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제7조(가스공급시설의 임시사용)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법 제16조제1항에 따라 가스공급시설을 임시로 사용하게 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도시가스의 공급이 가능한지 여부 2. 가스공급시설을 사용할 때 안전을 해칠 우려가 있는지 여부 3. 도시가스의 수급 상태를 고려할 때 해당 지역에 도시가스의 공급이 필요한지 여부 [해설작성자 : 영등포, 인천-현대기술학원]
2.
다음 [보기]의 독성가스 중 독성(LC50)이 가장 강한 것과 가장 약한 것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도시가스사용시설에서 배관의 이음부와 절연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
2.
15
3.
30
4.
60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기 계량기 밑 개폐기 60cm맞구요 개정된 가스안전법에 의해 점멸기 접속기와 절연되지 않는 전선 15cm이고 절연조치 된 전선 10cm로써 정답은 1번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duck]
2.5.4.5.8 배관의 이음부(용접이음매를 제외한다)와 전기설비의 거리는 다음 기준에 따른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다.<개정 13.12.18> (1) 전기계량기 및 전기개폐기 : 60㎝ 이상 (2) 전기점멸기 및 전기접속기 : 15㎝ 이상 (3) 절연전선(가스누출자동차단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선은 제외한다) : 10㎝ 이상 <개정 17.8.7> [해설작성자 : 7269]
13.
압축기 최종단에 설치된 고압가스 냉동제조시설의 안전밸브는 얼마마다 작동압력을 조정하여야 하는가?
1.
3개월에 1회 이상
2.
6개월에 1회 이상
3.
1년에 1회 이상
4.
2년에 1회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장치 중 압축기의 최종단에 설치한 안전장치는 1년에 1회 이상, 그 밖의 안전밸브 는 2년에 1회 이상 조정을 하여 고압가스설비가 파손되지 않도록 적절한 압력 이하에서 작동이 되도록 할 것 [해설 작성 : 현대기술학원]
14.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에서 플레어스택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파이롯트버너를 항상 점화하여 두는 등 플레어스택에 관련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
긴급이송설비로 이송되는 가스를 대기로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이 다른 제조시설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안전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한다.
4.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최대열량에 장시간 견딜 수 있는 재료 및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긴급이송설비로 이송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대기로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가스를 그냥 대기로 내보내면 안되고 연소시켜서 독성과 냄새 등의 해로운 성분을 제거한 다음 대기중으로 방출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산양삼]
15.
액화석유가스판매시설에 설치되는 용기보관실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보관실에는 가스가 누출될 경우 이를 신속히 검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일체형 가스누출경보기를 설치한다.
2.
용기보관실에 설치되는 전기설비는 누출된 가스의 점화원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방폭구조로 한다.
3.
용기보관실에는 누출된 가스가 머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용기보관실의 구조에 따라 환기구를 갖추고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는 곳에는 강제통풍시설을 설치한다.
4.
용기보관실에는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마련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번에서 일체형이 아니라 분리형을 써야한다 [해설작성자 : 명장되고싶다]
일체형의 경우 문제 발생시 제품을 다 갈아엎어야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율하에이스 안미경]
<문제 해설> 3번은 해야하고, 4번은 안해도 되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법을 확인해 보니, 3번이 틀렸고, 4번은 해야 하는 항목이므로,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8] <개정 2014.8.13.> 용기의 안전점검 및 유지ㆍ관리기준(제23조제1항 및 제3항 관련) 1. 법 제13조제2항 및 제4항에 따라 고압가스제조자 또는 고압가스판매자가 실시하는 용기의 안전점검 및 유지ㆍ관리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용기의 내ㆍ외면을 점검하여 사용할 때에 위험한 부식ㆍ금ㆍ주름 등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 나. 용기는 도색 및 표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 다. 용기의 스커트에 찌그러짐이 있는지, 사용할 때에 위험하지 않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 라. 유통 중 열영향을 받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할 것. 이 경우 열영향을 받은 용기는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마. 용기 캡이 씌워져 있거나 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 바. 재검사기간의 도래 여부를 확인할 것 사. 용기 아랫부분의 부식 상태를 확인할 것 아. 밸브의 몸통ㆍ충전구나사ㆍ안전밸브에 사용에 지장을 주는 흠, 주름, 스프링의 부식 등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 자. 밸브의 그랜드너트가 고정핀 등에 의하여 이탈 방지를 위한 조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 차. 밸브의 개폐조작이 쉬운 핸들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 카. 용기에는 충전가스의 종류에 맞는 용기부속품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 타. 용기에 충전된 고압가스(가연성가스 및 독성가스만 해당한다)를 판매한 자는 판매에서 회수까지 그 이력을 추적 관리하여 용기방치 등으로 인한 안전관리에 저해되지 않도록 할 것 2. 고압가스판매자는 제1호의 확인 결과 부적합한 용기의 경우에는 고압가스제조자에게 반송하여야 하고, 고압가스제조자는 부적합한 용기를 수선하거나 보수하며, 수선ㆍ보수할 수 없는 용기는 폐기할 것
에 따르면, 프로텍터의 변형여부가 아니라, 프로텍터의 부착여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또한 밸브의 개폐조작이 쉬운 핸들 부착 여부는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양삼]
24.
도시가스 도매사업의 가스공급시설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압의 가스공급시설은 안전구획 안에 설치하고 그 안전구역의 면적은 1만m2 미만으로 한다.
2.
안전구역 안의 고압인 가스공급시설은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인 가스공급시설의 외면까지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3.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처리능력이 20만m3 이상인 압축기까지 30m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4.
두개 이상의 제조소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의 가스공급시설은 그 외면으로부터 그 제조소와 다른 제조소의 경계까지 1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고압의 가스공급시설은 안전구획 안에 설치하고 그 안전구역의 면적은 2만m2 미만일 것. 다만, 공정상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가스공급시설로서 두개 이상의 안전구역을 구분함에 따라 그 가스공급시설의 운영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마) 안전구역 안의 고압인 가스공급시설[배관은 제외하나 고압인 가스공급시설과 같은 제조설비에 속하는 가스설비는 포함한다. 이하 마)에서 같다]은 그 외면으 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인 가스공급시설의 외면까지 3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바) 두개 이상의 제조소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의 가스공급시설은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제조소의 경계까지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사)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처리능력이 20만m3 이상인 압축 기까지 3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아) 제조소 및 공급소에는 안전조업에 필요한 공지를 확보하여야 하며, 가스 공급시설은 안전조업에 지장이 없도록 배치할 것
25.
가연성가스의 폭발등급 및 이에 대응하는 본질안전방폭구조의 폭발등급 분류 시 사용하는 최소점화전류비는 어느 가스의 최소점화전류를 기준으로 하는가?
1.
메탄
2.
프로판
3.
수소
4.
아세틸렌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최소 점화전류비는 메탄(Methane)가스의 최소점화전류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현대기술학원-인천동암,간석오거리/영등포역 도보 3분]
압력이 높거나 온도가 낮으면 액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압력이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이상기체에 가까워짐 [해설작성자 : 트리님]
만족시키는 조건 압력이 낮을 때 온도가 높을 때 비체적이 클 때 분자량이 작을 때 [해설작성자 : ㅡㅜ]
48.
다음 중 유리병에 보관해서는 안 되는 가스는?
1.
O2
2.
Cl2
3.
HF
4.
Xe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불화수소 유리를 부식시키는 가스. 유리에 무늬를 세기는 등의 용도로 쓰임 [해설작성자 : 트리님]
49.
황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색의 기체로서 유독하다.
2.
공기 중에서 연소가 잘 된다.
3.
산화하면 주로 황산이 생성된다.
4.
형광물질 원료의 제조 시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황을 연소 시키면 :S + O2 ->S02 발생 [해설작성자 : 마킹사]
반응속도와 활성화에너지만 다를뿐 연소와 산화는 동일한 것이다. 황화수소는 연소시 이산화황이 발생함. [해설작성자 : 서영이]
연소랑 산화랑 다른개념이 아님. 문제에서 주로 황산이 생성된다고 써있으니 틀린것이지 산화(연소)하면 이산화황가스SO2 와 아황산가스SO3 황산H2SO4이 발생할 수 있음. 단 그중에 연소를 통해서 이산화황이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정답이 3번인것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중 가연성 가스가 아닌 것은?
1.
일산화탄소
2.
질소
3.
에탄
4.
에틸렌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질소(N2)는 불연성가스로 대단히 안정적임 [해설작성자 : 트리님]
51.
나프타의 성상과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 중 PONA 값의 각 의미에 대하여 잘못 나타낸 것은?
1.
P : 파라핀계 탄화수소
2.
O : 올레핀계 탄화수소
3.
N : 나프텐계 탄화수소
4.
A : 지방족 탄화수소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P : 파라핀계 탄화수소 O : 올레핀계 탄화수소 N : 나프텐계 탄화수소 A : 아로마계 탄화수소 [해설작성자 : 트리님]
52.
25℃의 물 10kg을 대기압 하에서 비등시켜 모두 기화시키는데 약 몇 kcal의 열이 필요한가? (단, 물의 증발잠열은 540kcal/kg 이다.)
<문제 해설> 아보가드로의 법칙은 동일한 온도와 압력에서 동일한 양의 기체가 동일한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 법칙은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주어진 부피의 기체는 같은 수의 기체 분자를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시료 중의 기체 분자의 수는 기체 시료의 부피를 1분자가 차지하는 부피로 나누어 결정할 수 있는데, 이를 몰 부피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