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유동부채란?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를 의미. 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계정과목: 미지급금, 선수금, 외상매입금, 유동성장기부채(장기부채 중 1년 이내 상환분) 비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계정과목: 장기차입금(1년 초과 상환예정), 퇴직급여충당부채(장기부채) 즉, 3,000,000+1,000,000+3,500,000+1,500,000=9,000,000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상 유형자산이 아닌 것은?
1.
사업용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매입한 토지
2.
부동산매매업자가 판매목적으로 매입한 건물
3.
부동산임대업자가 임대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토지와 건물
4.
제품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서 취득한 기계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 판매목적으로 매입한 건물은 재고자산으로 분류해야 함. 나머지 보기는 모두 유형자산으로 분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중 사채의 발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유효이자율보다 큰 경우에는 발행가액이 할증된다.
2.
사채가 할인발행 되는 경우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감소한다.
3.
사채가 할증발행 되는 경우 액면이자는 매년 일정하다.
4.
사채가 할인발행 되는 경우 유효이자는 만기까지 매년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사채의 발행 사채를 액면 금액으로 발행하는 경우 사채는 액면 금액으로 발행,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일정, 사채의 액면, 유효이자는 매년 일정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유효이자율보다 큼 -> 할증발행 사채는 액면금액보다 큰 금액으로 발행,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감소, 사채의 액면 이자는 매년 일정 사채의 유효이자는 매년 감소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유효이자율보다 작음 -> 할인발행 사채는 액면금액보다 작은 금액으로 발행,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증가, 사채의 액면 이자는 매년 일정 사채의 유효이자는 매년 증가
2. 사채가 할인발행되는 경우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증가함. : 사채가 할인발행되는 경우 사채는 액면 금액보다 작은 금액으로 발행됨. 사채가 만기에 도달하게 될 때 사채의 장부가액이 액면금액과 동일해져야 하므로 사채의 장부가액은 매년 증가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장찬혁]
당사는 2개의 제조부문을 가지고 제품 A와 B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당해 제조부문별 예산제조간접원가는 제조부문1이 1,024,000원, 제조부문2는 3,000,000원이다. 제품 A의 생산량은 300개, 제품 B의 생산량은 400개이다. 제품 1개당 생산에 투입된 직접노동시간은 다음과 같다.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부문1의 노동시간당 예정배부율은 얼마인가?
1.
285원
2.
292원
3.
320원
4.
340원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제조부문 1의 직접노동 시간 = (4시간 * 300개)+(5시간 * 400개)= 3200시간
1,024,000/3200 = 320원 [해설작성자 : 장찬혁]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면제되지 않는 경우는?
1.
구매확인서에 의해 공급되는 재화
2.
미용업자가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
3.
택시운송사업자가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
4.
부동산임대업자의 부동산임대용역 중 간주임대료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부가가치세법 제32조, 구매확인서에 의해 공급되는 재화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장찬혁]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의제매입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사업자는?
1.
빵을 판매하는 간이과세자
2.
한정식집을 운영하는 법인사업자
3.
수산물을 판매하는 면세사업자
4.
소매업을 운영하는 일반과세자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의제매입세액공제는 부가가치세법상 일반과세자가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하여 제조 및 가공한 재화 등의 공급에 대해 부가가치세가 과세 되는 경우 적용받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장찬혁]
13.
다음은 2022년 1월에 간이과세자로 카페를 개업한 최민준씨의 연도별 공급대가이다. 일반과세자로 변경되는 시점으로 옳은 것은?
1.
2024년 1월 1일
2.
2024년 7월 1일
3.
2025년 1월 1일
4.
2025년 7월 1일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간이과세기준(104,000,000원)을 넘는 연도의 다음연도 7월 1일부터 일반과세자로 변경 2024년에 간이과세 기준 넘으므로 2025년 7월 1일에 일반과세자로 변경 [해설작성자 : 장찬혁]
14.
다음 중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작자가 저작권의 양도 또는 사용의 대가로 받는 금품은 기타소득이다.
2.
뇌물은 기타소득이다.
3.
고용관계 없이 다수인에게 강연을 하고 강연료로 12만원을 받았다면 소득세를 과세하지 않는다.
4.
기타소득금액은 해당 과세기간의 총수입금액에서 이에 사용된 필요경비를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저작권의 양도 또는 사용의 대가가 저작자 본인에게 귀속되는 경우 이는 사업소득으로 분류
2. 뇌물은 종합과세되는 기타소득 3. 고용관계 없이 다수인에게 강연을하고 강연료로 받은 소득은 기타소득, 필요경비를 차감한 소득금액은 120,000/(1-0.6)=48,000원, 건별 5만원 이하의 기타소득금액은 비과세 소득 4. 맞음. [해설작성자 : 장찬혁]
15.
거주자 김소희씨의 2024년 소득금액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2024년 귀속 종합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8,000,000원
2.
9,000,000원
3.
11,000,000원
4.
13,000,000원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 9,000,000원 ㆍ근로소득금액 4,000,000원+사업소득금액(건설업) 8,000,000원-사업소득금액(주거용 부동산임대업) 3,000,000원=9,000,000원 ㆍ퇴직소득은 분류과세 소득이고, 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할 수 있으나 비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장찬혁]
정확한 세법상 "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할 수 있으나 비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할 수 없다."는 말은 완전 틀렸습니다.. 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소득과 통산불가하고, 비주거용 부동산임대업의 결손금은 다른소득금액에서 통산가능하여 공제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