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3류 위험물 - 알킬알루미늄 으로 지정수량 10kg인데 300kg로 잘못 표기 되어 있어서 글 남깁니다. [해설작성자 : 인생3막시작]
2.
제조소등의 외벽 중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을 판단하는 기산점이 되는 것을 모두 옳게 나타낸 것은?
1.
① 제조소등이 설치된 부지의 경계선, ② 제조소등에 인접한 도로의 중심선, ③ 제조소등의 외벽과 동일부지 내의 다른 건축물의 외벽간의 중심선
2.
① 제조소등이 설치된 부지의 경계선, ② 제조소등에 인접한 도로의 경계선, ③ 제조소등의 외벽과 동일부지 내의 다른 건축물의 외벽간의 중심선
3.
① 제조소등이 설치된 부지의 중심선, ② 제조소등에 인접한 도로의 중심선, ③ 동일부지 내의 다른 건축물의 외벽
4.
① 제조소등이 설치된 부지의 중심선, ② 제조소등에 인접한 도로의 경계선, ③ 제조소등의 외벽과 인근부지의 다른 건축물의 외벽간의 중심선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세부기준 [제41조]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 -제조소등의 외벽 중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을 판단하는 기산점이 되는 것 ① 제조소등이 설치된 부지의 경계선, ② 제조소등에 인접한 도로의 중심선, ③ 제조소등의 외벽과 동일부지 내의 다른 건축물의 외벽간의 중심선 [해설작성자 : dusty]
수원의 수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설치개수(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5개)에 7.8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2.
옥내소화전은 제조소등의 건축물의 층마다 당해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접소구까지의 수평거리가 5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것
3.
옥내소화전설비는 각 층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 층의 모든 옥내소화전(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5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각 노즐선단의 방수압력이 350kPa 이상이고 방수량이 1분당 260ℓ 이상의 성능이 되도록 할 것
4.
옥내소화전설비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수평거리 25m이하 [해설작성자 : 병두]
수평거리 옥내 25m, 옥외 4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브롬산칼륨의 색상으로 옳은 것은?
1.
백색
2.
등적색
3.
황색
4.
청색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브롬산칼륨: 제1류위험물 중 브롬산염류 -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 [해설작성자 : dusty]
15.
위험물인 아세톤을 용기에 담아 운반하고자 한다.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의 내용과 배치되는 것은?
1.
지정수량의 10배라면 비중이 1.52인 질산을 다른용기에 수납하더라도 함께 적재. 운반 할 수 없다.
2.
원칙적으로 기계로 하역되는 구조로 된 금속제 운반용기에 수납하는 경우 최대용적이 3000 리터 이다.
3.
뚜껑탈착식 금속제드럼 운반용기에 수납하는 경우 최대 용적은 250리터이다.
4.
유리용기, 플라스틱용기를 운반용기로 사용할 경우 내장용기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9] 위험물 운반용기 - 유리용기, 플라스틱용기를 운반용기로 사용할 경우 내장용기뿐만 아니라 외장용기로도 사용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dusty]
16.
주유취급소의 변경허가 대상이 아닌 것은?
1.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를 신설 또는 철거하는 경우
2.
유리를 부착하기 위하여 담의 일부를 철거하는 경우
3.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의 위치를 이전하는 경우
4.
지하에 설치한 배관을 교체하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의2] 제조소등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 -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를 신설 또는 철거하는 경우 - 유리를 부착하기 위하여 담의 일부를 철거하는 경우 -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의 위치를 이전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dusty]
17.
마그네슘과 염산이 반응 할 때 발화의 위험이 있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이다.
2.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3.
많은 반응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4.
분진 폭발의 민감성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마그네슘과 염산의 반응식 Mg + 2HCl -> MgCl2 + H2 많은 반응열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dusty]
18.
제2류 위험물 중 철분 또는 금속분을 수납한 운반용기의 외부에 표시해야하는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제5조] 위험물의 저장. 취급의 제한 - 임시 저장.취급에 관한 기준은 시.도조례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dusty]
제5조(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의 제한) ①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소가 아닌 장소에서 저장하거나 제조소등이 아닌 장소에서 취급하여서는 아니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조소등이 아닌 장소에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서의 저장 또는 취급의 기준과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은 시ㆍ도의 조례로 정한다. <개정 2016. 1. 27.> 1. 시ㆍ도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90일 이내의 기간동안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 2. 군부대가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군사목적으로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천하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