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06월01일


1과목 : 선박의 구조 및 흘수 계산방법


1. 선박의 배수량 등곡선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선 면적은 수면 아래의 선체 표면적을 말하고 AV로 표시한다.
     2. 선체 외판 부분을 포함한 배수량은 해당 흘수에서의 선박 무게이다.
     3. 부심의 상하 위치는 기선에서 부심까지의 거리로서 KB로 표시한다.
     4. 배수 용적은 물속에 잠겨 있는 선체의 내부 용적으로 형배수 용적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배수량 등곡선도에 의한 배수량이 102,500 톤인 선박이 해수비중 1.024인 곳에서의 수정된 배수량(톤)은? (단, 선체의 변형은 무시하고, 해수의 비중만을 고려한다.)
     1. 102,300
     2. 102,400
     3. 102,500
     4. 102,6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원양항행 화물선의 만재 흘수선 표시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만재흘수선은 표시선의 하단이 그 기준이 된다.
     2. 원표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은 하기만재흘수선이다.
     3. 유조선 또는 그와 동등한 구조를 가진 선박을 A형 선박이라 한다.
     4. 길이 100 m 이상의 선박은 동기 북대서양 만재흘수선(WNA) 표시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길이 150 m, 폭 20 m, 평균흘수 6 m인 선박의 수선면적이 2,000 m2일 때, 매 cm 배수톤은? (단, 선박은 표준해수 중에 떠 있다.)
     1. 20.0
     2. 20.5
     3. 21.0
     4. 2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배수량 10,000 톤의 선박이 해수비중 1.025인 해역에서 1.000인 해역으로 입항할 때, 흘수의 변화(cm)는? (단, 배수량의 변화는 없고 Tcm는 20 톤이다.)
     1. 10.0
     2. 10.5
     3. 12.0
     4. 12.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적화용적(cargo capac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틈율은 화물틈을 베일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2. 통풍, 환기 및 팽창을 고려한 여분의 공간도 화물틈에 해당된다.
     3. 베일용적은 포장된 화물을 선창 내 실었을 때 차지하는 선창용적이다.
     4. 베일용적은 선창 내 사이드 스파링의 내면, 선저 내판의 윗면, 갑판빔의 밑면으로 이루어진 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특정화물의 포장별 용적 검량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럼(drum)은 테가 있는 부분의 지름×지름×높이로 측정한다.
     2. 파이프(pipe)의 폭과 높이가 지름이 되고 길이는 기장이 된다.
     3. 나무술통(barrel)의 가로와 세로는 중간부분의 배가 나온 최대치로 정하고, 높이도 최대치로 측정한다.
     4. 포대(bag)는 밑이 반듯한 곳에 1포대×1포대 배열로 높이 2단을 쌓아놓고 최대부분을 측정하여 용적을 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이형화물의 검량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을 하지 않은 자전거의 폭은 손잡이의 끝에서 끝까지 측정한다.
     2. 불규칙한 형태의 상자는 본체부와 돌출부를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3. 화물이 넘어지지 않도록 붙인 지지대는 그 형태에 관계없이 최대치로 측정한다.
     4. 소형선은 길이와 폭은 최대치로 측정하고, 높이는 선수와 선체 중앙 및 선미의 높이를 평균하여 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할재(cant)의 검측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Brereton scale
     2. Conference scale
     3. Hoppus string scale
     4. Mean measur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중량톤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원통형직관(파이프류)의 검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쪽 끝에 소켓이 있는 경우에는 양쪽 외경의 평균치를 적용한다.
     2. 양쪽 끝에 규격이 동일한 소켓이 있는 경우에는 외경의 최대치로 한다.
     3. 양쪽 끝에 규격이 다른 소켓이 있는 경우에는 큰 쪽의 규격을 적용한다.
     4. 양단에 얇은 포, 가는 마끈 또는 철테 등으로 감은 것을 제외하고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등흘수 6 m인 화물선이 FPT의 청수를 APT로 이동시켜서 50 cm 선미트림으로 하려면 몇 톤의 청수를 옮겨야 하는가? (단, FPT와 APT간 거리는 150 m이고, Mcm은 150 mㆍton이다.)
     1. 30
     2. 50
     3. 100
     4. 15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순톤수(Net Tonnage) 산정 시 공제하는 용적을 모두 고른 것은?

    

     1.
     2. ㄷ, ㄹ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선박의 톤수에 해당하는 것은?

    

     1. 총톤수
     2. 운하 톤수
     3. 재화 용적 톤수
     4. 재화 중량 톤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비중 1.025인 해수 중에 있는 배수량 5,125 톤 선박의 수면하 용적(m3)은?
     1. 4,875
     2. 5,000
     3. 5,253
     4. 5,5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다음 (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ㄱ: 위, ㄴ: 유면
     2. ㄱ: 위, ㄴ: 최하단
     3. ㄱ: 바닥, ㄴ: 유면
     4. ㄱ: 바닥, ㄴ: 최하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UTI(Ullage Temperature Interfa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llage를 측정할 수 있다.
     2. 유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3. 온도를 측정하여 화물의 부피를 구한다.
     4. 액체화물 탱크의 바닥에서부터 깊이를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액체화물의 화물량 보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보정은 기준온도 5℃로 환산한다.
     2. 힐보정 방법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힐링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3. 힐링이 발생한 경우 측정하는 위치에 따라 측정값이 다르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4. 트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본선에 비치되어있는 트림 테이블을 참조하여 보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A선박에 적재된 액체화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제 기름의 무게는 324 M/T이다.
     2. 기름의 비중 0.9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3. 기름이 기준 온도보다 더 냉각된 상태이다.
     4. 가열된 상태가 아니므로 온도보정은 필요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다음 ( )에 들어갈 길이 단위가 순서대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yard - m - feet
     2. feet - inch - cm
     3. fathom - cm - cable
     4. shackle - yard - inch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섭씨온도계와 화씨온도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표준대기압 상태로 가정한다.)
     1. 섭씨온도계에서 물은 212℃ 이상에서 끓는다.
     2. 화씨온도 41 ℉를 섭씨온도로 환산하면 5 ℃이다.
     3. 화씨온도계에서 물은 0℉ 이하에서 얼기 시작한다.
     4. 섭씨온도계는 물의 빙점과 비등점 사이의 온도 차이를 180개의 균등한 눈금으로 나누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다음 조건에서 측정한 평균 해수비중으로 옳은 것은?

    

     1. 1.002
     2. 1.005
     3. 1.007
     4. 1.01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불명중량(constant)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다음 중 가장 가벼운 것은?
     1. 3 L/T
     2. 4 S/T
     3. 3,000 kg
     4. 5,000 lb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선박의 화물 검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량의 가장 큰 목적은 운임의 산정에 있다.
     2. 중량의 경우 포장 및 용기를 제외한 순중량을 구한다.
     3. 산적 화물선의 경우 흘수감정에 따라 중량을 산정한다.
     4. 용적의 경우 적부 상태에서 화물이 차지하는 부분을 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26. 항만운송사업법 상 교육훈련기관의 설립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선박의 용골 가운데 역할이 다른 것은?
     1. 방형 용골
     2. 평판 용골
     3. 덕트 용골
     4. 만곡부 용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해수 비중을 측정할 때 채수기 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 온도와 채수기 온도 차이를 없애야 한다.
     2. 채수기에 비중계를 넣어도 해수가 넘치지 않아야 한다.
     3. 비중계에 기포나 손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4. 물의 표면장력으로 약간 올라간 부분의 눈금을 읽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4,100 톤 선박이 바다를 항해할 때 흘수선 용적이 4,000 m3이였는데, 기수해역으로 진입한 후 용적이 40 m3 증가하였다면 이 지역의 물 비중은? (단,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1.005
     2. 1.010
     3. 1.015
     4. 1.0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화물 종류에 대한 명칭과 내용이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악취성 화물 - 높은 온도에서 녹아 흐르는 화물
     2. 흡습성 화물 - 분말을 산란하여 다른 화물을 오손하는 화물
     3. 분진성 화물 - 강력한 악취를 내고 벌레가 생기는 화물
     4. 정량 화물 - 청결 건조하고 선창 내 상접하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의 내용으로 ( )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ㄱ: 운송 및 저장, ㄴ: 취급자, ㄷ: 상용위험물
     2. ㄱ: 운송 및 저장, ㄴ: 판매자, ㄷ: 상용위험물
     3. ㄱ: 생산 및 보관, ㄴ: 취급자, ㄷ: 특수위험물
     4. ㄱ: 생산 및 보관, ㄴ: 판매자, ㄷ: 특수위험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자동차의 검량 시 공제해야 하는 부분은?
     1. 범퍼
     2. 시트
     3. 타이어
     4. 스티어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항만운송사업법 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은?
     1. 항만용역업
     2. 선용품공급업
     3. 선체수중생물제거업
     4. 컨테이너수리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하역설비를 구성하는 로프(rop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분과 습기에 노출되어 부식이나 뒤틀림이 유발될 수 있다.
     2. 보통 100 m 단위로 코일을 만든다.
     3. 소선을 수개 또는 수십 개 모아 구성되는 스트랜드를 몇 가닥씩 꼰 것이다.
     4. 안전을 위하여 적절한 강도를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하역 장비 가운데 컨테이너를 양각(兩脚)에 끼우고 운반하는 장비는?
     1. Straddle carrier
     2. Transfer crane
     3. Gantry crane
     4. Reach stack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LASH 운송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룻배에 화물을 적부하여 Unit load로 해서 그대로 본선에 적재하는 방식이다.
     2. 컨테이너화 또는 팔렛트화 보다 더 소량 화물만을 운송할 수 있다.
     3. 거룻배를 그대로 예항하여 목적지로 운반할 수 있다.
     4. 화물 종류에 따라 하천항 등 수심이 얕은 항구에 능률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Feeder Servi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요 수송 로드에서 컨테이너 운송을 보조할 수 있다.
     2. 컨테이너선 적하를 증가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Break bulk cargo 운송에 편리하다.
     4. 외항 컨테이너선이 기항하는 항구를 기점으로 가까운 곳 또는 먼 항구의 화물을 소형선으로 기지항구로 운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항만법 상 항만시설의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로, 정박지 및 소형선 정박지는 항만친수시설이다.
     2. 고정식 또는 이동식 하역장비, 화물 이송시설은 기본시설이다.
     3. 보관창고, 집배송장, 복합화물터미널 및 정비고는 지원시설이다.
     4. 해양전망대, 산책로 및 해안 녹지는 기능시설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컨테이너가 들릴 때 부러지지 않도록 종강력을 형성하는 골재는?
     1. 코너 포스트
     2. 사이드 레일
     3. 코너 캐스팅
     4. 골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컨테이너 번호 ‘HLCJ 840 491 6’의 구성 의미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ㄷ - ㄹ - ㄱ
     3. ㄷ - ㄱ - ㄴ - ㄹ
     4. ㄷ - ㄹ - ㄴ - 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컨테이너의 ISO 규격표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와 영문자를 혼합하여 4자리로 표기한다.
     2. 첫 번째 기호는 컨테이너의 길이를 의미한다.
     3. 두 번째 기호는 컨테이너의 높이와 폭을 의미한다.
     4. 세 번째와 네 번째 기호는 컨테이너의 재질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컨테이너의 세관승인표찰에 기입되는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ㅁ, ㅂ
     3. ㄴ, ㄷ, ㄹ
     4. ㄷ, ㄹ, ㅂ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컨테이너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표준을 초과한 화물 적재에 적합하다.
     2. 냉동 컨테이너는 온도 조절이 필요한 화물 적재에 적합하다.
     3. 탱크 컨테이너는 유류, 화학제품과 같은 액체화물 운송에 적합하다.
     4. 하이 큐브 컨테이너는 ISO 규격 컨테이너보다 1피트 높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빈 컨테이너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은?
     1. PAYLOAD
     2. MAX.GROSS
     3. NET
     4. TAR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항만하역장비의 제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정은 스프레더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권상 최대능력을 말한다.
     2. 스팬은 레일 궤도를 주행하는 경우에 레일간 거리를 말한다.
     3. 안벽 크레인의 주행속도는 무부하시 속도로 표시한다.
     4. 권상속도는 스프레더가 들어 올리는 최고 속도로 부하시와 무부하시로 나누어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드럼(Drum)과 롤(Roll)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롤 화물은 변형 또는 파손 방지를 위해 세워서 적재한다.
     2. 롤 화물은 화물사이에 틈이 없도록 깔개나 완충재를 사용한다.
     3. 드럼 화물은 마개를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적재한다.
     4. 드럼 화물의 겹침 적재 시는 깔개를 끼워 하중의 균형과 안전을 도모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베이 넘버는 선미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진다.
     2. 베이 넘버는 20 피트의 경우 짝수, 40피트의 경우 홀수이다.
     3. 로우 넘버는 선박의 오른편을 홀수로, 왼편을 짝수로 한다.
     4. 로우 넘버에서 로우 개수가 홀수인 경우 맨 중앙은 ‘00’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적화관련 서류 중 양하항에서 발급되는 서류는?
     1. Mate's receipt
     2. Hatch list
     3. Manifest
     4. Boat not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수취인을 특정인으로 기명하여 제3자에게 양도가 허용되지 않는 선하증권은?
     1. Straight B/L
     2. Order B/L
     3. Received B/L
     4. Negotiable B/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컨테이너의 철도운송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OFC 방식은 컨테이너의 상하차가 용이하다.
     2. COFC 방식은 컨테이너 핸들러와 같은 하역장비가 필요하다.
     3. 피기백 방식은 컨테이너 처리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캥거루 방식은 적재된 화물의 높이가 피기백 방식보다 높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Measurement Rules의 증명서 발급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단어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total weight
     2. total volume
     3. total quality
     4. total quantit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General Cargo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Clean Cargo
     2. Dirty Cargo
     3. Liquid Cargo
     4. Perishable Cargo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Measurement Rules의 ( )에 적합한 것은?

    

     1. volume
     2. length
     3. density
     4. weigh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Measurement Rules상 컨테이너 등에 의해 선적될 경우, 적입 후 일괄계측(Overall Measuring) 화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Unpacked Rubber Lumps
     2. Unpacked Carpets
     3. Unpacked Stones
     4. Unpacked Baske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Survey Report의 일부이다. ( )에 적합한 것은?

    

     1. consignees
     2. exporters
     3. customers
     4. shipper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 )에 적합한 것은?

    

     1. Delivery Order
     2. Financial Document
     3. Clean Transport Document
     4. Customs Invoic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 )에 적합한 것은?

    

     1. irregular
     2. homogeneous
     3. similar
     4. harmoniou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Resumed loading."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선적 개시
     2. 선적 지연
     3. 선적 중단
     4. 선적 재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정기용선 계약에서 선박소유자가 부담하지 않는 비용 항목은?
     1. Repairs
     2. Bunkers
     3. Manning
     4. Insuranc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 )에 적합한 것은?

    

     1. Groupage B/L
     2. Optional B/L
     3. Hitchment B/L
     4. Stale B/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화물의 양하 시 인도 관련 서류가 아닌 것은?
     1. Boat Note
     2. Shipping Order
     3. Sea Protest
     4. Letter of Guarante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Shipping Order
     2. Certificate of Inspection
     3. Certificate of Measurement and Weight
     4. Shipping Requ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 )에 적합한 것은?

    

     1. impose requirements on foreign ships which have the practical effect of denying or impairing the right of innocent passage.
     2. prevent infringement of its customs, fiscal, immigration or sanitary laws and regulations within its territory or territorial sea.
     3. take the necessary steps to prevent any breach of the conditions to which admission of those ships to internal waters is subject.
     4. excercise its jurisdiction and control in administrative, technical and social matters over ships flying its fla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하역설비의 상태에 관한 영문 표현이 아닌 것은?
     1. The hold ladder is bent.
     2. The rubber seals of the hatch covers are damaged.
     3. The exhaust valve of No. 5 cylinder for main engine is damaged.
     4. The hold ventilators are operationa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다음 보고서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정박 중인 선박의 화물사고에 대한 내용이다.
     2. 부산에서 출항하여 도쿄로 항해 중 황천조우에 대한 사고보고서이다.
     3. 이 선박은 목재 운반선이다.
     4. 이 선박은 653개의 긴 파이프를 적재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 )에 적합한 것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12, territorial lines
     2. 24, territorial lines
     3. 150, base lines
     4. 200, base line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IMDG Code의 위험물 등급과 위험화물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 )에 적합한 것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compensation, ships
     2. liability, owners
     3. compensation, persons
     4. liability, organization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항해 중 발생한 화물사고의 화물 종류별 적요가 옳지 않은 것은?
     1. Bulk화물 - SALT, 3 BAGS TORN, CONTENTS ABOUT 20% MISSING
     2. 광석화물 - 2 BAGS ABOUT 5% SCRAP MIXED
     3. 식료품 - 7 BAGS SLIGHTLY MOULDED
     4. 유류제품 - CASE BROKEN CONTENT'S SOUN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해양사고 통신 영어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List, Danger of Capsizing: 명시되지 않은 조난
     2. Sinking: 침수
     3. Disabled and Adrift: 파손 및 표류
     4. Flooding: 침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Select the suitable one for the blank.

    

     1. drums
     2. logs
     3. bagged cargoes
     4. unpacked automobile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화물에 대한 주의 표시이다.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1. Handle with Care: 취급주의
     2. No Hooks: 갈고리 사용 금지
     3. Stow Level: 수직 적재
     4. Never Lay Flat: 눕혀 싣지 말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영문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Discharged frozen tuna after surveyor's inspection.: 검사원의 검사를 받은 후 냉동 다랑어를 선적함.
     2. 6 gangs ab'd. Start rigging.: 작업조 6개조가 하선함. 리깅을 시작함.
     3. Took in cargo through the night, kept sailors on watch at all hatches.: 철야 선적작업을 하였으며, 선창 모두에 선원들로 하여금 당직을 서도록 함.
     4. #4 K.O. No cargo activity, awaiting barge.: 4번창, 작업을 중단함. 바지를 기다리며 하역 작업을 다시 시작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화물 파손에 관한 적요는?
     1. 1 COIL(#2) PARTLY RUST STAINED
     2. NO MARK
     3. OPEN THE SIDE
     4. 10 PCS SHORT IN DISPUT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다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Winch
     2. Dunnage
     3. Davit
     4. Dredg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6월0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10월20일(16382)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9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05월24일(16383) 좋은아빠되기 2025.08.25 6
8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10월18일(16384)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7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5월27일(16385)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6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10월21일(16386)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5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5년05월03일(16387) 좋은아빠되기 2025.08.25 39
4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5년05월03일(16388)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0
»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06월01일(16389)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2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10월18일(16390) 좋은아빠되기 2025.08.25 1
1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05월24일(16391) 좋은아빠되기 2025.08.25 2
Board Pagination Prev 1 ... 1746 1747 1748 1749 1750 1751 1752 1753 1754 1755 Next
/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