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9월 08일(2504232)


1과목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own :ihd lin.txt
     2. chown :kait lin.txt
     3. chgrp ihd lin.txt
     4. chgrp :kait lin.tx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hgrp 명령어를 사용하여 lin.txt파일의 그룹을 kait으로 바꾸고 싶다면
chgrp kait lin.txt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chgrp :kait lin.txt 명령어는 무효처리가 되거나 :kait이라는 그룹이 존재한다면 :kait으로 바뀝니다.
그 이전에 그룹명엔 특수문자가 적용되지 않아 그룹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동동]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은 4번인데 2번으로 정답이 된게 이해가 안되네요
chown 은 소유자:소유그룹으로 나타내는데
chown 소유그룹식으로 단독 표기가 가능한가요??
굳이 2번을 답으로 하려면
chown joon,Kait lin.txt로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위에 해설은 4번이 틀린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거 같은데요
chgrp을 쓸려면 chgrp kait lin.txt 라 해야하고
chown 쓰려면 chown :kait lin.txt 라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홍해장]

2. 다음 중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mke2fs /dev/sdb1
     2. mkfs -t ext3 /dev/sdb1
     3. mke2fs -j /dev/sdb1
     4. mke2fs -t ext4 /dev/sdb1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저널링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에 대한 변경사항을 반영하기전에 저널이라 부르는 로그에 변경사항을 저장하여 추적이 가능하게 만든 파일 시스템이다.
시스템에 충돌현상이 발생하거나 전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데이터 복구 확률을 높여준다.
ext3 부터 저널링 파일 시스템 기능이 있다.

- mkfs(make filesystem) :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root만 사용 가능하다.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된다.
- mke2fs :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최근 리눅스 배포판에서 mkfs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된다.

# mke2fs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2로 생성한다.

# mkfs -t ext3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3로 생성한다.

# mke2fs -j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3로 생성한다.

# mke2fs -t ext4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생성한다.

[해설작성자 : 초식동물]

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허가권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rwxrwxrwx.
     2. -r-xrwxrwx.
     3. -rwxrwxr-x.
     4. -rwxrwxrw-.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chmod로 허가권을 변경할 때는 r=4 w=2 x=1로 각각 취급하여 그 숫자를 더하여 부여할 허가권을 판단하며 3개의 숫자는 순서대로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를 의미한다.

577은 소유자만 2. 즉, w(쓰기)권한을 주지 않고 그룹과 기타 사용자는 읽기, 쓰기, 실행이 모두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권재영]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디렉터리가 아닌 txt파일의 허가권을 묻는 문제면
chmod 577 을 줬어도
r--rw-rw- 가 됐어야하지 않나요 ㅠㅠ
제일 앞에 d가 없어서 디렉터리는 아닌데..
[해설작성자 : 짱지윤]

4. 다음 중 스티키 비트(Sticky Bit)에 대한 설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o+s data/
     2. chmod o+t data/
     3. chmod u+s data/
     4. chmod u+t data/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Set UID = u+s
Set GID = g+s
Sticky bit = o+t
[해설작성자 : 63.75점]

sticky 비트 설정방법 및 활용
- 8진수(1xxx)나 기호(o+t 또는 u+t)를 이용하여 sticky 비트를 설정할 수 있음(sticky 비트 설정 제거 o-t 또는 u-t)
- 리눅스의 경우 o+t, 유닉스(솔라리스)의 경우는 u+t로 설정
- 권한 변경을 위해 chmod 명령어를 이용함
- sticky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의 실행 권한 자리에 실행 권한이 있으면 소문자 t로 실행권한이 없으면 대문자 T로 표시됨
- /tmp 디렉토리 처럼 공용 디렉토리 접근에 활용
[해설작성자 : 숨겨진오징어]

5. 다음 중 파일에 부여되는 허가권인 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2.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3. 파일의 내용을 전부 지워서 빈 파일을 만들 수 있다.
     4. cat 명령과 >>를 이용해서 파일의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w권한이 파일에 있을 때 : 파일 내용의 수정 및 쓰기
w권한이 디렉터리에 있을 때 : 디렉터리 내의 파일의 생성과 삭제

즉, 1번 보기는 디렉터리에 부여되는 허가권이다
[해설작성자 : HW]

6. fdisk 명령을 실행하면 파티션의 속성(Id)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중 스왑(swap)에 해당하는 속성값으로 알맞은 것은?
     1. 82
     2. 83
     3. 8e
     4. f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기본 개념
- fdisk명령어는 파티션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리눅스의 디스크파티션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일종의 유틸리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 명령어의 위치
/sbin/fdisk

1.2 사용 형식
fdisk [-l] [-v] [-s 파티션] [장치이름]

2. 현재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 설정 현황 파악하기
- 리눅스 쉘에서 fdisk -l 이라고 입력하면,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 설정 현황을 알 수 있습니다.

3. SWAP 은 물리메모리의 메모리 부족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를 메모리로 사용하는 파티션입니다.
- 각 파티션은 파티션에 따라 ID가 다르며,
82 는 Linux swap / Solaris
83 은 Linux
8e 는 논리 볼륨 관리자 파티션
fd 는 Linux RAID 입니다.

[해설작성자 : 숨겨진오징어]

7. 다음 중 /etc/fstab의 첫 번째 필드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
     2. /dev/sdb1
     3. LABEL=/home
     4. UUID=cb929e4a-f1ac-4087-b86b-90338f9bc74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etc/fstab의 6 필드
[장치명][마운트위치][파일시스템종류][옵션][덤프][점검]

이중에서 장치명으로 가능한 것은 실제 장치 이름(2), 라벨명(설정한 경우, 3), 장치의 UUID(4)이다.
/은 마운트 위치이므로 두번째 필드에 와야한다
[해설작성자 : HW]

8.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ev/md0는 Raid 장치이다.
     2. 블록 사이즈는 4096바이트로 설정한다.
     3. stripe당 블록 사이즈는 32바이트로 설정한다.
     4. /dev/md0를 ext2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mkfs(make filesystem) :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root만 사용 가능하다.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된다.
- mke2fs :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최근 리눅스 배포판에서 mkfs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된다.

# mke2fs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2로 생성한다.

# mkfs -t ext3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3로 생성한다.

# mke2fs -j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3로 생성한다.

# mke2fs -t ext4 /dev/sdb1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생성한다.
[해설작성자 : 위에꺼배낌]

9. 다음 중 /home 영역에 설정된 사용자 쿼터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quota /home
     2. repquota /home
     3. edquota /home
     4. quotacheck /hom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4%
     <문제 해설>
quota란?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제한하는 방법은 i-node와 block의 두가지이며, 사용자별, 그룹별로도 쿼더를 지정할 수 있다
지정은 /etc/fstab의 옵션 필드에 추가를 해서 할 수 있다.
quotaon : quota켜기
quotaoff : quota끄기
quotaed : quota수정
quotacheck : quota정보를 업데이트함
repquota : quota정보를 출력함
[해설작성자 : HW]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quotaed 보단 edquota가 더 정확한 표현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123245]

[오류신고 반론]
quota와 repquota 명령어 둘 다 쿼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quota는 현재 사용자의 쿼터 정보 확인으로 주로 quota 사용자 계정명
repquota는 시스템 단위의 쿼터 정보 확인으로 주로 repquota 디렉토리명으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새콤달콤]

10. 다음 중 DVD 등 이동식 보조기억장치의 미디어를 꺼낼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fdisk
     2. mkfs
     3. eject
     4. unmoun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eject : 이동식 매체의 마운트를 해제하고 장치를 제거(꺼내기)
[해설작성자 : 홍해장]

11. ihd 사용자가 셸 프롬프트를 다음과 같이 변경 하려할 때 알맞은 것은?

    

     1. PS1=“[\u@\t \W]\$ ”
     2. PS1=“[\u@\d \W]\$ ”
     3. PS2=“[\h@\t \W]\$ ”
     4. PS2=“[\h@\d \W]\$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u는 사용자 t는 24시간시로 현재시간 표현
[해설작성자 : 농협]

[ihd@09:30:21 ~]$
[사용자명@현재시간(24시) 현재디렉토리(제일 마지막 디렉토리만 보여줌)]$
-> [\u@\t \W]\$
[해설작성자 : 홍해장]

12. 다음 중 현재 접속되어 있는 셸(Shell)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sh –l
     2. echo $PS1
     3. echo $SHELL
     4. cat /etc/shell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chsh -l 은 변경 가능한 셸의 종류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etc/shells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준다.
2.echo $PS1 은 명령 프롬프트 모양에 대한 변수를 출력해주는 명령 기본적으로 [(사용자명)@(호스트명) (현재 디렉토리)]가 설정되 있다.
4.cat /etc/shells은 당연히 1의 chsh -l 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권재영]

13. 다음 중 셸 환경 변수를 선언 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
     1. PATH=$PATH:$HOME/bin
     2. PS1='[\u@\h \w]\$ '
     3. TMOUT=/bin/logout
     4. TERM=xter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bin/logout이 아닌 /etc/profile이다.
[해설작성자 : 코알라 멸종 위기]

TMOUT=3600 이런식으로 값이 들어가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홍해장]

14. 다음 중 조건에 맞는 명령어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

    

     1. mail -s "[OK] server check"
webmaster@example.com < report.txt
     2. mail -s "[OK] server check"
webmaster@example.com > report.txt
     3. mail -s "[OK] server check"
webmaster@example.com << report.txt
     4. mail -s "[OK] server check"
webmaster@example.com >> report.txt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s 옵션은 subject 즉, 제목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그리고 파일에서 출력을 받아서 메일을 보내야 하므로 "< 파일명" 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중 배쉬셸 명령행 편집 기능에 대한 명령과 설명이 틀린 것은?
     1. [Ctrl + b] :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2. [Ctrl + f] :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
     3. [Ctrl + a] : 맨 왼쪽으로 이동
     4. [Ctrl + d] : 맨 오른쪽으로 이동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ctrl + d : 현재 커서의 글자 지우기
ctrl + e : 맨 오른쪽으로 이동
[해설작성자 : 잉간]

16. 다음 중 본 셸(s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T&T 벨 연구소의 스티븐 본(Stephen Bourne)이 개발하였다.
     2. 1977년에 처음으로 유닉스 버전 7에 포함되었다.
     3. 조건구문(if), 반복구문(while)이 존재하지 않는다.
     4. 별칭(alias)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본 셸은 함수와 alias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이를 개선해서 나온 것이 C셸 입니다
[해설작성자 : 대우4반라이더]

본셸에서 if, while, for 등 다양한 조건문 및 반복문을 지원한다
[해설작성자 : pwijs1019]

17.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unset
     2. remove
     3. erase
     4. delet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unset : unset 명령어는 쉘 변수를 효과적으로 널(null)로 세트를 해서 그 변수를 지우는 효과를가져옵니다.
2.remove : remove 명령어는 rm 즉,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지우는 명령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18. 다음 중 배쉬셸(bash)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브라이언 폭스가 GNU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2.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
     3. 명령어 완성 기능, 명령어 치환 기능 지원
     4. POSIX와도 호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
-> 리눅스 뿐만 아닌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 (리눅스, 맥 OS)
[해설작성자 : 같이 공부해요]

19. 다음중 프로세스우선순위에관한 설명으로틀린것은?
     1. 'ps –l' 명령으로 PRI와 NI를 확인할 수 있다.
     2. PRI는 운영체제에서 참고하는 우선순위 값으로 범위는 –20부터 19까지이다.
     3. NI는 root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우선순위 값으로 낮은 값일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4. NI값을 설정하면 리눅스는 상황에 따라 PRI값을 적절히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범위가 -20부터 19까지인것은 ni값이다
[해설작성자 : HW]

20. top 명령은 실행 상태에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 는 PID값을 입력하여 종료신호를 보낸다.
     2. p 는 프로세스와 CPU항목을 on/off 한다.
     3. m 은 메모리 관련 항목을 on/off 한다.
     4. W 는 바꾼 설정을 저장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t가 프로세스 항목을 온오프함
[해설작성자 : 농협]

p 는 옵션으로 지정된 프로세스 ID들을 보여줌
[해설작성자 : 리마 레스기릿]

21. 다음 중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background) 프로세스로 전환하기 위해 작업중인 프로세스를 대기(suspend)상태로 전환하는 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 + [z]
     2. [Ctrl] + [x]
     3. [Ctrl] + [c]
     4. [Ctrl] + [b]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STOP 시그널을 보낸다.
[해설작성자 : 권재영]

22. 프로세스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하기 위해 실행 명령 뒤에 '&'를 붙인다.
     2. 보통 셸에서 명령을 실행하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3.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명령을 실행하면 작업번호와 PID를 반환한다.
     4. 한번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는 중간에 중지시킬 수 없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를 붙인다.
2. 포어그라운드로 진행된다.
4. 중지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노잼]

23. 다음 중 시그널과 관련된 키보드입력에 대한 종류가 틀린 것은?
     1. SIGKILL : <CTRL + U>
     2. SIGINT : <CTRL + C>
     3. SIGQUIT : <CTRL + \>
     4. SIGTSTP : <CTRL + Z>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IGKILL에는 별도의 Keyboard Binding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HW]

24. 다음 그림에서 PID가 9473인 프로세스의 NI값을 –10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ice --10 9473
     2. nice --5 bash
     3. renice –10 9473
     4. renice –5 bash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실행가능한 프로세스 중에서 kernel이 다음으로 실행할 값을 정하는 기준 중 하나가 ni값이다.
nice와 renice는 프로세스의 ni값을 변경시키는 명령어인데,
nice명령은 프로세스명으로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새로운 프로세스가 발생하지만
renice명령은 PID값으로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기존의 프로세스를 바로 수정한다.

nice [-n N] [프로세스명] : 프로세스의 ni값을 N만큼 조정한다(-n옵션 생략시 N=10)
nice [-N] [프로세스명] : 위와 같다(N이 음수일때 헷갈림, 위 문제의 경우도 그러하다)

renice [N] [PID값] : 해당하는 프로세스의 ni값을 N으로 바꾼다
renice [-n N] [PID값] : 위와 같다
[해설작성자 : HW]

25. 다음 설명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fork
     2. exec
     3. inetd
     4. standalon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inetd -  요청이 들어왔을때 처리함
[해설작성자 : 골드메디]

standalone - 계속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inetd에 비해 메모리 많이 잡아먹음
[해설작성자 : 홍해장]

26.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해주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ps
     2. pstree
     3. kill
     4. to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kill 명령은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전송하는 명령으로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pwijs1019]

27. 다음 프로세스 호출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exec
     2. fork
     3. inetd
     4. b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fork 기존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복사)
exec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새로운 프로세스의 코드 덮어씌우기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28. 다음 중 프로세스 유틸리티(Utility) 사용법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ill -l : 시그널의 종류를 출력
     2. killall -9 1234 :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9번 시그널을 보냄
     3. kill -HUP 1234 :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1번 시그널을 보냄
     4. kill 1234 :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15번 시그널을 보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번 -9는 프로세스 강제 종료
[해설작성자 : 2600]

2 . killall은 PID가 아니라 프로세스명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killall 명령어는 뒤에 pid값이 아닌 프로세스명을 씁니다.
문제를 풀이하자면 2번은 애초에 '사용법'이 틀린거임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벼락치기]

29. 다음 중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문서 끝까지 ihd라는 문자열은 kait로 치환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 s/ihd/kait/g
     2. :0,$ s/ihd/kait/g
     3. :.,$ s/ihd/kait/g
     4. :1,$ s/ihd/kait/g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 s/ihd/kait/g  => 문서전체의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한다.
2. :0,$ s/ihd/kait/g => 0줄 이란 없음
3. :.,$ s/ihd/kait/g => 현재 줄 부터 문서의 끝까지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한다.
4. :1,$ s/ihd/kait/g => 1줄부터 문서의 끝까지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한다.

- . : 현재줄 생략 가능
- n+m : n줄에서 m을 더한 줄까지
- $ : 마지막 줄
- n,m : n줄에서 m줄까지
- % :  전체
- 치환 마지막의 g : 문자열 전부 치환
[해설작성자 : 이리마]

30. vi 에디터를 이용해 readme.txt 파일을 열면서 커서를 마지막 줄에 둘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vi -R readme.txt
     2. vi + readme.txt
     3. vi -r readme.txt
     4. vi -c readme.tx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vi [-R] : read-only file을 열 때
vi [-r] : 오류나 system crash로 인해 손상된 파일을 복구 할 때
vi [-c command] : 열 때 ex모드로 실행할 command 지정
vi [+[n]] : 파일을 열때 커서가 위에서 부터 n번째 줄에 위치, n이 생략되면 마지막 줄에 위치
[해설작성자 : HW]

31. 다음 중 vi 편집기를 사용해서 입력모드로 전환했을 때 화면 아래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IN --
     2. -- INPUT --
     3. -- INSERT --
     4. -- MODE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vi편집기 -> 입력모드전환 --INSERT-- 라고 외워두자
[해설작성자 : 리찬텐]

32. 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입력모드 전환과 관련된 명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
     2. o
     3. p
     4. 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입력 모드 전환
i : 현재 커서 앞에 삽입하면서 입력 모드로 전환
o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아랫줄에 삽입하면서 입력 모드로 전환
s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지우면서 입력보드로 전환

복사 및 붙이기
p : 버퍼에 들어있는 내용을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아래에 붙임
[해설작성자 : 알콩달콩]

33. 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명령키로 알맞은 것은?
     1. h
     2. j
     3. k
     4. l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h : 커서를 한칸 왼쪽으로 이동하는 명령
j : 커서를 한줄 아래로 이동하는 명령
k : 커서를 한줄 위로 이동하는 명령
l : 커서를 한칸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명령
[해설작성자 : 뜌뜌]

이것도 나 처럼 빡대가리는 외우기 힘듬
오른쪽 왼쪽 위 아래
l     h   k  j  
이걸로 외우삼 오른쪽~ 왼쪽~ 위~ 아래~ l~ h~ k~ j~ 초딩때 노래부르듯이 외우삼
[해설작성자 : 야메박사]

키보드 순서임 [hjkl]=[왼,아래,위,오] 순서그대로따라가세요.
[해설작성자 : 줍줍문제]

l:오른쪽 h:왼쪽 k:위 j:아래
외우는법은 4 모양의 동서남북 표시 그릴때 생각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붙고싶다]

오른손 손가락에 그리기 추천합니다
검지손가락 H ←
중지손가락 J ↓
약지손가락 K ↑
새끼손가락 L →
[해설작성자 : 시험 볼 땐 지우셔야합니다]

34. 다음에서 설명하는 에디터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vi
     2. vim
     3. pico
     4. emac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vi - 빌 조이가 개발
2. vim - 브람 무레나르가 개발
3. pico - 아보일 카사르가 개발
4. emacs - 리처드 스톨만이 개발
나머지 nano - GNU프로젝트 개발
gedit - 자유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35. 다음 중 수세(SUSE)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저장소 (repository) 기반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yum
     2. apt-get
     3. YaST
     4. Zyppe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yum : 레드햇 계열의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틸리티.
apt-get : 데미안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 설치와 제거를 위한 패키지 관리 유틸리티.
YaST : 오픈 수세를 대표하는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GUI 및 ncurses 인터페이스 제공.
[해설작성자 : 한백고 개구리]

3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v
     2. -V
     3. -q
     4. --versio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문제 해설>
-v : 메세지를 자세히 보여준다
-V : 검증 시 사용하는 기본 옵션 (--verify)
-q : 질의 시에 꼭 사용해야 하는 옵션! 패키지를 찾으면 패키지 이름과 버전만 표시한다 (--query)
--version : rpm의 버전 보기 (패키지와는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알콩달콩]

37. 다음은 기존의 tar 파일에 추가로 파일을 묶는 과정이다. ( 괄호) 안에들어갈내용으로알맞은것은?

    

     1. cvf
     2. rvf
     3. tvf
     4. xvf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tar -cvf : -c = --create 파일 생성. -v = --vervose 현재 작업중인 파일 또는 디레고리 목록을 콘솔 화면에 출력. -f = file 파일명

tar -rvf : -r = 파일을 추가시키는 옵션

tar -tvf : -t = 아카이브를 풀지 않고 내용만 뭐가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싶을때 사용

tar -xvf : -x = 아카이브를 해제 즉 묶여있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시 푼다.
[해설작성자 : 1]

3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yum ㉡ yum
     2. ㉠ yum ㉡ aptitude
     3. ㉠ apt-get ㉡ yast
     4. ㉠ apt-get ㉡ yu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하는 방법
1. 소스파일 컴파일 설치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이외에도 tar, gcc, gcc-c++등
2. 패키지 파일 설치 : 소스파일을 미리 컴파일해서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게 설치파일로 만든것. 의존성 있는 프로그램 있으면 바로 설치 못하고 그거 먼저 찾아 깔아야됨
rpm(redhat), dpkg(devian), yaST(openSUSE)
3. 자동 설치 도구 : 저장소에서 패키지 파일 다운. 의존성 파일까지도 알아서 찾아서 받아준다
yum(redhat), apt-get(devain), zypper(openSUSE)
[해설작성자 : 홍해장]

39. 특정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확인하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l
     2. -l
     3. -L
     4. -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dpkg -l : 설치된 패키지 리스트
dpkg -L : 설치된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보기
[해설작성자 : 리눅스]

4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압축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

    

     1. xz
     2. gzip
     3. bzip2
     4. compress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xz 압축률이 좋긴좋으나
압축할때 번거로움이 있음. 압축 해제시 원본파일이 사라짐...
그래서 tar로 묶고 xz로 압축한다고합니다
그냥 참고하세용

[추가 해설]
압축효율
compress < gzip < bzip2 < xz 순으로 좋습니다.
효율 낮음 ------------효율 높음
[해설작성자 : 새콤달콤]

41. 다음 조건과 같을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vh
     2. -uvh
     3. -Uvh
     4. -Fvh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앗 -Uvh는 해당 패키지 업그레이드이고, -Fvh는 현재 설치된 패키지만 찾아서 업데이트하는 거네요. 4번 맞네요;;

42. rpm 명령의 결과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i
     2. -qd
     3. -ql
     4. -qa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명령어 rpm 옵션 -q는 패키지의 정보를 검색해줍니다.
옵션 i는 옵션 q와 같이 사용했을 때 자세한 정보를 출력해줍니다.(옵션 q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기본옵션인 설치를 합니다.)


-qa : 전체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qi :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ql : 패키지 내의 파일을 출력한다.
-qs : 패키지 안에 들어 있는 설정 파일을 보여준다.
-qap : 옵션 p는 패키지명으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해설작성자 : 꾸꾸 귀여워]

43. lp 명령어로 파일을 여러 장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d
     2. -p
     3. -#
     4. -n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lpr -# : BSD 계열 명령어로 인쇄할 매수 지정 옵션
lp -n : System V 계열 명령어로 인쇄할 매수 지정 옵션.
[해설작성자 : 이럴순없어요]

44. 다음 중 ALSA 사운드카드 장치를 초기화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lsactl reload
     2. alsactl init
     3. alsamixer reload
     4. alsamixer ini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lsactl : ALSA 사운드 카드를 제어
alsactl 명령어 : store - 사운드 카드 정보를 환경 설정 파일에 저장.
                 restore - 환경 파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다시 읽어드림.
                 init - 사운드카드 장치를 초기화

45. 다음 중 cancel 명령어로 프린트 작업을 취소할 때 알맞은 것은?
     1. 먼저 lpc 명령어로 프린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2. 먼저 lpstat 명령어로 큐의 요청ID를 확인해야 한다.
     3. lpr 명령어로 출력 결과를 자세하게 출력해야 한다.
     4. lp 명령어로 프린터 큐에 있는 모든 작업을 취소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System V 계열에서 쓰는 명령어는 lp, lpstat, cancel.
lpc, lpr는 BSD 계열에서 쓰는 명령어다. - 1,3 번 제외
남은 2,4번 중에서 lp는 프린터 작업 요청하는 명령어라서 보기의 내용과 맞지 않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되려나모르겠네]

46. 다음중 BSD계열프린터명령어로 알맞게 짝지은것은?
     1. lpr – lpq - lprm
     2. lpr – lpc - lpstat
     3. lp – lpc - lpstat
     4. lp – lpq - lpr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BSD - lpr(작업 요청), lpq(프린터 큐에 있는 작업 목록 출력), lprm(프린터 큐에 대기 중인 작업 삭제), lpc(라인 프린터 컨트롤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숭자링]

BSD계열 : lpr, plq, lprm, lpc
System V계열 : lp,lpstat, cancel

47. 다음 중 사운드 카드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ALSA
     2. OSS
     3. SANE
     4. OSS/fre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Scanner Access Now Easy
이미지 스캐너 및 카메라 하드웨어 (플랫 베드 스캐너, 핸드 헬드 스캐너, 비디오 및 스틸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 등)에 표준화된 액세스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다.
[해설작성자 : 뀨읫]

4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DAEMON ㉡ SMB
     2. ㉠ LPRng ㉡ CUPS
     3. ㉠ SANE ㉡ XSANE
     4. ㉠ ALSA ㉡ OS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번: 프로세스 관련
3번: 스캐너 관련
4번: 사운드 장치 관련
이므로 프린터와 관련된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헿]


2과목 : 리눅스 활용


49.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X.org
     2. XFree86
     3. Wayland
     4. Athena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답 3번 아닌가요?
xlib이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서버와 대화를 해주는 역활인데
이 xlib에 쓰레딩 기능을 지원하는게 XCB이며 최근에 이 XCB를 대체해주는게 x.org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큐큐]

Wayland는 기존 윈도우 매니저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했던 X11 프로토콜을 대체하는 프로토콜이다.
디스플레이 서버(Wayland compositor) 와, 클라이언트 간 통신하는 C 언어 기반의 프로토콜이다.
웨이랜드 컴포지터를 weston 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감]

50. 다음 중 GUI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에 해당하는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
     1. 데스크톱 환경
     2. X 프로토콜
     3. 디스플레이 매니저
     4. 디스플레이 서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데스크톱 환경(Desktop Environment, DE) : 그래피컬 컴퓨팅에서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
[해설작성자 : 홍해장]

51. 콘솔 모드에서 두 번째 X 윈도를 실행시키려고 한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startx
     2. XClients
     3. Xresources
     4. Xmodma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tartx : X윈도 실행시키는 스크립트
[해설작성자 : 홍해장]

52.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ImageMagicK
     2. eog
     3. GIMP
     4. Tote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ImageMagick - 비트맵 이미지 수정
eog - 이미지 뷰어
GIMP - 이미지 편집
Totem - 동영상플레이어
[해설작성자 : 한번 적어봄]

53. 다음 중 X 윈도 실행 시에 생성되는 관련 키 값의 저장 경로로 알맞은 것은?
     1. $HOME/xauthority
     2. $HOME/Xauthority
     3. $HOME/.xauthority
     4. $HOME/.Xauthority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54.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LibreOffice Writer
     2. LibreOffice Impress
     3. LibreOffice Calc
     4. LibreOffice Draw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그림 하단보면 그리기도구상자가 있는것으로보아 Draw 확률이 매우높음
1. 워드
2. 파워포인트
3. 스프레드시트(엑셀)
4. 드로잉
[해설작성자 : 보면알잖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ms오피스의 파워포인트 대체용인 임프레스입니다~
[해설작성자 : jin]

[추가 오류 신고]

답이 4번이 아니라 2번인 LibreOffice Impress입니다
[해설작성자 : 답은 2번이다]

[오류신고 반론]
젤 왼쪽 위에 아이콘마크를 보시면 Draw가 확실합니다.
[해설작성자 : Draw]

[추가 오류 신고]

파워 포인트 맞습니다 IMPRESS
[해설작성자 : 리눅스2급 합격]

[오류신고 반론]
https://www.slideshare.net/zam2best/
mosc-2016-libreoffice-mendeley
12번째 이미지 보시면 draw맞네요
[해설작성자 : 문제 그지같네]

55. 다음 중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eog
     2. Totem
     3. KMid
     4. Rhythmbox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eog : eye of gnome
[해설작성자 : 세컴고김주형]

56. 다음중 디스플레이매니저에대한 설명으로틀린것은?
     1. 런 레벨 3에서 부팅과 동시에 실행된다.
     2.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요청하고 유효한 값이 입력되면 세션을 시작한다.
     3. GNOME에서는 GDM을 사용한다.
     4. KDE에서는 KDM을 사용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그래픽 모드인 런레벨 5에서 부팅과 동시에 실행된다.
[해설작성자 : 알콩달콩]

57. 다음 중 CentOS 6 버전에서 X 윈도 기반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etconf
     2. netconfig
     3. system-config-network
     4. nm-connection-edito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명령어 nm-connection-editor dms system-config-network의 대안으로 centO.S버전과 red hat enterprise rinux6에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GUI 기반으로 네트워크 설정할때는 nm-connection-editor
CUI 기반으로 네트워크 설정할때는 system-config-network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행인]

58. 다음 중 OSI 7계층 모델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의 데이터 전송 단위로 알맞은 것은?
     1. bit
     2. frame
     3. packet
     4. segmen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계층(전송)=세그먼트
3계층(네트워크)=패킷
2계층(데이터링크)=프레임
1계층(물리)=비트
[해설작성자 : 63.75점]

물리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계층
bit  - frame - paket - segment

외울때 계층 순서랑 데이터 전송 단위의 첫글자 알파벳의 순서랑 해서 외우면 쉽습니다
알파벳 순으로 b-f-p-s 순서로 외우면 됩니다.

참고) 세션계층,표현계층,응용계층은 모두다 data 이고 세션계층만 data 외에 message도 사용한다고 외우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암기꿀팁 생각나서 적음]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ysconfig/network
     2. /etc/hosts
     3. /etc/host.conf
     4. /etc/resolv.conf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DNS 서버를 관리하는 파일은 /etc/resolv.conf 이다.
DNS 관련된 문제는 대부분 /etc/resolv.conf 를 떠올리자.
[해설작성자 : PokyCookie]

60. 다음 중 192.168.0.1/25가 의미하는 서브넷마스크값으로 알맞은 것은?
     1. 255.255.0.0
     2. 255.255.255.0
     3. 255.255.255.128
     4. 255.255.255.192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4 = 0
/25 = 128
/26 = 128+64 = 192
/27 ÷ 128+64+32 = 224
/28 = 128+64+32+16 = 240
[해설작성자 : 63.75점]

먼저 서브넷마스크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뒤에 /25를 봐야합니다. IP주소는 공간이 4개 있죠, (  .  .  .  )
공간 1개당 서브넷마스크는 8개가 들어갑니다. 그 8개는 = 128 64 32 16 8 4 2 1 이렇게 8개가 들어있습니다. 이제 문제를 보겠습니다.
/25를 시더값이라하겠습니다. 문제에는 시더값이 25개 있습니다. IP주소는 한 공간에 서브넷마스크가 8개가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근데 25개라는것은
8이 3개있고 1이 있다는것입니다. 그 뜻은 ( 8 . 8 . 8 . 1)이라는거죠 그래서 첫번째 공간에 있는 8은 서브넷마스크로 255입니다.
왜냐하면 128 64 32 16 8 4 2 1을 모두 더한것이기 때문이죠. 무조건 큰수부터 더해야합니다. 제일 큰수는 128이고 제일 작은수는 1이죠
만약 시더값이 7이면 1을빼고 모두 더해야하고, 시더값이 6이면 1과2를 빼고 모두 더해야합니다.
자 이제 다시 문제로 돌아갑니다. 시더값이 25니 ( 8.8.8.1) 즉(255.255.255.128)을 의미합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63.75점]

/25는 서브넷 마스크에서 1이 25개 있다는 소리 입니다. 콤마 앞에는 8비트 이므로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 255.255.255.128 입니다.
[해설작성자 : 그냥 숫자만 적으면 쉽게]

61. 다음 중 로컬 시스템에 사용 중인 네트워크 카드의 맥(MAC)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p
     2. ss
     3. route
     4. ar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MAC주소를 사용할때는 명령어 ip를 사용합니다.
# ip link show eth0

만약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낸다면 명령어 arp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꾸꾸는 나랑 결혼할 사이야?]

62. 다음 중 시스템간의 파일을 공유하는 서비스로 거리가 먼 것은?
     1. IRC
     2. NFS
     3. FTP
     4. SAMBA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IRC 인터넷을 사용하여 전세계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록 만들어진
채팅 프로그램이다
InternetRelay Chat의 약자로 인터넷 실시간 대화
[해설작성자 : 김천재]

63. 다음 중 원격지에 있는 시스템과의 프린터 공유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SSH
     2. NFS
     3. 텔넷
     4. SAMBA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SSH=암호화
NFS=서버간의 자원공유와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텔넷=원격접속
SAMBA=유닉스 시스템과 윈도우 시스템간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다음 중 텔넷 명령을 이용해서 로컬시스템의 웹 서버 동작을 확인할 때의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elnet localhost
     2. telnet -p 80 localhost
     3. telnet localhost:80
     4. telnet localhost 8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telnet [IP 또는 도메인] [포트]
[해설작성자 : 홍해장]

65.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32 ㉡ 64
     2. ㉠ 32 ㉡ 128
     3. ㉠ 64 ㉡ 128
     4. ㉠ 64 ㉡ 256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IPv4는 32비트고 IPv6는 128비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63.75점]

IPv4는 (8bit).(8bit).(8bit).(8bit)와 같이 8비트 숫자가 .(dot)으로 4번 연결된 주소 체계이다.
즉 8bit x 4 = 32bit 체계이다.

IPv6는 (16bit):(16bit):(16bit):(16bit):(16bit):(16bit):(16bit):(16bit)와 같이 16비트 숫자가 :(colon)으로 8번 연결된 주소 체계이다.
즉 16bit x 8 = 128bit 체계이다.
[해설작성자 : PokyCookie]

66. 다음 중 루프백(Loopback) 네트워크가 속해 있는 IPv4의 클래스로 알맞은 것은?
     1. A 클래스
     2. B 클래스
     3. C 클래스
     4. D 클래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 class=0~127.0.0.0, B=128~191.255.0.0, C=192~223.255.255.0
루프백주소가 127.0.0.1이기 때문에A class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신생아]

6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링형
     4. 망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문제가 발생한 지점이 노드라고 명시한 부분을 Point로 보셔야 됩니다.

-스타형은 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되지는 않습니다.
-링형은 하나의 경로로 구성되어있어 어느 노드든지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중단됩니다.

그림 그려보시면 이해 할 수 있을 듯
[해설작성자 : 내일 모레 시험]

68. 다음 중 'Sliding Window'와 관련 있는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순서지정
     2. 흐름제어
     3. 오류제어
     4. 연결제어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슬라이딩 윈도(Sliding window)는 두 개의 네트워크 호스트간의 패킷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변화가심한여우]

69. 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때 하나의 서브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62
     2. 64
     3. 126
     4. 128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subnetmask) 255.255.255.192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마지막 바이트의 상위 2bit가 서브넷팅의 기준이 된다. 2bit는 00,01,10,11 네가지로 표현됨으로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IP 주소의 전체범위는 0~255까지 "256"개이다.
그 범위를 4개의 서브넷으로 분할하면, 한 서브넷당 64개의 IP주소를 쓸 수 있다. (256/4=64)
즉, 0~63, 64~127, 128~191, 192~255 까지 이다.
그런데 서브넷마다 맨 처음과 맨 끝의 IP는 각각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라는 특수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1~62, 65~126, 129~190, 193~254까지 각 62개씩 할당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눴을 경우, 각 서브넷에 실제할당가능한 갯수는 62개가 된다.(64-2)  
[해설작성자 : 만델라]

255.255.255.192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입니다
마지막 자리에서 0이 6개죠? 그럼 2의 6승을 합니다
그럼 호스트 개수가 64개 나옵니다.
그럼 64개를 다 호스트로 쓸 수 있나? 아니죠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 캐스트 주소라는 2개의 IP는 호스트로 못쓰죠 .
따라서 64-2는 62개 입니다.

서브네트워크의 IP 개수 : 64개
서브네트트워크의 "사용가능한" IP 개수 " 62개 → 문제에서 묻고 있는 질문
[해설작성자 : 쉬우니까 어렵다고 생각말고 그냥 풀어봅시다.]

70.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fconfig
     2. ss
     3. route
     4. ar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route - 게이트웨이
ip, ifconfig - 내 MAC주소
arp - 같은 네트워크 내 상대방의 MAC주소
[해설작성자 : 아마두?]

ss-는 netstat명령어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명령어
netstat는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
+netstat랑 다른 점이 있다면 ss가 더 빨리 정보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고냥대 젓살괴물]

71. 다음 중 사용자가 메일 서버를 통해 메일을 보내는 것과 관련 있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POP3
     2. IMAP
     3. SMTP
     4. SNMP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OP3, IMAP 메일 수신용 (POP3는메일을받고 삭제)
SMTP 메일 송신용
SNMP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
[해설작성자 : 김천재]

72. 다음 중 리눅스와 리눅스 시스템간의 디렉터리 공유할 때 가장 효율적인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SSH
     2. NFS
     3. FTP
     4. SAMBA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리눅스 - 리눅스 간 디렉터리 공유: NFS
리눅스 - 윈도우 간 디렉터리 공유: SAMBA
[해설작성자 : PokyCookie]

7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domaintable
     2. /etc/access
     3. /etc/local-host-names
     4. /etc/hosts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etc/hosts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 매핑
[해설작성자 : 홍해장]

74. 다음 중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패킷 크기의 확장
     2. IP 주소 대역 구분인 클래스의 확장
     3. 헤더 구조의 단순화
     4. 흐름 제어 기능 지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IPV6의 특징
- IP주소의 확장
- 패킷크기의 확장
- 호스트주소 자동 설정
- 헤더 구조 단순화
- 흐름 제어 기능 지원
- 인증 및 보안기능
- 이동성
[해설작성자 : 막상 시험보면 하나도 기억 안날 것 같은데]

클래스는 ip에 따라서 정해지는 고정값이므로 ipv4->ipv6 변경된다 하더라도 클래스는 변경될수가 없음 클래스는 중복되는 값을 가질수 없음 따라서 정답은 IP 주소 대역 구분인 클래스의 확장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옥히 마스터님]

7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IP
     2. UDP
     3. ARP
     4. ICMP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P 송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
UDP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매우빠른 전송속도,  비연결 지향, 비신뢰성
ARP IP주소를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로 대응 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김천재]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송신 시스템에게 IP 전달에 대한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오류 보고 메시지와 질의 메시지로 구분
[해설작성자 : PokyCookie]

76.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ysconfig/network
     2. /etc/hosts
     3. /etc/host.conf
     4. /etc/resolv.conf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etc/hosts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 매핑
[해설작성자 : 홍해장]

7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라즈베리파이
     2. 안드로이드
     3. 아두이노
     4. 심비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두이노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라즈베리파이는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해설작성자 : 홍해장]

7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고가용성 클러스터
     2. 베어울프 클러스터
     3. 부하분산 클러스터
     4. 가상서버 클러스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컴퓨터 클러스터 기술의 일종이다. 베오울프 시스템은 오픈 소스 기반으로 리눅스 환경에서 쉽게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데 쓰인다. 클라이언트에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를 두지 않고 서버에만 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를 추가하고 제거하기 쉽다. 베오울프 시스템은 특정한 병렬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존의 MPI나 PVM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옥기 마스터님]

베어울프 클러스터 = 고계산용 클러스터
[해설작성자 : 홍해장]

고가용성 클러스터: 시스템이 다운되는걸 최대한 보완하려는 시스템. 은행시스템 등에 사용
베어울프 클러스터: 최대한의 파워를 사용하려는 시스템.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
부하분산 클러스터: 여러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려는 시스텀. 웹서버 등 사용자가 몰리는 시스템에 사용
[해설작성자 : PokyCookie]

79.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기술로 알맞은 것은?

    

     1. 클러스터
     2. 임베디드
     3. 클라우드 컴퓨팅
     4. 빅데이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80. 다음 중 리눅스 동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서버 분야에서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약세를 보이고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환경 등에서 중추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3. 최근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배포판들의 등장으로 데스크톱 분야 점유율이 가장 높아졌다.
     4. 리눅스 운영체제 특성상 슈퍼컴퓨팅 분야는 적합하지 않아 점유율은 좋지 않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서버 분야에서 강세
2. 답
3. 데스크톱 분야 점유율 1위는 Windows
4. 슈퍼컴퓨팅 분야인 고계산용 클러스터(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024]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 09월 08일(25042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0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16.07.02 267
2029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16.11.11 267
2028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226272) 좋은아빠되기 2016.11.12 267
2027 한국사능력검정 초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031443) 좋은아빠되기 2017.01.02 267
2026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17.03.20 267
2025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0.12.18 267
2024 정밀측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7월 20일(4회)(5235465) 좋은아빠되기 2022.04.25 267
2023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10월 28일(4187229) 좋은아빠되기 2022.05.29 267
2022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16.06.13 268
2021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16.07.16 268
2020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831463) 좋은아빠되기 2016.10.10 268
2019 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시험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094650) 좋은아빠되기 2016.11.12 268
2018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16.11.16 268
2017 수능(법과정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18.10.20 268
2016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1월 26일(1회)(1568933) 좋은아빠되기 2022.05.24 268
2015 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7월 18일(4회)(2338294) 좋은아빠되기 2022.08.13 268
2014 한국사능력검정 중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68282) 좋은아빠되기 2016.10.08 269
2013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345560)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69
2012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7월 31일(4회)(9096955) 좋은아빠되기 2022.04.19 269
2011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547376) 좋은아빠되기 2017.01.03 271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