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4회)(5919216)


1과목 : 조선공학일반


1. 선체운동 중 만곡부 용골(bilge keel)과 가장 관계가 큰 운동은?
     1. 종요
     2. 슬래밍
     3. 횡요
     4. 피칭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 다음 중 수선면계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선면적
     2. 수선간 길이
     3. 형폭
     4. 형흘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 배의 길이 방향의 횡단면적 분포상태를 가장 잘 나타내는 계수는?
     1. 주형계수
     2. 중앙횡단면계수
     3. 수직주형계수
     4. 방형계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 담금질한 강을 상온에서 방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성질이 서서히 변하게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화
     2. 취소
     3. 시효
     4. 불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 방형계수(CB)가 0.7, 길이 50 m, 폭 9 m, 깊이 9 m, 흘수 5 m 인 선박의 배수량은? (단, 해수 비중은 1.025이다.)
     1. 1,575톤
     2. 1,614톤
     3. 2,845톤
     4. 2,921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 다음 선박 중 넓은 갑판을 가지며,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안정성을 가진 선박은?
     1. 수중익선
     2. 와이저선
     3. 쌍동선
     4. 공기부양선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7. 선박 추진축계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축계 자체의 진동이 작아야 한다.
     2. 선체 진동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3. 고속 운전에도 잘 견뎌야 한다.
     4. 주기관에 대한 반응이 느려야 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8. 선박의 하역설비와 관계없는 것은?
     1. 데릭 붐
     2. 윈치
     3. 화물창구
     4. 윈드라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9. 닻의 사용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
     1. 배를 임의의 위치에서 계선 정박할 때
     2. 좁은 수역에서 배의 앞부분을 회전시키려고 할 때
     3. 하역시 선박의 동요를 방지하고자 할 때
     4. 좌초된 선박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은 모양에 따른 배의 종류를 열거한 것이다. 겉모양이 가장 비슷한 것 끼리 짝지어진 것은?
     1. 평 갑판선 - 삼루형선
     2. 차랑 갑판선 - 복 갑판선
     3. 웰 갑판선 - 차랑 갑판선
     4. 복 갑판선 - 웰 갑판선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1. 프로펠러의 공동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로펠러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2. 러더(rudder)의 측면적을 크게 한다.
     3. 감속장치를 설치한다.
     4. 지름이 큰 프로펠러를 사용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2. 선박의 재화중량(載貨重量)을 나타내는 영문 약자는?
     1. LW
     2. WT
     3. DW
     4. N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3. 선박 현호의 기능 설명 중 틀린 것은?
     1. 능파성을 증대시킨다.
     2. 선체의 예비부력을 증대시킨다.
     3. 침수시 선수의 횡경사를 좋게 한다.
     4. 배수를 원활히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4. 어떤 선박의 선수흘수가 1.02 m, 선미흘수가 1.90 m 일 경우 이 배의 트림은?
     1. 선미트림 0.88 m
     2. 선수트림 0.88 m
     3. 선미트림 0.44 m
     4. 선수트림 0.44 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5. 길이 100 m, 폭 14 m 의 배가 바다에 떠 있다. 이 배의 수선면적계수가 0.774 일 때 50 톤의 중량을 실었다면, 흘수의 일정한 증가량은?
     1. 2.5 cm
     2. 3.7 cm
     3. 4.6 cm
     4. 5.4 c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6. 선체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특수강은?
     1. 고장력강
     2. 연강
     3. 반연강
     4. 탄소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7. 정수 중에 떠 있는 선박의 화물을 좌현에서 우현으로 이동하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중심 G가 수평 이동한다.
     2. 부심 B가 수평 이동한다.
     3. 배수 용적의 형태가 변화한다.
     4. 흘수의 변화가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8. 선박용 재료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에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것은?
     1. MRC
     2. 합판
     3. FRP
     4. 폴리우레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중 비철금속 재료가 아닌 것은?
     1. 구리
     2. 알루미늄
     3. 아연
     4. 합금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0. 기하학적으로 상사한 두 선박의 프루드수가 동일하게 되는 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대응속도
     2. 전진속도
     3. 반류속도
     4. 실선속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선박건조


21. 블록 기준선을 선정할 때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버톡 라인
     2. 워터 라인
     3. 프레임 라인
     4. 만재흘수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2. 선대 공사의 공정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1.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블록탑재 → 끝손질 → 선형의 결정 → 검사
     2.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선형의 결정 → 블록탑재 → 끝손질 → 검사
     3.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블록탑재 → 선형의 결정 → 끝손질 → 검사
     4. 블록탑재 →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검사 → 끝손질 → 선형의 결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3. 강재를 도장작업 하기 전에 표면에 부착된 밀 스케일과 이 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1. 코킹
     2. 가우징
     3. 숏 블래스트
     4. 핸드 레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4. 탱크 내의 도장작업시 안전에 위배되는 사항은?
     1. 탱크 내부가 어두울 때는 일반조명등을 설치해야 한다.
     2. 탱크 내부에는 발화성 물질을 휴대하지 않는다.
     3. 방독 마스크를 착용한다.
     4. 환기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5. 조선소의 부재치장 면적을 포함한 조립정반 면적은 선대 면적의 어느 정도로 하는가?
     1. 선대면적의 100 - 150 %
     2. 선대면적의 70 - 80 %
     3. 선대면적의 80 - 100 %
     4. 선대면적의 50 - 70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6. 관의 굽힘 작업에서 굽힘각도 60°, 곡률 반지름 30 ㎝ 일 때 굽힘부 길이는 몇 cm 인가?
     1. 30 ㎝
     2. 31.4 ㎝
     3. 62.8 ㎝
     4. 94.2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7. 선체를 지지하는 반목 중 반목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진수시 반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지(地) 반목
     2. 콘크리이트 반목
     3. 강제 반목
     4. 모래 반목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8. 다음 중 원척현도 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뜨기 작업
     2. 공사용 선체선도 작업
     3. 현도 전개작업
     4. 마킹 작업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29. 가스절단(아세틸렌 - 산소불꽃)은 어떠한 현상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인가?
     1. 철의 산화현상
     2. 철의 용융현상
     3. 산소의 조연성현상
     4. 산소와 아세틸렌의 결합현상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0. 작업장에서 안전사고 중 인사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가장 먼저 목격한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은?
     1. 즉시 사고원인을 조사분석하여 상급자에게 보고한다.
     2. 즉시 응급치료를 한 다음 가까운 파출소에 연락한다.
     3. 즉시 응급조치를 한 다음 소속 책임자에게 즉시 보고한다.
     4. 즉시 응급조치를 한 다음 가까운 소방서에 연락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1. 가용접에 대한 일반적인 주의사항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용착량은 되도록 최소량으로 한다.
     2. 용착량의 과다 때문에 부재에 대하여 과대한 구속으로 본 용접에 나쁜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3. 이음의 끝 부분이나 용접이 끝나는 부분 등에 가접을 해야 한다.
     4. 본 용접 시공 중의 수축 변형에 의해 용착 부분의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2. 공업용 고압가스 용기에 대한 법정 색상으로 옳은 것은?
     1. 수소 - 주황색
     2. 알곤 - 백색
     3. 산소 - 청색
     4. 액화탄산가스 - 황색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 중 조선소의 부재 또는 블록 운반 기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크레인
     2. 트랜스 포터
     3. 컨베이어
     4. 컴프레셔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4. 마모된 표면에 같은 재질의 용접봉으로 육성용접하여 본래 치수로 만드는 용접은?
     1. 빌트 업 용접(built up welding)
     2. 플러그 용접(plug welding)
     3. 랩 용접(lap welding)
     4. 필랫 용접(fillet weld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5. 스톱 홀(stop hole)을 뚫어서 보수하여야 하는 용접 불량 부분은?
     1. 언더컷
     2. 오버랩
     3. 균열
     4. 용입불량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6. 일반 배치도에 사용되는 약어 중 볼러드를 나타내는 것은?
     1. B
     2. F
     3. MR.P
     4. A.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7. 선체 이중저의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1. 내저판
     2. 늑판
     3. 중심선 거더
     4. 특설 늑골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8. 다음 선체 격벽 중 가장 견고한 구조로 해야 하는 것은?
     1. 선수 격벽
     2. 선미 격벽
     3. 기관실 격벽
     4. 축로 격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39. 이중저 구조와 비교하여 단저 구조가 좋은 점은?
     1. 공선시에 밸러스트용으로 이용된다.
     2. 재료가 적게 들고 공사가 용이하다.
     3. 선저의 강도가 증가된다.
     4. 좌초 등에 의한 외판의 손상때, 해수가 배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0. 컨테이너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창구덮게(hatch cover)형은?
     1. 폴딩식
     2. 폰툰형
     3. 싱글폴식
     4. 사이드 롤링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1. 선체 선도에 나타나는 선의 종류 중 측면도와 반폭도에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은?
     1. 횡단면선
     2. 종단면선
     3. 수선
     4. 경사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2. 선박구조도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보강재의 끝단 처리가 S로 표시된 것은?

    

     1. 스톱(stop)
     2. 브래킷(bracket)
     3. 스닙(snip)
     4. 스트랩 용접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3. 선체의 중앙횡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구조 단면도이다.
     2. 구조규칙에 따라 부재치수를 정한다.
     3. 화물창은 좌현, 기관실은 우현에 나타낸다
     4. 선미에서 선수쪽으로 본 모양을 작도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4. 다음 그림에서 형깊이를 나타내는 것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5. 그림과 같이 종방향으로 부재가 관통하는 경우의 기호로 옳은 것은? (단,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

    

     1.
     2.
     3.
     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6. 선박의 길이가 150 m 인 화물선의 선수현호가 1.2 m 이라면 선미현호는 대략 얼마인가?
     1. 2.4 m
     2. 1.2 m
     3. 1.0 m
     4. 0.6 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7. 선박에서 필러(pillar)를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보를 떠받쳐서 갑판 위의 하중을 지지한다.
     2. 갑판 보의 지점간의 거리를 짧게 하여 강도를 높인다.
     3. 갑판과 선저를 연결하여 선체 가로 방향의 형상을 유지한다.
     4. 선체의 상하부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종강력을 증가 시킨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8. 선박 의장에서 버섯형 통풍통의 영어 약자는?
     1. V.L
     2. L.BT
     3. R.H
     4. M.V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49. K.S의 부문별 기호 중 조선 부문을 나타내는 기호는?
     1. KS A
     2. KS B
     3. KS D
     4. KS V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0. 도면에서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등에 사용되는 선은?
     1. 굵은실선
     2. 가는실선
     3. 가는파선
     4. 가는 일점쇄선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1. 다음의 선체 선저부 중 특별히 보강을 요하지 않는 곳은?
     1. 선수선저
     2. 선미선저
     3. 기관실선저
     4. 화물창선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2. 선미구조의 설계시 특히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은?
     1. 타(舵) 및 프로펠러의 영향
     2. 충돌, 좌초 또는 파도의 충격
     3. 수압
     4. 기관실의 위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3. 선루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선루는 그 외벽이 현측에서 상당히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2. 선루의 구조는 상갑판 아래의 주구조물에 준하여 견고한 구조로 한다.
     3. 선루는 상갑판 위 제 1층의 상부 구조물이다.
     4. 선루는 예비 부력을 분담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선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와 그 역할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늑판(floor) - 선저외판 지지
     2. 늑골(frame) - 선측외판 지지
     3. 갑판보(deck beam) - 갑판 지지
     4. 갑판하 거더(deck girder) - 늑골 지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5. 아래 도면에서 지시선은 어느 것인가?

    

     1.
     2.
     3.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6. 강판의 뒷면에 있는 거더, 특설늑골 등의 구조 부재를 표시하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실선
     3. 가는 일점쇄선
     4. 굵은 일점쇄선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7. 격벽(bulkhea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량창고 등은 비수밀 격벽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선수격벽은 반드시 파형격벽으로 하여야 한다.
     3. 디프 탱크 격벽은 수압을 받으므로 같은 위치의 격벽보다 견고한 구조로 한다.
     4. 보강재를 생략하고 격벽판을 굴곡시켜 강도를 갖게 한 격벽을 파형격벽이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8. 선체의 강재 배치도와 무관한 도면은?
     1. 갑판도
     2. 판 이음도
     3. 격벽 정면도
     4. 선체의 종단면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59. 선루의 종류 중 선교류(bridge)의 역할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중앙 기관선에서 기관실을 보호한다.
     2. 예비부력을 갖게 한다.
     3.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갖게 한다.
     4. 선실을 제공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60. 선박의 조파저항 감소 및 충돌시 수선 아래 부분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선수 형상은?
     1. 경사형 선수
     2. 래킹 선수
     3. 클리퍼형 선수
     4. 구상 선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알수없음

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 07월 17일(4회)(591921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0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8월 07일(558056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
42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49681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
428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047회)(908815) 좋은아빠되기 2022.05.25 16
42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18일(7084687) 좋은아빠되기 2022.05.25 16
426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 10월 05일(5회)(2694881) 좋은아빠되기 2022.05.24 16
425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4282007) 좋은아빠되기 2022.05.24 16
424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2월 05일(2569234) 좋은아빠되기 2022.05.24 16
4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6월 13일(4529405) 좋은아빠되기 2022.05.21 16
422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9월 05일(7891205)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6
4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7084082) 좋은아빠되기 2022.05.20 16
4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3월 24일(9971816) 좋은아빠되기 2022.04.06 16
419 관광통역안내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4월 06일(5193354) 좋은아빠되기 2022.04.06 16
418 수산양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3월 28일(2회)(6600812) 좋은아빠되기 2022.04.05 16
41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6
416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1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6
415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6
414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6
413 소방공무원(공개)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4 16
412 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1월3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6
411 항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7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6
Board Pagination Prev 1 ...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