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4월 27일(2119283)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이 아닌 것은?
     1. 분상기동법
     2. 전압제어법
     3. 콘텐서기동법
     4. 셰이딩코일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방법
1.반발기동형
2.반발유도형
3.콘덴서기동법
4.분상기동법
5.셰이딩 코일형
[해설작성자 : iwc]

전압 제어법은 직류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워어드 레오너드 방식, 일그너 방식이 있음)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 합격기원]

2. 교류 200V, 정류기 전압강하 10V인 단상 반파정류회로의 직류전압(V)은?
     1. 70
     2. 80
     3. 90
     4. 1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단상 반파정류회로일때 전압=0.45*E
여기서 전압강하가 10V 있다고 하니
0.45*E-10=0.45*200-10=80
[해설작성자 : 담]

3. 형태가 복잡하게 생긴 금속제품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데 가장 적합한 전기로는?
     1. 염욕료
     2. 흑연화로
     3. 요동식 아크로
     4. 저주파 유도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간접식 저항로가 형태가 복잡하게 생긴 금속을 균일가열하는데 쓰임.
따라서 염욕로는 간접식이므로 답!
(흑연화로는 직접식)
[해설작성자 : 담]

4. 극수 P의 3상 유도전동기가 주파수 f(Hz), 슬립 s, 토크 T(N·m)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기계적 출력(W)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T=Po/ω → Po=T*ω

ω=2π*N/60
N=Ns*(1-s)← Ns=120f/P
=120*f*(1-s)/p

Po=T*2π*120*f*(1-s)/P/60
  =T*4π*f(s-s)/P
[해설작성자 : iwc]

마지막 식 T=*4파이*f(s-s)/P 중 괄호 안 s-s -> 1-s
[해설작성자 : ysh]

5. 필라멘트 재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융해점이 높을 것
     2. 고유저항이 작을 것
     3. 선팽창 계수가 적을 것
     4. 높은 온도에서 증발이 적을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필라멘트 구비조건
- 융해점이 높을 것
- 온도계수가 정일 것
- 고유저항이 클 것
- 가공이 용이할 것
- 선팽창 계수가 적을 것
- 고온에서 증발이 적을 것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6. 전기철도에서 귀선의 누설전류에 의해 전식은 어디서 발생하는가?
     1. 궤도로 전류가 유입하는 곳
     2. 궤도에서 전류가 유출하는 곳
     3. 지중관로로 전류가 유입하는 곳
     4. 지중관로에서 전류가 유출하는 곳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7. 광도가 780 cd인 균등 점광원으로부터 발산하는 전광속(lm)은 약 얼마인가?
     1. 1892
     2. 2575
     3. 4898
     4. 9801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F=4π*780=9801 lm
[해설작성자 : iwc]

8. 아크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맞는 것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수하특성을 가짐 : 전류가 상승하면 전압이 급격히 감소
[해설작성자 : iwc]

9. 역 병렬로 된 2개의 SCR과 유사한 양 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로서 AC 전력의 제어에 사용하는 것은?
     1. SCS
     2. GTO
     3. TRIAC
     4. LASC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SCS - 단방향 4단자
GTO - 단방향 3단자
TRIAC - 양방향 3단자
LASCR - 단방향 3단자
[해설작성자 : 한승준 멋졍]

10. 순금속 발열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백금(Pt)
     2. 텅스텐(W)
     3. 몰리브덴(Mo)
     4. 탄화규소(SiC)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탄화규소는 비금속
[해설작성자 : iwc]

11.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이 아닌 것은?
     1. Y-△ 기동
     2. 전전압 기동
     3. 2차 저항 기동
     4. 기동보상기 기동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2차 저항기동은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
[해설작성자 : iwc]

12. 옥내에서 전선을 병렬로 사용할 때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전선은 동일한 도체이어야 한다.
     2. 전선은 동일한 굵기, 동일한 길이이어야 한다.
     3. 전선의 굵기는 동 40mm2 이상 또는 알루미늄 90 mm2이상이어야 한다.
     4. 관내에 전류의 불평형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옥내에서 전선을 병렬로 사용할때 5가지 원칙
1. 전선의 굵기는 동 50 알루미늄 70이상일 것
2. 동일한 도체,굵기,길이 여야함
3.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은 각각에 퓨즈를 장착하지 않도록 할 것
4. 각 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불평형을 초래하지 않을것
5. 같은 극의 각 전선은 동일한 터미널러그에 완전히 접속할 것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13. 가교폴리에틸렌(XLPE) 절연물의 최대허용온도(℃)는?
     1. 70
     2. 90
     3. 105
     4. 12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절연물의 최대허용온도 : 90도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14. 전선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이 클 것
     2. 도전율이 클 것
     3. 내구성이 클 것
     4. 기계적 강도가 클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전선 구비조건
- 도전율이 클 것
- 인장강도가 클 것
- 가요성(휘는 성질) 이 클것
- 내식성이 클 것
- 비중이 작을 것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15. 합성수지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접속 시에 삽입하는 최소 깊이는? (단,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관 안지름의 1.2배
     2. 관 안지름의 1.5배
     3. 관 바깥지름의 1.2배
     4. 관 바깥지름의 1.5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접착제 사용하는 경우 : 0.8배
[해설작성자 : iwc]

16. 저압 배전반의 주 차단기로 주로 사용되는 보호기기는?
     1. GCB
     2. VCB
     3. ACB
     4. OCB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ACB는 주로 저압용 차단기
나머지는 고압용 차단기 (ABB도 고압용임, ACB와 헷갈리지말자)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ACB - 저압 배전반 주 차단기
*에이씨x 기분 저기압인데..
[해설작성자 : 지두리]

17. 피뢰설비 중 돌침 지지관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스테인리스 강관
     2. 황동관
     3. 합성수지관
     4. 알루미늄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돌침지지관

강관, 스테인레스 강관: 자성이 있으므로 뇌전류의 전자작용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관내에 피뢰도선을 통과시켜서는 아니된다.

황동관, 알루미늄관: 비자성으로 내식성이 있다. 따라서 내식성이 요구되는 장소(굴뚝, 염해지구 등)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 돌침부 : 돌침, 돌침지지관, 지지철물, 설치대
⦁ 돌침 지지관 : 강관, 스테인레스강관, 황동관, 알루미늄지지관
[해설작성자 : 핑키도야지]

18. 변압기 철심용 강판의 두께는 대략 몇 mm 인가?
     1. 0.1
     2. 0.35
     3. 2
     4. 3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변압기 철심은 규소 함량 3.5%, 두께 0.35mm 얇은 규소 강판을 점적률 95% 정도로 성층하여 사용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19. 조명용 광원 중에서 연색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백열전구
     2. 고압나트륨등
     3. 고압수은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연색성 지수
95이상 : 백열전구, 할로겐등
85~95 : 삼파장 형광등
75~90 : 형광등, 방전램프
60 : 수은전구
30~ : LED전구 (전구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큼)
25 : 나트륨듬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연색성 효율
크세논등 > 백열전구 > 백색 형광등 > 수은등 > 나트륨등
*크~백배로 열올리는 백수냐(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방전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할로겐등
     2. 형광수은등
     3. 고압나트륨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쉽게 할로겐등 빼고는 모두 방전등이라 생각(방전등의 종류는 매우 많다.)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2과목 : 전력공학


21. 옥내배선의 전선 굵기를 결정할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허용전류
     2. 전압강하
     3. 배선방식
     4. 기계적강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전선 굵기는 저항값과 관련있음(저항 R은 전선단면적 A에 반비례)

기계적강도 : 튼튼한걸 사용해야 잘 끊기지 않음.
허용전류 : 전선의 굵기, 즉 전선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허용 전류는 커짐.
전압강하 : 전선단면적에 따라 전선 자체의 저항값이 달라지고, 전선의 저항값이 커지면 전선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분이 커짐.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22.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정수는 어떤 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가?
     1. 뇌파시험
     2. 정격부하시험
     3. 절연강도 측정시험
     4.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5%

23. 유효낙차 100m, 최대사용수량 20m3/s, 수차효율 70%인 수력발전소의 연간 발전전력량은 약 몇 kWh인가? (단, 발전기의 효율은 85% 이라 한다.)
     1. 2.5×107
     2. 5×107
     3. 10×107
     4. 20×107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수력발전기의 효율 = 출력/입력 = P/(9.8QH*수차효율)
Q는 양수량[m^3/second]
H는 양정(높이)[m]

위의 효율공식을 수력발전기의 출력인 P[kw]로 정리하면,
P = 9.8QH*수차효율*효율 = (9.8)(20[m^3/sec])(100[m])(0.7)(0.85) = 11662[kw]

단, 이 수력발전기의 연간전력량[kwh]를 물어봤으므로, 이 발전기가 돌아가는 시간을 곱해주어야 함.
24시간 365일 돌리기 때문에-

연간 전력량 W= Pt = (11662[kw])(24[hour])(365[day]) = 102159120[kwh]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10*10^7[kwh]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24. 변전소, 발전소 등에 설치하는 피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전전류는 뇌충격전류의 파고값으로 표시한다.
     2. 피뢰기의 직렬갭은 속류를 차단 및 소호하는 역할을 한다.
     3. 정격전압은 상용주파수 정현파 전압의 최고 한도를 규정한 순시값이다.
     4. 속류란 방전현상이 실질적으로 끝난 후에도 전력계통에서 피뢰기에 공급되어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정격전압 순시값아니고실효값임
[해설작성자 : ㅇㅇ]

25. 10000 kVA 기준으로 등가 임피던스가 0.4%인 발전소에 설치될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MVA 인가?
     1. 1000
     2. 1500
     3. 2000
     4. 250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차단용량 Ps
정격용량 Pn = 10000[KVA]
%임피던스 %Z = 0.4

차단용량 Ps=(Pn*100)/(%Z) = (10000*100)/0.4 = 2500000[KVA]
[MVA]로 나타내려면 결과값에서 0을 3개 더 떼어버리고 나타내면 되므로,

차단용량 Ps = 2500[MVA]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26. 33 kV 이하의 단거리 송배전선로에 적용되는 비접지 방식에서 지락전류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말하는가?
     1. 누설전류
     2. 충전전류
     3. 뒤진전류
     4. 단락전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비접지 1선지락 - 진상
비접지 선간단락-지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단도체 방식과 비교하여 복도체 방식의 송전선로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선로의 송전용량이 증가된다.
     2. 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3. 전선의 인덕턴스가 감소하고, 정전용량이 증가된다.
     4.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저감되어 코로나 임계전압을 낮출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코로나 임계전압 낮으면 쉽게 생긴다는 소리라서 안좋은 뜻임
복도체 나오면 무조건 좋은 보기 찾을것
[해설작성자 : ㄴㅇㅎ]

28. 고압 배전선로 구성방식 중, 고장 시 자동적으로 고장개소의 분리 및 건전선로에 폐로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개폐기를 가지며, 수요 분포에 따라 임의의 분기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1. 환상식
     2. 망상식
     3. 뱅킹식
     4. 가지식(수지식)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자동적으로 고장개소 분리 = 환상식
[해설작성자 : ㄴㅇㅎ]

29. 한 대의 주상변압기에 역률(뒤짐) cosθ1, 유효전력 P1(kW) 의 부하와 역률(뒤짐) cosθ2, 유효전력 P2(kW)의 부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때 주상변압기 2차 측에서 본 부하의 종합역률은 어떻게 되는가?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문제 해설>
< 알아야 할 식>
1. Tanθ= sinθ/cosθ
2. 피상전력 Pa = Root(유효전력^2 + 무효전력^2)
3. 유효전력 = 피상전력 * cosθ

<변압기 1>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간 θ1의 각을 가짐

유효전력 = P1[kw]

무효전력 = 변압기 1의 피상전력 * sin(θ1) = [변압기 1의 유효전력/{cos(θ1)}] * {sin(θ1)} = P1*[{sin(θ1)}/cos{(θ1)}] = P1 * tan(θ1)[Kvar]

<변압기 2>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간 θ2의 각을 가짐

유효전력 = P2[kw]

무효전력 = 변압기 2의 피상전력 * sin(θ2) = [변압기 2의 유효전력/{cos(θ2)}] * {sin(θ2)} = P2*[{sin(θ2)}/cos{(θ2)}] = P2 * tan(θ2)[KVar]


< 병렬 연결된 두 변압기 전체를 하나로 보았을 때 >
전체 유효전력 = 변압기 1의 유효전력 + 변압기 2의 유효전력 = P1 + P2 [Kw]

전체 무효전력 = 변압기 1의 무효전력 + 변압기 2의 무효전력 = {P1 * tan(θ1)} + {P2 * tan(θ2)} [Kvar]

전체 피상전력 = Root{(전체 유효전력^2) + (전체 무효전력^2)}


또한,
전체 유효전력 = 전체 피상전력 * 전체 역률

따라서,
전체 역률 = 전체 유효전력 / 전체 피상전력

구해둔 전체 유효전력 및 전체 피상전력만 식에 대입하면, 3번이 도출됨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30. 직류 송전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류 송전방식보다 안정도가 낮다.
     2. 직류계통과 연계 운전 시 교류계통의 차단용량은 작아진다.
     3. 교류 송전방식에 비해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다.
     4. 비동기 연계가 가능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문제 해설>
DC송전시 표피효과가 없어 표유부하손이 없음 = 절연계급낮출수 있음.
비동기기와 연계가 가능함
DC계통과 연계시 DC계통에는 리액턴스 텀이 없어 퍼센트임피던스가 감소함 = 차단용량이 감소함
DC송전은 리액턴스 텀이 없어서 더 안정함.

DC송전 단점 = 승압 강압이 어려움, DC송전 고장 차단기가 좋은게 아직 없음
[해설작성자 : 흠냐]

31. 공통 중성선 다중 접지방식의 배전선로에서 Recloser(R), Sectionalizer(S), Line fuse(F)의 보호협조가 가장 적합한 배열은? (단, 보호협조는 변전소를 기준으로 한다.)
     1. S – F - R
     2. S – R - F
     3. F – S - R
     4. R – S – F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리클로져 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봅시다. re 다시 closer 닫기.  다시닫기. 즉 말그대로  다시 한번 닫아보는 놈입니다.
섹셔널라이져. section 구분. 구간. 분리하는 놈입니다.
퓨즈. 녹아내리는놈입니다.

여러분이 계통 설계자 라고 생각합시다.
퓨즈 녹아내려버리면 다시 설치하러 그까지 가야되니까
너무귀찮아요
그래서 퓨즈는 최후의 수단입니다

리클로저가 제일 먼저 동작하는 놈인데
그 이유는 지락 등으로 인해서 자동적으로 차단(open)이 되었는데
사고원인 통계를 내보니까 대부분 그 고장원인이 고장직후 사라진다는 겁니다
그래서 저절로 몇초 뒤에 한번 닫아보는(close) 기계를 만들었습니다
그게 리클로저 입니다.
그래서 일단 알아서 몇번 끼워보고 (리클로져)
사고 구간을 나누어서 확대 방지를 하고(섹셔널라이져, 이거는 뇌피셜임 기능 모름)
하다하다 안되면 녹아내려서 막는겁니다(퓨즈)
[해설작성자 : ㄴㅇㅎ]

32. 전력계통 연계 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단락전류가 감소한다.
     2. 경제 급전이 용이하다.
     3. 공급신뢰도가 향상된다.
     4. 사고 시 다른 계통으로의 영향이 파급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계통연계가 병렬연결은 아니지만 그런 개념으로 접근하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병렬로 연결될 시 임피던스 감소
따라서 단락전류 증가
[해설작성자 : ㄴㅇㅎ]

33. 중거리 송전선로의 T형 회로에서 송전단 전류 Is는? (단, Z, Y는 선로의 직렬 임피던스와 병렬 어드미턴스이고, Er은 수전단 전압, Ir은 수전단 전류이다.)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문제 해설>
4단자 공식중 하나인
Es = AEr + BIr
Is = CEr + DIr
이므로, 위의 Is = CEr + DIr을 이용한다.
T형과 Pi형 두가지의 중거리 송전선로 정리가 존재한다.
      T형        pi형
A : 1+(ZY/2) | 1+(ZY/2)
B : 1+(ZY/4) |    Z
C :    Y     | 1+(ZY/4)
D : 1+(ZY/2) | 1+(ZY/2)
에서 C와 D를 이용하여 대입해주면
Is = YEr + Ir(1+ZY/2)
[해설작성자 : ㅅㄱㅎㅁ]

34. 선택 지락 계전기의 용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단일 회선에서 지락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2. 단일 회선에서 지락전류의 방향 선택 차단
     3. 병행 2회선에서 지락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4. 병행 2회선에서 지락고장의 지속시간 선택 차단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35. 부하역률이 cosθ인 경우 배전선로의 전력손실은 같은 크기의 부하전력으로 역률이 1인 경우의 전력손실에 비하여 어떻게 되는가?
     1.
     2.
     3. cosθ
     4. cos2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36. 터빈(turbine)의 임계속도란?
     1. 비상조속기를 동작시키는 회전수
     2. 회전자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위험 회전수
     3. 부하를 급히 차단하였을 때의 순간 최대 회전수
     4. 부하 차단 후 자동적으로 정정된 회전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임계 = max or min
[해설작성자 : ㄴㅇㅎ]

37. 변전소에서 접지를 하는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기의 보호
     2. 근무자의 안전
     3. 차단 시 아크의 소호
     4. 송전시스템의 중성점 접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차단시 아크 소호는 차단기가 하는일
[해설작성자 : 흠냐]

38. 그림과 같은 2기 계통에 있어서 발전기에서 전동기로 전달되는 전력 P는? (단, X = XG + XL + XM 이고 EG, EM은 각각 발전기 및 전동기의 유기기전력, δ는 EG와 EM 간의 상차각이다.)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39. 일반 회로정수가 A, B, C, D 이고 송전단 전압이 ES 인 경우 무부하시 수전단 전압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문제 해설>
4단자망에서,
V1 = (A*V2) + (B*I2)
I1 = (C*V2) + (D*I2)

이 때,
송전측의 전압인 송전단 전압이 Es=V1이 되고
수전측의 전압인 수전단 전압이 V2임

수전측이 무부하이므로, 수전쪽 단자에 부하가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개방, 오픈)가 됨
즉, 수전측의 전류 I2=0이 됨

따라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음
V1 = (A*V2) = Es
I1 = (C*V2)

수전단 전압 V2에 관심있으므로, (A*V2) = Es를 정리하면
V2 = Es/A임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40. 아킹혼(Arcing Horn)의 설치 목적은?
     1. 이상전압 소멸
     2. 전선의 진동방지
     3. 코로나 손실방지
     4. 섬락사고에 대한 애자보호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3과목 : 전기기기


41. 스텝각이 2°, 스테핑주파수(pulse rate)가 1800pps 인 스테핑모터의 축속도(rps)는?
     1. 8
     2. 10
     3. 12
     4. 1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문제 해설>
360도 나누기 2 = 180도
1800 / 180 = 10
[해설작성자 : ㄴㅇㅎ]

42. 직류발전기의 외부 특성곡선에서 나타내는 관계로 옳은 것은?
     1. 계자전류와 단자전압
     2. 계자전류와 부하전류
     3. 부하전류와 단자전압
     4. 부하전류와 유기기전력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43. 동기전동기가 무부하 운전 중에 부하가 걸리면 동기전동기의 속도는?
     1. 정지한다.
     2. 동기속도와 같다.
     3. 동기속도보다 빨라진다.
     4. 동기속도 이하로 떨어진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속도는 부하를 걸면 변동하지만 곧 동기속도와 같아짐
[해설작성자 : Kicc]

44. 3상 동기발전기의 매극 매상의 슬롯수를 3이라 할 때 분포권 계수는?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45. 단상 유도전동기의 토크에 대한 2차 저항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역회전 가능
     2. 최대토크 일정
     3. 기동토크 증가
     4. 토크는 항상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46. 전력용 변압기에서 1차에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차에 정현파 전압이 유기되기 위해서는 1차에 흘러들어가는 여자전류는 기본파 전류 외에 주로 몇 고조파 전류가 포함되는가?
     1. 제2고조파
     2. 제3고조파
     3. 제4고조파
     4. 제5고조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47. 상전압 200V의 3상 반파정류회로의 각 상에 SCR을 사용하여 정류제어 할 때 위상각을 π/6로 하면 순 저항부하에서 얻을 수 있는 직류전압(V)은?
     1. 90
     2. 180
     3. 203
     4. 23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9%
     <문제 해설>
1.17*200*cos30 입니다 =203
[해설작성자 : 기기고인물]

1.17×200×cos파이/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동기발전기의 병렬 운전 중 위상차가 생기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1. 무효 횡류가 흐른다.
     2. 무효 전력이 생긴다.
     3. 유효 횡류가 흐른다.
     4. 출력이 요동하고 권선이 가열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49.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시 요구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극성이 같을 것
     2. 정격출력이 같을 것
     3. 정격전압과 권수비가 같을 것
     4. 저항과 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50. 100V, 10A, 1500 rpm 인 직류 분권발전기의 정격 시의 계자전류는 2A 이다. 이 때 계자 회로에는 10Ω의 외부저항이 삽입되어 있다. 계자권선의 저항(Ω)은?
     1. 20
     2. 40
     3. 80
     4. 1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문제 해설>
R=100/2-10 =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동기발전기에 회전계자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이유로 틀린 것은?
     1.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한다.
     2. 전기자가 고장자이므로 고압 대전류용에 좋고, 절연하기 쉽다.
     3. 계자가 회전자지만 저압 소용량의 직류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4. 전기자보다 계자극을 회전자로 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튼튼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기전력 파형 개선은 회전계자형과는 무관함
분포권, 단절권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흠냐]

52. 변압기의 누설리액턴스를 나타낸 것은? (단, N은 권수이다.)
     1. N에 비례
     2. N2에 반비례
     3. N2에 비례
     4. N에 반비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53. 가정용 재봉틀, 소형공구, 영사기, 치과의료용, 엔진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교류, 직류 양쪽 모두에 사용되는 만능전동기는?
     1. 전기 동력계
     2. 3상 유도전동기
     3. 차동 복권전동기
     4. 단상 직권정류자전동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54.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철손불변
     2. 여자전류감소
     3. 온도상승증가
     4.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철손은 E^2/f 에 비례 . 1.1^2 / 1.2 하면 1.008xxx가 나오는데 0.8% 증가 = 불변이라고 하나봄

여자전류는 직류일때(주파수 낮을때) 최대임
그래서 주파수 증가 = 여자전류 감소 잇힝

4번은 P=루트3 * V * I 에서 P일정하고 V증가하면 유효전류는 감소.

감소하면 온도상승은 I^2 R 에 의하여 감소
[해설작성자 : ㄴㅇㅎ]

55. 직류기에 관련된 사항으로 잘못 짝 지어진 것은?
     1. 보극 - 리액턴스 전압 감소
     2. 보상권선 – 전기자 반작용 감소
     3. 전기자 반작용 – 직류전동기 속도 감소
     4. 정류기간 – 전기자 코일이 단락되는 기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전기자 반작용
직류 전동기 = 속도 증가, 전기적 중성축 회전반대방향, 주자속 감소, 토크 감소, 속도 증가
직류 발전기 = 속도 감소, 전기적 중성축 회전방향, 주자속 감소, 유기기전력 감소, 단자전압 감소, 출력 감소
[해설작성자 : 흠냐]

56. 직류기발전기에서 양호한 정류(整流)를 얻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정류주기를 크게 할 것
     2. 리액턴스 전압을 크게 할 것
     3. 브러시의 접촉저항을 크게 할 것
     4. 전기자 코일의 인덕턴스를 작게 할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57. 그림은 전원전압 및 주파수가 일정할 때의 다상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표시하는 곡선이다. 1차 전류를 나타내는 곡선은 몇 번 곡선인가?

    

     1. (1)
     2. (2)
     3. (3)
     4.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유도전동기 최대 고민거리 = 기동전류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 = 기동전류가 젤 쎄다..  막상 운전중에는 전류 약함
즉 우리의 주식 그래프와 같이 생긴 2번
[해설작성자 : ㄴㅇㅎ]

58. 정격전압 220V, 무부하 단자전압 230V, 정격출력이 40kW인 직류 분권발전기의 계자저항이 22Ω,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전압강하가 5V라면 전기자 회로의 저항(Ω)은 약 얼마인가?
     1. 0.026
     2. 0.028
     3. 0.035
     4. 0.04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7%
     <문제 해설>
(230 - 220 - 5) / ( 220/22 + 40/220*10^3 ) = 0.026

59. 변압기에서 사용되는 변압기유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점도가 높을 것
     2. 응고점이 낮을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절연 내력이 클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3%

60. 유도전동기로 동기전동기를 기동하는 경우,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동기전동기의 극수보다 2극 적은 것을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단, s는 슬립이며 NS는 동기속도이다.)
     1.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바다 sNS만큼 늦으므로
     2.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바다 sNS만큼 빠르므로
     3.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바다 (1-s)NS만큼 늦으므로
     4. 같은 극수의 유도전동기는 동기속도바다 (1-s)NS만큼 빠르므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어떤 콘덴서를 300V로 충전하는데 9J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μF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62. 1km당 인덕턴스 25 mH, 정전용량 0.005 μF의 선로가 있다. 무손실 선로라고 가정한 경우 진행파의 위상(전파) 속도는 약 몇 km/s 인가?
     1. 8.95 × 104
     2. 9.95 × 104
     3. 89.5 × 104
     4. 99.5 × 10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63. 길이에 따라 비례하는 저항 값을 가진 어떤 전열선에 E0(V)의 전압을 인가하면 P0(W)의 전력이 소비된다. 이 전열선을 잘라 원래 길이의 2/3로 만들고 E(V)의 전압을 가한다면 소비전력 P(W)는?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64. 회로에서 4단자 정수 A, B, C, D 의 값은?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65. 그림과 같은 RC 저역통과 필터회로에 단위 임펄스를 입력으로 가했을 때 응답 h(t)는?

    

     1.
     2.
     3.
     4.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66. f(t) = ejωt의 라플라스 변환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67. 평형 3상 3선식 회로에서 부하는 Y결선이고, 선간전압이 173.2∠0°(V) 일 때 선전류는 20∠-120°(A)이었다면, Y결선된 부하 한상의 임피던스는 약 몇 Ω 인가?
     1. 5∠60°
     2. 5∠90°
     3. 5√3∠60°
     4. 5√3∠9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20도 아닙니까?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120이며
정답은 2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Y결선 상전압 위상 ← 30
상전류는 선전류 위상과 동일 ← 120
-30 - (-120) = 9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전류 I=30sinωt+40sin(3ωt+45°)(A)의 실효값(A)은?
     1. 25
     2. 25√2
     3. 50
     4. 50√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69. 2전력계법으로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한 쪽의 지시가 500W, 다른 한 쪽의 지시가 1500W 이었다. 피상전력은 약 몇 VA인가?
     1. 2000
     2. 2310
     3. 2646
     4. 2771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70. 그림과 같은 순 저항회로에서 대칭 3상 전압을 가할 때 각 선에 흐르는 전류가 같으려면 R의 값은 몇 Ω 인가?

    

     1. 8
     2. 12
     3. 16
     4. 2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71. 폐루프 전달함수 의 극의 위치를 개루프 전달함수 G(s)H(s)의 이득상수 K의 함수로 나타내는 기법은?
     1. 근궤적법
     2. 보드 선도법
     3. 이득 선도법
     4. Nyguist 판정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72. 다음 회로망에서 입력전압을 V1(t), 출력전압을 V2(t)라 할 때, 에 대한 고유주파수 ωn과 제동비 ζ의 값은? (단, R = 100Ω, L = 2H, C = 200μF 이고, 모든 초기전하는 0 이다.)

    

     1. ωn = 50, ζ = 0.5
     2. ωn = 50, ζ = 0.7
     3. ωn = 250, ζ = 0.5
     4. ωn = 250, ζ = 0.7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73. 단위 궤환제어계의 개루프 전달함수가 일 때, K가 -∞로부터 +∞까지 변하는 경우 특성방정식의 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 K < 0 에 대하여 근을 모두 실그이다.
     2. 0 < K < 1에 대하여 2개의 근을 모두 음의 실근이다.
     3. K = 0에 다하여 s1 = 0, s2 = -2 의 근은 G(s)의 극점과 일치한다.
     4. 1 < K < ∞ 에 대하여 2개의 근은 음의 실수부 중근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9%

74. 2차계 과도응답에 대한 특성 방정식의 근은 s1, 이다. 감쇠비 ζ가 0 < ζ < 1 사이에 존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과제동
     2. 무제동
     3. 부족제동
     4. 임계제동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75. 다음 중 이진 값 신호가 아닌 것은?
     1. 디지털 신호
     2. 아날로그 신호
     3. 스위치의 On-Off 신호
     4. 반도체 소자의 동작, 부동작 상태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76. 다음의 블록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의 근은?

    

     1. -2, -5
     2. 2, 5
     3. -3, -4
     4.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77. 다음 신호 흐름선도의 일반식은?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78. 보드 선도에서 이득여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위상곡선 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2.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3. 위상곡선 -9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4.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79. 블록선도 변환이 틀린 것은?
     1.
     2.
     3.
     4.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80. 그림의 시퀀스 회로에서 전자접촉기 X에 의한 A접점(Normal open contact)의 사용 목적은?

    

     1. 자기유지회로
     2. 지연회로
     3. 우선 선택회로
     4. 인터록(interlock)회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5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전로에 시설하는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2. 저압 옥상전선로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한다.
     2. 전선은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한다.
     3. 전선은 상시 부는 바람 등에 의하여 식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시설한다.
     4. 전선과 옥상 전선로를 시설하는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를 0.5m 로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조영재와의 이격거리 2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KEC 규정에도
저압과 상부조영재간 이격거리 기본(나전선) 2m, 절연전선이나 케이블일때 1m
[해설작성자 : 흠냐]

83. 440V용 전동기의 외함을 접지할 때 접지저항값은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1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Kicc]

8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는가?
     1. 1.2
     2. 1.8
     3. 2.2
     4. 2.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85. 무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탑의 기초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제164조(무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탑 등의 시설) 의 2
2. 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기초의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쏘세지]

86.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버스덕트 공사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7.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
     1. 0.6
     2. 1.0
     3. 1.2
     4. 1.5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2021년 1월 1일 부터 KEC 규정 적용되어 정답 1m
직접매설식, 관로식 모두 차량 기타 중량물 압력 받을 우려 있으면 1m, 기타 0.6m
[해설작성자 : 흠냐]

88.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
     1.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 인 경우
     2.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3. 옥내에 설치한 기계기구를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치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공장 등의 구내에서 기계기구의 주위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89.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주에서 각도형은 전선로 중 몇 도를 넘는 수평 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8%

90.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 시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가 100mA 이며 제 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기적 위험도가 높은 장소인 경우이다.)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8%

91.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일반적인 경우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3
     2. 4.8
     3. 5.2
     4. 5.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Kicc]

92. 빙설의 정도에 따라 풍압하중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내용 중 옳은 것은? (단, 빙설이 많은 지방 중 해안지방 기타 저온계절에 최대풍압이 생기는 지방은 제외한다.)
     1. 빙설이 많은 지방에서는 고온계절에는 갑종 풍압하중, 저온계절에는 을종 풍압하중을 적용한다.
     2. 빙설이 많은 지방에서는 고온계절에는 을종 풍압하중, 저온계절에는 갑종 풍압하중을 적용한다.
     3. 빙설이 적은 지방에서는 고온계절에는 갑종 풍압하중, 저온계절에는 을종 풍압하중을 적용한다.
     4. 빙설이 적은 지방에서는 고온계절에는 을종 풍압하중, 저온계절에는 갑종 풍압하중을 적용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4%

93. 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으로 나경동선을 사용할 때의 최소 굵기(mm)는?
     1. 3.2
     2. 3.5
     3. 4.0
     4. 5.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94. 특고압용 변압기의 보호장치인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 변압기의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유입 풍냉식
     2. 유입 자냉식
     3. 송유 풍냉식
     4. 송유 수냉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7%

95.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지선의 안전율은 2.2 이상이어야 한다.
     2.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素線) 3가닥 이상이어야 한다.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4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20cm 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9%

96. 전기집진장치에 특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변압기로부터 정류기에 이르는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제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1%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7. 조상설비의 조상기(趙尙基)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하는 뱅크용량(kVA)으로 옳은 것은?
     1. 1000
     2. 1500
     3. 10000
     4. 1500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6%

98.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정격 출력이 7.5kW 이상인 경우
     2. 정격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3. 정격 출력이 2.5kW 이며, 과전류 차단기가 없는 경우
     4. 전동기 출력이 4kW 이며, 취급자가 감시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1%

99. 어떤 공장에서 케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전압이 22kV인 가공전선을 건물 옆쪽에서 1차 접근상태로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과 건물의 조영재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
     2. 80
     3. 100
     4. 12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15%
     <문제 해설>
2021년판 KEC규정
35kv 이하 특고압과 상부조영재와 이격거리
나전선 3m, 특고압 절연전선 2.5m(옆쪽지날떄 1.5m), 케이블 1.2m (옆쪽지날때 0.5m)
케이블 이면서 옆쪽이니까 0.5m = 50cm
[해설작성자 : 흠냐]

100. 사용전압 66kV의 가공전선로를 시가지에 시설할 경우 전선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몇 m 인가?
     1. 6.48
     2. 8.36
     3. 10.48
     4. 12.3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23%
     <문제 해설>
(66-35)/10=3.1
3.1이므로 4단
35kV 이상시 10+단수*0.12 [m]
따라서 10.48

참고
35kV 이하 10[m] (특고압 절연전선인경우 8[m])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4월 27일(211928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0 피부미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10월 05일(4520159)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5
»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4월 27일(211928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517
548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10월 02일(625649)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
547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7월 31일(4회)(281824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4
546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4월 27일(63039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4
54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322634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
544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2월 05일(5471427)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3
543 항로표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7월 12일(4회)(336591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1
542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9월 04일(8413557)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2
541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978300) 좋은아빠되기 2022.07.06 622
540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5월 26일(977278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28
539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3월 06일(541522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53
538 판금제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4월 07일(8280952)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39
537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12월 05일(689901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76
536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8월 19일(442810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8
535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4월 06일(103995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94
534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2월 13일(1회)(819707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96
533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7월 02일(525742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61
53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6월 15일(948755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18
531 염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4회)(4272450)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