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3월 03일(674159)


1과목 : 건축일반


1. 2가지 음이 동시에 귀에 들어와서 한쪽의 음 때문에 다른 쪽의 음이 작게 들리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명료도
     2. 정재파 현상
     3. 마스킹 효과
     4. 반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마킹스 효과:2가지 음이 동시에 귀에 들어와서 한쪽의 음 때문에 다른 쪽의 음이 작게 들리는 현상.
1. 명료도:사람이 말을 할 때 어느 정도 정확할 수 있는가를 표시하는 기준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2. 정재파 현상:진행되는 음파가 반사면에 부딪칠 때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음파의 중첩으로 음압의 변동이 중복되면서 실내에 머물러 있는 현상.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2. 전시장의 자연채광 방법 중 지붕을 통해 들어온 자연광을 지붕과 천장사이에서 조정하여 실내전체를 조명하는 형식은?
     1. 측광 형식
     2. 정광형 형식
     3. 고측광 형식
     4. 정측광 형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시장의 채광
1. 정광창 형식: 천장 중앙에 천장을 설치하여 전시실 중앙부를 가장 밝게 하여 전시벽면에 조도를 균등하게 한다.
2. 측광창 형식: 측면 창에 광선을 들이는 것으로 소규모 전시실 외에는 부적합하다.
3. 고측광창 형식: 천장부근에서 채광창식과 정광형식의 절충식이다.
4. 정측광창 형식: 관람자가 서 있는 상부 천장을 불투명하게 하여 측벽에 가깝게 채광창을 설치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3.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도서관의 출납 시스템은?

   

     1. 자유개가식
     2. 안전개가식
     3. 반개가식
     4. 폐가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⑴자유 개가식free open system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책을 꺼내어 책을 고르고 그대로 검열을 받지 않고 열람하는 형식이다.

⑵안전 개가식safe guarded open access
자유개가식과 반개가식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서 열람자가 책을 직접 서가에서 꺼내지만 관원의 검열을 받고 기록을 남긴 후 열람하는 형식이다.

⑶반개가식semi open access
열람자는 직접 서가에 면하여 책의 체제나 표지 정도는 볼 수 있으나 내용을 보려면 관원에게 요구하여 대출기록을 남긴 후 열람하는 형식으로서 신간서적 안내에 채용되며 다량의 도서에는 부적당하다.

⑷폐가식closed access
열람자는 책의 목록에 의해 책을 선택하여 관원에게 대출기록을 제출한 후 대출받는 형식으로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4. 상점의 진열장 배치에서 부문별의 상품진열이 용이하고 대량판매 형식이 가능한 형태로 주로 침구코너, 식기코너, 서점 등에서 사용되는 것은?
     1. 환상배열형
     2. 굴절배열형
     3. 직렬배열형
     4. 복합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상점판매형식
-대면판매(금은방)
   상품설명이 편리함
   종업원 위치를 저하기 용이함
   상품 포장이 편리함
   종업원에 의해 통로가 소요되어 진열 면적이 적어짐
   진열장이 많아지면 상점 분위기가 딱딱해진다
-측면판매(의류, 가구매장)
   종업원 면적이 적을수록 진열 면적이 증가한다.
   상품에 대한 친근감
   종업원 위치 정하기 어려움
   상품의 설명, 포장이 불편하다.

진열장 배열형
-굴절 배열형 : 양복, 모자, 안경, 문방구
-직렬 배열형 : 면적 이용률 최고, 가장 일반적, 침구, 의복, 가전, 식기, 서점
-환상 배열형 : 수예, 민예품점
-복합형 : 부인복지점, 피혁제품, 서점 등

5. 석조건축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관이 장중·미려하다.
     2.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내화적이다.
     4. 가공이 쉽고 비교적 저렴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장점
-내구, 방서, 방한, 방화에 강하다
-외관이 정중하고 아름답다.

단점
-재료와 공사비가 비싸다.
-공기가 길다.
-시공이 까다롭다.
-횡력에 약하다.

6. 다음에서 설명하는 빛의 단위는?

   

     1. 조도
     2. 광도
     3. 광속
     4. 휘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광속(luminous flux) 단위는 lumen(lm) -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총량
광도(luminous intensity) 단위는 candela(cd) - 광원에서 어느 방향으로의 빛의 세기
조도(illuminance)는 어느 곳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lux(lx), 혹은 footcandle 이 단위 - 내장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
휘도(luminance) 이것은 불빛이 어떤 면에 반사되어 혹은 그곳에서 나오는 빛을 말합니다. 단위는 apostilb - 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의 발기 눈부심 정도(휘도는 시야 검사를 할 때 사용)

7.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건조수축이나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한 균열에 저항하기 위해 배근하는 것은?
     1. 주근
     2. 배력근
     3. 스터럽
     4. 띠철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배력근: 콘크리트의 건조로 인한 수축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주근의 안쪽에,주근에 직각방향으로 배치.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8. 벽이나 기둥모서리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철물은?
     1. 논슬립
     2. 코너비드
     3. 도어체크
     4. 피벗힌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코너비드: 벽이나 기둥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철물.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9. 판보에서 웨브에 스티프너를 설치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웨브판의 좌굴 방지
     2. 플랜지의 처짐 방지
     3. 플랜지의 부식 방지
     4. 철근의 배근 용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스티프너: 철골보 웨브부분의 전단보강 및 좌굴 방지.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0. 호텔의 동선계획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동선과 서비스동선이 교차되지 않도록 한다.
     2. 숙박고객과 연회고객의 출입구는 분리하는 것이 좋다.
     3. 고객동선은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 갈 수 있도록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다.
     4. 숙박고객이 프런트를 통하지 않고 주차장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호텔관리상 숙박고객이 프런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차장으로 갈 수 있는 동선은 피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1. 다음 각 구조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골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철근으로 둘러싸는 구조이다.
     2. 트러스구조는 각 부재를 절점에서 연결해 삼각형으로 짜 맞춘 구조이다.
     3. 라멘구조에서 기둥과 보 접합부는 강정합으로 된다.
     4. 트러스구조의 각 부재에는 축방향력과 전단력, 휨이 발생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트러스구조의 각 부재에는 인장력과 축방향력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dis]

트러스구조는 강재 등의 단재를 핀 접합으로 세모지게  구성하고, 그 3각형을 연결하여 조립한 뼈대. 각 단재는 축방향으로 외력과 평형하여 휨/전단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2. 일사에 의한 복사열의 흡수로 불투명한 벽면 또는 지붕면에서의 외표면 온도는 차츰 상승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로 상승되는 온도에 외기온도를 가산한 값을 의미하는 것은?
     1. 유효 온도
     2. 상당외기온도
     3. 습구 온도
     4. 효과 온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상당외기온도: 일사에 의한 복사열의 흡수로 불투명한 벽면 또는 지붕면에서의 외표면 온도는 차츰 상승하게 되는데,이와 같은 효과로 상승되는 온도에 외기온도를 가산한 온도.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3. 아파트의 중복도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지에 대한 이용도가 좋다.
     2. 채광과 통풍을 동시에 좋게 할 수 없다.
     3. 프라이버시가 나쁘고 시끄럽다.
     4. 복도의 불필요한 면적이 적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편복도형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각층에 올라간 뒤, 길게 나 있는 복도를 지나서 각자의 집으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진 구조다.
-장점 : 건설비가 저렴한 편이라는 것과 엘리베이터 1대에 더 많은 인원들이 사용하게 되므로 관리비 등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 : 긴 복도로 되어 있는 면으로는 창문을 열어 놓기 어렵다는 점 등으로 통풍이 쉽지 않고 일조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여러 세대가 복도를 통해 모두 이동해야만 자신의 집에 들어갈 수 있어 수시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소음에 시달릴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출입구까지 가려면 복도를 지나서 가야하므로 빠져나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위험이 있다.

2. 계단형
복도가 없이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에서 나오는 순간 바로 각자의 집에 이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다. 엘리베이터 승강기가 있는 곳을 '홀(Hall)'이라 하여 홀과 직접 통한다고 '홀 형'이라고도 한다.
-장점 : 통풍과 일조가 더 잘 되며, 소음이 적고, 화재 발생시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다.
-단점 : 범죄에 노출될 확률이 조금 높다는 것.

3. 중간복도형
긴 복도가 나있고, 그 복도의 양옆에 각 세대가 배치되어 서로의 현관이 마주보도록 되어있는 것을 중간복도형이라고 한다.
-장점 : 건설비가 많이 저렴하며, 엘리베이터 1대당 사용인원등도 많은 편이므로 관리비도 싸다. 즉, 저렴함이 최대의 장점.
-단점 : 세대의 사이에 복도를 놓아야 하므로 복도가 어두운 편이라 칙칙할 수 있고, 일조와 통풍권에서 많은 제한을 받으며, 많은 사람들이 복도에 돌아다니므로 소음이 자주 발생하는 등 개인의 사생활이 자주 침해받게 된다.

14. 상점건축에서 진열장의 반사를 방지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진열장 내, 외부의 온도차를 적게 한다.
     2. 진열장 내부의 조도를 높인다.
     3. 차양을 설치하여 진열장 외부에 그늘을 만든다.
     4. 진열장의 유리를 경사지게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반사방지**
-주간(실내 조도<실외 조도)
진열장 내부 밝기를 외부보다 밝게한다.
차양을 달아 외부에 그늘을 만든다.
유리면을 경사지게 배치, 특수한 곡면유리 사용
건너편 건물 비침 방지로 가로수를 이용한다.

-야간(실내 조도 > 실외 조도)
광원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음
눈에 입사하는 광속(빛의 양)을 적게 한다.

**진열장 배치 고려사항**
-손님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게 한다.
-감시하기 쉬우면서 감시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한다.
-동선이 원활하게 배치, 다수 손님 수용, 소수 종업원으로 관리되게 한다.
-들어오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은 직접 마주치지 않게 한다.

진열장 내/외부의 온도차를 적게 하는 것은 진열창의 흐림현상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5. 아파트의 평면형식에 의한 분류 중 계단실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호 내의 주거성 및 독립성이 강하다.
     2. 코어의 시설비가 낮고, 이용률이 높아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3. 동선이 짧으므로 출입이 용이하다.
     4. 통행부의 면적이 작으므로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계단실(홀)형
-장점 : 독립성이 좋고 출입이 편하며 통행부 면적이 적으므로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단점 : 고층아파트일 경우 각 계단실마다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시설비가 많이 든다.

16. 사무소 건축에서 코어(co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람 및 물품의 수직방향 교통시설이다.
     2. 기계·전기 설비와는 별도로 구성한다.
     3. 주 내력벽 구조체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4. 코어설치 시 사무소의 유효면적이 증대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기계 및 전기, 통신설비 등을 집약시켜 설비계통의 순환이 좋아지며 각 층에서의 계통거리가 최단이 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7.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기밀·고단열 창호의 적용
     2. 주광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조명 방식
     3. 열전도율이 높은 단열재 사용
     4. 자연 에너지의 이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를 사용하여 열을 차단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8. 병원의 간호사대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실군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2. 각 간호단위 또는 각층 및 동별로 설치한다.
     3. 가능하면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실 등에 인접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4. 오물 처리실 및 배선실 등의 공간이 설치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간호사대기소는 오물 처리실 및 배전실 등의 공간이 설치되지 않는다.
병동부의 간호사대기소는 병실에서 보행거리 24m 이내에 두어야 하며,수직 및 수평 교통수단의 중심 지역에 두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19. 학교 교실의 배치 및 세부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실은 운동장에 직접 면하는 것이 좋다.
     2. 출입구는 각 교실마다 1개소에 설치하고, 여닫이문일 경우 여는 방향은 안여닫이로 한다.
     3. 교실의 채광은 일조시간이 긴 방위를 택한다.
     4.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은 최상층에 두는 것이 좋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교실의 채광은 일조시간이 긴 방위를 택하고,1방향일 때에는 깊은 곳까지 고른 조도가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교실의 출입구는 각 교실마다 2개소에 설치하고,여닫이문일 경우 여는 방향은 밖여닫이로 한다. 가장 가까운 옥외 출입구나 계단을 향하는 복도 교통의 방향으로 열리게 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20. 주거공간 계획에서 가사노동을 경감하기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1. 필요 이상의 주거공간을 최대한 확보한다.
     2. 세탁실과 건조실은 근접시킨다.
     3. 설비를 고도화하고 자동화한다.
     4. 입식 부엌을 도입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가사노동 경감을 위해 필요 이상의 주거공간을 최소한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2과목 : 위생설비


21. 1개의 트랩을 위해 트랩 하류에서 취출하여, 그 기구보다 윗부분에서 통기계통에 접속하거나 또는 대기 중에 개구하도록 설치한 통기관은?
     1. 습통기관
     2. 각개통기관
     3. 결합통기관
     4. 신정통기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 통기관의 종류
1. 습식(습윤) 통기관 : 배수수평지관의 최상류 기구 바로 아래에서 회로(루프)통기에 연결하여 통기와 배수의 역활을 동시에 하는 통기관.
2. 각개 통기관 : 위생기구마다 각각 통기관을 설치(가장 이상적이나 설비비가 비쌈), 통기관경(접속 배수관경 이상, 32mm 이상)
3. 결합 통기관 : 배수수직관에서 분기·입상하여 통기수지관에 접속하는 통기관.
4. 신정 통기관 : 최상층의 배수수직주관의 상단을 축소하지 않고 그대로 대기중에 개방하는 통기관.
5. 루프(회로, 환상) 통기관 : 배수수평지관에 직접 접속하여 2~8개 이내의 트랩을 보호, 통기관경(입상관의 1/2 이상, 40mm 이상), 통기관 길이(7.5m 이내)
6. 도피 통기관 : 많은 기구가 접속된 경우나 배수 횡지관이 긴 경우의 회로통기배관에서 통기 능률을 촉진시키기 위한 통기관으로 최하류 기구배수관과 배수수직관 사이에 설치.
7. 공용 통기관 : 2개의 위생기구가 같은 위치에서 설치되어 있을 때 기구 배수관의 교점에서 수직으로 올려 세운 통기관.

※ 특수통기수방식
신정 통기관을 변형시킨 것으로 별도의 통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배수수직관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라는 통기방식.
1. 섹스티아 방식 : 유수에 선회력을 주어 하나의 관으로 배수, 통기관을 겸하는 방식으로 고층이나 APT 등에 사용.
2. 소벤트 방식 : 별도의 통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신정통기관만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22. 정화조 중 유입된 오수를 혐기성균에 의한 소화 작용으로 분리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곳은?
     1. 부패조
     2. 여과조
     3. 산화조
     4. 소독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혐기성은 부패조, 호기성은 산화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 등의 배관이 관통하는 곳에 관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2. 행거
     3. 슬리브
     4. 신축곡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24. 건물 내 급수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수조방식에는 수수조를 설치하지 않는다.
     2. 펌프직송방식은 유지·관리가 가장 용이한 방식이다.
     3. 고가수조방식은 급수압력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4. 수도직결방식은 일반적으로 중·고층의 건물에 사용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25. 급탕기기의 부속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밸브와 팽창탱크 및 배관 사이에는 어떠한 밸브도 설치되어서는 안 된다.
     2. 밀폐형 가열장치에는 일정 압력 이상이면 압력을 도피시킬 수 있도록 도피밸브나 안전밸브를 설치한다.
     3. 온수탱크 상단에는 배수밸브(drain valve)를, 하부에는 진공방지밸브(vacuum relief valve)가 설치되어야 한다.
     4. 온수탱크의 보급수관에는 급수관의 압력변화에 의한 환탕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온수탱크 상단 _ 진공방지밸브, 오버플로우관 설치
         하단 _ 배수펌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고가탱크에 시간당 20m3의 물을 양수할 때 유속을 2m/sec라 하면 양수펌프의 구경은?
     1. 38.6mm
     2. 47.2mm
     3. 56.4mm
     4. 59.5m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문제 해설>
√ 4 X 20 / 3.14 X 2 X 3600 = 0.0595 m ≒ 59.5 mm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27. 다음 중 급수설비에서 수격작용의 발생이 가장 우려되는 경우는?
     1. 급수관의 지름이 클 경우
     2. 물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3. 급수관 내의 유속이 느릴 경우
     4. 급수관내에서 물의 흐름을 갑자기 정지할 경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28. 옥내의 배수수평주관 끝에 설치하여 공공하수관으로부터의 유해가스가 건물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트랩은?
     1. P트랩
     2. U트랩
     3. S트랩
     4. 벨트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29. 다음의 옥내소화전설비의 배관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 4m/s, ㉡ 40mm
     2. ㉠ 4m/s, ㉡ 50mm
     3. ㉠ 6m/s, ㉡ 40mm
     4. ㉠ 6m/s, ㉡ 50m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30.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이음부의 나사회전을 이용,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 이음쇠는?
     1. 스위블형
     2. 슬리브형
     3. 벨로즈형
     4. 루프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신축이음이의 역할은 배관의 신축 팽창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배관에서 길이 방향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이음이며 배관과 배관을 이어주는 역할도하고 신축이음이 없으면 배관이 틀어지거나 터져버릴수 있게 때문에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루프(곡관)형 , 슬리브(미끄럼)형 , 벨로즈형 , 스위블형 신축이음
4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참고 : 설치시에는 강관근 30m , 동관은 20m 마다 1개씩 설치하여야 합니다.

**루프(곡관)형.
관을 루프모양으로 구부려 그 휨에 의하여 신축을 흡수 하는 방식입니다.
고온, 고압의 옥외배관에 설치하여야 하고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며 신축에 따른 자체응력이 바랭합니다.또한 곡률반경은 관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해야합니다.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신축에 따른 자체 응력이 생긴다.
-고온 고압의 옥외 배관에 많이 사용된다.
**슬리브(미끄럼)형.
-신축향이 크고 신축으로 인한 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직선으로 이음하므로 설치 공간이 루프형에 비해 적다.
-배관에 곡선 부분이 있으면 신축 이음쇠에 비틀림이 생겨 파손의 원인이 된다.
-장시간 사용시 패킹의 마모로 누수의 원인이 된다.
**벨로즈형
벨로즈형을 보면 주름이 있는데 그주름에 의햇 신축을 흡수하는 방법입니다.
-설치 공간을 넓게 차지하지 않는다
-고압배관에는 부적당 하다
-자체 응력 및 누설이 없다
-벨로스는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청동제품 등을 사용한다.
**스위블형 신축이음
2개 이상의 나사엘보를 사용하여 신축을 흡수하며 방열기 주위배관 등에 사용하는 것을 스위블형 신축이음이라 합니다.
-굴곡부에서 압력 강하를 가져온다
-신축량이 큰 배관에는 부적당하다
-설치비가 싸고 쉽게 조립할수 있다.

31. 도시가스는 압력에 따라 고압, 중압, 저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압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게이지압력)
     1. 10kPa 이상
     2. 0.1MPa 이상
     3. 1MPa 이상
     4. 10MPa 이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32. 다음 중 원칙적으로 청소구를 설치해야 하는 곳이 아닌 것은?
     1. 배수수직관의 최하부
     2. 배수수평주관 및 배수수평지관의 기점
     3. 배수관이 30°의 각도로 방향을 바꾸는 곳
     4. 배수수평주관과 부지배수관의 접속점에 가까운 곳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33. 펌프의 전양정이 25m, 양수량이 60m3/h 일 때 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은 70%)
     1. 5.84kW
     2. 6.84kW
     3. 58.4kW
     4. 68.4kW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000 X ( 60 / 60 ) X 25 / 102 X 60 X 0.7 = 5.84kW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34. 관로를 전개하거나 전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게이트밸브라고도 불리는 것은?
     1. 앵글밸브
     2. 체크밸브
     3. 글로브밸브
     4. 슬루스밸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35.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반사판
     2. 연성계
     3. 교차배관
     4. 충압펌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36. 다음 중 기구급수 부하단위가 가장 큰 것은? (단, 개인용의 경우)
     1. 욕조
     2. 샤워
     3. 세면기
     4. 세정밸브식 대변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37. 다음의 급수 수직 배관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용어는?

    

     1. 체크밸브
     2. 퇴수밸브
     3. 슬루스밸브
     4. 공기빼기밸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38. 먹는물 중 수돗물의 경도는 최대 얼마를 넘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1. 100mg/L
     2. 300mg/L
     3. 1000mg/L
     4. 1200mg/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39. 포집기의 종류와 그 사용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오일 포집기 – 주유소의 배수
     2. 모발용 포집기 – 미용실의 배수
     3. 런드리 포집기 – 치과 병원의 배수
     4. 그리스 포집기 – 영업용 조리장의 배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40. 급탕설비에 사용하는 순환펌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스톤 펌프와 사류 펌프가 주로 사용된다.
     2. 소규모 설비에서는 배관도중에 설치하는 라인펌프(line pump)가 사용된다.
     3. 순환펌프의 수량은 순환관로의 열손실과 급탕관, 반탕관의 온도차로 구한다.
     4. 순환펌프의 양정이 지나치게 높으며 관내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쉽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3과목 : 공기조화설비


41. 다음 중 공기조화배관에 사용되는 신축이음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루프형
     2. 리프트형
     3. 슬리브형
     4. 벨로즈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루프형(만곡관형) : 신축곡관 이라고 하며, 강관 또는 동관 등을 루프 모양으로 구부려서 그 휨에 의하여 신축을 흡수하는 것으로 설치장소가 크고 고온고압의 옥외용에 주로 사용하며 곡률반경은 관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한다.
*벨로즈형 : 단관식과 복관식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
*스위블형 : 2개 이상의 나사 엘보를 사용하여 그 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것으로 온수나 저압 증기난방 등의 방열기 주위 배관에 사용
*슬리브형(미끄럼형) : 설치장소가 적고 장시간 사용시 패킹의 마모로누수

42. 보일러의 출력 중 난방부하와 급탕부하를 합한 용량으로 표시되는 것은?
     1. 상용출력
     2. 정미출력
     3. 정격출력
     4. 과부하출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일러
-    보일러는 난방 및 급탕을 위한 온열원을 생산하는 장치
-    발생 열매에 따라 증기보일러와 온수보일러로 구분됨
**보일러의 종류
-    주철제 보일러 : 주철제로 된 여러 장의 섹션을 난방 부하의 크기에 따라 조립하여 사용
-    노통연관식 보일러 : 노통 내의 파이프 속으로 연소 가스를 통과시켜 파이프 밖에 있는 물을 가열 또는 증발시킴
-    수관식 보일러 : 드럼과 드럼 간에 여러 개의 수관을 통해 보일러 수가 흐르고 튜브 외부에 연소 가스가 흘러 관내에 흐르는 물을 가열하므로 열매 발생
-    진공온수 보일러 : 보일러 내에 감압 증기실을 대기압 이하로 유지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의 응축 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간접 가열시킴
**보일러의 출력과 용량 선정
-    과부하 출력 : 정격출력의 10~20%정도 증가
-    정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 부하 + 예열부하
-    상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 부하
-    정미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43. 도달거리가 길며 소음이 적은 축류형 취출구는?
     1. 팬형
     2. 노즐형
     3. 아네모스탯형
     4. 브리즈라인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44. 각종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앵글밸브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90°로 전환시킬 수 있다.
     2. 글로브 밸브는 유체가 밸브내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흐르도록 설치된다.
     3. 체크밸브에서 리프트형은 수평배관 및 흐름방향이 상향인 수직배관에 사용되며, 스윙형은 수평배관에만 사용된다.
     4. 게이트 밸브는 밸브를 완전히 열면 배관경과 밸브의 구경이 동일하므로 유체의 저항이 적으나, 부분개폐 상태에서는 밸브판이 침식되어 완전히 닫아도 누설될 우려가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45. 습공기의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알 때 습공기 선도상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엔탈피
     2. 상대습도
     3. 복사온도
     4. 절대습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습공기 선도에서의 상태량
1. 건구온도, 2. 습구온도, 3. 상대습도, 4. 절대습도, 5. 수증기 분압, 6. 엔탈피, 7. 비체적, 8. 열수분비, 9. 노점온도, 10. 현열비선.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46. 건구온도 26℃, 상대습도 50%인 공기 1000m3과 건구온도 32℃인 공기 500m3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공기의 건구온도는?
     1. 27.2℃
     2. 27.6℃
     3. 28.0℃
     4. 28.3℃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1000 X 26 ) + ( 500 X 32 ) / 1000 + 500 = 28 ℃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47.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압흡수기와 고압흡수기로 구성된다.
     2. 고온증발기와 저온증발기로 구성된다.
     3. 저압응축기와 고압응축기로 구성된다.
     4. 고온발생기와 저온발생기로 구성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48. 여름철 건물 내 어떤 실의 취득 현열량이 25000W이고 잠열량이 7000W일 경우, 현열비는?
     1. 0.52
     2. 0.64
     3. 0.78
     4. 0.9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5000 / 25000 + 7000 = 0.78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49.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 상하의 온도차가 작다.
     2. 증기난방에 비하여 쾌적감이 높다.
     3. 열용량이 작아 간헐난방에 적합하다.
     4. 외기 침입이 있는 곳에서도 난방감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복사난방은 24시간 난방하는 주택이나 APT 등에서 경제적이고, 쾌감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강당이나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이 천장이 높은 공간의 경우도 복사난방을 채용하면, 대류난방과는 달리, 천장부근에 따뜻한 공기가 모여 난방효과가 저하되는 일이 없어 효과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은행 영업장, 로비 등과 같이 장소의 특성상, 대류 방식으로 만족할 만한 난방효과를 거둘 수 없을 때 주로 적용됩니다.
**장점
① 복사열을 이용하므로 실내온도 분포가 균등하여 쾌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② 실온이 낮으므로 대류난방보다 열손실이 적습니다.
③ 복사열에 의한 난방은 넓은 개방공간에서도 난방효과가 높습니다.
④ 대류현상이 없어 바닥면의 먼지 상승이 적어 환기의 필요성이 대류난방보다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⑤ 실내 바닥 위에 방열기 등의 장비나 기기가 없으므로 공간활용도가 높습니다.
**단점
① 가열코일등을 매설해야 하므로 대류난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설비비가 비쌉니다.
②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유해야 하는 물의 양이 많으므로 예열시간이 길어집니다.
③ 바닥배관인 경우 누수사고에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④ 방열체의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제어응답이 늦습니다.
⑤ 냉방시 제어가 부적당하게 되면 냉각 패널에 결로가 생길 염려가 있으며, 특히 잠열 부하가 많은 공간에는 부적당합니다.
⑥ 배관을 건물에 매입하는 경우 단열을 완벽히 하여야 합니다.
⑦ 방의 모양을 바꿀 때에 융통성이 적습니다.

50. 계산된 냉온수량을 수송하기 위한 적정 관경을 마찰저항선도를 사용하여 선정할 때, 필요한 값은?
     1. 레이놀드수와 배관길이
     2. 배관길이와 사용배관재의 조도
     3. 수력반경과 유체의 동점성 계수
     4. 제반 손실을 고려한 관마찰 저항과 유속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51. 다음의 가습방식 중 물을 공기 중에 직접 분무하는 수분 무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원심식
     2. 초음파식
     3. 괴열증기식
     4. 노즐 분무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52. 다음 중 겨울철 건물의 출입구로부터 들어오는 틈새바람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방풍실에 회전문 설치
     2. 방풍실에 자동문 설치
     3. 방풍실에 자재문 설치
     4. 방풍실에 여닫이문 설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53. 주방, 화장실 등과 같이 냄새 또는 유해가스나 증기발생이 많은 공간에 주로 사용되는 환기 방식은?
     1. 자연환기
     2. 강제급기+배기구
     3. 급기구+강제배기
     4. 강제급기+강제배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54. 난방부하 계산 시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것은?
     1. 인체부하
     2. 외벽을 통한 관류부하
     3. 틈새바람에 의한 외기부하
     4. 도입외기에 의한 외기부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난방부하 계산시 일반적으로 인체부하, 조명부하, 기구부하, 일사부하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55. 직교류식 냉각탑에서 cooling range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냉각탑 입구수온+냉각탑 출구수온
     2. 냉각탑 출구수온-외기 습구온도
     3. 외기 습구온도-냉각탑 입구수온
     4. 냉각탑 입구수온-냉각탑 출구수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쿨링 렌지 = 냉각탑 입구수온 - 냉각탑 출구수온

쿨링 어프리치 = 냉각탑 출구구온 - 냉각탑 입구공기의 습구온도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56. 1800m3의 실용적을 갖는 사무실에서 시간당 0.5회의 환기를 할 때 환기량은?
     1. 750m3/h
     2. 750m3/min
     3. 900m3/h
     4. 900m3/mi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환기횟수로 환기량 구하기
환기량(m3/h)=용적(m3)*필요한환기횟수

57. 공조기부하에 펌프 및 배관 등의 열부하를 더한 것으로 냉동기나 보일러 용량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1. 외기부하
     2. 현열부하
     3. 열원부하
     4. 예냉부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58.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재실인원이 20명인 실내의 냉방에 요구되는 외기부하량은?

    

     1. 3.4kW
     2. 4.2kW
     3. 4.9kW
     4. 5.7kW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2 X ( 20 X 25 ) X ( 84.8 - 55.4 ) = 17640 kJ/h / 3600 = 4.9kW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59. 배관 내에 1.5m/sec의 유속으로 0.042m3/min의 물이 흐를 때 계산에 의한 배관의 관경은?
     1. 20.2mm
     2. 24.4mm
     3. 28.5mm
     4. 31.6m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문제 해설>
√ ( 4 X 0.042 ) / ( 3.14 X 1.5 X 60 ) = 0.024 m = 24.4 mm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60. 공기조화용 덕트로 원형이 아닌 장방형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층고를 낮출 수 있다.
     2. 소음을 적게 할 수 있다.
     3.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4. 송풍기의 필요 동력을 낮출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4과목 : 건축설비관계법규


61. 세대수가 7세대인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급수관 지름의 최소 기준은?
     1. 20mm
     2. 25mm
     3. 32mm
     4. 40m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세대 : 15 mm
2~3 세대 : 20 mm
4~5 세대 : 25 mm
6~8 세대 : 32 mm
9~16 세대 : 40 mm
17이상 세대 : 50 mm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62. 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1. 실내건축
     2. 실내장식
     3. 리모델링
     4. 실내디자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63. 다음의 소방시설 중 소화활동설비에 속하는 것은?
     1. 연결살수설비
     2. 옥내소화전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소화활동설비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 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가. 제연설비 나. 연결송수관설비
다. 연결살수설비 라. 비상콘센트설비
마. 무선통신보조설비 바. 연소방지설비

64. 거실의 바닥면적이 50m2 이상인 지하층에 설치하는 비상탈출구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주택의 경우 제외)
     1.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할 것
     2.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m 이상으로 할 것
     3. 비상탈출구의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4.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65. 건축물을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려는 경우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연면적 기준은?
     1. 연면적의 합계가 5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연면적의 합계가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3. 연면적의 합계가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연면적의 합계가 2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특별시장, 광역시장의 허가대상
1. 21층 이상 건축물
2. 연면적 100000 m2이상인 건축물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66.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하여야 하는 대상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1. 공동주택
     2. 종교시설
     3. 업무시설
     4. 장례시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67.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0.5m
     2. 1m
     3. 1.5m
     4. 2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68. 다음 중 건축물의 층수와 상관없이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숙박시설
     2. 판매시설
     3. 노유자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방염 성능 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근린생활시설 중 안마시설소 및 헬스클럽장,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수영장을 제외한 것 " 숙박시설 ", " 종합병원 ",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2. " 노유자시설 ", 의료시설 중 정신보건시설 및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
3.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4. 1, 3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를 제외)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69.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는 거실외의 곳에 설치할 것
     2.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3.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을 방화구획으로 구획할 것
     4. 전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면적이 0.5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70.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바닥면적이 300m2 이상인 경우)
     1. 1m
     2. 1.5m
     3. 2m
     4. 2.5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7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건축부문의 권장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주택은 인동간격을 넓게 하여 저층부의 일사 수열량을 증대시킨다.
     2.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한다.
     3.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높게 한다.
     4. 건물 옥상에는 조경을 하여 최상층 지붕의 열저항을 높이고, 옥상면에 직접 도찰하는 일사를 차단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킨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72. 다음의 무창층의 정의에 관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또는 외부에서 파괴할 수 없을 것
     2.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3. 크기는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內接)할 수 있는 크기일 것
     4.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무창증
     무창층이란 지상 층 중 다음이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건축물에서 채광, 환기, 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 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산정된 면적을 말한다. 이와 같다)의 30분의 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1)크기는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크기일 것
     2)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3)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4)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5)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73. 옥내에 있는 계단 및 계단참의 유효너비를 최소 120c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은? (단, 연면적 200m2를 초과하는 건축물의 경우)
     1. 중학교의 계단
     2. 초등학교의 계단
     3. 고등학교의 계단
     4. 판매시설의 계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74. 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시설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m
     2. 2m
     3. 3m
     4. 4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75. 건축법령상 의료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한의원
     2. 치과병원
     3. 한방병원
     4. 요양병원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76. 다음 중 신고 대상에 속하는 용도변경은?
     1. 위락시설에서 판매시설로의 용도변경
     2. 수련시설에서 숙박시설로의 용도변경
     3. 의료시설에서 장례시설로의 용도변경
     4. 업무시설에서 교육연구시설로의 용도변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7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1. 일사조절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2. 태양열취득률(SHGC)이라 함은 입사된 태양열에 대하여 실내로 유입된 태양열취득의 비율을 말한다.
     3. 투광부라 함은 창, 문면적의 30% 이상이 투과체로 구성된 문, 유리블럭, 플라스틱패널 등과 같이 투과재료로 구성되며, 외기에 접하여 채광이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4. 야간단열장치라 함은 창의 야간 열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단열셔터, 단열덧문으로서 총열관류저항(열관류율의 역수)이 0.4m2·K/W 이상인 것을 말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투광부 30% → 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다음은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 소방대상물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0m2
     2. 500m2
     3. 1000m2
     4. 1500m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지하구는 제외) 설치대상
1. 판매시설, 운수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
2. 지하층(피난층으로 주된 출입구가 도로와 접한 경우는 제외)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m2 이상인 것
3. 가스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
4. 1 및 2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부속된 연결통로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79. 다음은 건축설비 설치의 원칙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m2
     2. 200m2
     3. 500m2
     4. 1000m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령 (제87조 건축설비 설치의 원칙)
연면적이 500m2이상인 건축물의 대지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기사업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전기사업자가 전기를 배전(配電)하는 데 필요한 전기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산업설비학과]

80.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0000m2인 업무시설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8인승 승강기의 경우)
     1. 3대
     2. 4대
     3. 5대
     4. 6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3월 03일(67415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0 경영지도사 1차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4월 03일(6326779) 좋은아빠되기 2022.04.23 217
1909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15일(3345108) 좋은아빠되기 2022.05.26 216
1908 동력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7월 18일(4회)(9321036) 좋은아빠되기 2022.04.25 216
1907 포장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7528518) 좋은아빠되기 2022.04.22 216
1906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069297) 좋은아빠되기 2022.02.27 216
1905 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03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6.11.16 216
1904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424062) 좋은아빠되기 2016.11.12 216
1903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161002) 좋은아빠되기 2016.10.30 216
1902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336152)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16
1901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4월 06일(2회)(497341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5
190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883363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5
1899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06일(7829272) 좋은아빠되기 2022.06.15 215
1898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15
1897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7.01.10 215
1896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6.06.08 215
1895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1월 30일(1회)(619543) 좋은아빠되기 2022.07.07 214
1894 미용사(피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2월 13일(2327126)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4
1893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4월 03일(7912330) 좋은아빠되기 2022.05.29 214
189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10월 24일(2786751) 좋은아빠되기 2022.04.07 214
1891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8월 04일(5283138) 좋은아빠되기 2022.04.05 214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