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10월 11일(5회)(809593)


1과목 : 승강기개론


1. 기계실에 설치할 설비가 아닌 것은?
     1. 완충기
     2. 권상기
     3. 조속기
     4. 제어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완충기 :하부 파이널리미트 스위치를 지나쳐서 피트에 충돌할 때에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대홍]

기계실 : 제어반 전동기 권상기 조속기 로프브레이크
승강로 : 상부파이널리미트스위치 가이드레일 균형추 승강장인터록
피트 : 완충기 조속기인장도르래 인장추 하부파이널리미트스위치
카 : 비상정지장치 문닫힘안전장치 도어개폐장치
[해설작성자 : 동천안희망직훈]

2.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PAM
     2. VVVF
     3. 인버터
     4. MG세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3. 엘리베이터가 최종단층을 통과하였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며 상승, 하강 양방향 모두 운행이 불가능하게 하는 안전장치는?
     1. 슬로다운 스위치
     2. 파킹 스위치
     3. 피트 정지스위치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파이널 리밋 스위치: 리밋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최상층 또느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ㅡ3ㅡ]

최종단층이니까 최종 생각해서 파이널
이렇게 외우면 잘외워지더라구요..ㅎㅎ
[해설작성자 : 존잘 치호]

4.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 경사도는 몇 도(°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1. 25°
     2. 30°
     3. 35°
     4. 4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 30
수평보조기 12
[해설작성자 : 광주전자공고]

5.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정격하중이 300 ㎏ 이하이고 정격속도가 1㎧ 인 승강기는?
     1. 덤웨이터
     2. 비상용 엘리베이터
     3. 승객·화물용 엘리베이터
     4. 수직형 휠체어리프트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사람이 탑승 할 수 없고 적재용량이 300kg이하 인거는 덤웨이터(소형화물 엘레베이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율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트러스와 빔에 대해서는 5 이상
     2. 트러스와 빔에 대해서는 10 이상
     3. 체인류에 대해서는 6 이상
     4. 체인류에 대해서는 8 이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관련 규정이 변경된 것에 맞춘 해설)
트러스 및 빔:5 이상
디딤판 체인 및 구동체인: 5이상
벨트식 디딤판 및 연결부재:5이상
[해설작성자 : 좀만 더 참아요]

7. 고속의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조속기(Governor)는?
     1. 롤 세프티형
     2. 디스크형
     3. 플랙시블형
     4. 플라이 볼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플라이 볼형은 고속의 엘리베이터에 많이 이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태연]

디스크 중속이고 롤세이프티가 저속입니다

8.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암이나 로프 등을 구동시켜 승강기 문을 개폐시키는 장치는?
     1. 도어 인터록
     2. 도어 머신
     3. 도어 스위치
     4. 도어 클로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도어 머신은 도어 개폐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ROMA]

9. 에스컬레이터 또는 수평보행기에 모두 설치해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제동기
     2. 스커트가드 안전장치
     3. 디딤판체인 안전장치
     4. 구동체인 안전장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본 문제는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2번으로 정답이 변경되었습니다.
참고하기 바랍니다.

스커트가드는 에스컬레이터 내측판의 스텝에 인접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수평보행기의  경우 스커트가드 안전장치가 불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asdf]

10. 권상기 도르래 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계수의 크기는 U홈<언더커트 홈<V홈 순이다.
     2. U홈은 로프와의 면압이 작으므로 로프의 수명은 길어진다.
     3. 언더커트 홈의 중심각이 작으면 트랙션 능력이 크다.
     4. 언더커트 홈은 U홈과 V홈의 중간적 특성을 갖는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언더커드 홈의 중심각이 크면 트랙션 능력이 컵집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11. 화재 시 소화 및 구조활동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는?
     1. 덤웨이터
     2. 비상용 엘리베이터
     3. 전망용 엘리베이터
     4. 승객·화물용 엘리베이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긴급 상황 시 사용하는 엘리베이터는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따로 설치 되어있다
[해설작성자 : 기모떼]

12. 승강장문의 유효 출입구 폭은 키 출입구의 폭 이상으로 하되, 양쪽 측면 모두 카 출입구 측면의 폭보다 몇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측면은 5cm이상 초과하면 안됩니다.

13. 유압회로의 구성요소 중 역류 제지 밸브(check val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압력맥동이 적고 소음과 진동이 적은 스크류 펌프가 많이 사용된다.
     2. 회로의 압력이 상용압력의 125% 이상 높아지면 바이패스 회로를 열어 압력상승을 방지한다.
     3. 탱크로 되돌려지는 유량을 제어하여 플런저의 상승속도를 간접적으로 처리하는 밸브이다.
     4. 한쪽 방향으로만 기름이 흐르도록 하는 밸브로서 기름이 역류하여 키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체크밸브 :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
[해설작성자 : 이광철]

14. 로프식(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카에 여러 개의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경우의 비상정지장치는?
     1. 평시 작동형
     2. 즉시 작동형
     3. 점차 작동형
     4. 순간 작동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여러 개의 비상정지장치가 설치 된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가 여러 개 이니까 한번에 정지를 시키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정지시킵니다.
그러므로 점차 작동형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15. FGC(Flexible Guide Clamp)형 비상정지장치의 장점은?
     1. 베어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촉이 확실하다.
     2.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용이하다.
     3. 레일을 죄는 힘이 초기에는 약하나, 하강함에 따라 강해진다.
     4. 평균 감속도를 0.5g으로 제한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레일을 죄는 힘이 동작에서 정지까지 일정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쉬워 널리 사용되고 있음.
[해설작성자 : 이광철]


2과목 : 안전관리


16. 승강로의 점검문과 비상문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이용자의 안전과 유지보수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2. 비상문은 폭 0.35m 이상, 높이 1.8m 이상이어야 한다.
     3. 점검문 및 비상문은 승강로 내부로 열려야 한다.
     4. 트랩방식의 점검문일 경우는 폭 0.5m 이하, 높이 0.5m 이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점검문 및 비상문은 안전율 고려하여 승강로 외부로 열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광철]

비상구출문의 크기는 0.35m x 1.8m 에서 0.4m x 1.8m 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 떡갈나무]

17. 정전 시 카내 예비조명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조도는 2[lx]이상이어야 한다.
     2. 조도는 램프중심부에서 2m 지점의 수직면상의 조도이다.
     3. 정전 후 60초 이내에 점등되어야 한다.
     4.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행정안전부, 승강기 검사기준 전면 개정.
(행정안전부 고시 제2012-14호, 2013. 9. 15부터 적용)
※ 전기식 엘리베이터 검사기준 8.17.4항.
정상 조명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2Lx(록스) 이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자동 재충전 예비전원 공급장치가 있어야 한다

개정후 검사 기준 : 2Lx(룩스), 1시간 지속
개정전 검사 기준 : 1Lx(룩스), 30분 지속

오류 신고와 오류가 아니라는 신고가 하도 많아서.. 관리자가 직접 찾아 봤습니다.

정답은 3번인것 같습니다.

혹시 규정이 개정되었다면 개정된 규정을 첨부하여 시행날짜를 포함하여 오류 신고 부탁 드립니다.

[추가 해설]
정상조명전원이 차단될경우 즉시2lx이상의조도로 1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될수있는 자동 재충전 예비전원 공급장치가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박재형]

[추가 오류 신고]
정전시 바로 점등되어야하고 2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되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공학부]

[추가 오류 신고]
2시간동안 아닙니까? 왜  3번이 답이죠?
[해설작성자 : 승강기 필기  2수중..]

[추가 오류 신고]
2시간 동안 유지 인 경우는 비상용 엘리베이터 아닌가요? 비상용 엘리베이터 정전시 60초 이내에 작동해야 하고 2시간 동안 유지 되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그것이알고싶다]

[오류신고 반론]
8.17.4 정상 조명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2 lx 이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자동 재충전 예비전원공급장치가 있어야 하며, 이 조명은 정상 조명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즉시 점등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예비조명장치) 2lux, 1시간 ↑
비상용엘베) 60m/min ↑, 60초내에 작동하며 2시간↑ 기동
[해설작성자 : 데헷]

[추가 오류 신고]
아 잠만요 1m 떨어진 수직면상 5lux 이상 1시간 이상 유지 인듯요??

비상등)
정전시에 승강기 내부에서 5 lux 이상(1시간 동안)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예비조명장치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해설작성자 : 데헷]

18. 엘리베이터의 문 닫힘 안전장치 중에서 카 도어의 끝단에 설치하여 이물체가 접촉되면 도어의 닫힘이 중지되는 안전장치는?
     1. 광전장치
     2. 초음파장치
     3. 세이프티 슈
     4. 가이드 슈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세이프티 슈는 카 도어에 달려있는 고무부분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화공고 전기과]

19. 재해 발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
     1. 열량의 과잉 억제
     2. 설비의 배치 착오
     3. 과부하
     4. 작업자의 작업행동 부주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20. 감전에 영향을 주는 1차적 감전 요소가 아닌 것은?
     1. 통전시간
     2. 통전전류의 크기
     3. 인체의 조건
     4. 전원의 종류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체의 조건은 2차적 감전 요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기린]

21. 승강기의 안전점검시 체크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각종 안전장치가 유효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2. 정격용량을 초과한 과부하의 적재 여부
     3. 소비 전력량의 정도
     4. 승강기 운전 및 사용법 숙지 여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소비 전력량의 정도는 안전점검시 필요한 종목이 아닙니다.
소비 전력량은 엘리베이터를 얼마나 오래, 많이 썼냐의 문제이기 때문이죠.
소비 전력량은 전기세 부과할 때나 사용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22. 엘리베이터의 소유자나 안전(운행)관리자에 대한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1. 엘리베이터에 관한 일반지식
     2. 엘리베이터에 관한 법령 등의 지식
     3.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취급에 관한 지식
     4. 엘리베이터의 구입 및 가격에 관한 지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구입 및 가격지식은 당연히 안전에 관련이없겠죠?
[해설작성자 : 석화고 주도]

23. 사고원인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인적 원인 : 불안전한 행동
     2. 물적 원인 : 불안전한 상태
     3. 교육적인 원인 : 안전지식 부족
     4. 간접 원인 : 고의에 의한 사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의에 의한 사고는 직접적 원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화공고 전기과 ㅅㅌㅎ]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인적 원인 :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를 말하고, 물적 원인 : 불량한 기계설비와 불안전한 환경을 뜻하는 것으로 2번도 잘못된 내용이라고 봅니다. 일진사 책에 해설이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snj]

24. 다음 중 전기재해에 해당되는 것은?
     1. 동상
     2. 협착
     3. 전도
     4. 감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전기재해는 대표적인게 감전이죠!
[해설작성자 : 와꾸대장 이준호]

동상 : 추위 때문에 살갗이 얼어서 조직이 상하는 일
협착 : 끼임
전도 : 사람이 동일 평면상으로 넘어져 다치는 경우
감전 : 전기 접촉이나 방전에 의해 사람이 충격을 받은 경우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5. 승강기 보수의 자체점검 시 취해야 할 안전조치 사항이 아닌 것은?
     1. 보수작업 소요시간 표시
     2. 보수 계약 기간 표시
     3. 보수 중 이라는 사용금지 표시
     4. 작업자명과 연락처의 전화번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보수 계약 기간은 표시할 필요가 없다.

26. 작업시 이상 상태를 발견한 경우 처리절차가 옳은 것은?
     1. 작업중단 → 관리자에 통보 → 이상상태 제거 → 재발방지대책수립
     2. 관리자에 통보 → 작업중단 → 이상상태 제거 → 재발방지대책수립
     3. 작업중단 → 이상상태 제거 → 관리자에 통보 → 재발방지대책수립
     4. 관리자에 통보 → 이상상태 제거 → 작업중단 → 재발방지대책수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27. 기계실에 승강기를 보수하거나 검사시의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전기장치를 검사할 경우는 모든 전원스위치를 ON 시키고 검사한다.
     2. 규정복장을 착용하고 소매끝이 회전물체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3. 가동부분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4. 브레이크 라이너를 점검할 경우는 전원스위치를 OFF시킨 상태에서 점검하도록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기장치 검사중 전원을 올리는 행동은 감전사고를 유발합니다
[해설작성자 : 빛과그림자조강현]

28. 기계설비의 위험방지를 위해 보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점검을 해야 한다.
     2. 고가의 부품인 경우는 고장발생 직후에 교환한다.
     3. 가동율을 높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4. 보전용 통로나 작업장의 안전 확보는 필요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2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현수로프 안전율은 몇 이상이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8
     2. 9
     3. 11
     4. 1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주로프 12
조속기 8
균형로프,균형체인 5
[해설작성자 : 조커]

[2020년 개정]

조속기 로프 8
가요성호스 8
[해설작성자 : 씅깡끼]

2본 - 16
3본 - 12
체인 - 10 이상
[해설작성자 : 데헷]

30. 카 상부에 탑승하여 작업할 때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전스위치를 차단한다.
     2. 카 상부에 탑승하기 전 작업등을 점등한다.
     3. 탑승 후에는 외부 문부터 닫는다.
     4. 자동스위치를 점검 쪽으로 전환한 후 작업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스톱 스위치를 차단하고 승강장측 신호계통을 분리시킨다
[해설작성자 : kbs]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3번 탑승 후에는 외부 문부터 닫는다.
문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3번, 탑승 후에는 외부 문은 열려 있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문제 풀며 지나가는 나그네]

[오류 신고 반론]
작업할때지켜야할사항임으로 카상부 탑승전 작업등을점등하고 자동스위치를 점검으로하고 카에 탑승후 외부문을 닫고 작업을해야합니다 외부문을 열고 작업하다가 어린아이들이 들어오면 위험하죠~~
[해설작성자 : 돈 벌자]

[오류신고 반론]
상부에 탑승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탑승 후에는 외부 문을 닫아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꾸악꾸악]

[추가 오류 신고]

외부문부터닫는게아니라 이스탑을누르고 수동을해야지요 그리고 조명도켜야하구요 외부문이 1순위인거처럼말하는 문제에 오류가있네요

[추가 오류 신고]

카 상부탈때 상부 탑승 후 수동으로 놓지않고 문을 닫을 경우 승강기가 정상 운행이 됨 현장에서 카 상부탈때 수동전환 하기전에 절대로 문을 닫는 경우는 한번도 없음
이런 문제를 실제로 내면 바로 클레임 들어갈꺼임
[해설작성자 : 엘리베이터 설치]

[오류신고 반론]
애초에 안전점검을 안하고서는 카 상부에 타면은 안돼요 ㅎㅎ 님들 그리고 전과 후를 구분해서 보면 문제가 맞는데 머가 틀리다는건지 ㅎㅎ
[해설작성자 : 승강기 대마왕]



3과목 : 승강기보수


31.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권상기의 도르래 교체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도르래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2. 제조사가 권장하는 크리프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3. 도르래 홈의 마모로 인해 슬립이 발생한 경우
     4. 도르래 홈에 로프자국이 심한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니 교체를 안해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kel]

32.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설치되지 않는 것은?
     1. 균형추
     2. 완충기
     3. 이동 케이블
     4. 조속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4번에서 2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아래는 대표 오류신고 내용입니다.

[대표 오류 신고 내용]

조속기 = 기계실
완충기 = 피트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기공석진환]

[추가 오류 신고]

승강로 내에 피트도 있으니 답이 4번 조속기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리버풀]

[오류신고 반론]
기계실이 있는 경우에는 조속기를 기계실에 설치하는게
맞습니다. 문제에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  라고
했으니깐 조속기는 승강로가아닌 기계실에 있는거라고
봐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엘베 유지보수 현직자]

[추가 오류 신고]

굳~~이 따지자면 다 승강로안에 있는 물건들임 피트가 따로 있는게 아니라 승강로 내에서 제일 하부를 피트라고 부름 완충기도 굳이 따지면 승강로 내에 있는거임 조속기가 기계실에 있다 하지만 조속기 로프나 조속기 무게추도 승강로 내에 있어서 상당히 애매한 문제임
승강로와 피트를 따로 구분하고 싶다면 가이드레일의 위치도 애매해짐
[해설작성자 : 엘리베이터 설치]

[추가 오류 신고]
승강로 내에는 완충기가 있습니다.
조속기에 경우 기계실에 위치해 있고 조속기 로프가 승강로에 위치해 있는데 조속기 로프는 한 부분에 지나지 않고, 조속시에 주 기능 부분은 기계실에 있기 때문에 승강로에 있다고 보면 않됩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의 위치가 왜 애매해집니까? 걔네는 애처에 설치된 곳이 승강로입니다.
또한 대광서림 출판에 승강기 기능사 2020에는 완충기가 승강로에 조속기가 기계실에 있다 되어있으므로 4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초보자]

[오류신고 반론]
승강로와 피트를 따로 구별해선 안된다고 봅니다 따로 구분이 되어있는게 아니라 승강로의 밑부분을 피트라고 부를 뿐입니다
말이죠. 애초에 공간을 나눠서 확실하게 나눈것도 아니고요
게다가
기계실이있는 엘리베이터인데 그냥 무시하고 피트에 조속기를 설치하면 굳이 기계실에 조속기를 설치하는 이유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Pals]

33. 시험전압(직류) 250V 전기설비의 절연저항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15
     2. 0.25
     3. 0.5
     4. 1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연저항
0~150   0.1M옴
150~300 0.2M옴
300~400 0.3M옴
400~    0.4M옴
[해설작성자 : 소소한행복을즐기는남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50V = 0.5
500V = 1.0
1000V = 1.0

이렇게 바뀌지 않았나요?
[해설작성자 : 말하는 떡갈나무]

[추가 오류 신고]
법 개정으로 0.5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개정전 문제임 개정후0.5가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카와 균형추에 대한 로프거는 방법으로 2:1 로핑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로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2. 속도를 줄이거나 적재하중을 증가하기 위하여
     3. 로프를 교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4. 무부하로 운전할 때를 대비하기 위하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대1, 3대1 뒤로 갈수록 적재중량이 무거워지고 속도는 느려짐
그만큼 로프의 수명이 짥아짐.
[해설작성자 : 조커]

1:1 로핑에 비해
2:1, 3:1, 4:1 등의 로핑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1. 로프의 수명이 짧다.
2. 로프의 길이가 매우 길어진다.
3. 종합적인 효율이 저하된다.

( 1:1을 제외한 로핑은 대용량 저속 화물 엘리베이터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35.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핸드레일은 디딤판과 속도가 일치해야 하며 역방향으로 승각하여야 한다.
     2. 정상운행 동안 핸드레일이 핸드레일 가이드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3. 핸드레일 인입구에 적절한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4. 핸드레일 인입구에 이물질 및 어린이의 손이 끼이지 않도록 안전스위치가 있어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핸드레일은 디딤판과 속도가 동일해야하며 공칭속도는 -0~+2%로 정방향으로 운행되어야한다
역방향(X)
[해설작성자 : 오류동아귀찜]

36. 카 내에서 행하는 검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카 시브의 안전상태
     2. 카 내의 조명상태
     3. 비상 통화장치
     4. 운전반 버튼의 동작상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카 시브의 안전상태는 카 상부에서 한다
[해설작성자 : ROMA]

37. 피트 바닥과 카의 가장 낮은 부품 사이의 수직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0
     2. 1.5
     3. 0.5
     4. 1.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피'트 바닥과 '카'의 가장 '낮'은 '부'품 사이의 수직거리: 0.5m (피카낮부)
'피'트에 '고'정된 가장 '높'은 '부'품과 카의 가장 낮은 부품 사이의 거리는: 0.3m (피고높부)
[해설작성자 : 말하는 떡갈나무]

38. 롤 세프티형 조속기의 점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지점부의 부착상태, 급유상태 및 조정 스프링에 약화 등이 없는지 확인한다.
     2. 조속기 스위치를 끊어 놓고 안전회로가 차단됨을 확인한다.
     3. 카 위에 타고 점검운전을 하면서 조속기 로프의 마모 및 파단상태를 확인하지만, 로프 텐션의 상태는 확인할 필요가 없다.
     4. 시브 홈의 마모상태를 확인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카 위에 타고 점검운전으로 승강로 안을 1회 왕복해 조속기 로프에 발청(녹 발생), 마모, 파단 등이 없는지 확인한다.
또 조속기 텐션의 상태도 확인한다
[해설작성자 : 안산공고 전가과 1-2황예준]

39. 유압 엘리베이터의 전동기는?
     1. 상승시에만 구동된다.
     2. 하강시에만 구동된다.
     3. 상승시와 하강시 모두 구동된다.
     4. 부하의 조선에 따라 상승시 또는 하강시에 구동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상승 시에는 유체가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동기가 작동되어야하고 하강시에는 유체가 빠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동기가 구동 될 필요가없다.
[해설작성자 : 전유리]

40. 플라이 볼형 조속기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플라이 웨이트
     2. 로프캐치
     3. 플라이 볼
     4. 베벨기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플라이 볼형 조속기
: 도르래의 회전을 베벨기어에 의해 수직축의 회전으로 변환하고, 이축의 상부에서부터 링크기구에 의해 매달린 구형의 진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작동하는 조속기이다. 구조가 복잡하지만 검출 정밀도가 높으므로 고속엘리베이터에 많이 사용된다.

구성요소 : 플라이 볼, 베벨기어, 로프캣치, 조정용스프링, 시브, 조속기로프 등등
[해설작성자 : 장성준]

41. 승강기용 제어반에 사용되는 릴레이의 교체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릴레이 집점표면에 부식이 심한 경우
     2. 릴레이 접점이 마모, 전이 및 열화된 경우
     3. 채터링이 발생된 경우
     4. 리미트 스위치 레버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레버가 손상되어도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계란이]

42. 일종의 압력조정 밸브로 회로의 압력이 상용압력의 125% 이상 높아지게 되면 바이패스 회로를 여는 밸브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사이렌서
     2. 스톱 밸브
     3. 안전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25%에서 140%로 개정되었습니다.

[추가 해설]
제 교제 최신꺼입니다. 제교제에는 릴리프밸브(안전밸브)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미리 설정된값 140%이하로 압력을 제한하는 밸브라고되어있네요.
[해설작성자 : 예비합격자]

43.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승강장에서 디딤판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2. 사람이나 물건이 핸드레일 인입구에 꼈을 때 디딤판의 승강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3. 상하 승강장에서 디딤판과 콤플레이트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4. 디딤판체인이 절단 되었을 때 디담판의 승강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는 수동이아닌 자동으로 정지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낸시랭ㄱ년]

44. 와이어로프 클립(wire rope clip)의 체결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교제와 동영상강의에서봤을때는 짪은쪽에 U볼트가있고 긴쪽에 클립이 있게끔 되어있어야 한다고 알고있는데 정답에는 2번이라고되어있는데 정정해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오류 신고 반론입니다.
현 승강기 유지,보수업체 직원입니다.
정답 2번 맞습니다.

45.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에서 주회로에 유량제어밸브를 삽입하여 유량을 직접 제어하는 회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미터오프 회로
     2. 미터인 회로
     3. 블리디오프 회로
     4. 블리디인 회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미터인/블리드 오프 회로가 있는데
미터인:직접제어, 속도제어가능, 효율이 낮음
블리드 오프:by pass로 유량제어, 속도제어불가능, 효율이 높음
[해설작성자 : 장승베기뚝빼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내용이 잘못되엇네요
블리드 오프는 유량을 제어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계의 신 이광희.]


4과목 : 기계,전기기초이론


46. 에스컬레이터 구동기의 공칭속도는 몇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1. ±1
     2. ±3
     3. ±5
     4. ±8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칭속도는 공칭 주파수 및 공칭 전압에서 ± 5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한국승강기보수협회 법령정보-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전기 마스터]

47. 전기력선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양전하에서 시작하여 음전하에서 끝난다.
     2. 전기력선의 접선방향이 전장의 방향이다.
     3. 전기력선은 등전위면과 직교한다.
     4. 두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인강]

48. 전류 I[A]와 전하 Q[C] 및 시간 t[초]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Q= IT   I=V/Q  T=Q/I
[해설작성자 : 강릉폴리택 전기쟁이]

49. 크레인, 엘리베이터, 공작기계, 공기압축기 등의 운전에 가장 적합한 전동기는?
     1. 직권전동기
     2. 분권전동기
     3. 차등복권전동기
     4. 가동복권전동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50. 끝이 고정된 와이어로프 한쪽을 당길 때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은?
     1. 인장하중
     2. 압축하중
     3. 반복하중
     4. 충격하중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수평으로 당길때 인장하중
수직으로 누를때 압축하중
[해설작성자 : 조커]

51. 응력을 옳게 표현한 것은?
     1. 단위길이에 대한 늘어남
     2. 단위체적에 대한 질량
     3. 단위면적에 대한 변형률
     4. 단위면적에 대한 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52. 그림과 같은 시퀀스도와 같은 논리회로의 기호는?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릴레이 A접점과 B릴레이 A접점 중 하나라도 떨어지게(0, 0),(1, 0),(0, 1)되면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습니다.(출력 : 0)
따라서 A, B둘다 A접점이 붙어서 입력이(1, 1) 되어야 합니다.(출력 : 1)
[해설작성자 : 청주공고 전기과]

53. 다음과 같은 그림기호는?

    

     1. 플로트레스 스위치
     2. 리미트 스위치
     3. 텀블러 스위치
     4. 누름버튼 스위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54. 기어, 풀리, 플라이휘일을 고정시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는?
     1.
     2. 와셔
     3. 베어링
     4. 클러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책에선 1번 기어 가정답으로 나와있는데 1번이 키로되있네요

[관리자입니다. 문제지 사진 원본 확인결과 1번 보기는 이상 없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키의 종류
성크키, 펑키,새들키, 둥근키, 각키, 특수키

답:1 키
교재:엔플북스
[해설작성자 : 매니아 ㅎ]

55. 포와송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로변형률을 가로변형률로 나눈 값이다.
     2. 가로변형률을 세로변형률로 나눈 값이다.
     3. 세로변형률과 가로변형률을 곱한 값이다.
     4. 세로변형률과 가로변형률을 더한 값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와송비: 봉 재료가 축 방향의 인장 하중을 받았을 때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줄어드는 직경과의 비율
따라서 가로 변형률을 세로 변형률로 나눈 값이다.
[해설작성자 : 수원하이텍고]

56. 다음 중 직류전압의 측정범위를 확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계기는?
     1. 변압기
     2. 배율기
     3. 분류기
     4. 변류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배율기 : 측정범위를 넓히고자 직렬로 접속
분류기 : 측정범위를 넓히고자 병렬로 접속
[해설작성자 : ROMA]

분류기는 전류의 측정범위를 넒히는 것이고
배율기는 전압의 측정범위를 넓히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예휴]

57. 자기인덕턴스 L[H]의 코일에 전류 I[A]를 흘렸을 때 여기에 축적되는 에너지 W [J]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W = L I2
     2. W = 1/2 L I2
     3. W = L2 I
     4. W = 1/2 L2 I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자기인덕턴스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1/2LI^2이다.
[해설작성자 : 전기짱짱맨]

58. 다음 중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1. 두선의 접속변환
     2. 기상보상기 이용
     3. 전원의 주파수변환
     4. 전원의 극수변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은 3선중 2선의 접속을 변환시키면 된다
[해설작성자 : 부산전자공고 전병칠 ]

59. 자극수 4. 전기자 도체수 400, 각 자극의 유효자속수 0.01㏝, 회전수 600rpm인 직류발전기가 있다. 전기자권수가 파권인 경우 유기기전력(V)은?
     1. 40
     2. 70
     3. 80
     4. 10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Z×자속수파이×N)/(60×a(파권일때a는무조건2))
[해설작성자 : 중랑학원P모님]

파권일 경우 2이고 피자파이/60a라고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하중의 시간변화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충격하중
     2. 반복하중
     3. 전단하중
     4. 교번하중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작용속도 (시간)에 따른 분류
1. 정하중
2. 동하중 ( 반복, 교번, 충격, 이동, 임의 진동 )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 10월 11일(5회)(80959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10월 11일(5회)(809593) 좋은아빠되기 2022.05.28 361
2189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1월 27일(1회)(6816644) 좋은아빠되기 2022.04.19 316
2188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1월 27일(1회)(6593891) 좋은아빠되기 2022.05.24 173
2187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328256) 좋은아빠되기 2018.06.29 2359
2186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008141) 좋은아빠되기 2017.03.28 877
2185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581041) 좋은아빠되기 2016.08.30 864
2184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46) 좋은아빠되기 2017.03.28 1180
2183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691703) 좋은아빠되기 2016.08.30 606
2182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09420) 좋은아빠되기 2016.08.30 647
2181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6058) 좋은아빠되기 2016.11.10 665
2180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38371) 좋은아빠되기 2016.07.16 750
2179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960084) 좋은아빠되기 2016.08.30 765
2178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943984) 좋은아빠되기 2016.10.30 735
2177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614477) 좋은아빠되기 2016.10.08 563
2176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493973) 좋은아빠되기 2017.03.15 732
2175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19010) 좋은아빠되기 2016.11.10 1037
2174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004873) 좋은아빠되기 2016.11.16 679
2173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71739) 좋은아빠되기 2016.11.15 838
2172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65405) 좋은아빠되기 2016.08.30 515
2171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62003) 좋은아빠되기 2016.10.30 589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