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8월 26일(3669200)


1과목 : 안전관리론


1. A 사업장의 강도율이 2.5이고, 연간 재해발생 건수가 12건, 연간 총 근로 시간수가 120만 시간 일 때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는 약 얼마인가?
     1. 1.6
     2. 5.0
     3. 27.6
     4. 23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종합재해지수=/강도율×빈도율   /(루트)
빈도율=(재해건수/총근로시간수)÷1,000,000
/(2.5×12/1,200,000)÷1,000,000
=5
[해설작성자 : 뜬구름]

○ 빈도율 = 재해건수 X 1,000,000 / 연근로총시간
  ㄴ 12 x 1,000,000 / 1,200,000 = 10
○ 종합재해지수 = 루트/ 강도율 X 빈도율
  ㄴ 루트/ 2.5 x 10 = 5
[해설작성자 : 부소산성]

* 도수율 = 재해건수 / (연)총 근로시간수 * 1000000 = 12 / 1200000 * 1000000 = 10
* 종합재해지수 = 루트l도수율 x 강도율 = 루트l 10 x 2.5 = 5
[해설작성자 : 달프]

빈도율 = 도수율 입니다.
[해설작성자 :표시]

2. 재해발생시 조치순서 중 재해조사 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현장보존
     2. 관계자에게 통보
     3. 잠재재해 위험요인의 색출
     4. 피해자의 응급조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피재기계정지, 피해자 구출 및 응급조치, 관계자 통보, 2차 재해 예방조치, 현장보존
[해설작성자 : 부소산성]

1.2.4.는 긴급처리의 내용이고 재해조사단계는 1.6하원칙에의거 사상자보고 2.잠재위험요인색출 두가지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369FA-A]

재해발생시 조치순서 7단계
긴급처리-재해조사-원인강구-대책수립-대책실시계획-실시-평가
[해설작성자 : 슥봉이]

3. 위치, 순서, 패턴, 형상, 기억오류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1. 메트로놈
     2. 리스크테이킹
     3. 부주의
     4. 착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착오의 메커니즘:위치의 착오, 패턴의 착오, 형의 착오,순성의 착오, 잘못기억.
[해설작성자 : 마중물]

4. 학습지도 형태 중 다음 토의법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버즈세션(Buzz session)
     2. 포럼(Forum)
     3. 심포지엄(Symposium)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포럼 : 새로운 자료나 교재 제시,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발표하고 토의
심포지엄 : 몇 사람의 전문가 견해를 발표한 뒤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하여 토의
패널 디스커션 :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의 입회하에 토의
[해설작성자 : 매너남]

5. 하인리히의 재해발생 이론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α 가 의미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노출된 위험의 상태
     2. 재해의 직접원인
     3. 재해의 간접원인
     4. 잠재된 위험의 상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6.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의 4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사람이 많은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2.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여 발언할 수 있다.
     3. 타인의 의견에 대하여 비판, 비평하지 않는다.
     4. 의견을 발언할 때에는 주어진 요건에 맞추어 발언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브레밍스토밍 4원칙
비평금지, 대량발언, 자유분방,수정발언
[해설작성자 : 나야나]

7.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사고의 유형, 기안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한 것은?
     1. 파레토도
     2. 특성요인도
     3. 크로스도
     4. 관리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파레토도 - 관리 대상이 많은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수 있는방법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하여 연쇄관계를 나타내는 방법
크로스 - 두가지 또는 그이상의 요인이 서로 밀접한 상호관계를 유지할때 사용되는방법
관리도 - 재해 발생건수 등의 추의파악
[해설작성자 : 기므르]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 중 안내표지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들것
     2. 비상용기구
     3. 출입구
     4. 세안장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녹십자표지, 응급구호표지, 들것, 세안장치, 비상용기구, 비상구, 좌측비상구, 우측비상구
[해설작성자 : 원]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ㆍ보건교육 중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제33조제1항 관련)
가.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나.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
○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다.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퓌스듬히컬쳐]

10. 안전점검 보고서 작성내용 중 주요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작업현장의 현 배치 상태와 문제점
     2. 재해다발요인과 유형분석 및 비교 데이터 제시
     3. 안전관리 스텝의 인적사항
     4. 보호구, 방호장치 작업환경 실태와 개선제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안전점검 보고서에 안전관리 스탭의 인적사항은 필요없음
[해설작성자 : PPT]

11. 안전교육방법 중 구안법(Project Method)의 4단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목적결정 → 계획수립 → 활동 → 평가
     2. 계획수립 → 목적결정 → 활동 → 평가
     3. 활동 → 계획수립 → 목적결정 → 평가
     4. 평가 → 계획수립 → 목적결정 → 활동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목적을 설정하고 그걸 계획하고 계획을 활동하고 평가함

12.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방음용 귀마개 또는 귀덮개와 관련된 용어의 정의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KSC 1505 1502에 규정하는 소음계의 C의 톡성을 기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띵맨]

C특성-음압레벨(문장에서 음압이라고 주어졌네요)***C 음압
A특성-소음레벨
[해설작성자 : 허찬]

13. 무재해운동 추진기법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현상파악
     2. 행동 목표설정
     3. 대책수립
     4. 안전평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현상파악 2.본질추구 3.대책수립 4.목표설정

14. 다음 그림과 같은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3. 사업장의 특수성에 적합한 기술연구를 전문적으로 할 수 있다.
     4. 권한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3, 4는 Staff형에 대한 설명이다.
1은 Line&Staff형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쿠라니]

라인형 - 100닝겐 미만
스태프형 - 100~1000닝겐
라 & 스 - 1000닝겐 이상
[해설작성자 : 와라떼끼이놈아]

라인형 - 100인 미만
스태프형 - 100이상~1000미만
라 & 스 - 1000인 이상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 안전스탭이 안전을 지시하는 형태 : 스태프형
*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 라인 스태프형 특징
[해설작성자 : 임태평]

15. 인간의 행동특성과 관련한 레빈의 법칙(Lewin)중 P가 의미하는 것은?

    

     1. 사람의 경험, 성격 등
     2. 인간의 행동
     3. 심리에 영향을 주는 인간관계
     4.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B:(Behavior)인간의 행동
F:함수
P:(Person)개체:연령,경험 등 개인적 요건
E:(Environment)심리적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해설작성자 : 혁스키]

16. 안전교육의 단계에 있어 교육대상자가 스스로 행함으로서 습득하게 하는 교육은?
     1. 의식교육
     2. 기능교육
     3. 지식교육
     4. 태도교육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기능교육 : 시범 견학 실습 현장실습교육을 통한 경험 체득과 이해
[해설작성자 : 쿠라니]

17. 부주의의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식의 단절
     2. 의식수준 지속
     3. 의식의 과잉
     4. 의식의 우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의식수준 지속 > 의식수준 저하
[해설작성자 : 근손실은 사양해]

부주의 원인
1. 의식 단절
2. 의식 우회
3. 의식 수준 저하
4. 의식 혼란
5. 의식 과잉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8.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시간 연장의 제한에 관한 기준에서 아래의 ( )안에 알맞은 것은?

    

     1. ㉠ 6, ㉡ 34
     2. ㉠ 7, ㉡ 36
     3. ㉠ 8, ㉡ 40
     4. ㉠ 8, ㉡ 4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9. 일반적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야간에 상승하는 생체리듬은?
     1. 맥박수
     2. 염분량
     3. 혈압
     4. 체중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혈액의 수분과 염분량은 주간에 감소, 야간에 증가
체온, 혈압, 맥박수는 주간에 상승, 야간에 감소
[해설작성자 : 쿠라니]

야간에는 체중이 감소한다.
야간에는 말초운동 기능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쉽게 이해하면 자고 일어나서 얼굴 붓는 이유가 야간에 수분과 염분량이 증가하여 얼굴이 붓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성인학습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간접경험의 원리
     2. 자발학습의 원리
     3. 상호학습의 원리
     4. 참여교육의 원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성인학습의 원리
자발적 학습의 원리 : 강제적인 학습이 아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의 원리 : 자기가 설계한 목적 및 방법으로 학습한다
상호학습의 원리 : 교학상장을 기하는 학습이다
생활적응의 원리 : 이론보다 실생활에 적용되는 학습이여야 한다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설비보전을 평가하기 위한 식으로 틀린 것은?
     1. 성능가동률 = 속도가동률 × 정미가동률
     2. 시간가동률 = (부하시간 - 정지시간) / 부하시간
     3.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 성능가동률 × 양품률
     4. 정미가동률 = (생산량 × 기준주기시간) / 가동시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4.정미가동률=(생산량*실제 주기시간)/(부하시간-정지시간)
[해설작성자 : 턱걸이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미가동률
=(생산량X실제사이클타임)/(부하시간-정지시간)
=(생산량X실제사이클타임)/가동시간
→에드윌은 이렇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4번 보기에서 기준주기시간이 실제주기시간으로 바뀌어야 맞는겁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표시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조종장치간의 위치 또는 배열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간공학적 설계원리와 가장 관계가 같은 것은?
     1. 개념양립성
     2. 운동양립성
     3. 문화양립성
     4. 공간양립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개념양립성: 자극에 대한 개념적현상 (ex.온수는 빨간색, 냉수는 파란색)
공간양립성: 형태,배치
운동양립성: 방향
양식양립성: 직무에 맞는 자극과 응답의 양식 (ex.청각적자극엔 음성응답)
[해설작성자 : 원]

23. 다음 그림은 THERP 를 수행하는 예이다. 작업개시점 N1 에서부터 작업종점 N4까지 도달할 확률은? (단, P(Bi), i=1, 2, 3, 4는 해당 확률을 나타내며, 각 직무과오의 발생은 상호독립이라 가정한다.)

    

     1. 1 - P(B1)
     2. P(B2)ㆍP(B3)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f(A -> B) , A 에서 B 로 갈 확률
f(N1 -> N3) = P(B2)
f(N3 -> N4) = P(B3), f(N3 -> N1) = P(B4)

X = f(N1 -> N4) = f(N1 -> N3)*f(N3 -> N4) + {f(N1 -> N3)*f(N3 -> N1)}*f(N1 -> N4)
X = P(B2)*P(B3) + P(B2)*P(B4)*X
X - P(B2)*P(B4)*X = P(B2)*P(B3)
X*(1 - P(B2)*P(B4)) = P(B2)*P(B3)

X = P(B2)*P(B3) / ((1 - P(B2)*P(B4)))
[해설작성자 : CancerFlux]

24. 격렬한 육체적 작업의 작업부담 평가 시 활용되는 주요 생리적 척도로만 이루어진 것은?
     1. 부정맥, 작업량
     2. 맥박수, 산소 소비량
     3. 점멸융합주파수, 폐활량
     4. 점멸융합주파수, 근전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점멸융합주파수 : 계속되는 자극들이 점멸하는 것 같이 보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느껴지는 주파수. 중추신경계의 피로 "정신 피로"의 척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추가 해설]
작업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부담은 주로 맥박수, 심박수와 호흡에 의한 산소 소비량으로 측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2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작업장의 작업면에 따른 적정 조명 수준은 초정밀 작업에서 ( ㉠ )lux 이상이고, 보통작업에서는 ( ㉡ )lux 이상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은?
     1. ㉠:650, ㉡:150
     2. ㉠:650, ㉡:250
     3. ㉠:750, ㉡:150
     4. ㉠:750, ㉡:25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초정밀750lux.정밀300lux.보통150lux.그외75lux
[해설작성자 : 가즈아 합격]

26. 다음 그림과 같은 시스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각각의 네모안의 수치는 각 공정의 신뢰도를 나타낸 것이다.)

    

     1. 0.378
     2. 0.478
     3. 0.578
     4. 0.67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0.8*0.9*(1-(1-0.75)*(1-0.85))*(1-(1-0.8)*(1-0.9))*0.85=0.577

직렬 신뢰도=A*B*C ...
병렬 신뢰도=1-(1-A)(1-B)(1-C) ...
[해설작성자 : 얍줌마]

직렬 A X B X C
병렬 A, B 는 (A+B)-(AXB)

27. FTA 결과 다음과 같은 패스셋을 구하였다. X4가 중복사상인 경우, 최소 패스셋(minimal path sets)으로 맞는 것은?

    

     1. {X3, X4}
     2. {X1, X3, X4}
     3. {X2, X3, X4}
     4. {X2, X3, X4}와 {X3, X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FTA(Fault Tree Analysis) : 특정 예상 사고에 대해 원인이 되는 결함이나 오류를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안전성 평가 방법

최소 컷셋 : 모든 기본 사상 발생 시 정상 사상을 발생 시키는 기본 사상의 최소 집합

최소패스셋 : 기본 사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정상 사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본 사상의 집합

28. 인간 - 기계 통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기능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지
     2. 환경
     3. 행동
     4. 정보보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간-기계 시스템의 5대기능
  감지기능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기능  행동기능 정보보관기능 출력기능

29. 시스템의 운용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주요한 시스템안전 부문의 작업이 아닌 것은?
     1. 생산시스템 분석 및 효율성 검토
     2. 안전성 손상 없이 사용설명서의 변경과 수정을 평가
     3. 운용, 안전성 수준유지를 보증하기 위한 안전성 검사
     4. 운용, 보전 및 위급 시 절차를 평가하여 설계시 고려사항과 같은 타당성 여부 식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운용단계
- 모든 운용, 보전 및 위급 시에 절차를 평가하여 그들이 설계 때에 고려된 바와 같은 타당성이 있느냐의 여부를 식별할 것
- 안전성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장치, 사용설명서의 변경과 수정을 요할 것
- 제조, 조립, 시험단계에서의 확립된 고장의 정보 피드백 시스템을 유지할 것
- 바람직한 운용 안전성 레벨의 유지를 보증하기 위하여 시스템 안전의 실증과 검사를 할 것
사고와 그 유발사고를 조사하고 분석할 것
- 위험상태의 재발방지를 위해 적절한 개량조치를 강구할 것

30. 인체측정치의 응용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절식 설계
     2. 극단치 설계
     3. 평균치 설계
     4. 다차원식 설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인체 측정치 응용원리 (조절식 -> 극단치 -> 평균치)
조절식 설계 :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개념
극단치 설계 : 극단에 속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면 모든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
평균치 설계 : 다른 기준이 적용되기 어려운 경우 마지막으로 적용되는 기준
[해설작성자 : 일만시간]

인체 계측 자료의 응용원칙
1.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 (극단치 설계)
2. 조절식 설계 (5 % ~ 95 %)
3.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3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ㆍ판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류
     2. 부적정
     3. 적정
     4. 조건부 적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판정부류 - 적정, 부적정, 조건부 적정
[해설작성자 : 야매술사]

32. 인간공학 연구조사에 사용되는 기준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성
     2. 다양성
     3. 무오염성
     4. 기준 척도의 신뢰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기준척도의 일반적요건
  적절성,무오염성,신뢰성,민감도

33. F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성적 분석만 가능하다.
     2. 하향식(top-down) 방법이다.
     3. 짧은 시간에 점검할 수 있다.
     4. 비전문가라도 쉽게 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FTA는 연역적, 정량적
[해설작성자 : 얍줌마]

FTA는 정성ㆍ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3. FTA의 전산화를 통하여 사고발생에 기여도가 높은 중요원인을 분석파악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4. 사고의 세부적인 원인목록을 작성하여 전문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목록만을 가지고 해당사고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원]

34. 4m 또는 그보다 먼 물체만을 잘 볼 수 있는 원시 안경은 몇 D 인가? (단, 명시거리는 25cm 로 한다.)
     1. 1.75D
     2. 2.75D
     3. 3.75D
     4. 4.75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4D-0.25D=3.75D
[해설작성자 : ㄴㄱㄴㄱㄴㄱ]

초점거리와 디옵터
1/25 - 1/400 = 1/초점거리
초점거리 = 26.667
디옵터 = 100/ 초점거리  = 100 / 26.67 = 3.75
[해설작성자 : Jack]

35. 작업공간 설계에 있어 “접근제한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조절식 의자와 같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2. 비상벨의 위치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설계한다.
     3. 트럭운전이나 수리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설계한다.
     4. 박물관의 미술품 전시와 같이, 장애물 뒤의 타겟과의 거리를 확보하여 설계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작업공간 설계에 있어 "접근제한 요건" 은 반드시 거리 확보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마중물]

36. 인간의 에러 중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Omission error
     2. Sequential error
     3. Extraneous error
     4. Commission erro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omission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음
commission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
time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수행 지연
sequential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순서 잘못 이해
extraneous error : 불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
[해설작성자 : 쿠라니]

37. FTA(Fault tree analysis)의 기호 중 다음의 사상기호에 적합한 각각의 명칭은?

    

     1. 전이기호와 통상사상
     2. 통상사상과 생략사상
     3. 통상사상과 전이기호
     4. 생략사상과 전이기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기본 사상기호 - 동그라미
생략 사상기호 - 다이아몬드(문제 그림 참고)
통상 사상기호 - (문제 왼쪽 그림 참고)
결함 사상기호 - 직사각형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38.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서 정성적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1. 건조물
     2. 취급물질
     3. 공장내의 배치
     4. 입지조건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정량적 평가 항목
  -취급물질
  -화학 설비의 용량
  -온도
  -압력
  -조작

2.정성적 평가항목
  -입지조건
  -공장내의 배치
  -소방 설비
  -공정 기기
  -수송,저장
  -원재료
  -중간체
  -제품  
[해설작성자 : 여사]

39. 청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에게 음의 높고 낮은 감각을 주는 것은 음의 진폭이다.
     2. 1000 Hz 순음의 가청최소음압을 음의 강도 표준치로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음이 한 옥타브 높아지면 진동수는 2배 높아진다.
     4. 복합음은 여러 주파수대의 강도를 표현한 주파수별 분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음의 높고 낮은 감각을 주는 것은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다.
[해설작성자 : 진]

40. 초음파 소음(ultrasonic nois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전형적으로 20000 Hz 이상이다.
     2. 가청영역 위의 주파수를 갖는 소음이다.
     3. 소음의 3dB 증가하면 허용기간은 반감한다.
     4. 20000 Hz 이상에서 노출 제한은 110 dB 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소음의 2dB 증가하면 허용기간은 반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2dB이 아니라 5dB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ㄱㄴㄷㄹ]

[오류신고 반론]
2dB 증가하면, 허용 가능한 시간은 반감되어야 한다.(네이버지식)가 맞네요.
[해설작성자 : 네이버지식]

[오류신고 반론]
에듀윌 223 페이지 기출문제 29번
초음파 소음의 수준이 2db 증가하면 허용 가능한 시간은 반감되어야 한다.

5dB 이건 큰 소음 공간 90dB 부터 8시간 기준 5dB 증가하는 경우 시간이 반감된다 이거일텐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보일러에서 프라이밍(Priming)과 포오밍(Foaming)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역화가 발생되었을 경우
     2. 기계적 결함이 있을 경우
     3. 보일러가 과부하로 사용될 경우
     4. 보일러 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었을 경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일러에서 캐리오버 현상의 원인으로 다음 2가지가 있다.

1. 프라이밍(Priming)
보이러 튜브 내면의 막비등으로 인하한 수적이 증기와 함께 비산하여 증기관으로 누출되어 증기의 건도가 저하되는 것을 말함.
원인)
1) 주증기 밸브의 급개 (기계적 결함)
2) 보일러 수위 이상 상승 (기계적 결함)
3) 증기 부하 과대 (과부하)
4) 보일러 농축 배수 과대 (과부하)

2. 포오밍(Forming)
보일러수의 과잉 농축 또는 물속에 존재하는 유분(불순물)에 의한 기포 발생이 원인.
[해설작성자 : 진]

프라이밍과 포밍의 발생원인
1.기계적 결함이 있을 경우
2.보일러가 과부하로 사용될 경우
3.보일러 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었을 경우
4.고수위
5.급격한 과열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42. 허용응력이 1kN/mm2 이고, 단면적이 2mm2인 강판의 극한하중이 4000N이라면 안전율은 얼마인가?
     1. 2
     2. 4
     3. 5
     4. 5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kN = 1000N
4000N / 2×1000N = 2

안전율=극한강도/허용능력
극한강도=극한하중/단면적 = 4000N/2mm^ = 2000N/mm^ = 2kN/mm^
2kN/mm^ / 1kN/mm^ = 2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43. 슬라이드 행정수가 100 spm 이하이거나, 행정길이가 50mm 이상의 프레스에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 방식은?
     1. 양수조작식
     2. 수인식
     3. 가드식
     4. 광전자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수인식 방호장치의 선정조건
1. 슬라이드 행정 수가 100SPM 이하
2. 슬라이드 행정길이가 50mm 이상
3. 완전회전식 클러치 프레스에 적합
4. 수인끈의 재료는 합성섬유로 직경이 4mm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44. “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90dB이상의 소음이 1일 몇 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을 말하는가?
     1. 2시간
     2. 4시간
     3. 8시간
     4. 10시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소음허용 노출기준 :연속소음 90dB에서 8시간

[추가 해설]

강렬한 소음작업
90db 1일 8시간이상 작업
95db 1일 4시간이상 작업
이후 5db 증가할때만다 1/2씩 시간이 줄어든다.

45. 보일러에서 압력이 규정 압력이상으로 상승하여 과열되는 원인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수관 및 본체의 청소 불량
     2. 관수가 부족할 때 보일러 가동
     3. 절탄기의 미부착
     4. 수면계의 고장으로 인한 드럼내의 물의 감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절탄기 : 보일러의 굴뚝에서 버려지는 여열을 이용하여 보일러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쿠라니]

보일러 과열의 원인

1. 수관과 본체의 청소 불량
2. 관수 부족 시 보일러 가동
3. 수면계 고장으로 드럼 내 물의 감소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46. 크레인에서 일반적인 권상용 와이어로프 및 권상용 체인의 안전율 기준은?
     1. 10 이상
     2. 2.7 이상
     3. 4 이상
     4. 5 이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10이상
2.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한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5 이상
3.훅,샤클,리프팅 빔의 경우: 3 이상
4.그 밖의 경우: 4 이상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와이어로프의 안전율
권상용 와이어로프 및 체인, 지브의 기복용 와이어로프 및 케이블, 크레인의 주행용 와이어로프 : 5.0
지브의 지지용 와이어로프, 가이로프 및 고정용 와이어로프 : 4.0
케이블 크레인의 메인 로프, 레일로프 : 2.7
[해설작성자 : 김한성]

47.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방호장치와 그 목적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운전 중인 컨베이어 등의 위로 넘어가고자 할 때를 위하여 급정지장치를 설치한다.
     2.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들 위험이 있을 때 이를 즉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한다.
     3. 정전, 전압강하 등에 따른 화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설치한다.
     4. 낙하물에 의한 위험 방지를 위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번은 건널다리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나뿡맨]

48. 연삭숫돌의 지름이 20cm이고, 원주속도가 250m/min일 때 연삭숫돌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1. 398
     2. 433
     3. 489
     4. 55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πd * 회전수 = 원주속도
회전수 = 원주속도 / πd = 250 / (π * 0.2) = 397.88....
[해설작성자 : 1회합]

원주속도 = 파이*D*N/1000 식변환
회전수(N)=원주속도(250)*1000 / 3.14 * 200(지름 mm단위로 변환)
[해설작성자 : ㅎㅎ]

49. 범용 수동 선반의 방호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척 가드의 폭은 공작물의 가공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척 전체 길이를 방호할 수 있을 것
     2. 척 가드의 개방 시 스핀들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연동회로를 구성할 것
     3. 전면 칩 가드의 폭은 새들 폭 이하로 설치할 것
     4. 전면 칩 가드는 심압대가 베드 끝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공작물 고정 장치에서 심압대까지 가드를 연장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면 칩 가드의 폭은 새들 폭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누누]

50. 다음 중 용접부에 발생한 미세균열, 용입부족, 융합불량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 검사
     2. 침투탐상 검사
     3. 자분탐상 검사
     4. 초음파탐상 검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초음파 탐상법의 특징
① 면상 결함 검출 등이 우수, X-선 검사로 탐상하기 불가능한 대형 강재에도 응용된다.
② 초음파 파장은 검출 가능한 결함의 크기 와 전파능력은 파장에 의해 지배된다.

[장점]
① 투과력 우수, 미세한 결함에 대한 감도↑
② 내부 결함 위치, 크기, 방향을 어느 정도 정확이 측정할 수 있다.
③ 단지 한 면에서 탐상이 가능하며, 검사 결과를 브라운관을 통해 즉시 알 수 있 다.
④ 이동성이 양호, 균열 등 면상 결함의 검 출 능력이 RT보다 훨씬 탁월
[해설작성자 : 오미리]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계는?

    

     1. 선반
     2. 호방 머신
     3. 연삭기
     4. 밀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밀링 작업 시 안전대책
1. 밀링 작업에서 생기는 칩은 가늘고 예리해 부상 확률이 높으므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2.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브러쉬로 제거한다.
3. 강력 절삭을 할 때에는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4. 급속이송은 백래시 제거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한 다음에 행동한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chip이 가늘고 예리하다 -> 밀링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52. 취성재료의 극한강도가 128MPa이며, 허용응력이 64MPa일 경우 안전계수는?
     1. 1
     2. 2
     3. 4
     4. 1/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극한강도/허용응력
[해설작성자 : 신중환]

53. 프레스기에 금형 설치 및 조정 작업 시 준수 하여야 할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금형을 부착하기 전에 하사점을 확인한다.
     2. 금형의 체결은 올바른 치공구를 사용하고 균등하게 체결한다.
     3. 금형은 하형부터 잡고 무거운 금형의 받침은 인력으로 하지 않는다.
     4. 슬라이드의 불시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블록을 제거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4.프레스 슬라이드가 하강해서 찡기면 사망...
[해설작성자 : 뿌리뉴워]

54. 컨베이어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레이크 및 클러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컨베이어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11절)
가. 원동기 및 풀리(pulley) 기능의 이상 유무

나.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다.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라. 원동기ㆍ회전축ㆍ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해설작성자 : 예띠]

1번 브레이크 및 클러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
[해설작성자 : ㅅㅇㅎ]

55. 크레인의 방호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권과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크레인에 대해서는 권상용 와이어로프에 위험표시를 하고 경보장치를 설치하는 등 권상용 와이어로프가 지나치게 감겨서 근로자가 위험해질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운반물의 중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과부하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크레인을 필요한 상황에서는 저속으로 중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와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한다.
     4. 작업 중에 이상발견 또는 긴급히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브레이크장치는 크레인을 필요한 상황에서는 정격속도에서 중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홀트킹]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한다는 승강기에 해당하는 방호장치
[해설작성자 : Jac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권과방지장치는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대상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이게아닌데]

[오류신고 반론]
(주)시대고시계획 2020년 판 기준 답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간던 행인]

[오류신고 반론]
2021판 기준 에듀윌
3번. 크레인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고속으로 중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와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희롱]

[오류신고 반론]
완충장치는 승강기에 필요한 방호장치이고
충돌방지장치는 크레인의 방호장치입니다.
****문제는  함정으로 수험생들을 혼란 유도 또는 혼동에 빠지게 한 것임 (함정입니다)
크레인은 충돌방지장치입니다.
시험 치는 날 문제를 건성으로 읽거나 덜 읽거나  임의 해석에 주의해야 합니다.
하나의 해석에 두개의 예을 말하는 경우 거의 틀릴 확률이 많은 이유-->꼬아서 출제 내기가 쉽거든요
[해설작성자 : 허찬]

56. 프레스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3. 프레스기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4.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리프트 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57. 보일러에서 압력방출장치가 2개 설치된 경우 최고 사용압력이 1MPa일 때 압력방출장치의 설정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2개 모두 1.1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2. 하나는 1MPa 이하에서 작동되고 나머지는 1.1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3. 하나는 1MPa 이하에서 작동되고 나머지는 1.05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4. 2개 모두 1.05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가 2개이상 설치된 경우에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의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58. 다음 중 롤러기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는?
     1. 반발예방장치
     2. 급정지장치
     3. 접촉예방장치
     4. 파열판장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제2절 안전기준
제22조(방호장치) 로울러기에는 다음 각 호의 방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 급정지장치
2. 안전캡
[해설작성자 : 예띠]

롤러의 방호장치
1. 급정지장치
2. 가드
3. 역회전장치
롤러기에서의 아래와 같이 문제 출제경향이 있읍니다.
1. 롤러기의 방호장치->출제됨
2. 가드간격[일반 Y=6+0.15X (X<160mm,단 X>(크거나 같을경우)160mm Y=30)-반복하여 출제됨
2-1. 위험점이 전동체인 경우 개구부 간격 Y=6+0.1X (X<760mm유효)
3. 급정지거리 표면속도 30 미만->급정지 거리 1/3/표면속도 30이상->급정지 거리1/2.5-->반복하여 출제됨
4. 급정지 속도(손조작식 1.8m 이내 / 복부조작식 0.8~1.1m / 무릅조작식 0.6~0.4m)-->반복하여 출제됨
5. 와이어 직경 4mm,6mm,절단하중 2.94kgn
6. 표면속도 V=파이*D*N/1000-->출제 빈번함
****Eternal Sun님 자료 발취
[해설작성자 : 허찬]

59. 연삭기의 숫돌 지름이 300 mm 일 경우 평형 플랜지의 지름은 몇 mm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플랜지의 지름 = 숫돌차의 바깥지름 * 1/3 = 300 / 3 = 100
[해설작성자 : 쿠라니]

60. 기계설비에 대한 본질적인 안전화 방안의 하나인 풀 프루프(Fool Proof)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계기나 표시를 보기 쉽게 하거나 이른바 인체공학적 설계도 넓은 의미의 풀 프루프에 해당된다.
     2. 설비 및 기계장치 일부가 고장이 난 경우 기능의 저하는 가져오나 전체기능은 정지하지 않는다.
     3. 인간이 에러를 일으키기 어려운 구조나 기능을 가진다.
     4. 조작순서가 잘못되어도 올바르게 작동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번은 fail-operational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호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fail-safe의 내용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기사공부중.. 수험생]

[오류신고 반론]
Fail Safe :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그대로 폭주해서 사고, 재해로 연결되는 일이 없이 안전을 확보하는 기구
  Fail Safe는 기능면에서 다음 3단계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1단계 Fail - Passive 부품이 고장나면 통상기계는 정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2단계 Fail - Active 부품이 고장나면 기계는 경보를 울리는 가운데 짧은 시간 동안의 운전이 가능합니다.
3단계 Fail - Operational 부품이 고장이 있어도 기계는 추후 보수가 될 때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합니다.
[해설작성자 : 일만시간]

[오류신고 반론]
페일 세이프는 기계가 문제를 일으켰을때.
풀 프루프는 인간에 의한 문제일때
[해설작성자 : ㄱ]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인체의 손과 발사이에 과도전류를 인가한 경우에 파두장 700μs에 따른 전류파고치의 최대값은 약 몇 mA 이하 인가?
     1. 4
     2. 40
     3. 400
     4. 8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그냥 외웁시다
파두장 60us = 90mA이하
       325us = 60mA이하
       700us = 40mA이하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62.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에 접지공사를 할 때 접지저항의 최대값은 몇 Ω이하로 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0
     2. 20
     3. 10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피뢰기의 접지저항은 10옴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1종 : 고압 및 특고압으로 10옴
2종 : 고압, 특고압이 저압과 혼촉사고 위험 있을때 150옴 이하
3종 : 400V 미만의 저압용 기기 누전, 100옴
특3종 : 400이상의 기기 누전
[해설작성자 : ㄱㅈㅂ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 KEC 개정으로 건너뛰기 요망.

[추가 오류 신고]
2021년 개정으로 계통접지 보호접지 피뢰시스템 접지로 교체, 더이상 안나오는 문제임
[해설작성자 : 공부한다!]

63. 욕실 등 물기가 많은 장소에서 인체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와 동작시간은?
     1. 정격감도전류 30mA, 동작시간 0.01 초 이내
     2. 정격감도전류 30mA, 동작시간 0.03초 이내
     3. 정격감도전류 15mA, 동작시간 0.01 초 이내
     4. 정격감도전류 15mA, 동작시간 0.03 초 이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일반 30mA   물기많은곳  15mA
[해설작성자 : 열열]

64. 다음 중 전압을 구분할 것으로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저압이란 교류 600V 이하, 직류는 교류의 교류의 루트2배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2. 고압이란 교류 7000V 이하, 직류 7500V 이하의 전압을 말한다.
     3. 특고압이란 교류, 직류 모두 7000V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4. 고압이란 교류, 직류 모두 7500V를 넘지 않는 전압을 말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직류             교류
저압            750V 이하        600V 이하
고압       750V초과 ~ 7000V 이하  600V초과~7000V이하
특고압                   7000V 초과(둘다 해당)
[해설작성자 : 쿠라니]

[2021 KEC 규정 개정후]
             교류(AC)                                   직류(DC)
저압        1,000[V]이하                             1,500[V]이하              
고압        1,000[V]초과 7,000[V]이하                1,500[V]초과 7,000[V]이하  
특고압      7,000[V]초과                             7,000[V]초과    
[해설작성자 : 여사]

65. 단로기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과부하 차단
     2. 변성기의 개폐
     3. 이상전압의 차단
     4. 무부하 선로의 개폐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 개폐기의 일종으로 수용가 구내 인입구에 설치하여 무부하 상태의 선로를 개폐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쿠라니]

66. 전격의 위험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전전류
     2. 통전시간
     3. 통전경로
     4. 통전전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차적 감전위험요소 및 영향력
통전전류크기 > 통전시간 > 통전경로 > 전원의 종류(직류보다 교류가 더 위험)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67. 감전되어 사망하는 주된 메커니즘으로 틀린 것은?
     1. 심장부에 전류가 흘러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혈액순환기능이 상실되어 일어난 것
     2. 흉골에 전류가 흘러 혈압이 약해져 뇌에 산소 공급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
     3. 뇌의 호흡중추 신경에 전류가 흘러 호흡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
     4. 흉부에 전류가 흘러 흉부수축에 의한 질식으로 일어난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심실세동 - 혈액순환기능 상실
호흡중추 신경마비 - 호흡중지
흉부수축 - 질식
전격이 강하여 동맥절단 - 과다출혈
열 - 고열에 의한 화상
[해설작성자 : 행복한 재호이]

68. 다음은 전기안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한 것이다. 옳게 설명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00V 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2. 배선에 사용할 전선의 굵기를 허용전류, 기계적강도,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3.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뢰침 설비를 설치하였다.
     4.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30% 이상 감소되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400 V 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
3.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누전차단기 설치
4.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20%이상 감소
[해설작성자 : 쿠라니]

1. 특별 제 3정 공사를 제 3종 접지공사로 바꾸어야 함
특별 제 3종 400v이상
제 3종 400v 이하
[해설작성자 : 아재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EC 접지방식으로 변경되어, 더이상 나오지 않는 문제
[해설작성자 : 공부한다!]

69. 정격사용률이 30%, 정격2차전류가 300A인 교류아크 용접기를 200A로 사용하는 경우의 허용사용률(%)은?
     1. 67.5
     2. 91.6
     3. 110.3
     4. 130.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정격2차전류/실제용접전류)^2 * 정격사용율
(300/200)^2 * 30% = 67.5%
[해설작성자 : RI독자]

70. 어느 변전소에서 고장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도전성구조물과 그 부근 지표상의 점과의 사이(약 1m)의 허용접촉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심실세동전류: , 인체의 저항: 1000Ω, 지표면의 저항률: 150Ωㆍm, 통전시간을 1초로 한다.)
     1. 202
     2. 186
     3. 228
     4. 16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V=IR=Ik×(Rb+1.5Re)
Ik:심실세동전류, Rb:인체저항, Re:지표면저항
=> 0.165×(1000+1.5×150)=202.13V
[해설작성자 : 원]

허용접촉전압 = (인체저항 + (지표면저항률 x 3/2)) x 심실세동전류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V=IR
V=0.165/^(루트)1×(1,000+(150×1.5))=202.125[V]
[해설작성자 : 류여사]

71. 아크용접 작업 시 감전사고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절연 장갑의 사용
     2. 절연 용접봉의 사용
     3. 적정한 케이블의 사용
     4. 절연 용접봉의 홀더의 사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절연용접봉을 사용하면 전기가 흐르지 않아 용접이 불가능함

72. 인체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체저항은 접촉면적에 따라 변한다.
     2. 피부저항은 물에 젖어 있는 경우 건조시의 약 1/12로 저하된다.
     3. 인체저항은 한 개의 단일 저항체로 보아 최악의 상태를 적용한다.
     4. 인체에 전압이 인가되면 체내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격의 정도를 결정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피부가 물에 젖어 있을 경우 1/25로 저항률 저하
(피부에 땀이 있을 경우 1/12 ~ 1/20로 저항률 저하)
[해설작성자 : 얍줌마]

73. 저압방폭전기의 배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선관용 부속품은 방폭구조에 정한 것을 사용한다.
     2. 전선관용 부속품은 유효 접속면의 깊이를 5mm 이상 되도록 한다.
     3. 배선에서 케이블의 표면온도가 대상하는 발화온도에 충분한 여유가 있도록 한다.
     4. 가요성 피팅(Fitting)은 방폭 구조를 이용하되 내측 반경을 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오류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정답을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2, 4번
2번 5mm - > 5산
4번 내측반경 -> 외측반경

[오류신고 반론]
2,4번 이라고 나와있는데 제가 참고중인 교재에는 제4항의 가요전선관 공사시에는 구부림 내측반경은 가요전선관 외경의
5배이상으로 하여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라고 나와 있어서 내측 반경을 << 이라는 부분에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차지노]

[오류신고 반론]
5산은 나사부의 깊이 5산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옥련데드]

[오류신고 반론]
답은 2번이 맞고
전선관용 부속품은 관용 평형나사를 사용하며 5산 이상 결합되도록 한다. <<<<<< 이게 마즘.
[해설작성자 : 공부자(황)]

74. Freiberger가 제시한 인체의 전기적 등가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단위는 다음과 같다. 단위: R(Ω), L(H), C(F))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Freiberger = RCRC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중대재해]

75. 전동기용 퓨즈 사용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1. 과전압 차단
     2. 누설전류 차단
     3. 지락과전류 차단
     4. 회로에 흐르는 과전류 차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동기용 퓨즈는 전동기 보호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가진 퓨즈로 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마중물]

76.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3요소에 대한 요건이 아닌 것은?
     1. 접속점
     2. 출화점
     3. 누전점
     4. 접지점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3요소
누전점, 발화점(출화점), 접지점

77. 교류아크 용접기의 자동전격 방지장치란 용접기의 2차전압을 25V 이하로 자동조절하여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다음 사항 중 어떤 시점에서 그 기능이 발휘 되어야 하는가?
     1. 전체 작업시간 동안
     2. 아크를 발생시킬 때만
     3. 용접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동안만
     4. 용접작업 중단 직후부터 다음 아크 발생 시 까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동전격방지장치
① 용접작업 1초 이내 정지하는 순간 자동적으로 접촉하여도 감전재해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용접봉 홀더의 출력측 2차전압을 25V 이하로 저하시키는 장치
② "용접작업을 정지하는 순간에 작동하여 다음 아크 발생 시까지 기능한다."
③ 주회로를 제어하는 장치와 보조변압기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해기]

78.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
     1. 기계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한 경우
     2. 대지전압이 220V에서 기계기구를 물기가 없는 장소에 시설한 경우
     3.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2중 절연구조의 기계기구
     4. 전원측에 절연변압기(2차 전압이 300V 이하)를 시설한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가반형 전동기기는 누전차단기를 설치 해야함
[해설작성자 : 얍줌마]

79. 방폭구조와 기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압력방폭구조 : p
     2. 내압방폭구조 : d
     3. 안전증방폭구조 : s
     4. 본질안전방폭구조 : ia 또는 ib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내압 :d /압력 :p /안전 :e
/ 유입 :o /본질 :ia, ib
특수 :s

80. 전격에 의해 심실세동이 일어날 확률이 가장 큰 심장 맥동주기 파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심장 맥동주기를 심전도에서 보았을 때의 파형이다.)
     1. 심실의 수축에 따른 파형이다.
     2. 심실의 팽창에 따른 파형이다.
     3. 심실의 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 시 발생하는 파형이다.
     4. 심실의 수축 시작 후 심실의 휴식 시 발생하는 파형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심실의 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 시에 심실세동 위험이 가장 높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다음 중 마그네슘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화제와 접촉을 피한다.
     2. 고온의 물이나 과열 수증기와 접촉하면 격렬히 반응하므로 주의한다.
     3. 분말은 분진폭발성이 있으므로 누설되지 않도록 포장한다.
     4. 화재발생시 물의 사용을 금하고, 이산화탄소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물과 반응하면 수소 발생, 이산화탄소와는 폭발정 반응을 함.
소화는 마른 모래나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82. 다음 중 상온에서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1. Au
     2. K
     3. S
     4. A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K  +  2H2O → 2KOH    +    H2
(칼륨) (물)   (수산화칼륨) (수소)
[해설작성자 : 쿠라니]

Au 금
K  칼륨
S  유황
Ag 은
[해설작성자 : 남돌]

주기율표 1족 원소
[해설작성자 : 뀨뀨꺄꺆]

8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밸브 등의 전단ㆍ후단에는 차단밸브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되지만 다음 중 자물쇠형 또는 이에 준하는 형식의 차단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인접한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연결배관에 차단밸브가 없는 경우
     2.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의 4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용량의 자동압력조절밸브와 안전밸브 등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3.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 등이 복수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4. 열팽창에 의하여 상승된 압력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밸브가 설치된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의 2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용량의 자동압력조절밸브와 안전밸브 등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

2분의 1 이상, 병렬
[해설작성자 : 쿠라니]

84. 압축기와 송풍의 관로에 심한 공기의 맥동과 진동을 발생하면서 불안정한 운전이 되는 서어징(surging) 현상의 방지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풍량을 감소시킨다.
     2. 배관의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3. 교축밸브를 기계에서 멀리 설치한다.
     4. 토출가스를 흡입측에 바이패스 시키거나 방출밸브에 의해 대기로 방출시킨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교축밸브를 기계에 근접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85. (보기) 의 물질을 폭발 범위가 넓은 것부터 좁은 순서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1. CO>H2>C3H8>CH4
     2. H2>CO>CH4>C3H8
     3. C3H8>CO>CH4>H2
     4. CH4>H2>CO>C3H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폭발범위
①H2 (수소): 4 ~75%
②CO(일산화탄소) :12.5 ~ 74%
③CH4(메탄):5 ~15%
④C3H8(프로판): 2.1 ~9.5%
[해설작성자 : noul]

8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물질의 종류와 해당 물질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부식성 산류 - 아세트산(농도 90%
     2. 부식성 염기류 - 아세톤(농도 90%)
     3. 인화성 가스 - 이황화탄소
     4. 인화성 가스 - 수산화칼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농도가 60% 이상인 인산, 아세트산 , 불산
[해설작성자 : 쿠라니]

아세톤, 이황화탄소 - 인화성 액체
수산화칼륨(농도 40% 이상) - 부식성 염기류
[해설작성자 : ㅇ0ㅇ]

87. 다음 중 화재 시 주수에 의해 오히려 위험성이 증대되는 물질은?
     1. 황린
     2. 니트로셀룰로오스
     3. 적린
     4. 금속나트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금속나트륨과 물의 반응 시, 다량의 수소가 발생하여 위험하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88. 물과 탄화칼슘이 반응하면 어떤 가스가 생성되는가?
     1. 염소가스
     2. 아황산가스
     3. 수성가스
     4. 아세틸렌가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aC2   +   2H2O → Ca(OH)2   +   C2H2
(탄화칼슘) (물)    (수산화칼슘) (아세틸렌)
[해설작성자 : 쿠라니]

+ 탄화칼슘이 카바이드라고 나오기도 함
→물과 카바이드가 반응하면 어떤 가스가 생성되는가? = 아세틸렌가스
[해설작성자 : ㅈㅅㅇ바보]

89. 다음 중 분진폭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폭발에 비교하여 연소시간이 짧고, 발생에너지가 작다.
     2. 최초의 부분적인 폭발이 분진의 비산으로 2차, 3차 폭발로 파급되어 피해가 커진다.
     3. 가스에 비하여 불완전 연소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연소 후 가스에 의한 중독 위험이 있다.
     4. 폭발시 입자가 비산하므로 이것에 부딪치는 가연물로 국부적으로 탄화를 일으킬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연소 속도나 폭발압력은 가스폭발에 비교하여 작지만,
연소시간이 길고 발생에너지가 크기 떄문에 파괴력과 그을음이 크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가스폭발]
1.화염이 크다.
2.연소속도가 빠르다.

[분진폭발]
1. 에너지가 크다.
2.연소시간이 길다.
3.불완전 연소로 인한 중독(CO)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분진폭발은 폭발압력이 작다
[해설작성자 : 류여사]

90. 다음 물질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이황화탄소
     2. 아세톤
     3. 크실렌
     4. 경유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황화탄소(-30) < 아세톤 (-18) < 크실렌 (17.2) < 경유 ( 50~70)
[해설작성자 : 붐신]

91. 다음의 2가지 물질을 혼합 또는 접촉하였을 때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물
     2. 나트륨과 물
     3. 염소산칼륨과 유황
     4. 황화인과 무기과산화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를 하므로 물과 혼합 시 발화의 위험이 낮다.

92.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진폭발
     2. 혼합가스폭발
     3. 분무폭발
     4. 수증기폭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기상폭발 : 가스 분진 분무 증기운 가스분해 폭발
응상폭발 : 수증기, 증기 폭발
[해설작성자 : 쿠라니]

응상폭발 : (수증기, 전선 , 증기, 고상간전이 )폭발 수전증!고
[해설작성자 : 모를 수 있다고 생각해]

93. 다음 물질 중 공기에서 폭발상한계 값이 가장 큰 것은?
     1. 사이클로헥산
     2. 산화에틸렌
     3. 수소
     4. 이황화탄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산화에틸렌은 일반적으로 3~80%이나,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서도 분해폭발을 일으키므로 상한은 100%.
[해설작성자 : 쿠라니]

폭발상한계(vol%) 산화에틸렌 80, 수소 75, 이황화탄소 44,사이클로헥산 8.
[해설작성자 : 마중물]

94. 다음 중 관의 지름을 변경하고자 할 때 필요한 관 부속품은?
     1. reducer
     2. elbow
     3. plug
     4. valv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관의 지름 변경 : 리듀서, 부싱
2개관의 연결 : 플랜지, 유니언, 니플
관로방향 변경 : 엘보 Y형 관이음쇠, 티, 십자
유로차단 : 플러그 , 밸브 ,캡

95. 다음 중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해열에 의해 자연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2. 입자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자연발화가 발생하기 쉽다.
     3. 자연발화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습도를 가능한 한 높게 유지시킨다.
     4. 열의 축적은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인자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연발화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쉽게발생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96. 반응성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실험에 의한 평가 대신 문헌조사 등을 통해 계산에 의해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성이 너무 커서 물성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 계산에 의한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2. 연소열, 분해열, 폭발열 등의 크기에 의해 그 물질의 폭발 도는 발화의 위험예측이 가능하다.
     3. 계산에 의한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폭발 또는 분해에 다른 생성물의 예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4. 계산에 의한 위험성 예측은 모든 물질에 대해 정확성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실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계산에 의한 위험성 예측은 정확성이 부족할수 있으므로 일부 물질은 실험을 필요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남돌]

97. 메탄(CH4) 70vol%, 부탄(C4H10) 30vol% 혼합가스의 25℃, 대기압에서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vol%)는 약 얼마인가? (단, 각 물질의 폭발하한계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추정, 계산한다.)

    

     1. 1.2
     2. 3.2
     3. 5.7
     4. 7.7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메탄 폭발하한계 5, 부탄 1.8
100/L = (70/5) + (30/1.8)  >>  L = 3.26
C(st) = 100/(1+4.77*3.26) = 6.04
L(st) = 0.55 * C(st) = 0.55 * 6.04 = 3.32
[해설작성자 : 든다기와 CancerFlux]

메탄 화학식 하면 CH4+2O2->CO2+2H2O
부탄 화학식은 C4H10+6.5O2->4CO2+5H2O
메탄 Cst는 100/(1+4.77*2)=9.49  폭발하한계=9.49*0.55=5.22
부탄 Cst는 100/(1+4.77*6.5)=3.12  폭발하한계=3.12*0.55=1.72
혼합가스 구하면 100/L=70/5.22+30/1.72
L=3.24 정도 나옴
[해설작성자 : 시험연기 그만하자 ]

98. 다음 중 완전연소조성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메탄(CH4)
     2. 프로판(C3H8)
     3. 부탄(C4H10)
     4. 아세틸렌(C2H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완전연료조성농도,화학양론농도>
Cst(%)=100/[1+4.773{n+(m-f-2ㅅ)}]
n탄소,m수소,ㅅ산소의원자수,4.773공기의몰수

4.C4H10 => 100/[1+4.773{4+(10/4)}]=3.12%
[해설작성자 : 원]

99.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는?
     1. 체크밸브
     2. 게이트밸브
     3. 대기밸브
     4. 글로브밸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체크밸브 - 유체 방향이 반대가 되면, 시트링이 닫혀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해설작성자 : 쿠라니]

체크밸브 :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
게이트밸브 :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
대기밸브 : ??
글로브 밸브 : 유체의 흐름의 양을 조절할수 있는 밸브
볼 밸브 : 유체의 흐름을 신속하게 개폐할수 있는 밸브 (집안에서 쓰는 가스 차단 밸브)
[해설작성자 : 나다]

10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물질의 종류를 구분할 때 다음 물질들이 해당하는 것은?

    

     1.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2. 산화성 액체 및 산화성 고체
     3.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
     4. 급성 독성 물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물반응 - 리듐,칼륨,나트륨
인화성고체 - 황,황린,황화인,적린
[해설작성자 : 으라차차]


6과목 : 건설안전기술

101. 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기준에 따른 일반건설공사(갑), 대상액「5억원 이상~50억원 미만」 의 비율 및 기초액으로 옳은 것은?
     1. 비율 : 1.86%, 기초액 : 5,349,000원
     2. 비율 : 1.99%, 기초액 : 5,499,000원
     3. 비율 : 2.35%, 기초액 : 5,400,000원
     4. 비율 : 1.57%, 기초액 : 4,411,000원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일반건설공사(갑)
대상액 5억원 미만 = 2.93%
대상액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 1.86% , 기초액=5,349,000원
대상액 50억원 이상 = 1.97%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02.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대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2.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3. 작업발판의 최대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4.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 작업발판의 최대 적재하중은 250kg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얍줌마]

103.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절단하중이 100ton일 때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최대하중을 얼마가지 할 수 있는가?
     1. 20 ton
     2. 33.3 ton
     3. 40 ton
     4. 50 ton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5이상이 아니면 사용해선 안된다.
최대하중 = 절단하중 / 안전계수 = 100 / 5 = 20
[해설작성자 : 쿠라니]

104. 공사현장에서 가설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최소 얼마 이상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m
     2. 2.5m
     3. 1.2m
     4. 1.0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계단의 설치
계단의 강도
-계단 및 계단참의 강도는 500kg/m2이상이어야 하며 안전율은 4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계단의 폭은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의 공간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05.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그 구조를 검토한 후 조립도를 작성하고, 그 조립도에 따라 조립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조립도에 명시하여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음방법
     2. 단면규격
     3. 재료의 재질
     4. 재료의 구입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터널 지보공 조립도 명시사항 4가지
    ① 이음방법 ② 단면규격
    ③ 재료의 재질 ④ 설치간격
[해설작성자 : noul]

106. 강관비계를 조립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띠장간격은 2m 이하로 설치하되, 첫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3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2.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이상 1.8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띠장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 첫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얍줌마]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이상 1.8m 이하로 할 것 -> 1.85 m 이내
띠장간격 첫단2m이하 그외 1.5m 이하 -> 첫단&그외 2m 이하
20년 개정 됬습니다
[해설작성자 : 씅워이]

1. 비계기둥 간격 : 띠자방향에서는 1.85m 이하, 장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뱡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07.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 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미리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는 최대 제한속도가 최대 시속 얼마이하인 것을 의미하는가?
     1. 5 km/hr 이하
     2. 10 km/hr 이하
     3. 15 km/hr 이하
     4. 20 km/hr 이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의 최대제한 속도 : 10km/hr 이하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0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다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기계 - 헤드 가드
     2. 예초기 - 날접촉 예방장치
     3. 원심기 - 회전체 접촉 예방장치
     4. 금속절단기 - 날접촉 예방장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포장기계 - 구동부에 방호 연동장치
* 지게차 - 헤드가드
[해설작성자 : 얍줌마]

109. 지반조사의 간격 및 깊이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간격은 지층상태, 구조물 규모에 따라 정한다.
     2. 절토, 개착, 터널구간은 기반암의 심도 5~6m 까지 확인한다.
     3. 지층이 복잡한 경우에는 기 조사한 간격사이에 보완조사를 실시한다.
     4. 조사깊이는 액상화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모래층하단에 있는 단단한 지지층까지 조사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절토, 개착, 터널구간은 기반암의 심도 2m 까지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110. 보일링(Boiling)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위가 높은 모래 지반을 굴착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2. 보일링 현상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공사기간 중 지하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3. 보일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흙막이 보는 지지력이 저하된다.
     4. 아랫 부분의 토사가 수압을 받아 굴착한 곳으로 밀려나와 굴착부분을 다시 메우는 현상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2번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정답은 3번 입니다.
보일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흙막이벽의 저항 및 하단부의 지지력이 저하되며, 지반 지지력이 크게 저하됩니다.
[해설작성자 : 규달]

[오류신고 반론]
정답은 2번이 맞습니다.
[보일링 방지대책]
1.Filter 및 차수벽 설치
2.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불투수층까지)
3.약액주입 등의 굴착면 고결
4.지하수위저하
5.압성토공법 등

[오류신고 반론]
[정답 : 2]
보일링 현상의 대책으로 지하수위를 저하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디디]

[오류신고 반론]
정답2번이 맞습니다.
상식적으로 땅속에 막혀있는 지지대가 흙에 물이 많으면 지지력이 약해지는건 당연하죠.
[해설작성자 : 류여사]

111. 철골구조의 앵커볼트매립과 관련된 준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2. 앵커 볼트는 매립 후에 수정하지 않도록 설치할 것
     3.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은 기준 높이 및 인접기둥의 높이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4. 앵커 볼트는 기둥중심에서 2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5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해설작성자 : 얍줌마]

112. 토사붕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기 지보공설비를 구성하는 부재와 거리가 먼 것은?
     1. 말뚝
     2. 버팀대
     3. 띠장
     4. 턴버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지지막대나 지지 와이어 로프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 철골 구조나 목조의 현장 조립 등에서 다시 세우기나 철근 가새 등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턴버클: 두 점 사이에 연결된 지지막대, 와이어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 기구
[해설작성자 : 해내보자 안전기사자격증]

113.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크레인에 대하여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이탈 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풍속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순간풍속이 20m/sec를 초과할 때
     2. 순간풍속이 25m/sec를 초과할 때
     3. 순간풍속이 30m/sec를 초과할 때
     4. 순간풍속이 35m/sec를 초과할 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0초과:설치,수리,점검,해체작업 중지
15초과:운전작업 중지
30초과위험:옥외설치 주행크레인의 이탈방지조치
30초과이후 또는 중진이상 지진이후:옥외 양중기 각 부위 이상점검
35초과:옥외승강기, 건설작업용리프트에 대해 받침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도괴 및 붕괴 방지조치
[해설작성자 : 원]

114.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는 제외)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방판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발판의 폭이 4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2.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3. 작업발판을 작업에 다라 이동시킬 경우에는 위험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한다.
     4.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둘 이상 지지물
[해설작성자 : 밍재]

115.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
     1.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2. 구내운반차 또는 화물자동차의 경우 화물의 붕괴 또는 낙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에 로프를 거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화물을 적재할 것
     4. 차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차륜의 이상 유무는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출저에듀윌]

116.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몇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가?
     1. 150kg
     2. 200kg
     3. 250kg
     4. 300k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이동식 비계 작업 발판의 최대 적대하중 :250kg
[해설작성자 : 아줌마합격]

117. 취급ㆍ운반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운반을 할 것
     2. 생산을 최고로 하는 운반을 생각할 것
     3. 운반작업을 집중하여 시킬 것
     4. 곡선운반을 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이동되는 운반은 직선으로 할 것.
연운반이 되도록 할 것
극한까지 수작업을 없애는 운반일 것
생산을 최고로 하는 운반을 생각할 것
취급 운반 작업을 집중화 할 것
[해설작성자 : 쿠라니]

118. 건설현장에서 작업 중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우려가 있는 경우에 대한 안전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직보호망 설치
     2. 방호선반 설치
     3. 울타리설치
     4. 낙하물 방지망 설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낙하.비래 방지대책
①낙하물 방지망 설치
②수직보호망 설치
③방호선반 설치
③출입급지구역 설정
⑤보호구 착용
[해설작성자 : noul]

119.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할 건설공사 대상 사업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 지간길이가 40m 이상인 교량건설 등의 공사
     2.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3. 터널 건설등의 공사
     4.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최대 지간길이가 50m이상인  교량건설공사
[해설작성자 : 운몽이]

120.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검토 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1.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산정한다.
     2.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3. 하중ㆍ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다.
     4. 사용할 거푸집 동바리의 설치간격을 결정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구조검토 순서 2, 3, 1, 4
[해설작성자 : otale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순서 2,1,3,4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2 3 1 4

[오류신고 반론]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후(3번) ㅡ> 응력에 대한 안전한 단면을 산출함(1번)
[해설작성자 : 사난기]

[오류신고 반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최우선 구조 검토사항.
제 1단계 :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제 2단계 : 하중. 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다.
제 3단계 :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산정한다
제 4단계 : 사용할 거푸집 동바리의 설치간격을 측정한다.

따라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점은, 2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줌마합격]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 08월 26일(366920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5월 07일(2560295)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46
829 표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8269253)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06
828 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3월 09일(9029205)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80
827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3월 06일(13618)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54
826 관광통역안내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9월 08일(6770827)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3
825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364003) 좋은아빠되기 2022.05.20 628
824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3월 10일(2379042)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59
823 경영지도사 1차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2년 04월 23일(7418989)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88
822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7월 10일(8667045)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40
821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4월 09일(4737910)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78
8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6월 24일(7481540)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57
819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4월 08일(3702568)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23
818 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5월 25일(7921423) 좋은아빠되기 2022.05.20 538
817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1471485)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18
816 설비보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2년 03월 05일(2309780) 좋은아빠되기 2022.05.21 739
815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1년 04월 29일(2회)(1816527) 좋은아빠되기 2022.05.21 140
814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7월 19일(4회)(4505271) 좋은아빠되기 2022.05.21 468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8월 26일(3669200) 좋은아빠되기 2022.05.21 1106
812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1월 30일(1회)(9970556) 좋은아빠되기 2022.05.21 214
811 보석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7월 18일(4회)(9562093) 좋은아빠되기 2022.05.21 165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