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3월 01일(3730548)


1과목 : 콘크리트공학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에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일반적인 경우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15mm
     2. 25mm
     3. 40mm
     4. 50m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 다음 중 수중콘크리트 타설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 타설에서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유속은 1초간 10cm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2. 콘크리트를 수중에 낙하시키면 재료분리가 일어나므로 콘크리트는 수중에 낙하시켜서는 안 된다.
     3.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 물의 유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4. 한 구획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한 후 레이턴스를 모두 제거하고 다시 타설하여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자파레이더법에 의한 비파괴시험에서 진공 중에서 전자파의 속도를 C, 콘크리트의 비유전율을 εr 이라할 때 콘크리트내의 전자파의 속도 V를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1. V = Cㆍεr(m/s)
     2. V = C/εr(m/s)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 초속경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응결시간이 짧고 경화시 발열이 크다.
     2. 2~3시간만에 압축강도가 10MPa에 달하는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3. 알루미나 시멘트와 같은 전이 현상이 없다.
     4.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 매스(mass)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방지 또는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외부구속을 많이 받는 벽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균열유발줄눈을 설치하여 균열발생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콘크리트의 프리쿨링, 파이프쿨링 등에 의한 온도 저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등 조기강도가 큰 시멘트를 사용하여 경화시간을 줄이는 것이 균열 방지에 효과적이다.
     4. 팽창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 굳지않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하기위한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슬럼프시험
     2. 앵글러 점도시험
     3. VB컨시스턴시 시험
     4. 켈리볼 관입시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 콘크리트의 중성화(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굳은 콘크리트는 표면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작용을 받아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바뀐다.
     2. 철근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콘크리트가 주성화하여 물과 공기가 침투하면 철근을 부식시킨다.
     3. 중성화의 판정은 페놀프탈레인 1%의 알코올용액을 콘크리트의 단면에 뿌려 조사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4. 중성화가 진행된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 약화되어 콘크리트자체가 팽창하여 파괴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량골재는 젖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작다.
     3.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같은 배합일 때 일반 콘크리트보다 슬럼프가 크다.
     4.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가볍지만 장거리 운반에 불리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9. 물-시멘트 비 50%, 단위수량 170Kg/m3, 단위잔골재량 730kg/m3인 AE콘크리트의 단위굵은골재량은 얼마인가? (단, 시멘트,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비중은 각각 3.15, 2.60 및 2.65이며,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350kg/m3이다.)
     1. 1065kg/m3
     2. 1090kg/m3
     3. 1125kg/m3
     4. 1150kg/m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10. 일정량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공기량이 증대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2. 슬럼프가 작을수록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4. 단위 잔골재량이 작을수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11.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콘크리트의 표준 습윤양생 기간은? (단, 일평균기온이 10˚C 이상이고 15˚C 미만인 경우)
     1. 1일 이상
     2. 3일 이상
     3. 5일 이상
     4. 7일 이상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12. 어떤 실험실에서 제조된 콘크리트에 대해 총 5개의 샘플을 채취하여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그 값이 19.5, 19.0, 21.0, 23.5, 22.0PMa이었다. 이들 값에 대해 변동계수를 구하면?
     1. 6.6%
     2. 7.0%
     3. 7.4%
     4. 7.8%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3. 외기온도가 25˚C를 넘을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 최대 얼마의 시간을 넘어서는 안되는가?
     1. 0.5시간
     2. 1시간
     3. 1.5시간
     4. 2시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4.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1MPa
     2. 24MPa
     3. 27MPa
     4. 30MPa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5.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가 최소 얼마 이상일 때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가?
     1. 0.5m
     2. 0.8m
     3. 1m
     4. 1.5m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16.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단위시멘트량이 큰 콘크리트일수록 성형성이 좋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감소된다.
     3. 둥근 입형의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모가진 부순 모래를 사용한 것에 비해 워커빌리티가 나쁘다.
     4. 일반적으로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7. 알칼리골재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 이온이 골재 중의 실리카 성분과 결합하여 발생한다.
     2. 콘크리트의 치밀도를 증대하면 내부 수분의 이동 및 알발이온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알칼리-실리카반응이 발생하기 쉽다.
     3. 알칼리-실리카반응이 발생하면 콘크리트는 이상 팽창을 일으키며 표면에 불규칙한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구조물 손상이 일어난다.
     4. 알칼리골재반응의 진행에 필수적인 3요소는 반응성 골재의 존재와 알칼리 및 수분의 공급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8.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가 일정할 때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커진다.
     2. 물-시멘트비가 일정할 때 공기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한다.
     3. 부순돌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크다.
     4. 성형시에 가압양생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크게 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9. 거푸집 및 동바리의 구조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하중은 철근콘크리트와 거푸집의 중량을 고려하여 합한 하중이며, 철근의 중량을 포함한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보통콘크리트에서는 24kN/m3을 적용하고, 거푸집 하중은 최소 0.4kN/m3 이상을 적용한다.
     2. 활하중은 작업원, 경량의 장비하중, 기타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자재 및 공구 등의 시공하중, 그리고 충격하중을 포함한다.
     3. 동바리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하중으로는 고정하중의 2% 이상 또는 동바리 상단의 수평방향 단위 길이 당 1.5kN/m 이상 중에서 큰쪽의 하중이 동바리 머리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옹벽과 같은 거푸집의 경우에는 거푸집 측면에 대하여 5.0kN/m2 이상의 수평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0. 콘크리트의 시방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합에 사용된 골재는 표면수 및 흡수량을 고려하여 보정한 배합이다.
     2. 실제 현장의 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정한 배합이다.
     3. 시방서 기준을 따르며 현장 조건도 고려한 배합이다.
     4. 소정의 품질을 갖는 콘크리트가 얻어지도록 된 배합으로서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을 말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건설시공 및 관리


21. 다음은 어떤 공사의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이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 품질특성의 선정
     2. 작업표준의 결정
     3. 관리한계 설정
     4. 관리도의 작성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2. 기계화 시공에 있어서 중장비의 비용계산 중 기계 손료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관리비
     2. 상각비
     3. 인건비
     4. 정비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3. 아래의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3점시간법을 적용하여 activity time을 결정하면? (조건: 표준값 =6시간,낙관값 =3시간, 비관값 =8시간)
     1. 4.3시간
     2. 5.2시간
     3. 5.8시간
     4. 6.8시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24. 공기 케이슨 공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교적 소규모의 공사나 심도가 얕은 기초공에는 경제적이다.
     2. 고압내에서 작업을 하여 대기압 중에 나올 때 감압 때문에 체액 또는 조직내에 용해되어 있던 질소가스가 기포로 되어 체내에 잔류하기 때문에 케이슨병이 발생할 수 있다.
     3. 일반적인 굴착 깊이는 35~40m로 제한되어 있다.
     4. 지하수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히빙, 보일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 구조물의 침하 우려가 없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5. 다음은 말뚝의 부주면 마찰력(negative friction)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
     1. 말뚝의 주변지반이 말뚝의 침하량 보다 상대적으로 큰 침하를 일으키는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생긴다.
     2.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생긴다.
     3. 표면적이 작은 말뚝은 사용하여 부주면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4. 말뚝 직경보다 약간 큰 케이싱을 박아서 부주면 마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6. 잔교(landing pier)란 배를 계선하여 육지와 연락하기 위한 다리구조를 말한다. 잔교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토압을 받지 않고 자중이 적으므로 연약지반에 이용할 수 있다.
     2. 기존 호안이 있는 곳에 안벽을 축조할 때는 횡잔교가 유리하다.
     3.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4. 구조적으로 토류사면과 잔교를 조합하는 것이므로 공사비가 많아지는 경우도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7. 커튼그라우팅(curtain grouting)의 시공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터널이나 댐에서 침투수를 막기 위해서
     2. 시공 중 침수에 의한 공사의 지연을 막기 위해서
     3. 콘크리트 내부의 균열 및 수축검사를 위해서
     4.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28. 그림과 같은 단면으로 성토 후 비탈면에 떼붙임을 하려고 한다. 성토량과 떼붙임 면적을 계산하면? (단, 마구리면의 떼붙임은 제외하며, 토량변화율은 무시한다.)

    

     1. 성토량 : 650m3 , 떼붙임 면적 : 61.6m2
     2. 성토량 : 740m3 , 떼붙임 면적 : 161.6m2
     3. 성토량 : 740m3 , 떼붙임 면적 : 61.6 m2
     4. 성토량 : 650m3 , 떼붙임 면적 : 161.6m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29. 다음 중 옹벽의 뒤채움에 가장 적합한 흙은?
     1. 점토질흙
     2. 실트질흙
     3. 유기질흙
     4. 모래섞인 자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30.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은?
     1. 말뚝의 재하시험
     2. 정역학적 공식
     3. 동역학적 공식
     4. 허용지지력 표로서 구하는 방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1. 옹벽을 구조적 특성에 따라 분류할 때 여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력식 옹벽
     2. Block 쌓기 콘크리트 틀 옹벽
     3. T형 옹벽
     4. 부벽식 옹벽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2. 저항선이 1.2m일때 12.15kg의 폭약을 사용하였다면 저항선을 0.8m로 하였을 때는 얼마의 폭약이 필요한가? (단, Hauser식을 사용한다.)
     1. 1.8kg
     2. 3.6kg
     3. 5.6kg
     4. 7.6k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은 성토에 사용되는 흙의 조건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다루기가 쉬워야 한다.
     2. 충분한 전단강도를 가져야 한다.
     3. 도로성토에서는 투수성이 양호해야 한다.
     4. 가급적 점토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자갈 및 왕모래 등은 적어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34.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시공에 있어서 초기균열을 방지하는 대책에 대하여 틀린 것은?
     1. 고온의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노반마찰을 적게 한다.
     3. 도로성토에서는 투수성이 양호해야 한다.
     4. 가급적 점토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자갈 및 왕모래 등은 적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5. 지중연속벽 공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시공시 소음, 진동이 크다.
     3. 벽체의 강성이 높고 지수성이 좋다.
     4. 큰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6.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표층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통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 응력에 저항한다.
     2. 승차감이나 저소음 효과가 우수하여 쾌적하다.
     3. 부분적인 보수가 곤란하다.
     4. 재료구입이 용이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37. 품질관리도에서 1조의 측정치가 9, 7, 12, 13의 값을 가지며 2조의 측정치가 8, 9, 10, 12의 값을 가질때 중심(CL)의 값은?
     1. 9.75
     2. 10.00
     3. 10.25
     4. 10.5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8. 0.7m3의 백호 1대를 사용하여 10000m3의 기초굴착을 시행할 때 굴착에 요하는 일수는? (단, 백호의 사이클 타임은 0.5min, dipper 계수는 0.9, 토량 변화율은 1.2, 작업 능률은 0.8, 1일의 운전 시간은 8시간이다.)
     1. 23일
     2. 25일
     3. 27일
     4. 29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39. 기계위치보다 낮거나 높은 곳도 굴착이 가능하여 주로 넓은 범위의 굴착시 사용되고 수로, 하상굴착 EH는 골재 채취에 이용되는 셔블계 굴착기는?
     1. 백호우
     2. 드래그라인
     3. 파워셔블
     4. 크램셀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0. 발파에 의해 생긴 큰 암석 덩어리를 조각내는 2차 공법이 아닌 것은?
     1. 블록보링(block boring)
     2. 스네이크 보링(snake boring)
     3. 머드캐핑(mud capping)
     4. 벤치컷(bench cut)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41. 플라스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내수성, 내습성, 내식성이 좋다.
     2. 전기절연성이 좋다.
     3. 가볍고 강도가 좋다.
     4.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강하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42.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로서 찬공기나 냉수로 급냉한 후 미분쇄하여 사용하는 혼화재는?
     1. 고로슬래그 미분말
     2. 플라이애시
     3. 화산회
     4. 실리카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43.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 화학성분 중 많이 함유하고 있는 순서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산화칼슘(CaO) > 이산화규소(SiO2) > 산화알루미늄(Al2O3)
     2. 이산화규소(SiO2) > 산화알루미늄(Al2O3) > 산화칼슘(CaO)
     3. 산화알루미늄(Al2O3) > 산화칼슘(CaO) > 이산화규소(SiO2)
     4. 산화칼슘(CaO) > 산화알루미늄(Al2O3) > 이산화규소(SiO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4. 시멘트 조성 광물에서 수축률이 가장 큰 것은?
     1. C3S
     2. C3A
     3. C4AF
     4. C2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5. 다음은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을 행한 후 각 체에 남은 양들이다. 굵은 골재의 조립율과 최대 치수는?

    

     1. 조립율 8.52, 최대치수 25mm
     2. 조립율 8.52, 최대치수 40mm
     3. 조립율 7.36, 최대치수 40mm
     4. 조립율 7.36, 최대치수 25m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혼화재(混和材)에는 플라이 애쉬(fly-ash), 고로 슬래그(slag), 규산백토 등이 있다.
     2. 혼화재(混和材)에는 AE제, 경화촉진제, 방수제 등이 있다.
     3. 혼화재(混和材)는 그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의 계산에서 무시하여도 좋다.
     4. AE제에 의해 만들어진 공기를 연행공기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7. 표점거리 L=50mm, 직경 D=14mm의 원형단면봉을 가지고 인장시험을 하였다. 축인장하중 P=100kN이 작용하였을 때, 표점거리 L' =50.433mm 와 직경 D'=13.970mm 가 측정되었다면 이 재료의 푸아송비(μ)는?
     1. 0.07
     2. 0.247
     3. 0.347
     4. 0.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8. 포장용 타르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액체에서 반고체 상태를 가지며, 특유한 냄새가 난다.
     2. 비중은 1.1~1.25정도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약간 크다.
     3. 투수성, 흡수성은 아스팔트보다 크다.
     4. 내유성이 아스팔트보다 좋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9. 토목구조용 석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화성암에는 주로 화강암, 현무암, 사암 등이 있다.
     2. 변성암에는 편마암, 편암, 대리석 등이 있다.
     3. 혈암은 퇴적암의 일종으로 점토가 완전하게 응고된 것으로 부드럽고 색조가 일정하다.
     4. 응회암은 흡수성이 작아서 강도가 크나, 내화력이 작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0. 양질의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워커빌리티가 향상된다.
     2. 블리딩 현상이 감소한다.
     3. 발열량이 적어지므로 단면이 큰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4. 초기강도는 크나 장기강도가 작아진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1. 건설용 재료로 목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목재를 건조시키는 목적 및 효과로 틀린 것은?
     1. 목재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2. 균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수축균열 및 부정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4. 가공성을 향상 시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2. 아스팔트의 연경도(Consistency)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비중
     2. 인화점
     3. 연화점
     4. 온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3. 주로 화성암에 많이 생기는 절리(joint)로 돌기둥을 배열 한 것 같은 모양의 절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상절리
     2. 구상절리
     3. 불규칙 다면괴상절리
     4. 판상절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포틀랜드시멘트 중 건조수축이 가장 작은 시멘트는?
     1.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 백색포틀랜드시멘트
     3. 조강포틀랜드시멘트
     4.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5. 골재의 입도(粒度)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입도시험을 위한 골재는 4분법(4分法)이나 시료 분취기에 의하여 필요한 량을 채취한다.
     2. 입도란 크고 작은 골재알이 혼합되어 있는 정도를 말하며 체가름 시험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3. 입도가 좋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공극이 커지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한다.
     4. 입도곡선이란 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를 곡선으로 표시한 것이며 입도곡선이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어가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56. 흑색화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비중이 1.5~1.8정도이고, 폭파시 2000˚C의 고온과 6.6t/cm2정도의 압력이 발생한다.
     2. 보관과 취급이 간편하고 흡수성이 크다.
     3. 수중폭파가 불가능하고 연소시 연기가 많이 난다.
     4. 니트로셀룰로오스 또는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로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7. 골재의 함수상태에서 유효흡수량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절대건조 상태와 공기 중 건조상태 사이의 함수량을 뜻한다.
     2. 공기 중 건조상태와 표면건조 포화상태 사이의 함수량을 뜻한다.
     3. 표면건조 포화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의 함수량을 뜻한다.
     4. 절대건조 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의 함수량을 뜻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8. 금속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의 제조방법에는 평로법, 전로법, 전기로법 등이 있다.
     2. 강의 열처리는 풀림, 불림, 담금질, 뜨임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3. 저탄소강은 탄소함유량이 0.3%이하이다.
     4. 구리에 아연 40%를 첨가하여 제조한 합금을 청동이라고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9. 대폭파 또는 수중폭파 등 동시 폭파할 경우 뇌관대신 사용하는 것은?
     1. 도화선
     2. 도폭선
     3. 전기뇌관
     4. 첨장약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60. 고무 혼입 아스팔트(rubber ized asphalt)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가지고 있는 장점이 아닌것은?
     1. 감온성이 크다.
     2. 응집성이 크다.
     3. 충격저항이 크다.
     4. 마찰계수가 크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4과목 : 토질 및 기초


61. 다음은 말뚝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해머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해머에 대한 것인가?

    

     1. 증기해머
     2. 진동해머
     3. 디젤해머
     4. 드롭해머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2. 흙의 물리적 성질 중 잘못된 것은?
     1. 점성토는 흙 구조 배열에 따라 면모구조와 이산구조로 대별하는데, 면모구조가 전당강도가 크고 투수성이 크다.
     2. 점토는 확산 이중층까지 흡착되는 흡착수에 의해 점성을 띤다.
     3. 소성지수가 클수록 비배수성이 된다.
     4. 활성도가 클수록 안정해지며 소성지수가 작아진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3. 다음 그림과 같이 물이 흙 속으로 아래에서 침투할 때 분사현상이 생기는 수두차(△h)는 얼마인가?

    

     1. 1.16m
     2. 2.27m
     3. 3.58m
     4. 4.13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4. Paper Drain설계시 Drain Paper의 폭이 10cm, 두께가 0.3cm일 때 드레인 페이퍼의 등치환산원의 직경이 얼마이면 Sand Drain과 동등한 값으로 볼 수 있는가? (단, 형상계수 : 0.75)
     1. 5cm
     2. 7.5cm
     3. 10cm
     4. 15c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65. 모래의 밀도에 따라 일어나는 전단특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다시 성형한 시료의 강도는 작아지지만 조밀한 모래에 서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강도가 회복 된다.
     2. 전단저항각 [내부마찰각(ø)]은 조밀한 모래일수록 크다.
     3. 직접 전단시험에 있어서 전단응력과 수평변위 곡선은 조밀한 모래에서는 peak가 생긴다.
     4. 조밀한 모래에서는 전단변형이 계속 진행되면 부피가 팽창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틱소트로피는 점성토
[해설작성자 : 백수]

66. 그림과 같이 3층으로 되어 있는 성층토의 수평방향의 평균 투수계수는?

    

     1. 2.97×10-4cm/sec
     2. 3.04×10-4cm/sec
     3. 6.97×10-4cm/sec
     4. 4.04×10-4cm/sec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67.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 증가율(Cu/P)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8. 어떤 점토의 토질실험 결과 일축압축강도 0.48kg/cm2, 단 위중량 1.7t/m3이었다. 이점토의 한계고는?
     1. 6.34m
     2. 4.87m
     3. 9.24m
     4. 5.65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Hc = 2 * 일축압축강도 / 단위중량
= 2 * 4.8 / 1.7 = 5.647
[해설작성자 : 토쟁이]

69. 흙의 일축압축 강도시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Mohr원이 하나밖에 그려지지 않는다.
     2. 점성이 없는 사질토의 경우는 시료자립이 어렵고 배수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 일반적으로 점성토에 주로 사용된다.
     3. 배수조건에서의 시험결과 밖에 얻지 못한다.
     4. 일축압축 강도시험으로 결정할 수 있는 시험 값으로는 일축압축 강도, 예민비, 변형계수 등이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0. 현장다짐을 실시한 후 들밀도시험을 수행하였다. 파낸 흙의 체적과 무게가 각각 365.0cm3, 745g이었으며, 함수비는 12.5%였다. 흙의 비중이 2.65이며, 실내표준다짐시 최대건조단위 중량이 γdmax = 1.90t/m3일 때 상대다짐도는?
     1. 88.7%
     2. 93.1%
     3. 95.3%
     4. 97.8%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1. 깊은 기초의 지지력 평가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정역학적 지지력 추정방법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나 강도정수를 추정하는데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2. 동역학적 방법은 항타장비, 말뚝과 지반조건이 고려된 방법으로 해머 효율의 측정이 필요하다.
     3. 현상 타설 콘크리트 말뚝 기초는 동역학적 방법으로 지지력을 추정한다.
     4. 말뚝 항타분석기(PDA)는 말뚝의 응력분포, 경시효과 및 해머 효율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2. 다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세립토의 비율이 클수록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2. 세립토의 비율이 클수록 최대건조 단위중량은 증가한다.
     3.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
     4. 최대건조 단위중량은 사질토에서 크고 점성토에서 작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3. 그림과 같은 경우의 투수량은? (단, 투수지반의 투수계수는 2.4⨉10-3cm/sec이다.)

    

     1. 0.0267cm3/sec
     2. 0.267cm3/sec
     3. 0.846cm3/sec
     4. 0.0846cm3/sec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4. 토압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Coulomb의 토압론은 강체역학에 기초를 둔 흙쐐기 이론이다.
     2. Rankine의 토압론은 소성이론에 의한 것이다.
     3. 벽체가 배면에 있는 흙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작용하는 토압을 수동토압이라 하고 벽체가 흙쪽으로 밀리도록 작용하는 힘을 주동토압이라 한다.
     4. 정지 토압계수의 크기는 수동토압계수와 주동토 압계수사이에 속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5. 연약한 점성토의 지반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현장베인시험은 연약한 점토층에서 비배수 전단강도를 직접 산정할 수 있다.
     2. 정적콘관입시험(CPT)은 콘지수를 이용하여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이 가능하다.
     3. 표준관입시험에서의 N값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특성을 잘 반양해 준다.
     4. 정적콘관입시험(CPT)은 연속적인 지층분류 및 전당강도 추정 등 연약점토 특성분석에 매우 효과적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6. Mohr 응력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임의 평면의 응력상태를 나타내는데 매우 편리하다.
     2. 평면기점(origin of plane, Op)은 최소주응력을 나타내는 원호상에서 최소주응력면과 평행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3. σ1과 σ3의 차의 백터를 반지름으로 해서 그린 원이다.
     4. 한 면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단력이 0이면, 그 연직응력을 주 응력으로 가정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7. 흙의 비중이 2.60, 함수비 30%, 간극비 0.80일때 포화도는?
     1. 24.0%
     2. 62.4%
     3. 78.0%
     4. 97.5%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8. 압밀이론에서 선행압밀하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지반 중에서 과거에 받았던 최대의 압밀하중이다.
     2. 압밀소요시간의 추정이 가능하여 압밀도 산정에 사용된다.
     3. 주로 압밀시험으로부터 작도한 e-log P곡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4. 현재의 지반 응력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과압밀비 산정시 이용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9. 사용그림과 같은 지층단면에서 지표면에 가해진 5t/m2의 상재하중으로 인한 점토층(정규압밀점토)의 1차압밀 최종침하량(S)를 구하고, 침하량이 5cm일때 평균압밀도(U)를 구하면?

    

     1. S= 18.5cm, U=27%
     2. S= 14.7cm, U=22%
     3. S= 18.5cm, U=22%
     4. S= 14.7cm, U=27%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80. 부마찰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말뚝표면을 아스팔트등으로 코팅하여 타설한다.
     2. 지하수의 저하 또는 압밀이 진행중인 연약지반에서 부마찰력이 발생한다.
     3. 점성토 위에 사질토를 성토한 지반에 말뚝을 타설한 경우에 부마찰력이 발생한다.
     4. 부마찰력은 말뚝을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결국에는 말뚝의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 03월 01일(373054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4447908) 좋은아빠되기 2022.10.07 21
3409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9월 21일(1654947) 좋은아빠되기 2022.06.15 728
3408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9 14
3407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40
3406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10월 10일(5회)(3060896) 좋은아빠되기 2024.01.27 14
3405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3.28 62
3404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9
3403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46306) 좋은아빠되기 2018.10.20 2560
340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8월 31일(6434433) 좋은아빠되기 2022.10.03 40
3401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03월 04일(9525763) 좋은아빠되기 2022.05.19 34
»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3월 01일(3730548) 좋은아빠되기 2022.06.15 422
3399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3 447
3398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17.07.01 3416
3397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3 1326
3396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36056) 좋은아빠되기 2017.07.01 9367
3395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2.03.28 56
3394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73
3393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688
3392 건축목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5월 25일(5060546) 좋은아빠되기 2022.04.22 294
3391 건축목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5472967) 좋은아빠되기 2022.04.05 44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