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자산 창출을 위한 내부 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자산으로 인식한다.
3.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무형자산으로 인식한다.
4.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어떠한 경우에도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번은 국제회계기준(IFRS) 및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른 정확한 설명 내부 프로젝트가 연구단계인지 개발단계인지 구분이 안 되면, 보수적으로 접근하여 모두 비용 처리(연구단계) 해야 함. 연구단계 지출은 무형자산으로 인식 불가, 개발단계는 일정 요건을 만족할 경우 무형자산으로 인식 가능. 2번은 내부적으로 창출된 영업권은 자산으로 인식 불가. 공정가치와 상관없이 회계기준상 인식 금지. 3번은 연구단계 지출은 비용 처리가 원칙. 자산으로 인식 불가. 4번은 과거 국내 기준에서는 이런 제한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용가능한 수명이 합리적으로 추정된다면 20년 초과도 가능 (IFRS 기준). [해설작성자 : 이직성공하고싶어요]
3.
다음 중 채무증권으로만 분류되는 유가증권은 무엇인가?
1.
단기매매증권
2.
매도가능증권
3.
만기보유증권
4.
지분법적용투자주식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단기매매증권과 매도가능증권은 채무증권도 되고 지분증권도 된다.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은 지분증권만 해당된다. 즉, 정답은 3번 만기보유증권은 채무증권으로만 분류되는 유가증권이다. [해설작성자 : 이직성공하고싶어요]
4.
다음 중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가상각은 자산이 사용 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2.
감가상각대상금액은 내용연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배분한다.
3.
내용연수 도중 사용을 중단하고 처분 예정인 유형자산은 사용을 중단한 시점의 장부금액으로 표시한다.
4.
감가상각방법 중 연수합계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감가상각액이 매 기간 증가하는 방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 연수합계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감가상각액이 매 기간 감소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상 오류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류수정은 전기 또는 그 이전의 재무제표에 포함된 회계적 오류를 당기에 발견하여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당기에 발견한 전기 또는 그 이전 기간의 오류 중 중대한 오류가 아닌 경우에는 영업외손익 중 전기오류수정손익으로 보고한다.
3.
전기 이전 기간에 발생한 중대한 오류의 수정은 발견 당시 회계기간의 재무제표 항목을 재작성한다.
4.
중대한 오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오류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 일반기업회계기준 문단 5.19] 중대한 오류수정은 중대한 오류의 영향을 받는 회계기간의 재무제표 항목을 재작성한다. [해설작성자 : 장찬혁]
6.
다음 중 공장에서 사용하는 제품 제조용 전기요금에 대한 원가행태로 옳은 것은?
1.
변동원가, 가공원가
2.
변동원가, 기초원가
3.
고정원가, 가공원가
4.
고정원가, 기초원가
정답 : [
1
] 정답률 : 70%
7.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초제품재고액
2.
기말원재료재고액
3.
당기제품제조원가
4.
기말재공품재고액
정답 : [
1
] 정답률 : 68%
8.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성품환산량이란 일정기간에 투입한 원가를 그 기간에 완성품만을 생산하는 데 투입하였다면 완성되었을 완성품 수량을 의미한다.
2.
동종제품, 대량생산, 연속생산의 공정에 적합한 원가계산제도이다.
3.
정유업, 화학공업, 시멘트공업에 적합하다.
4.
원가의 정확성이 높으며, 작업원가표를 주요 원가자료로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9.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간접원가 배부액과 제조원가를 각각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제조간접원가는 기계작업시간을 기준으로 예정배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