지역
     4. 점토질 밭이며 배수가 불량한 지역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5과목 : 측량학


81. 삼각점간 거리가 3㎞일 때 관측한 수평각의 허용오차를 3″까지구한다면 관측점 및 시준점의 편심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한도는?
     1. 2.1㎝
     2. 2.3㎝
     3. 4.4㎝
     4. 8.7㎝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82. 축척과 도면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축척 1 : 500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축소하였을 때 도면의 크기는 2배가 된다.
     2. 축척 1 : 600 도면을 축척 1:200으로 확대하였을 때 도면의 크기는 1/3배가 된다.
     3. 축척 1 : 600 도면을 축척 1:300으로 확대하였을 때 도면의 크기는 2배가 된다.
     4. 축척 1 : 500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축소하였을 때 도면의 크기는 1/4배가 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83.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등고선은 절벽, 동국과 같은 지형에서는 서로 교차하기도 한다.
     2.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의 간격이 좁다.
     3. 경사가 같으면 등고선 간격이 같고 서로 평행하다.
     4. 등고선은 최대경사선과는 직교하고 분수선과는 평행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84. 줄자로 40m를 관측할 때, 양단의 고저차가 42㎝이었다면 수평거리의 보정값은?
     1. -1.2㎜
     2. -2.2㎜
     3. -3.3㎜
     4. -4.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85. 토털스테이션(T.S)을 사용하여 길이 6500m인 측선을 관측할 때 거리에는 오차가 없고 방향에 5″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이로 인한 위치 오차는?
     1. 15.2㎝
     2. 15.8㎝
     3. 16.4㎝
     4. 16.9㎝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86. 직사각형의 지역의 면적을 측량하기 위하여 X,Y의 길이를 관측한 결과가 X = 50.26m ± 0.016m, Y = 38.54 ± 0.005일 때, 이 면적에 대한 표준오차 (평균 제곱근 오차)는?
     1. ± 0.33m2
     2. ± 0.45m2
     3. ± 0.56m2
     4. ± 0.67m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87. 해안, 해도의 높이를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임의의 점의 표고를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은?
     1. 점고법
     2. 음영법
     3. 영선법
     4. 등고선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88. 교호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50.000m 이고, a1= 2.214m, a2 = 4.324m, b1 = 1.678m, b2 = 3.860m)

    

     1. 49.500m
     2. 49.964m
     3. 50.500m
     4. 52.146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89. 트래버스 측량을 실시하는 주요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방위각 계산
     2. 좌표의 결정
     3. 면적의 계산
     4. 방향의 결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90.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 때 P점의 좌표는? (단, Ax= 81.847m, Ay= -30.460m, θAB= 163° 20′ 00″, ∠BAP = 60°, AP = 600.00m)

    

     1. Px = -354.577m, Py = -442.205m
     2. Px = -466.884m, Py = -329.898m
     3. Px = -466.884m, Py = -442.205m
     4. Px = -354.577m, Py = -329.898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91. 삼각측량의 기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공측량에서의 기선설치는 필수 요소이다.
     2. 기지점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기선을 설치한다.
     3. 기선의 위치선정은 부근 삼각점에 연결이 가능한 곳을 선정한다.
     4. 기선 확대는 1회 3~4배로 하고 횟수는 2회 정도로 한정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92. 레벨을 점검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C점에 설치하여 A, B 양 표척의 값을 읽었다. 그리고 레벨을 BA 연장선 상의 D점에 세우고 A, B 양 표척의 값을 읽었다. 이 점검은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가?

    

     1. 시준선과 연직선이 직교하는지의 여부
     2. 기포관축과 연직축이 수평하지의 여부
     3.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직교하는지의 여부
     4.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수평한지의 여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93. 어느 지형도상에서 임의의 면적을 축척 1/1000 으로 측정하였더니 8000m2 이었다. 이 지형도의 실제 축척이 1:1500 이라면 면적은?
     1. 3555m2
     2. 5333m2
     3. 12000m2
     4. 18000m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94. 어떤 다각형의 전측선장이 900m 이고 폐합비를 1/600로 한다면 축척 1:500 도상에서 허용 폐합오차는?
     1. 1㎜
     2. 3㎜
     3. 5㎜
     4. 1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95. 1:50000 지형도에서 직각좌표의 주기는 몇 ㎞ 마다 표시하여야 하는가?
     1. 0.5㎞
     2. 1㎞
     3. 2㎞
     4.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96.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 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국가측량
     2. 기본측량
     3. 기초측량
     4. 공공측량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97. 국가기준점 중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각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은?
     1. 위성기준점
     2. 중력점
     3. 통합기준점
     4. 삼각점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98.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이 지도 등의 심사를 할 때에 적정여부에 대한 심사사항이 아닌 것은?
     1. 도곽설정∙축척 및 투영
     2. 지형∙지물 및 지명의 표시
     3. 주기 및 기호표시
     4. 판매가격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99.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공측량의 사업명
     2. 공공측량의 작업방법
     3. 공공측량의 성과심사 수탁기관
     4.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100.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규정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3월 08일(114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0 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1월 23일(7404552) 좋은아빠되기 2022.04.29 156
949 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 03월 05일(2472893) 좋은아빠되기 2022.04.29 254
948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1월 23일(3897266) 좋은아빠되기 2022.04.29 275
947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11일(1284485) 좋은아빠되기 2022.04.29 364
946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5월 16일(830213) 좋은아빠되기 2022.04.29 221
945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8월 24일(2203216)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08
944 양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4회)(2914739)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76
943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8월 31일(8892999)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77
942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8319053) 좋은아빠되기 2022.05.01 311
941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7월 27일(3549395) 좋은아빠되기 2022.05.01 271
940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5월 07일(2216413) 좋은아빠되기 2022.05.01 234
939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10월 16일(8106740)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86
938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13일(5799989)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71
937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7월 21일(1040911) 좋은아빠되기 2022.05.01 201
93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13일(8681184) 좋은아빠되기 2022.05.01 90
935 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09월 02일(4906009)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96
934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04월 15일(7502680)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22
9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6월 23일(9639379) 좋은아빠되기 2022.05.01 131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3월 08일(11460) 좋은아빠되기 2022.05.01 286
931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7978455) 좋은아빠되기 2022.05.01 292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