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굳이 직류모터만 쓸 필요가 없고 교류모터도 사용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돌겜]
도어머신에 요구되는 조건
1. 소형이고 가벼워야 한다. 2. 동작이 원활하고 조용하여야 한다. 3.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4. 동작 빈도에 따른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직류모터(DC)와 교류모터(AC)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10배의법칙]
성능과 가격을 따짐 = 유지보수 가성비 도어모터의 경우 피로도가 상당하기에 부품이 저렴해야지 고장 시 교체 등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또한 승강기 제어반 서 전원을 끌어올 때 기종마다 직류냐 교류냐의 차이가 있어 겸용이 가능해야합니다 (법적으로도 직류 또는 교류만 사용하라는 내용이 없기에 설계자 마음)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4.
건물에 에스컬레이터를 배열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엘리베이터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2.
바닥 점유 면적을 되도록 작게 한다.
3.
승객의 보행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배열한다.
4.
건물의 지지보 등을 고려하여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는 엘리베이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면 하중을 보상받을수 없다 [해설작성자 : 키리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비슷한 곳에 있을 경우 사람이 많을 때 혼잡 할 수 있다. 거리가 멀면 유동인구를 분산 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괴물쥐화이팅]
5.
교류 이단속도(AC-2)제어 승강기에서 카 바닥과 각 층의 바닥면이 일치되도록 정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문제 해설> 조속기 스위치는 조속기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속기 링크와 연관되는 부분에 설치. 보통 세이프티 디바이스 링크부위에 설치 카도어 스위치는 인터록의 구성요소로 카도어장치에 설치됨 비상정지 스위치는 카 내 운전반에 설치되며 키박스로 잠겨있어 키를 소유한 이가 비상시 또는 점검시 사용 세이프티 슈 스위치는 도어 닫힘 안전장치인 세이프티슈의 작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로 카 도어의 맞닫는 부위에 기계식 슈를 설치할경우 설치된다. (경험과 기억에 의한 기준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는점 양해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승강기 자격증 카페]
조속기 스위치 : 기계실에 설치된 조속기 도르래 옆에 설치됨
카도어스위치 : 카도어 온/오프를 인식하는 스위치 비상정지 스시위치 : 카내부 또는 카상부에서 비상정지가 가능토록 제어하는 스위치 세이프티슈 스위치 : 카도어가 닫힐 때 사람이 끼지 않도록 인식하는 스위치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17.
다음 장치 중에서 작동되어도 카의 운행에 관계없는 것은?
1.
통화장치
2.
조속기 캐치
3.
승강장 도어의 열림
4.
과부하 감지 스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통화장치는 비상시에 쓰기 때문에 카의 운행에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전기제어과]
통화장치는 통신 시스템이라 운행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SJ]
18.
비상용 승강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예비전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전화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정전 시에는 예비전원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4.
승강기의 운행속도는 90m/min 이상으로 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비상용 승강기의 운행속도는 60m/min이상으로 해야합니다.
요즘은 60m/min 으로 안하고 초 단위로 계산해야합니다 이점 유의하세요 [해설작성자 : 폴라곰]
19.
사고 예방 대책 기본 원리 5단계 중 3E를 적용하는 단계는?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5단계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조 직(1단계 : 안전관리조직) 경영층이 참여, 안전관리자의 임명 및 라인조직 구성, 안전활동방침 및 안전계획 수립, 조직을 통한 안전활동을 안전관리에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은 안전기구의 조직이다.
2) 사실의 발견(2단계 : 현상파악) 각종 사고 및 안전활동의 기록 검토, 작업분석, 안전점검 및, 안전진단, 사고조사, 안전회의 및 토의, 종업원의 건의 및 여론조사 등에 의하여 불안전 요소를 발견한다.
3) 분석평가(3단계 : 원인규명) 사고 보고서 및 현장조사, 사고기록, 인적/물적 조전의 분석, 작업공정의 분석, 교육과 훈련의 분석 등을 통하여 사고의 직접 및 간접 원인을 규명한다.
4) 시정방법의 선정(4단계 : 대책의 선정) 기술의 개선, 인사조정,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안전행정의 개선, 규정 및 수칙의 개선, 확인 및 통제 체제 개선 등 효과적인 개선방법을 선정한다.
5) 시정책의 적용(5단계 : 목표달성) 시정책은 3E, 즉 기술(Engineering), 교육(Education), 관리(Enforcement)를 완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원주 폴리텍 유승현]
20.
승강기 안전관리자의 직무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보수계약에 관한 사항
2.
비상열쇠 관리에 관한 사항
3.
구급체계의 구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4.
운행관리규정의 작성 및 유지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승강기 안정관리자의 직무 사항 범위 1. 승강기 운행관리 규정의 작성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항 2. 승강기의 고장. 수리 등에 관한 기록유지에 관한 사항 3. 승강기 사고 발생에 대비한 비상연락망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4. 승강기인명사고 시 긴급조치를 위한 구급체제의 구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5. 승강기의 중대한 사고 및 중대한 고장 시 사고 및 고장 보고에 관한 사항 6. 승강기 표준부착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 7. 승강기 비상열쇠의 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설명충]
승강기 안전관리자의 업무범위
승강기 안전관리자는 해당 승강기의 관리를 위하여 다음에 해당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4조의3).
승강기 운행관리 규정의 작성 및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승강기의 고장·수리 등에 관한 기록 유지에 관한 사항 승강기 사고 발생에 대비한 비상연락망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승강기 인명사고 시 긴급조치를 위한 구급체제의 구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승강기의 중대한 사고 및 중대한 고장 시 사고 및 고장 보고에 관한 사항 승강기 표준부착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 승강기 비상열쇠의 관리에 관한 사항 승강기 내에 갇힌 이용자의 신속한 구출을 위한 승강기의 조작에 관한 사항(비상구출운전이 포함된 승강기관리교육을 받은 안전관리자만 해당) [해설작성자 : YT]
*개폐기(Switch) 전기 회로의 폐로,복구,전환 등을 하는 접촉 부품으로서 사람에 의한 수동조작시 손의 역할을 정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10배의법칙]
22.
재해 발생 시의 조치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
2.
재해원인 조사와 분석
3.
재해방지대책의 수립과 실시
4.
피해자를 구출하고 2차 재해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은 재해발생전에 하는것이다. [해설작성자 : 알라암컷]
재해가 발생 됬는데 안전교육을 실시할래요?
[추가 해설]
사고 터지고 안전교육 계획 수립을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죠?
23.
관리주체가 승강기의 유지관리 시 유지관리자로 하여금 유지관리중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안전 조치로 틀린 것은?
1.
사용금지 표시
2.
위험요소 및 주의사항
3.
작업자 성명 및 연락처
4.
유지관리 개소 및 소요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관리주체가 승강기의 유지관리시 사용을 아예 금지 시켜야한다. 하지만 위험요소 및 주의사항을 기록하면 사용을 하되 주의만 하라는 말이 되기 때문이다. 이 문제 외울때는 아파트에사시는분들은 자신 아파트의 승강기 관리 할때 를 기억해보시면 쉽습니다^&^ 승강기 모두 합격을 기원~ [해설작성자 : 석유화학고등학교 계전과 6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 유지관리 개소 및 소요시간 아닌가요? • 법적 표시 의무가 아님. • 유지관리 구역(개소)이나 걸리는 시간(소요시간)은 표시 항목에 포함되지 않음. • 사용자나 승객 입장에선 꼭 필요한 정보는 아님 → 안전조치 항목이 아님 [해설작성자 : 승강기신]
24.
전기에서는 위험성이 가장 큰 사고의 하나가 감전이다.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충전부 전체를 절연물로 차폐한다.
2.
충전부를 덮은 금속체를 접지한다.
3.
가연물질과 전원부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 한다.
4.
자동차단기를 설치하여 선로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전기를 사용할때 가연물질을 들고 가면 안되고 가연물질은 감전과는 상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과 6번 ]
가연물 즉 탈만한 소지가 있는 물건은 이격거리 유지가 아닌 아예 격리 시키는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SJ]
25.
재해의 직접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1.
물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기술적 원인
4.
작업관리상 원인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재해의 직접 원인에는 인적 원인, 물적 원인이 있습니다.
재해의 간접 원인에는 교육적 원인, 신체적 원인, 정신적 원인, 관리적 원인, 기술적 원인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6.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2.
과거의 재해발생 부분은 고려할 필요 없이 점검한다.
3.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4.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여러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모두 생각을해보면 당연한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과 6번]
과거의 어떤 재해가 발생 했고 그로 인한 대책이 확립되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안점 점검시 채워야 할테니 [해설작성자 : YT]
정리 - 긍정 정돈 - 긍정 청소 - 긍정 불결 - 부정 긍적적인 활동을 생활화 하기 위해선 부정적 활동을 피해야 겠죠?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최강 귀요미 정기흔]
안전 점검 5S는 작업장의 안전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활동으로, 정리(Seiri), 정돈(Seiton), 청소(Seisou), 청결(Seiketsu), 그리고 습관화(Shitsuke)의 5단계를 의미합니다.
28.
재해의 간접 원인 중 관리적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원 배치 부적당
2.
생산 방법 부적당
3.
작업 지시 부적당
4.
안전관리 조직 결함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관리 조직상의 결함에 기인한 것으로 "생산 방법 부적당"은 재해의 원인과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관리적 원인이란 관리 조직상의 결함에 기인하여 재해가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생산 방법은 작업적 원인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9.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정기검사에서 하중시험은 어떤 상태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1.
무부하
2.
정격하중의 50%
3.
정격하중의 100%
4.
정격하중의 125%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당연히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정기검사를 실시할때는 전기가 흐르지않는 무부하 상태에서 정기검사를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과 6번]
앞서 설명하신 분의 의견을 보태자면, 무부하로 하중을 시험하는데 무부 하의 뜻이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애당초 전기가 없는 상황에서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정기검사를 실시한다는 건... 기계적 견고함만 확인한다는 소리죠 무부하 즉, 엘리베이터에 하중을 주지 않는 것이죠... [해설작성자 : 충남기계공고 전기과 11203번]
30.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과부하방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부하방지장치의 작동치는 정격적 재하중의 11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과부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는 초과하중이 해소되기까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3.
적재하중 초과 시 경보가 울리고 출입문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제지되어야 한다.
4.
엘리베이터 주행 중에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과부하방지장치 작동은 유효화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과부하 방지장치 작동은 무효화가 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강릉중앙고]
과부하 감지 장치는 정격하중의 10%를 초과하기 전에 검출 되어야 하며, 주행 중에는 과부하 감지 장치의 작동이 무효화 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3과목 : 승강기보수
31.
균형추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재 및 연결재의 안전율은 균형추가 승강로의 꼭대기에 있고,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상태에서 얼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3
2.
5
3.
7
4.
9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균형추 또는 평형추는 승강기의 자중에 적재용량의 약 40, 50%를 더한 중량을 보상시키기 위하여 승강기와 연결된 권상로프의 반대편에 연결된 중량물로서 구조는 보통 “ㄷ”자 형강 또는 절곡구조로 된 강재를 외부틀로 하고 그 안쪽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추를 넣습니다. 균형추를 구성하는 구조재와 연결재의 안전율은 균형추가 승강로의 꼭대기에 위치해 있고 승강기가 정지하여 있는 상태에서 5이상으로 하며, 프레임은 완충기에 안전율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해설작성자 : 고구마 호박]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으로 카가 정지할 때까지 레일이 죄는 힘이 처음에는 약하게 그리고 하강함에 따라 강해지다가 얼마 후 일정한 값으로 도달하는 방식은?
1.
슬랙로프 세이프티
2.
순간식 비상정지장치
3.
플렉시블 가이드 방식
4.
플렉시블 웨지 클램프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일정한 속도로 정지시키는 장치가 플렉시블 가이드 클램프고 처음에는 약하게 그리고 하강할때 빠르게 도달해주는게 웨지 클램프 입니다. [해설작성자 :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전기과 임우주]
[추가 해설]
◇ 슬랙로프 세이프티(Slake rope safety) : 소형 조속 엘리베이터로써 주로 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없어져 휘어짐이 생겼을 즉시 운전회로를 열어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것. ◇ 순간식 비상정지장치 :속도 45m/min 이하에 주로 사용되며 슬랙로프 세이프티가 이에 속한다. ◇ 플레시블 가이드 방식 [F.G.C](flexible guide clamp) : 점진적 비상정치로 레일을 죄는 힘이 동작에서 정지까지 일정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쉬워 널리 사용 된다. ◇ 플렉시블 웨지 클램프 방식 [F.W.C](flexible wedge clamp) : 레일을 죄는 힘이 동작 초기에는 약하나 점점 강해진 후 일정한 값으로 도달 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YT]
34.
제어반에서 점검할 수 없는 것은?
1.
결선단자의 조임상태
2.
스위치접점 및 작동상태
3.
조속기 스위치의 작동상태
4.
전동기 제어회로의 절연상태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조속기는 카가 정해진 속도를 넘었을 때 작동이 돼서 제어반에서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공고 교통정보기술과]
[추가 해설] 요즘 제어반에는 조속기 스위치 작동을 확인하는 제어시스템이 갖춰져있음 [해설작성자 : 현재 승강기 설치기사 ]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근데 저는 승강기는 전혀 모르지만 1mm 이상 유지 규정이므로 문제에서 교체시기를 물었으므로... 1mm 미만이 되면 교체해야 하는것 같은데.. 그럼 정답이... 1번이 맞고 문제도 이상없는것 아닌가요?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이동식 핸드레일은 운행 중에 전 구간에서 디딤판과 핸드레일의 동일 방향 속도 공차는 몇 % 인가?
1.
0~2
2.
3〜4
3.
5~6
4.
7〜8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손잡이와 발판 속도가 차이가 있으면 안됩니당~ [해설작성자 : 구동체인 안전장치]
◆핸드레일 시스템 ▷각 난간의 꼭대기에는 정상운행 조건하에서 스텝, 팔레트 또는 벨트의 실제 속도와 관련하여 동일방향으로 -0% ~ +2%의 공차가 있는 속도로 움직이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야 한다. ▷핸드레일은 정상운행 중 운향방향의 반대편에서 450N의 힘으로 당겨도 정지되지 않아야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의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스위치의 기능 상실여부
2.
실린더 패킹에 누유여부
3.
실린더의 패킹의 녹 발생여부
4.
구성부품, 재료의 부착에 늘어짐 여부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실린더와 스위치는 별개의 부품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원하이텍고]
스위치는 카내임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 전기과 임창정]
40.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구동장치에 대한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링크 및 핀의 마모상태
2.
핸드레일 가드 마모상태
3.
구동체인의 늘어짐 상태
4.
스프로켓의 이의 마모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손잡이 부분이 핸드레일입니다. 문제에서 스텝구동장치에 대한것을 물었으니 관련이 없는 핸드레일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현대공고 전장과 정ㅈㅎ]
41.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된 고정 도르래의 점검내용이 아닌 것은?
1.
이상음 발생여부
2.
로프 홈의 마모상태
3.
브레이크 드럼 마모상태
4.
도르래의 원활한 회전여부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르래 점검과 브레이크 점검은 다른겁니다. [해설작성자 : 이광철]
브레이크 - 권상기 점검항목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42.
가이드레일 또는 브라켓의 보수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가이드레일의 녹 제거
2.
가이드레일의 요철제거
3.
가이드레일과 브라켓의 체결볼트 점검
4.
가이드레일 고정용 브라켓 간의 간격 조정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고정용 브라켓은 규격에 맞게 설치된것이고 완성검사를 다 통과한 것입니다. 전면교체를 하지 않는이상 보수점검시엔 간격조정을 할수가 없습니다. 브라켓과 레일을 잡아주고있는 레일클립 조임여부를 점검하는 것이겠지요. [해설작성자 : 나뭇꾼최씨]
고정용이니까 간격을 다시 조정못함 [해설작성자 : 야매]
◆가이드레일, 브라켓의 점검항목 ▷레일과 브라켓에 심하게 녹, 부식 등이 보이는 것 ▷부착에 늘어짐이 있는것
43.
엘리베이터에서 현수로프의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로프의 직경
2.
로프의 마모 상태
3.
로프의 꼬임 방향
4.
로프의 변형 부식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로프의 꼬임 방향은 공장에서 이미 결정됨
44.
유압식엘리베이터의 점검 시 플런저 부위에서 특히 유의하여 점검하여 야 할 사항은?
1.
플런저의 토출량
2.
플런저의 승강행정 오차
3.
제어밸브에서의 누유상태
4.
플런저 표면조도 및 작동유 누설 여부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플런저 부위에서 특히 유의하여 점검하여야 할 사항은 플런저 표면조도 및 작동유 누설 여부입니다. [해설작성자 :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전기과]
45.
비상정지장치가 없는 균형추의 가이드레일 검사 시 최대 허용 휨의 양은 양방향으로 몇 ㎜인가?
[오류신고 반론] and 회로일경우 A*B 이지만 NOT이 붙어있어 있을경우 모든 결과값이 반대가 되어야 하므로 _ A <=> A * <=> + 가 됩니다. _ _ _ _ 따라서 NOT{NOT(A*B)*NOT(C*D)} = NOT(A+B*C+D) = A*B+C*D 가 출력값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안공 보충선생님 감사합니다! by 2020]
not and 회로 3개 , and 는 연산곱 식을 나타내보면 {(AB)' * (CD)' }' 대괄호 '(부정) 을 드모르 간식으로 정리 = AB''+CD'' ''(부정이 2번이면 긍정) 따라서 AB+CD 가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컴퓨터전공 졸업 ㅋㅇㅋ]
<문제 해설> 주파수 제어법은 교류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법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
한국과 미국의 상용주파수 = 60Hz [해설작성자 : 아이고 의미없다.]
애초에 직류는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그림은 마이크로미터로 어떤 치수를 측정한 것이다. 치수는 약 몇 mm인가?
1.
5.35
2.
5.85
3.
7.35
4.
7.85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7이 아니라 7.5 +0.35 = 7.85 입니다. [해설작성자 : 모네]
슬리브 값이 7.5mm, 딤블의 값이 0.35mm이므로 7.5mm + 0.35mm = 7.85mm [해설작성자 : 고구마 호박]
슬리브 위 눈금 : 1.0 단위 슬리브 아래 눈금 : 0.5 단위 딤블 눈금 : 0.1 단위 슬리브 위 7.0 + 슬리브 아래 0.5 + 딤블 0.35 = 7.85(mm)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57.
다음 중 응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은? (단, 다음 그림은 기둥의 단면 모양이며, 가해지는 하중 및 힘의 방향은 같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a=2 라고 할때 1. 3.14 x 1 x 1 = 3.14 2. 삼각 함수 이용, 높이는 루트3 이므로 1.73, (2 x 1.73)/2 = 1.73 3. 2 x 2 = 4 4. (2 x 2)/2 = 2 힘이 같을 때, 면적이 작을 수록 응력은 커집니다. 그렇다면 면적이 가장 작은 1.73이 나온 2번이 응력이 제일 크겠군요.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전자 귀요미 정기흔]
58.
다음 그림과 같은 제어계의 전체 전달함수는? (단, H(s)=1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H가 1이라 할때 1+G 분의 G 입니다 그냥 G + A(요구사항) 분의 G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김화공고 17학번 전기과 송타바퀴]
해당회로를 간략하게 만들면 G(s)/(1마이너스플러스G(s)H(s))입니다. H(s)와 이어지는 부분이 -이므로 분모는 1+G(s)H(s)로 플러스로 확정이 나고 H(s)=1이므로 답 3번과 똑같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제어계측공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