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9월 05일(1392993)


1과목 : 식물병리학


1. 벼 흰잎마름병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은?
     1. 저온
     2. 건조
     3. 태풍에 의한 침수
     4. 질소 비료의 과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2. 잣나무 잎떨림병균의 월동 장소는?
     1. 땅위에 떨어진 병든 잎
     2. 토양 속
     3. 병든 가지
     4. 나뭇가지에 붙어 있는 병든 잎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3. 외부로부터 유해한 작용을 받았을 때 신속하게 치유하는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감수성(sensibility)
     2. 저항성(resistance)
     3. 보상성(compensation)
     4. 친화성(sffinit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4. 병원체가 침입할 수 있는 식물체의 자연개구가 아닌 것은?
     1. 기공
     2. 수공
     3. 피목
     4. 각피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5. 파이토플라스마병 진단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다인스 염색(Dienes stain)
     2. 다피 염색(DAPI)
     3. 항열청법
     4. 카보란덤(Carborundu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6. 식물병과 중간기주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소나무 혹병 – 졸참나무
     2.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 까치밥나무
     3. 맥류 줄기녹병 – 향나무
     4. 포플러 잎녹병 – 보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 향나무
맥류 줄기녹병 - 매자나무
포플러 잎녹병 - 낙엽송
[해설작성자 : 준우맘]

7. 식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핵산과 외피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2. 생체 내에서만 증식한다.
     3. 곤충 및 즙액접종에 의하여 전염된다.
     4. 인공배지에서 배양이 잘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8. 병해방제 비용이 작물수익의 증가분과 정확하게 일치할 때의 발병 수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제적 한계선
     2. 피해한계선
     3. 경제적 손실수준
     4. 수량 손실수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9. 고구마 검은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저장 직전에 실시하는 것은?
     1. 박피
     2. 건조
     3. 냉수온탕침법
     4. 큐어링(cur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10. 파종기를 늦춰어 이병성 품종의 병발생을 막았다면 이것은 무엇을 이용한 방제 방법인가?
     1. 저항상
     2. 회피
     3. 면역성
     4. 내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4%

11. 특정한 병원균의 레이스에만 저항성을 나타내며 환경요인에 대해 안정적인 저항성은?
     1. 수평저항상
     2. 비특이적저항성
     3. 포장저항성
     4. 수직저항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12. 포플러 모자이크병 진단을 위한 지표식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명아주
     2. 동부
     3. 상추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13. 사과 수심(water core) 현상의 원인은?
     1. 광선의 피해
     2. 고온의 피해
     3. 저온의 피해
     4. 서리의 피해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사과 수심병 (water core)- 고온으로 인하여 사과열매의 육질부가 수침상의 외관을 나티낸눈 병.
[해설작성자 : 박진형]

14. 병지의 은폐(masking)가 일어나는 병은?
     1. 식물 진균병
     2. 식물 세균병
     3. 식물 바이러스병
     4. 식물 파이토플라스마병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15. 식물병의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옥시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로 수간주입하여 치료한다.
     2. 뽕나무 오갈병의 방제를 위해 매미충류 구제(驅除)가 필요하다.
     3. 과수 뿌리혹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묘묙에 상처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4. 양배추 검은빛썩음병은 무병주에서의 채종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5%

16. 우리나라에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에 대하여 언급한 최초의 저서는?
     1. 임원경제지
     2. 농가집성
     3. 행포지
     4. 행포지농가월령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17. 병든 식물을 습실처리하여 병의 원인을 가장 쉽게 진단할 수 있는 것은?
     1. 곰팡이에 의한 병
     2. 생리장애에 의한 병
     3. 바이러스에 의한 병
     4.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3%

18. 병원균의 포자가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병은?
     1. 벼 잎집무늬마름병
     2. 벼 오갈병
     3. 벼 키다리병
     4. 벼 도열병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19. 종자전염성 병원균이 아닌 것은?
     1. 맥류 맥각병균
     2. 벼 도열병균
     3. 벼 키다리병균
     4. 오이 흰비단병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20.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TMV)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식물체의 세포 내에는 건전식물의 세포에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골지체
     2. protein
     3. 봉입체
     4. 액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은 주로 어떤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
     1. 도둑나방
     2. 미국흰불나방
     3. 잎말이나방
     4. 심식나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22. 곤충의 파악기(把握器)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파리목의 뒷날개가 변형된 것
     2. 암컷의 생식기 부속기관
     3. 숫컷이 교미시 암컷을 붙잡는 부속기구
     4. 일벌 암컷의 산란관이 독침으로 변황된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23. 오리나무잎벌레의 천적으로 가장 보호되어야 할 곤충은?
     1. 벼룩좀벌
     2. 침노린재
     3. 무당벌레
     4. 실잠자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24. 곤충의 24시간주기(circadian rhythms)와 가장 관계가 깊은 환경 요인은?
     1. 습도
     2. 온도
     3. 광주기
     4. 풍속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25. 수목에 비료를 시비할 때 진딧물류, 깍지벌레류와 같은 흡즙성 해충의 증식을 가장 촉진시키는 비료의 종류는?
     1. 질소질 비료
     2. 인산질 비료
     3. 칼륨질 비료
     4. 칼슘질 비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26.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 목(目)은?
     1. 노린재목
     2. 딱정벌레목
     3. 파리목
     4. 나비목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27. 기주이동을 하는 곤충은?
     1. 복숭아혹진딧물
     2. 배추좀나방
     3. 파밤나방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28.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충이 잎을 가해한다.
     2.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한다.
     3. 성충으로 월동한다.
     4. 1년에 4~5회 발생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29. 곤충이 분비하는 방어물질은 곤충 이종간(異種間)의 통신용 화합물이다. 잠재적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은?
     1. 알로몬(allomone)
     2. 봄비콜(bombykol)
     3. 페로몬(pheromone)
     4. 알라타(allata)체 호르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30.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곤충의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2. 혈액은 혈장과 혈구세포로 이루어진다.
     3. 심장에는 심문이 있다.
     4. 곤충은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31. 곤충 체내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는 곳은?
     1. 개방 혈관계
     2. 폐쇄 혈관계
     3. 혈구
     4. 기관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32. 단식성인 해충은?
     1. 배추좀나방
     2. 파밤나방
     3. 노랑쐐기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33.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천적으로는 중국긴꼬리좀벌과 노랑왕꼬리좀벌이 있다.
     3. 하나의 벌레혹(충영)에는 한 마리의 유충이 있다.
     4. 내충성 품종이 방제에 이용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34. 분류학상 곤충강(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가루깍지벌레
     2. 목화진딧물
     3. 점박이응애
     4. 독나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응애---거미(강)
[해설작성자 : 박진형]

35. 다음 중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약한 해충은?
     1. 애멸구
     2. 벼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36. 곤충의 소화기관 중 발생학적으로 외배엽성 기원이 아닌 부위는?
     1. 기관계
     2. 전장
     3. 중장
     4. 후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37. 곤충의 혈림프로 방출되는 탄수화물의 저장 형태는?
     1. 글리코겐
     2. 무코다당류
     3. 트레하로스
     4. 키틴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트레하로스 ; 두분자의 포도당이 알파,알파-1,1-글루코사이드와 결합한 비환원성 이당류.
             곤충의 경우 에너지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천공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소나무좀
     2. 어스렝이나방
     3. 왕소나무좀
     4. 박쥐나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39. 끝동매미충의 월동충태는?
     1.
     2. 2령 약충
     3. 4령 약충
     4. 성충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40. 목재섬유인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공생미생물은 흰개미의 몸 어느 부위에서 존재하는가?
     1.
     2. 전장
     3.
     4. 직장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3과목 : 농약학


41. 다음 중 카바메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는?
     1. 페노브카브(BPMC)유제
     2. 트라아조포스유제
     3. 펜토에이트유제
     4.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42. nereistoxin을 기초로 한 천연물 유도형의 살충제는?
     1. 칼탑입제
     2. 펜프로유제
     3. 벤즈수화제
     4. 파라핀오일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43. 수화제, 수용제 등의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전용노즐로 공기와 교반하여 가는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은?
     1. 분무법
     2. 미스트법
     3. 스프링클러법
     4. 폼스프레이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44. 응애약인 플로페녹수론 분산성액제의 검사항목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유효성분, 유화성
     2. 유효성분, 수중분산성
     3. 유효성분, 분말도
     4. 유효성분, 수용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45. 항생제인 가스가마이신 액제의 주된 살균 기작은?
     1. 멜라닌색소 합성 저해
     2. 단백질 합성 저해
     3. 콜린에스터라제(cholinesterase)효소 활성 저해
     4. 항균력 증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46. 비중 1.15인 비피단유제(50%) 100mL로 0.05% 살포액을 조제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몇 L 인가?
     1. 74.9
     2. 94.9
     3. 114.9
     4. 134.9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47. 식품 중에 잔류되는 유기인계 농약성분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중량법
     2. 적정법
     3. 칼로리메타법
     4.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48.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3. 광선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4. 인축에 대한 독성이 약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49. 살포된 분제가 식물체 표면에 잘 달라붙게 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안정성
     2. 분산성
     3. 비산성
     4. 부착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50. 제초제, 목재의 방부제, 낙엽촉진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제는?
     1. 카르복신제
     2. PCP제
     3. EBP제
     4. 트리아진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51. 우리나라 농약의 어독성은 어떻게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가?
     1. Ⅰ급, Ⅱ급
     2. Ⅰ급, Ⅱ급, Ⅲ급
     3. Ⅰ급, Ⅱ급, Ⅲ급, Ⅳ급
     4. 무독성, Ⅰ급, Ⅱ급, Ⅲ급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52. 토양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농약 사용 방법은?
     1. 침지법
     2. 살포법
     3. 훈증법
     4. 도포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53. 농약의 사용방법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
     2. 섞어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
     3. 동시사용으로 인한 약해
     4. 근접살포에 의한 약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54. 다음 중 Sulfonyl urea계 제초제는?
     1. 엠시피에이(MCPA)
     2. 피라조설퓨론에틸(pyrazosulfuron ethyl)
     3. 티오벤카브(thiobencarb)
     4.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55. 우리나라에서 농약 등록 시 안전성 평가항목으로서 일반 독성 평가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류 독성
     2. 만성 독성
     3. 변이원성
     4. 번식 독성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56. 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의 의미는?
     1. 완전치사량
     2. 30% 이상 살아남은 양
     3. 60% 치사량
     4. 중위치사량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57.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 시 급성경구(고체의 경우)의 고독성이라고 하면 반수치사량(mg/kg체중)이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
     1. 20미만
     2. 5이상 50미만
     3. 10이상 100미만
     4. 20이상 200미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58. 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되는 독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구독성
     2. 경피독성
     3. 만성독성
     4. 흡입독성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59. 다음 중 입체 제제 시 증량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벤토나이트
     2. 탈크
     3. 카올린
     4. 라그닌술폰산염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60. Dichlorvos(DDV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훈증제나 훈연제로서의 제형 개발이 가능하다.
     2. 인축에 대한 독성이 비교적 강하다.
     3. 잔효성이 길어 수확 직전의 농작물에는 맞지 않다.
     4. 유기인계 살충제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4과목 : 잡초방제학


61. 콩밭에 중경·배토하는 것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1. 잡초방제와는 상관이 없다.
     2. 잡초방제에 매우 유익하다.
     3. 잡초방제에 유익하지 못하다.
     4. 토양미생물 작용에만 도움이 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62. 일반적으로 잡초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철저히 방제를 하여야 할 작물의 생육 시기는?
     1. 생육초기
     2. 생육중기
     3. 생육후기
     4. 생육 중기부터 후기 사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63.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4-D는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2. 알라클로르(alachlor)유제는 일년생 잡초에 효과적이다.
     3. 리뉴론(linuron) 수화제는 일년생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4. 시마진(simazine)은 바랭이, 쇠비름에 효과적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64. 잡초의 이용면을 잘못 연결한 것은?
     1. 피 – 가축 사료
     2. 어저귀 – 가축 사료
     3. 도꼬마리 – 민간 약재
     4. 부레옥잠 – 수질 정화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65. 제초제에 따른 약효 반응과 가장 관련이 적은 증상은?
     1. 괴사(necrosis)
     2. 상편생장
     3. 황화
     4. 숙기억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66. 논 잡초의 군집의 초종별 건물중이 다음과 같을 때 피에 대한 중요값(impotance value)은?

    

     1. 15
     2. 20
     3. 25
     4. 3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67. 화학적 잡초방제법의 단점은?
     1. 제초효과가 낮다.
     2. 일정한 지역에 처리가 불가능하다.
     3.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든다.
     4.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낮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68. 논 제초제 사용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약해의 우려가 커지므로 제초제 살포를 피한다.
     2. 입제농약을 뿌릴 때는 논물을 약 3~4cm 담수하고 뿌리며 약 4~5일간 담수를 유지한다.
     3. 경엽처리제는 논물을 낙수하고 뿌려야 제초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4. 모래논이나 물빠짐이 심한 논은 제초제 사용량을 표준사용량 보다 약간 증가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69. 잡초종자가 발아하는데 관여하는 3대 환경요소가 아닌 것은?
     1.
     2. 온도
     3. 산소
     4. 토양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7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에는 돌피, 별꽃, 알방동사니가 있다.
     2. 경운과 같은 농경지의 교란이 증가하면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이 증가한다.
     3.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종은 대부분 종자에 의한 번식은 하지 않는다.
     4. 잡초의 휴면은 종자에서만 일어나므로 올방개나 벗풀의 괴경에는 휴면이 없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71.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1. 화본과 잡초, 광엽잡초, 사초과잡초
     2. 1년생잡초, 2년생잡초, 다년생잡초
     3. 수생잡초, 습생잡초, 건생잡초
     4. 지상식물, 반지중식물, 지중식물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72. 논의 잡초 발생과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육묘상자를 이용한 상자 육묘의 경우 물못자리보다 잡초 발생이 많다.
     2. 직파재배를 할 경우 이앙재배를 할 경우보다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가 다양해진다.
     3. 건답직파를 할 겨우 담수 직파에 비해 잡초 발생이 적다.
     4. 성묘 손이앙을 할 경우 어린모 기계이앙을 할 경우보다 잡초 발생이 많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73. 잡초 종자가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기 위한 전파 기능 중 종실에 가시나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어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초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민들레, 쇠비름
     2. 까마중, 가는털비름
     3. 소리쟁이, 좀명아주
     4. 도깨비바늘, 도꼬마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2%

74.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 요인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은?
     1.
     2. 양분
     3. 수분
     4. CO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75. 논에서 발생하는 우점 다년생 잡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래
     2. 올미
     3. 메꽃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메꽃 = 밭에서 발생하는 다년생광엽잡초
[해설작성자 : 설악단]

76. 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1. 강피
     2. 물달개비
     3. 올방개
     4. 벗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77. 혼합제초제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살초폭을 넓힌다.
     2. 길항적 효과가 있다.
     3. 상승적 효과가 있다.
     4. 상가적 효과가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78. 여름작물(콩, 옥수수, 감자, 참깨) 포장에서 발생이 가장 많은 우점 잡초는?
     1. 바랭이
     2. 뚝새풀
     3. 별꽃
     4. 냉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79. C3 작물과 C4 잡초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벼 – 강피
     2. 콩 – 털비름
     3. 감자 – 엉겅퀴
     4. 보리 – 쇠비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80. 국내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은 주로 어떤 계통에 대한 저항성 잡초들인가?
     1. 설포닐우레아계
     2. 유기인계
     3. 카바메이트계
     4. 디페닐에테르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 09월 05일(139299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30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7
2229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96
2228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5월 25일(5455804) 좋은아빠되기 2022.04.25 286
2227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3월 10일(2379042) 좋은아빠되기 2022.05.20 259
2226 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8월 26일(7282880) 좋은아빠되기 2022.07.11 366
2225 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8 26
2224 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3642238) 좋은아빠되기 2023.04.02 43
2223 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592437) 좋은아빠되기 2017.06.24 2164
2222 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18.06.29 1700
2221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4월 06일(2회)(8170452) 좋은아빠되기 2022.04.06 14
2220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4월 08일(2회)(408468) 좋은아빠되기 2022.07.11 189
2219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7 52
2218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24
2217 식육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2 31
2216 식육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9월 21일(4898046) 좋은아빠되기 2023.04.02 19
2215 식육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9월 21일(3827455)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23
»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9월 05일(1392993) 좋은아빠되기 2022.05.25 24
2213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6572723) 좋은아빠되기 2022.04.06 49
2212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18.06.30 937
2211 시설원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3월 06일(5512648) 좋은아빠되기 2022.10.07 35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