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면적이 150m2 이상인 제조소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의 급기구는 얼마 이상의 크기로 하여야 하는가?
1.
600 cm2
2.
800 cm2
3.
1000 cm2
4.
1500 cm2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바닥면적 급기구 면적 60m2 미만 150cm2 이상 60m2 이상 90m2 미만 300cm2 이상 90m2 이상 120m2 미만 450cm2 이상 120m2 이상 150m2 미만600cm2 이상 150m2 이상 800cm2 이상 [해설작성자 : 한국정력공사]
5.
무색, 무취, 사방정계 결정으로 융점이 약 610℃ 이고 물에 녹기 어려운 위험물은?
1.
NaClO3
2.
KClO3
3.
NaClO4
4.
KClO4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KClO4 과염소산칼륨 융점 610℃ 무색무취 사방정계 결정 물에 녹기어렵고 알코 에테르에 불용 [해설작성자 : 김태영]
NaClO3 무색,무취,입방체, 융점 248도, 물 용해도 79% KClO3 흰색,무취,monoclinic, 융점 368도, 물 용해도 8.15g/100ml(25도) NaClO4 흰색,무취,orthorhombic, 융점 468도, 물 용해도 209.6g/100ml(25도) KClO4 무색,무취,Rhombohedral, 융점 610도, 물 용해도 1.5g/100ml(25도) [해설작성자 : 정의란무엇인가]
6.
다음 위험물의 화재 시 알코올포소화약제가 아닌 보통의 포소화약제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은?
1.
아세트산
2.
메틸알코올
3.
메틸에틸케톤
4.
경유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통의 포소화약제는 휘발유,등유,경유에 유효 [해설작성자 : 고독한 40대]
7.
방사구역의 표면적이 100m2인 곳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수원의 수량은 몇 L 이상 이어야 하는가? (단, 분무헤드가 가장 많이 설치된 방사구역의 모든 분무헤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이다.)
1.
30000
2.
40000
3.
50000
4.
60000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수원의 수량은 방사구역 표면적의 1m2당 20L의 비율로 계산한 양으로 30분간 방사할수 있는 양 이상이어야 함. 따라서, 100m2 * 20L/min * 30분 = 60,000L [해설작성자 : 은블리아빠]
8.
위험물제조소등에 전기설비가 설치된 경우에 당해 장소의 면적이 500m2 이라면 몇 개 이상의 소형수동식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
2.
4
3.
5
4.
10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제조소등에 전기설비(전기배선, 조명기구 등은 제외한다)가 설치된 경우에는 해당 장소의 면적 100m2마다 소형수동식소화기를 1개 이상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고독한 40대]
9.
과산화수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농도가 36.5wt% 인 것은 위험물에 해당한다.
2.
불연성이지만 반응성이 크다.
3.
표백제, 살균제, 소독제 등에 사용된다.
4.
지연성 가스인 암모니아를 봉입해 저장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밀봉하지 않고 구멍이 있는 마개 사용(갈색병)
10.
하나의 옥내저장소에 칼륨과 유황을 저장하고자 할 때,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에 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만약 유황이 없고 칼륨만을 저장하는 경우라면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은 1000m2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만약 칼륨이 없고 유황만을 저장하는 경우라면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은 2000m2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내화구조의 격벽으로 완전히 구획된 실에 각각 저장하는 경우 전체 바닥면적은 1500m2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내화구조의 격벽으로 완전히 구획된 실에 각각 저장하는 경우 칼륨의 저장실은 1000m2 이하로 유황의 저장실은 500m2 이하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하나의 저장창고 바닥면적 기준면적 1000m^2 이하 ① 제1류위험물(아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그 밖에 지정수량 50kg인 위험물 ② 제3류위험물(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알킬리튬), 황린, 그 밖에 지정수량 10kg인 위험물 ③ 제4류위험물(특수인화물, 제1석유류, 알코올류) ④ 제5류위험물(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그 밖에 지정수량이 10kg인 위험물 ⑤ 제6류 위험물 * 칼륨은 3류 위험물로 이에 해당 2. 위 ① ~ ⑤ 제외 위험물 저장시 하나의 저장창고 바닥면적 기준면적 2000m^2 이하 * 유황은 2류 위험물로 이에 해당 3. 내화격벽으로 구분할 경우 저장창고 전체 바닥면적 1500m^2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보기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위험물은?
1.
황린
2.
글리세린
3.
질산
4.
질산염류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류별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동일한 저장소에 1m이상의 간격을 두고 저장할 수 있는 위험물 - 제1류위험물과 제3류위험물중 자연발화성물질(황린에 한한다)을 저장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dusty]
류별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동일한 저장소에 1m이상의 간격을 두고 저장할 수 있는 위험물 1류와 6류인 질산도 저장 가능하나 옥외저장할수 없는 품목이 유황 인화성고체,4류,6류가 있기때문에 1번 황린이 되는것임 [해설작성자 : 레온하트]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하여 일반취급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은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을 준용하거나 위험물의 취급유형에 따라 따로 정한 특례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례의 대상이 되는 일반취급소 중 취급 위험물의 인화점 조건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열처리작업등의 일반취급소
2.
절삭장치등을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3.
윤활유 순환장치를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4.
유압장치를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열처리작업등의 일반취급소 -> 인화점 70'C 이상 2. 절삭장치등을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인화점 100'C 미만 3. 윤활유 순환장치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100'C 미만 4. 유압장치를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인화점 100'C 미만 [해설작성자 : 방탕한사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 열처리작업등의 일반취급소 -> 인화점 70'C 이상인 4류 2. 절삭장치등을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고인화점 위험물 3. 윤활유 순환장치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고인화점 위험물 4. 유압장치를 설치하는 일반취급소 -> 고인화점 위험물 [해설작성자 : 법안 제대로 보세요]
2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취급 중 소비에 관한 기준에서 방화상 유효한 격벽 등으로 구획된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분사도장작업
2.
담금질작업
3.
열처리작업
4.
버너를 사용하는 작업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ㅇ 분사도장작업 : 방화상 유효한 격벽 등으로 구획된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 ㅇ 담금질, 열처리 : 위험물이 위험한 온도에 이르지 아니하도록 하여 실시 ㅇ 버너사용 : 버너의 역화를 방지하고 위험물이 넘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문제 해설> H He Li Be B C N O F Ne Na Mg Al Si P S Cl Ar K Ca 주기안에서 원자번호 높을수록 이온화에너지 높음 같은족에서 원자번호 낮을수록 이온화에너지 높음 Ne(8-10번) Be(2-4번) Na(1-11번) K(1-19번) [해설작성자 : 김태영]